KR101231655B1 -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1655B1 KR101231655B1 KR1020100099531A KR20100099531A KR101231655B1 KR 101231655 B1 KR101231655 B1 KR 101231655B1 KR 1020100099531 A KR1020100099531 A KR 1020100099531A KR 20100099531 A KR20100099531 A KR 20100099531A KR 101231655 B1 KR101231655 B1 KR 1012316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ef
- river
- wall portion
- aquatic
- faun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해 하천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형성된 상부 어초(110); 하천의 바닥부(2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하부 어초(120); 하부 어초(120)와 상부 어초(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 연결부재(130)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천 중앙부에 부유하도록 하부 어초(120)와 상부 어초(110) 사이에 설치된 중앙부 어초(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을 제시함으로써, 국내의 하천, 저수지와 같이 계절에 따라 수위 변화가 극심하고, 동절기 동결의 발생이 쉬운 환경이라 하더라도, 수심에 따라 수생 동식물이 원활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경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생 동식물의 보호를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수생 동식물은 각 종류의 특성에 따라 생육에 적당한 수심, 온도 등이 정해져 있고, 이들의 원활한 서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위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러한 수생 동식물의 서식환경을 인공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어초 구조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어초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첫째, 하천의 바닥부, 상부 등 특정 부위의 수생 동식물에 대하여만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었고, 수심의 분포에 따른 다양한 수생 동식물에 대하여 서식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둘째, 국내의 하천, 저수지(특히 상류지역)는 계절에 따라 수위 변화가 극심하고, 동절기 동결의 발생이 쉬우므로, 수생 동식물의 서식에 미치는 악영향이 크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특별한 방안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국내의 하천, 저수지와 같이 계절에 따라 수위 변화가 극심하고, 동절기 동결의 발생이 쉬운 환경이라 하더라도, 수심에 따라 수생 동식물이 원활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해 하천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형성된 상부 어초(110); 하천의 바닥부(2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하부 어초(120); 상기 하부 어초(120)와 상부 어초(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 상기 연결부재(130)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천 중앙부에 부유하도록 상기 하부 어초(120)와 상부 어초(110) 사이에 설치된 중앙부 어초(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을 제시한다.
상기 상부 어초(110)는 수면에 부유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 부력 프레임(111); 수생식물이 식재되도록 상기 부력 프레임(111)에 장착된 상부 식생매트(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어초(110)는 어란이 수용되도록 상기 부력 프레임(111)의 하부에 장착된 상부 어란 수용부재(113);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어초(120)는 간벌재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고, 저면이 폐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간벌재 박스(121); 상기 간벌재 박스(121)의 부유를 방지하도록, 상기 간벌재 박스(121)의 내부에 수용된 돌(122); 침수식물이 식재되도록 내부에 토사가 충전된 식생주머니(1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천의 바닥부(210)에 고정되도록 투수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형성된 기초부재(124);를 더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하부 어초(120)가 상기 기초부재(124)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부 어초(140)는 간벌재에 의해 형성된 간벌재 프레임(141); 수생식물이 식재되도록 상기 간벌재 프레임(141)에 장착된 중앙부 식생매트(1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부 어초(140)는 어란이 수용되도록 상기 간벌재 프레임(141)에 장착된 중앙부 어란 수용부재(143);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을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로서, 상기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이 설치됨과 아울러, 하천의 저면에 웅덩이 구조로 형성된 포켓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200)는 주위에 비해 심도가 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포켓부(200)는 지하수위보다 깊은 수심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켓부(200)는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210); 하천수의 유입방향 측에 형성된 후방벽부(220); 하천수의 유출방향 측에 형성된 전방벽부(230); 상기 전방벽부(230) 및 후방벽부(220)의 양측에 형성된 측방벽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벽부(230)는 상기 후방벽부(220)에 비해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방벽부(240)는 상기 후방벽부(220)에 비해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켓부(200)의 전방벽부(230), 후방벽부(220) 또는 측방벽부(240)에는 어소블록(30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소블록(300)은 상기 포켓부(200)의 후방벽부(220)에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댐(500); 상기 댐(500) 후방의 저수영역에 형성된 상기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구조물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댐(500) 후방의 저수영역에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51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은 상기 부유사 월류방지턱(510)의 전방에 인접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사 월류방지턱(510)의 후방에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52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은 상기 다공성 통수보(520)의 후방에 인접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국내의 하천, 저수지와 같이 계절에 따라 수위 변화가 극심하고, 동절기 동결의 발생이 쉬운 환경이라 하더라도, 수심에 따라 수생 동식물이 원활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복합형 어초 구조물의 구성도.
도 2는 상부 어초의 사시도.
도 3은 간벌재 박스의 사시도.
도 4는 하부 어초의 단면도.
도 5는 중앙부 어초의 사시도.
도 6은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저수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저수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저수 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1은 복합형 어초 구조물의 구성도.
도 2는 상부 어초의 사시도.
도 3은 간벌재 박스의 사시도.
도 4는 하부 어초의 단면도.
도 5는 중앙부 어초의 사시도.
도 6은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저수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저수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저수 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은 기본적으로, 부력에 의해 하천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형성된 상부 어초(110); 하천의 바닥부(2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하부 어초(120); 하부 어초(120)와 상부 어초(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 연결부재(130)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천 중앙부에 부유하도록 하부 어초(120)와 상부 어초(110) 사이에 설치된 중앙부 어초(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하천에 어초 구조물을 설치함에 있어서, 하부 어초(120)에 의해 상부 어초(110), 중앙부 어초(140)의 자유이탈을 방지하고, 상부 어초(110)의 부력에 의해 상부 어초(110), 중앙부 어초(140)가 하천의 일정 부위에 부유하도록 함으로써, 수심에 따라 상부 어초(110), 중앙부 어초(140), 하부 어초(120)가 각각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수생 동식물은 하천의 수심(수온)에 따라 서식하는 종류가 다른데, 어초 구조물이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각 수심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수생 동식물에 대하여 맞춤형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부 어초(110)는 하천의 수면에 부유하여야 하므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봉과 같이, 수면에 부유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 부력 프레임(111); 수생식물이 식재되도록 부력 프레임(111)에 장착된 부직포 등의 상부 식생매트(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상부 식생매트(112)를 부직포와 같은 천 재질에 의해 형성하고, 이에 수생식물의 씨앗을 식재하는 경우, 하부의 물로부터 수분, 영양분을 공급받으면서 상부 식생매트(112) 위로 성장할 수 있다.
상기 부력 프레임(111)의 하부에 어란이 수용되도록 그물망 구조 등에 의한 상부 어란 수용부재(113)를 장착하는 경우, 작은 어류의 피난처를 제공함과 아울러, 안전한 산란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어초(120)는 상부 어초(110) 및 중앙부 어초(1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부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하천에 의해 부유하지 않는 재질 및 구조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하천 부근의 녹화 기타 환경조성작업에서는 다량의 간벌재, 돌, 모래, 토사 등이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초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더욱 친환경적인 구조물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하부 어초(120)는 간벌재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고, 저면이 폐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간벌재 박스(121); 간벌재 박스(121)의 부유를 방지하도록, 간벌재 박스(121)의 내부에 수용된 돌(122); 침수식물이 식재되도록 내부에 토사가 충전된 식생주머니(123);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간벌재 박스(121)는 내부에 돌(122) 및 식생주머니(123)의 수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간벌재의 적층 및 못질 등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하면 된다(도 3).
식생주머니(123)는 간극이 작은 그물이나 천 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내부에 모래, 토사 등이 충전된 구조를 사용하면 된다.
하천의 바닥부(210)에 투수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형성된 기초부재(124)를 고정설치하고, 이에 복수의 하부 어초(120)가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경우, 위 하부 어초(120)가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기초부재(124) 자체가 그 다공성 구조로 인하여 또 다른 어초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상부 어초(110)와 하부 어초(120) 사이에 와이어 로프 등의 연결부재(130)에 의해 연결되는 중앙부 어초(140)는 하천의 중앙부에 부유하면서, 수생 동식물의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중앙부 어초(140)는 간벌재에 의해 형성된 간벌재 프레임(141); 수생식물이 식재되도록 간벌재 프레임(141)에 장착된 중앙부 식생매트(142);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벌재를 사용하는 것이 친환경적으로 바람직한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고, 나아가 이러한 목재는 합성수지와 달리 적당한 양의 물을 머금는 경우, 물에 완전히 부유하지도 않고 완전히 가라앉지도 않을 것인바, 중앙부 어초(140)의 프레임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재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간벌재 프레임(141)에도 어란이 수용되도록 그물망 구조 등에 의한 중앙부 어란 수용부재(143)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부 어초(140)가 상하방향으로 다수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각각의 중앙부 어초(140)에 대하여 당해 중앙부 어초(140)가 위치한 수심에 서식하는 수생 동식물에 적합한 식생환경(예컨대, 식생매트에 식재하는 식물의 종류를 달리하거나, 어란 수용부재의 그물망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을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은 일반적인 구조의 하천에 대하여도 설치될 수 있으나, 하천의 저면에 웅덩이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주위에 비해 심도가 깊도록 형성된 포켓부(200)에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첫째, 지하수로 인하여 연중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수의 유입이 극히 적은 건기 시 수생 동식물의 피난처, 산란처를 제공한다.
둘째, 하절기 고수온인 경우, 동절기 동결이 발생한 경우에도 수생 동식물의 피난처, 산란처를 제공한다.
따라서 국내의 하천, 저수지와 같이 계절에 따라 수위 변화가 극심하고, 동절기 동결의 발생이 쉬운 환경이라 하더라도, 수생 동식물이 원활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포켓부(200)에 지하수가 연중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심도가 지하수위보다 깊은 수심(3~5m 이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포켓부(200)는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210); 하천수의 유입방향 측에 형성된 후방벽부(220); 하천수의 유출방향 측에 형성된 전방벽부(230); 전방벽부(230) 및 후방벽부(220)의 양측에 형성된 측방벽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여기서 전방벽부(230)는 후방벽부(220)에 비해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수생식물의 서식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6).
위와 동일한 이유로 측방벽부(240)도 역시 후방벽부(220)에 비해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후방벽부(220)는 부유사 등의 유입이 많은 하천수의 유입방향에 형성되므로, 연직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포켓부(200) 내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부(200)의 전방벽부(230), 후방벽부(220), 측방벽부(240) 등에 어소블록(300)을 설치하는 경우, 포켓부(200)의 구조를 유지함과 아울러, 수생 동식물의 서식환경에 제공한다는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도 9).
특히, 이러한 어소블록(300)은 포켓부(200)의 후방벽부(220)에 설치되는 경우, 유수에 대항하여 포켓부(200)의 구조를 유지한다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도 8).
하천의 바닥면을 굴착하여 포켓부(200)를 형성하면 토사 등의 굴착물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굴착물을 인접영역에 적층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중도(400)를 형성할 수 있다(도 10).
본래 이러한 중도(400)는 하도나 하폭이 변하는 지점에 상류에서 내려온 퇴적물이 쌓여 이루어진 하천 내부의 섬을 의미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위 굴착물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인공중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중도는 조류의 피난처, 휴식처 및 서식처 제공, 하천 흐름의 개선, 습지 경관의 개선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인데, 상술한 방식을 취하는 경우 포켓부(200)의 형성과 함께 자연스럽게 이러한 중도(400)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되는 것이다.
나아가, 하천의 바닥에는 고심도에 오랜 기간 동안 묻혀 있음으로 인하여 발아하지 못하고 있던 씨앗(Old Seed) 등이 존재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방식에 의해 포켓부(200) 및 중도(400)를 형성하는 경우, 위 Old Seed가 지면(하천의 바닥면) 위로 노출되어 발아할 수 있는바, 생태계의 복원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댐(500)에 의해 하천을 가둠으로써 형성된 인공 저수 구조물의 경우, 인공 구조물의 형성에 의한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의 적용을 더욱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심, 수온의 변화, 하천의 동결 등에 불구하고 수생 동식물의 생존환경을 제공하므로, 댐(500) 기타 구조물의 건설에 의한 인공 저수지의 시공 시 위 포켓부(200) 등의 구조를 함께 시공함으로써, 큰 수고와 비용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환경보존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도 11).
부유사 기타 오염물질의 저수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댐(500) 후방의 저수영역에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51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부유사 월류방지턱(510)의 전방에 인접하여 포켓부(200)와 같은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이 설치되는 경우, 월류방지턱(510)를 월류한 일부 부유사나 오염물질이 위 포켓부(200)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구조물의 용이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12).
또한 홍수 시 각종 협잡물, 소류사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유사 월류방지턱(510)의 후방에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5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다공성 통수보(520)의 후방에 인접하여 포켓부(200)와 같은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이 설치되는 경우에도, 위 다공성 통수보(52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 소류사 등이 위 포켓부(200)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구조물의 용이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도 13).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복합형 어초 구조물 110 : 상부 어초
111 : 부력 프레임 112 : 상부 식생매트
113 : 상부 어란 수용부재 120 : 하부 어초
121 : 간벌재 박스 122 : 돌
123 : 식생주머니 124 : 기초부재
130 : 연결부재 140 : 중앙부 어초
141 : 간벌재 프레임 142 : 중앙부 식생매트
200 : 포켓부 210 : 바닥부
220 : 후방벽부 230 : 전방벽부
240 : 측방벽부 300 : 어소블록
400 : 중도 500 : 댐
510 : 부유사 월류방지턱 520 : 다공성 통수보
111 : 부력 프레임 112 : 상부 식생매트
113 : 상부 어란 수용부재 120 : 하부 어초
121 : 간벌재 박스 122 : 돌
123 : 식생주머니 124 : 기초부재
130 : 연결부재 140 : 중앙부 어초
141 : 간벌재 프레임 142 : 중앙부 식생매트
200 : 포켓부 210 : 바닥부
220 : 후방벽부 230 : 전방벽부
240 : 측방벽부 300 : 어소블록
400 : 중도 500 : 댐
510 : 부유사 월류방지턱 520 : 다공성 통수보
Claims (18)
- 부력에 의해 하천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형성된 상부 어초(110);
하천의 바닥부(2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하부 어초(120);
상기 하부 어초(120)와 상부 어초(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
상기 연결부재(130)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천 중앙부에 부유하도록 상기 하부 어초(120)와 상부 어초(110) 사이에 설치된 중앙부 어초(14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어초(120)는
목재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고, 저면이 폐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
상기 박스의 부유를 방지하도록, 상기 박스의 내부에 수용된 돌(122);
침수식물이 식재되도록 내부에 토사가 충전된 식생주머니(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어초(110)는
수면에 부유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 부력 프레임(111);
수생식물이 식재되도록 상기 부력 프레임(111)에 장착된 상부 식생매트(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어초(110)는
어란이 수용되도록 상기 부력 프레임(111)의 하부에 장착된 상부 어란 수용부재(11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간벌재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고, 저면이 폐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간벌재 박스(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 - 제4항에 있어서,
하천의 바닥부(210)에 고정되도록 투수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형성된 기초부재(124);를 더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하부 어초(120)가 상기 기초부재(124)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어초(140)는
간벌재에 의해 형성된 간벌재 프레임(141);
수생식물이 식재되도록 상기 간벌재 프레임(141)에 장착된 중앙부 식생매트(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어초(140)는
어란이 수용되도록 상기 간벌재 프레임(141)에 장착된 중앙부 어란 수용부재(14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 - 삭제
- 부력에 의해 하천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형성된 상부 어초(110);
하천의 바닥부(2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하부 어초(120);
상기 하부 어초(120)와 상부 어초(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
상기 연결부재(130)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천 중앙부에 부유하도록 상기 하부 어초(120)와 상부 어초(110) 사이에 설치된 중앙부 어초(140);를 포함하는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을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로서,
상기 복합형 어초 구조물(100)이 설치됨과 아울러, 하천의 저면에 웅덩이 구조로 형성된 포켓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200)는 지하수위보다 깊은 수심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200)는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210);
하천수의 유입방향 측에 형성된 후방벽부(220);
하천수의 유출방향 측에 형성된 전방벽부(230);
상기 전방벽부(230) 및 후방벽부(220)의 양측에 형성된 측방벽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벽부(230)는 상기 후방벽부(220)에 비해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벽부(240)는 상기 후방벽부(220)에 비해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200)의 전방벽부(230), 후방벽부(220) 또는 측방벽부(240)에는 어소블록(3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소블록(300)은 상기 포켓부(200)의 후방벽부(220)에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댐(500);
상기 댐(500) 후방의 저수영역에 형성된 제9항의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구조물.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댐(500) 후방의 저수영역에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5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구조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은 상기 부유사 월류방지턱(510)의 전방에 인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구조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사 월류방지턱(510)의 후방에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5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구조물.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은 상기 다공성 통수보(520)의 후방에 인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9531A KR101231655B1 (ko) | 2010-10-12 | 2010-10-12 |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9531A KR101231655B1 (ko) | 2010-10-12 | 2010-10-12 |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7831A KR20120037831A (ko) | 2012-04-20 |
KR101231655B1 true KR101231655B1 (ko) | 2013-02-08 |
Family
ID=4613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9531A KR101231655B1 (ko) | 2010-10-12 | 2010-10-12 |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165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3427A (ko) * | 2014-05-20 | 2015-11-3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생태보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28250A (zh) * | 2015-05-22 | 2015-11-11 | 浙江海洋学院 | 一种自沉式培养体 |
CN105028254A (zh) * | 2015-05-22 | 2015-11-11 | 浙江海洋学院 | 一种多功能浮沉鱼礁 |
CN105028244A (zh) * | 2015-05-22 | 2015-11-11 | 浙江海洋学院 | 一种潮间带浮动礁 |
CN108277827B (zh) * | 2018-03-19 | 2024-09-17 | 甄建伟 | 一种生态环保的水中建筑结构及其建筑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19906U (ko) * | 1993-02-16 | 1994-09-15 | 김승곤 | 폐타이어를 이용한 부유 어초 |
KR100524651B1 (ko) * | 2004-08-31 | 2005-11-09 | 신강하이텍(주) | 부유식 잘피 재배 장치 |
KR100705230B1 (ko) * | 2006-05-23 | 2007-04-09 | 한국수자원공사 |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
KR20090016523A (ko) * | 2007-08-07 | 2009-02-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자원재생 및 저수시설 기능 제고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의유입물질 차단 방법 |
-
2010
- 2010-10-12 KR KR1020100099531A patent/KR1012316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19906U (ko) * | 1993-02-16 | 1994-09-15 | 김승곤 | 폐타이어를 이용한 부유 어초 |
KR100524651B1 (ko) * | 2004-08-31 | 2005-11-09 | 신강하이텍(주) | 부유식 잘피 재배 장치 |
KR100705230B1 (ko) * | 2006-05-23 | 2007-04-09 | 한국수자원공사 |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
KR20090016523A (ko) * | 2007-08-07 | 2009-02-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자원재생 및 저수시설 기능 제고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의유입물질 차단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3427A (ko) * | 2014-05-20 | 2015-11-3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생태보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
KR101650479B1 (ko) * | 2014-05-20 | 2016-08-2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생태보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7831A (ko) | 2012-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34676B2 (en) |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 |
KR101078073B1 (ko) |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장치 | |
KR101231655B1 (ko) |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 |
CN110790386A (zh) | 浅水型湖泊底泥受污染湖泊陡立湖滨带生态修复方法 | |
KR20150143001A (ko) |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 |
KR102084488B1 (ko) | 에너지 저감형 생태방틀 | |
KR101816075B1 (ko) | 바이오폴리머를 이용한 투수성 식생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어소 시공방법 | |
Haslam et al. | The river scene: ecology and cultural heritage | |
US20230203771A1 (en) |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 |
KR101742191B1 (ko) | 인공 생태섬 | |
CN207987862U (zh) | 一种绿色生态护坡水岸结构 | |
KR20200106251A (ko) | 보강판을 갖는 에너지 저감형 생태방틀 | |
KR20090129617A (ko) | 개량 형 친환경 돌망태의 시공방법 | |
CN108848734A (zh) | 一种植物网结构生态护滩方法 | |
KR100938668B1 (ko) |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 |
KR20120058693A (ko) |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그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 구조물 | |
KR100972612B1 (ko) | 수생 동ㆍ식물 생육 및 하상 쇄굴방지를 위한 구조물 | |
JP2787412B2 (ja) | 植生および魚巣機能を備えた法覆工護岸 | |
JP2852879B2 (ja) | 河川用覆土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覆土ブロック護岸 | |
CN215165371U (zh) | 一种具有生物临时栖息槽的硬质化渠道 | |
KR20160024568A (ko) | 사면 녹화용 블록 매트 조립체 | |
JP7313237B2 (ja) | 生物生息用集積体 | |
Heibaum | Geosynthetics in agricultural and aquacultural applications | |
CN215074380U (zh) | 一种适用于鱼塘的生态防护堤 | |
KR100451983B1 (ko) |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