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540B1 -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 Google Patents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540B1
KR101772540B1 KR1020150075876A KR20150075876A KR101772540B1 KR 101772540 B1 KR101772540 B1 KR 101772540B1 KR 1020150075876 A KR1020150075876 A KR 1020150075876A KR 20150075876 A KR20150075876 A KR 20150075876A KR 101772540 B1 KR101772540 B1 KR 101772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network
inlet
net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935A (ko
Inventor
성재경
Original Assignee
성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경 filed Critical 성재경
Priority to KR102015007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54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에 관한 것으로서, 유도망의 끝단에 어류선회망을 설치하여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더 이상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어류유입부 방향으로 선회하여 어류유입부를 거쳐 어류포획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획량을 증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Set net}
본 발명은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도망의 끝단에 어류선회망을 설치하여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더 이상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어류유입부 방향으로 선회하여 어류유입부를 거쳐 어류포획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획량을 증대하는 것이 가능한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치망이란 연안의 얕은 곳(대략 수심 50 m 이하)에 일정기간 부설해 두고 어획하는 어구로서, 육지 쪽에서 바다 쪽으로 길게 설치한 유도망을 장애물로 여겨 바다 쪽으로 선회하는 어류만을 최종어획망에서 포획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단번에 대량어획하는 데 쓰인다.
이러한 정치망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16710호(이하, 등록실용신안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제1수평지지선(100)과 이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수평지지선(200)에 대해 종설된 유도망(4); 상기 유도망(4)의 양측으로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에서부터 제2수평지지선(200)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안내망(26,26'); 상기 안내망(26,26')과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사이의 통로와 연결되는 헛망(5, 5'); 및 상기 헛망(5, 5')과 연결되는 통망(15, 15')으로 구성되며,
상기 헛망(5, 5')은 상기 안내망(26,26')과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사이의 통로와 연결되는 제1공통면(5a)과 상기 통망(15, 15')과 연결되는 제2공통면(5b)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통면(5a)과 상기 제2공통면(5b)으로부터의 공통 중심사영면(50)을 갖도록 망지가 조립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유도망을 따라 바다 쪽으로 이동하는 어류는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나, 육지 쪽으로 이동하는 어류는 포획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어획량이 감소되는 구조이며, 따라서, 효율적으로 어류를 포획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망의 끝단에 어류선회망을 설치하여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더 이상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어류유입부 방향으로 선회하여 어류유입부를 거쳐 어류포획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획량을 증대하는 것이 가능한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는, 회유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10)가 형성되며, 유입된 어류가 머무는 공간을 형성하는 어류유입부(100); 상기 어류유입부(100)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어류유입부(100)로 유입된 어류를 포획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어류포획부(200); 상기 유입구(110)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결 설치되며,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가 상기 어류유입부(10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망(300); 및 상기 유도망(300)의 끝단에 설치되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어류유입부(100)로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어류선회망(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류선회망(400)은 상기 유도망(300)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유도망(300)의 끝단에서 유도망(30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는 차단망(410)과, 상기 차단망(410)의 끝단에서 상기 어류유입부(100)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차단망(41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어류를 어류유입부(100)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선회가이드망(4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류선회망(400)은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01
',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02
',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03
',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04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망의 끝단에 어류선회망을 설치하여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더 이상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어류유입부 방향으로 선회하여 어류유입부를 거쳐 어류포획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획량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은 어류유입부(100), 어류포획부(200), 유도망(300), 어류선회망(400)이 포함된다.
상기 어류유입부(100)는 회유하는 어류가 유입되어 머무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유도망(300)이 연결 설치되는 전면부에는 회유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10)가 형성되며, 그 양측면에는 어류유입부(100)로 유입된 어류가 어류포획부(200)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동통로(120)가 형성된다.
상기 어류포획부(200)는 상기 어류유입부(100)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어류유입부(100)로 유입된 어류를 포획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통로(12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이동통로(120)를 통해 이동하는 어류를 포획한다.
상기 유도망(300)은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가 상기 어류유입부(10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어류가 유도망(300)을 따라 유입구(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유입구(110)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어류선회망(400)은 상기 유도망(300)의 끝단에 설치되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어류유입부(100)로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류선회망(400)은 상기 유도망(300)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유도망(300)의 끝단에서 유도망(30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는 차단망(410)과, 상기 차단망(410)의 끝단에서 상기 어류유입부(100)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차단망(41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어류를 어류유입부(100)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선회가이드망(42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어류선회망(400)은 유도망(300)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더 이상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어류유입부(100) 방향으로 선회하여 어류유입부(100)를 거쳐 어류포획부(2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정치망을 이용한 어업활동시 효율적인 어류 포획이 가능하게 되므로, 어획량 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어류선회망(400)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05
',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06
',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07
',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08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09
',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10
',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11
', '
Figure 112015051869762-pat00012
'를 실시예로 도시하였으나, 유도망(300)의 끝단에 설치되어 어류를 선회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정치망 하단 및 상단에는 각각 납(10) 및 부자(20)가 설치되는데, 납(10)은 그 무게로 인하여 정치망 하단이 바다의 바닥면에 닿도록 하며, 부자(20)는 그 부력에 의해 정치망 상단이 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치망이 물속에서 펼쳐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납(10) 및 부자(20)는 정치망의 하단 및 상단에서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납 20: 부자
100: 어류유입부 110: 유입구
120: 이동통로 200: 어류포획부
300: 유도망 400: 어류선회망
410: 차단망 420: 선회가이드망

Claims (3)

  1. 회유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10)가 형성되며, 유입된 어류가 머무는 공간을 형성하는 어류유입부(100);
    상기 어류유입부(100)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어류유입부(100)로 유입된 어류를 포획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어류포획부(200);
    상기 유입구(110)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결 설치되며,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가 상기 어류유입부(10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망(300); 및
    상기 유도망(300)의 끝단에 설치되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어류유입부(100)로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어류선회망(400);을 포함하되,
    상기 어류선회망(400)은 상기 유도망(300)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유도망(300)의 끝단에서 유도망(30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는 차단망(410)과, 상기 차단망(410)의 끝단에서 상기 어류유입부(100)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차단망(41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어류를 어류유입부(100)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선회가이드망(4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2. 삭제
  3. 삭제
KR1020150075876A 2015-05-29 2015-05-29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KR10177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76A KR101772540B1 (ko) 2015-05-29 2015-05-29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76A KR101772540B1 (ko) 2015-05-29 2015-05-29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35A KR20160139935A (ko) 2016-12-07
KR101772540B1 true KR101772540B1 (ko) 2017-08-29

Family

ID=5757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876A KR101772540B1 (ko) 2015-05-29 2015-05-29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5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73A (ko) 2018-06-26 2020-01-06 성재경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KR102490230B1 (ko) 2022-08-29 2023-01-19 이승엽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669B1 (ko) 2019-03-12 2020-04-24 황정향 보조유도망이 구비된 정치어망
KR20200109120A (ko) 2019-03-12 2020-09-22 황정향 사각통그물망을 구비한 정치어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3167A (ja) * 2008-02-04 2009-08-20 Kenji Kubota 定置網の垣網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3167A (ja) * 2008-02-04 2009-08-20 Kenji Kubota 定置網の垣網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73A (ko) 2018-06-26 2020-01-06 성재경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KR102089795B1 (ko) 2018-06-26 2020-03-16 성재경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KR102490230B1 (ko) 2022-08-29 2023-01-19 이승엽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35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540B1 (ko)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CN108901965A (zh) 一种大型网箱养殖鱼类分级采捕装置及其大型网箱和方法
KR20200109120A (ko) 사각통그물망을 구비한 정치어망
KR101046036B1 (ko) 안전어도
KR101695979B1 (ko)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US20170138008A1 (en) Fish ladder facility
KR101062014B1 (ko) 어도
JP5586112B2 (ja) 自然適応型河川湖沼設置取水設備
CN209636716U (zh) 一种可移动式河道岸边集鱼槽装置
KR100948399B1 (ko) 미로형 인공어초
KR102089795B1 (ko)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KR20170067624A (ko) 실뱀장어 포획장치
KR101063124B1 (ko) 삼각 그물망
KR20140135130A (ko) 수중보,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
KR20150091547A (ko)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KR102104669B1 (ko) 보조유도망이 구비된 정치어망
CN211312452U (zh) 一种适于洄游性鱼类通过的游道
KR100645313B1 (ko) 유속 감소용 하천저면 바닥장치
KR101622774B1 (ko) 실뱀장어와 참게 소상용 생태어도
CN109629505A (zh) 一种可移动式河道岸边集鱼槽装置及方法
KR101067728B1 (ko) 환경친화형 수중보 어도 구조
CN109511615A (zh) 一种赶海探箔捕鱼网及其诱鱼桩
JP3272695B2 (ja) 流水仕切装置
KR200316710Y1 (ko)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KR20040079652A (ko)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