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230B1 -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 Google Patents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230B1
KR100705230B1 KR1020060046111A KR20060046111A KR100705230B1 KR 100705230 B1 KR100705230 B1 KR 100705230B1 KR 1020060046111 A KR1020060046111 A KR 1020060046111A KR 20060046111 A KR20060046111 A KR 20060046111A KR 100705230 B1 KR100705230 B1 KR 10070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pawning
type
frame
flo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섭
조성주
김흥섭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신강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신강하이텍(주)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06004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2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인공산란장)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상부에 수초가 식재되고 하부에 어란부착재가 현가되는 식재형 어류산란서식장치 및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 어란부착재가 현가되는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포함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어류산란서식 장치는 어류의 산란 및 서식을 위한 수초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댐호 및 저수지에서 어류의 산란기와 맞물려 있는 가뭄기 및 장마에 따른 만수시 또는 동절기 등 기후여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족보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류산란서식 장치, 식재형,개방형,어란부착재, 어족보호, 인공산란장, 수초섬

Description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An floating apparatus for spawning and inhabitation of fishes for protecting the fish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형 및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를 포함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평면도,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b)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뿔형 어란부착재의 정면도, 도 5(b)는 상기 원뿔형 어란부착재의 사시도, 도 5(c)는 상기 원뿔형 어란부착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뿔형 어란부착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육각형 어란부착재의 정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각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식재형 과 개방형의 조합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b)는 육각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식재형과 개방형의 조합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c)는 원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식재형과 개방형의 조합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12 : 프레임 20 : 식재 매트
30 : 어란부착재 41 : 제 1망체
42 : 제 2망체 50 : 적치대
60 : 인공수초 70 : 로프
본 발명은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상부에 수초가 식재되고 하부에 어란부착재가 현가되는 식재형 어류산란서식장치 및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 어란부착재가 현가되는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포함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인공산란장)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전력과 공업용수 및 가정용 상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국 각지의 강에 댐을 설치하여 필요자원인 전력 등을 확보하 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댐 등을 축조함으로서 필요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 이에 수반되는 자연환경의 파괴에 의하여 어류의 서식처와 산란처가 생태학적으로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요인에 의해 사라질 수 있는 어족을 보호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어류를 포획하는 행위 자체를 금지하거나, 치어를 방류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일반적인 어류의 수명이 짧게는 1년 정도에서 수년에 불과하기 때문에, 단기적이고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어족을 보호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은 장기적이고도 반복적으로 어류의 생식이 계속되어야 만한다. 특히, 흐르는 강을 막아 댐을 축조할 경우, 수심이 크게 증가되고, 그에 따라 댐이 축조되기 이전의 얕은 수심과 흐르는 물의 환경조건에서 서식하던 어족들은 그들만의 공간을 잃어버리게 되며, 나아가 수심이 얕은 곳에 산란을 하던 장소마저 없어지게 됨으로 인하여, 산란기 때마다 가뭄이 겹치는 우리 나라의 강수 형태에서는 수면의 변동이 극심하게 되어 많은 어류들의 산란 장소로 활용될 수 있는 장소가 공기 중으로 노출되어 버리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규모가 큰 댐을 축조할 경우나 하천 및 호수에 어류의 산란장 및 서식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인공 수초섬(국내 공개특허 제2002-14194호),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국내 공개특허 제2000-54001호), 어족보호용 어류산란서식 장치(국내 공개 특허 제2004-23072호) 및 자연순화용 오폐수 처리장치(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55250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설들의 구성은 댐의 호 가장자리에 부유구에 의한 인공 수초섬을 설치하여, 그 상부에는 수초를 식재하거나 산란을 위한 인공어초를 설치함으로써 산란처와 서식처를 제공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시설들은 어란부착 후에 부화에 필요한 태양 에너지의 공급과 치어가 부화하여 먹이를 공급받거나,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이 고려되어 있지 않아 어란이 부화되지 못하거나, 부화된 치어들 또한 보호장치 없이 방치됨으로 인하여 포식자의 먹이원으로 역기능을 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어란이 부화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태양에너지를 필요로 하는데, 어류산란장을 전면 식재하여 태양빛을 차단하는 것은 부화율을 감소시킬 뿐 만 아니라, 치어와 포식자의 체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설치된 어란부착재는 시설내부로 포식자가 침입하는 것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란이 부화하고 부화된 치어가 포식자로부터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성어로 자랄 때까지 어란부화의 적합한 조건제공, 동?식물성 플랑크톤과 같은 먹이의 공급 및 은신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부 수초가 식재된 장치와 태양광이 투 과될 수 있는 개방형 장치를 독립적으로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포함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는 식재 매트가 장착되고, 하부에는 어란부착재가 현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 하방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부상시키는 고정부구가 설치되는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 및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어란부착재가 현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 하방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부상시키는 고정부구가 설치되는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포함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류산란서식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형 및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는 식재 매트(20)의 상, 하부에는 끈 또는 와이어에 의해 식재 매트(20)를 고정하는 제 1망체(41) 및 제 2망체(4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구는 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 1망체(41) 하부에 어란부착재(30)가 현가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외부프레임은 외부충격으로부터 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목 적으로 사용되는데, 내수성이 강한 도료가 피막된 금속, 즉 스테인레스(이하, “STS”라 함) 재질의 각관 또는 강관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혹은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성능을 가진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내부 부력을 충진하거나 외부 별도의 고정부구를 설치하여 제작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프레임은 식재 매트(20)를 적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STS 앵글,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FRP, 혹은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성능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식재 매트(20)는 바람직하게는 카시미론 섬유사로 제작될 수 있지만, 흡습성이 있는 다양한 자연섬유 또는 합성섬유에 의해 매트로 제작된 것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망체(41)는 어란부착재(30)의 현가 및 식재 매트(20)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PVC 코팅(polyvinyl chloride coating)망, PE 메쉬(polyethylene mesh)망 등 능형의 망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 2망체(42)는 식재 매트(20)의 유동방지와 고정을 위하여 식재 매트(20)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는 상부에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태양광을 차단하는 구조로서, 동ㆍ식물성 플랑크톤을 집중배양하여 치어의 먹이원으로서 기능을 하고, 하부의 어란부착재를 통하여 어란부착의 장소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평면 도,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b)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는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와는 달리, 상부는 개방되고, 프레임(11)에 어란부착재(30)를 매달기 위한 적치대(50)가 설치되며, 상기 적치대(50) 하부로 어란부착재(30)가 현가되고, 상기 고정부구는 상기 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외부프레임은 외부충격으로부터 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내수성이 강한 도료가 피막된 금속, 즉 STS 각관 또는 강관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혹은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성능을 가진 재료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내부 부력을 충진하거나 외부 별도의 고정부구를 설치하여 제작된다.
또한, 상기 적치대(50)는 어란부착재(30)를 현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STS 앵글, 포프,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FRP, 혹은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성능을 가진 재료등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11)에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개방형 어류산란서식장치는 상부를 개방하여 태양광이 투과되는 조건을 조성해줌으로써 어류의 산란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하부 어란부착재를 통하여 어란부착 장소와 포식자로 부터의 은신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뿔형 어란부착재의 정면도, 도 5(b)는 상기 원뿔형 어란부착재의 사시도, 도 5(c)는 상기 원뿔형 어란부착재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뿔형 어란부착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육각형 어란부착재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에 현가되는 어란부착재는 어란부착이 용이하고 외부 포식자의 침입을 제어하기 위하여, 일정 형태의 폐합으로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12)에 일정 간격으로 인공수초(60)를 결속하고, 상부를 고깔 형태로 취합하여 로프(70)로 결속하여 제작되는데, 상기 하부 프레임(12)은 원형 또는 육각형 등의 폐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어란부착재는 인공수초(60)를 고정하기 위해 STS에 평철을 원형, 육각형등의 폐합구조로 하여 제작되며, 일정간격으로 인공수초(60)를 결속하여 늘어뜨리고, 상부를 취합하여 고깔형태의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다양한 구조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부에서 취합된 인공수초(60)는 로프(70)와 같은 결속장치를 사용하여 적치대(50) 또는 제 1망체(41)에 현가될수 있는 구조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어류산란서식 장치는 소정의 목적에 따라 상기 식재형과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를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식재형 또는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형태를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원형 또는 일정한 형태를 갖추지 않은 자연형 등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각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식재형과 개방형의 조합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b)는 육각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식재형과 개방형의 조합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c)는 원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식재형과 개방형의 조합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기 도 8(a) 내지 도 8(c)에 의하면,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형태가 사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또는 원형이고, 상기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형태가 사각형,육각형 또는 원형으로서, 상기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중앙 또는 내측에 상기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와 동일한 형태의 상기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가 배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성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형태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는 어류의 산란에서부터 성어가 될 때까지 어란부화의 적합한 조건제공, 유기물 집중에 의한 동,식물성 플랑크톤 번식과 같은 먹이원의 공급에 의한 산란서식처의 제공 및 포식자로부터의 은식처로서의 기능을 하고, 식재형과 개방형의 교차 설치로 부화에 필요한 태양에너지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어란부착재를 고깔형태 등으로 함으로써 외부 포식자로부터 치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치어를 포식하는 육식어종은 포식 대상어종을 눈으로 확인하고 포획하는 특 성을 갖는 바, 식재형과 개방형의 조합은 본 발명에 의한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외부로부터 치어를 포식하는 육식어종이 식재형의 어두운 수층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개방형 하부에서 서식산란하는 치어의 효과적인 보호막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어류산란서식 장치는 어류의 산란 및 서식을 위한 수초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댐호 및 저수지에서 어류의 산란기와 맞물려 있는 가뭄기 및 장마에 따른 만수시 또는 동절기 등 기후여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족보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상부에는 식재 매트가 장착되고, 하부에는 어란부착재가 현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 하방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부상시키는 고정부구가 설치되는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 ; 및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어란부착재가 현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 하방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부상시키는 고정부구가 설치되는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로서 상기 프레임에 어란부착재를 매달기 위한 적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적치대 하부로 어란부착재가 현가되며, 상기 고정부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포함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상기 식재 매트의 상, 하부에는 끈 또는 와이어에 의해 식재 매트를 고정하는 제 1망체 및 제 2망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망체 하부에 어란부착재가 현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란부착재는 일정 형태의 폐합으로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인공수초를 결속하고, 상부를 고깔 형태로 취합하여 로프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이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형태가 다각형, 원형 또는 일정한 형태를 갖추지 않은 자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형태가 다각형, 원형 또는 일정한 형태를 갖추지 않은 자연형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족보호용 부유 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형 및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형태가 각각다각형, 원형 또는 일정한 형태를 갖추지 않은 자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11. 제 8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이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의 중앙 또는 내측에 상기 식재형 어류산란서식 장치와 동일한 형태의 상기 개방형 어류산란서식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KR1020060046111A 2006-05-23 2006-05-23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Active KR100705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111A KR100705230B1 (ko) 2006-05-23 2006-05-23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111A KR100705230B1 (ko) 2006-05-23 2006-05-23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230B1 true KR100705230B1 (ko) 2007-04-09

Family

ID=3816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111A Active KR100705230B1 (ko) 2006-05-23 2006-05-23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2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424B1 (ko) 2012-04-06 2012-07-02 극동엔지니어링(주) 생태하천의 생태보호시설
KR101231655B1 (ko) * 2010-10-12 2013-02-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KR20160013742A (ko) * 2014-07-28 2016-02-05 (주)디자인파크개발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20200116661A (ko) * 2019-04-02 2020-10-13 이점식 비비대가 장착된 꽁치 인공산란장
KR20230090903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에스디기술단 채광이 확보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854Y1 (ko) * 2002-09-10 2002-12-12 신강하이텍(주)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장치
KR20040023072A (ko) * 2002-09-10 2004-03-18 한국수자원공사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854Y1 (ko) * 2002-09-10 2002-12-12 신강하이텍(주)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장치
KR20040023072A (ko) * 2002-09-10 2004-03-18 한국수자원공사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55B1 (ko) * 2010-10-12 2013-02-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KR101161424B1 (ko) 2012-04-06 2012-07-02 극동엔지니어링(주) 생태하천의 생태보호시설
KR20160013742A (ko) * 2014-07-28 2016-02-05 (주)디자인파크개발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101656071B1 (ko) * 2014-07-28 2016-09-08 (주)디자인파크개발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20200116661A (ko) * 2019-04-02 2020-10-13 이점식 비비대가 장착된 꽁치 인공산란장
KR102197225B1 (ko) 2019-04-02 2020-12-31 이점식 비비대가 장착된 꽁치 인공산란장
KR20230090903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에스디기술단 채광이 확보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ES2683236T3 (es) Procedimiento de cultivo de organismo a cultivar, e instalación de cultivo
KR100872496B1 (ko)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CN101084745A (zh) 花坞除蚊装置
KR102044634B1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전복 및 해삼양식장
KR100939204B1 (ko) 부유식 수변 및 수중생물 서식산란장
EP3704935B1 (en) Cleaner fish habitat support apparatus and arrangement
KR100705230B1 (ko)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CN101288385B (zh) 一种适用于泥沙底海域的底播式海水养殖设施
KR101077585B1 (ko)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KR20090128736A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JPH10211897A (ja) 浮構造体施設
JP2012152126A (ja) 植生浮島における水生植物の根茎保護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植生浮島
KR100732907B1 (ko) 수중 복합 어류산란장 및 이의 시설 방법
KR100958933B1 (ko)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KR20100088359A (ko) 인공하천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CN102132693A (zh) 花坞除蚊器
KR200484611Y1 (ko) 전복양식용 가두리
CN210505765U (zh) 一种沉水植物修复深水环境的装置
KR20110071333A (ko) 수상 인공물새둥지
KR100472943B1 (ko)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장치
KR20140056687A (ko) 해삼 양식용 인공어초
JP3836771B2 (ja) 池内生態系保全方法並びに同方法に用いる浮体構造及びその付属設備
KR20130004030A (ko) 치어 복원용 침수형 인공섬
KR101968220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