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130A - 수중보,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 - Google Patents

수중보,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130A
KR20140135130A KR1020140130937A KR20140130937A KR20140135130A KR 20140135130 A KR20140135130 A KR 20140135130A KR 1020140130937 A KR1020140130937 A KR 1020140130937A KR 20140130937 A KR20140130937 A KR 20140130937A KR 20140135130 A KR20140135130 A KR 2014013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pipe
piping
artifici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모
Original Assignee
전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준모 filed Critical 전준모
Priority to KR102014013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5130A/ko
Publication of KR2014013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130A/ko
Priority to PCT/KR2015/009796 priority patent/WO2016052892A1/ko
Priority to KR1020150131935A priority patent/KR10172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연어, 은어, 황어 등은 바다에서 성장하고 하천상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댐 및 수중보 등의 수리 시설물 등에 가로막혀 상류로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에 의한 낙차가 낮은 수중보에는 본 발명의 U 수관의 인공 어도를 설치하면 연어, 은어, 황어, 등 회귀성어류 등이 수중보의 상류로 헤엄쳐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U 수관의 인공어도는 하천의 수중보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수관의 기울기를 낮게 하고 U 수관의 내부에 벤추리를 설치하여 유속을 감속하여 회귀성어류가 수중보의 상부로 헤엄쳐 올라 상류의 산란장으로 이동 한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의 인공어도는 하천의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로서 나선배관의 기울기를 낮게 하고 배관내부에 벤추리를 설치하여 유속을 감속하여 회귀성어류가 댐 상부로 헤엄쳐 올라 상류의 산란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U 수관 및 나선배관의 인공어도는 소비되는 배출수량이 작아 갈수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보,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omitted}
연어, 은어, 황어, 빙어, 등은 바다에서 성장하고 강의 상류에서 산란하는 모천 회귀성 어류가 강의 상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중보, 댐 등의 수리 시설물 등에 가로막혀 상류로 이동하기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농업용수, 식수, 수력발전, 등의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천에 수중보 및 댐을 설치한다
국내 하천을 모천으로 회귀하여 산란하는 어류는 황어, 연어, 은어, 빙어 등이 있다
하천의 수중보 및 댐을 설치하면 모천 회귀성어류는 하천상류로 이동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수중보, 댐의 상류와 수중보, 댐의 하류의 생태계는 이원화 되었다
상기에 의한 상 하류의 생태계 이원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중보 및 댐에는 인공 어도를 설치한다
상기에 의한 하천의 수중보에는 계단식 인공 어도를 설치하여 관리 중이다
하천의 수중보에 설치한 계단식 인공어도는 여름철 홍수가 발생되면 인공어도는 파손되고 갈수기에는 수량부족으로 인하여 인공어도의 기능을 못하고 있다
하천에 설치된 댐에는 인공어도가 설치되지 않아서 모천 회귀성어류는 상류로 이동 할 수 없다
상기에 의한 댐에 인공 어도를 설치하려면 대규모 토목공사를 해야 한다
특허 특허의 명칭: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출원번호 : 10-2009-0087284 등록 번호: 10-0966723 특허 특허의 명칭: 어도의 유인수 공급방법 및 장치 출원번호 : 10-2002-0005030 등록 번호: 특-2003-0064945 특허 특허의 명칭: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출원번호 : 10-2009-0083180 등록 번호: 10-0989560
하천에 수중보 및 댐을 설치하면 모천회귀성 어류는 하천의 상류의 산란장으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중보, 댐의 상류와 수중보, 댐의 하류의 생태계가 이원화 되었다
상기에 의한 생태계의 이원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중보 및 댐에는 인공 어도를 설치한다
하천의 수중보에 설치한 계단식 인공어도는 여름철 홍수가 발생되면 인공어도는 파손되고 갈수기에는 수량부족으로 인하여 인공어도의 본래의 설치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
하천의 수중보에 설치한 계단식 인공어도는 모천 회귀성어류 중에서 연어 및 황어는 점프하여 계단식 인공어도의 밖의 육지로 떨어져 죽는다
하천에 설치한 댐에는 인공어도가 설치되지 않아서 모천 회귀성어류는 상류로 이동 할 수 없다
상기에 의한 댐에 인공 어도를 설치하려면 대규모 토목공사를 하여야 한다
연어, 은어, 황어, 빙어 등은 바다에서 성장하고 하천상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댐, 수중보 등의 수리 시설물에 가로막혀 상류로 이동하여 산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U 수관 및 나선배관의 인공어도의 기울기를 완만히 하고 수관 및 배관에 유속을 감속시키는 벤추리(4)를 설치하여 소량의 수량으로 회귀성어류를 수중보 및 댐의 상류로 이동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U 수관의 인공어도는 하천의 수중보에서 회귀성어류를 상류로 이동시키는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U 수관의 인공어도는 도1 참조하여 U 수관 형태로 제작한다
본 발명의 U 수관의 내부 직경은 입구수관(21), 중간수관(22), 말단수관(23) 등이 있으며 순차적으로 내부직경은 증가한다
상기에 의한 입구수관(21)의 유량이 일정하게 배수하면 중간수관(22), 말단수관(23)의 내부직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입구수관, 말단수관의 수면이 낮아져 회귀성어류가 헤엄쳐 상류로 이동하기 어렵다
상기에 의한 U 수관의 인공어도는 수량부족으로 인하여 수면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위하여 수량을 보충하기 위한 바이패스(10) 배관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U 수관의 인공어도는 하천의 수중보(8)에 경사지게 설치하며 수관 내부에 수중보의 상류수가 유입되면 유속은 수중보의 하측으로 점차적으로 빨라지기 때문에 회귀성어류가 헤엄쳐 상류로 오르기 어렵다
상기에 의한 U 수관 인공어도의 수관내부에 벤추리(4)를 설치하면 수관에서 유속을 감속시키어 회귀성어류가 수관에서 헤엄치기 유리한 조건을 만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의 인공어도는 댐(109)의 하류의 회귀성어류를 상류로 이동시키는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의 인공어도는 도5 참조하여 나선배관(102) 형태로 제작한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102)의 내부구경은 입구배관(121), 중간배관(122), 말단배관(123) 등이 있으며 순차적으로 내부직경은 증가한다
상기에 의한 입구배관(121),의 유량이 일정하게 배수되면 중간배관(122), 말단배관(123) 등은 내부 구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중간배관(122), 말단배관(123)의 수면이 낮아져 회귀성어류가 상류로 헤엄쳐 이동하기가 어렵다
상기에 의한 나선배관(102)의 인공어도는 수량부족으로 인하여 수면이 낮아지면 수량을 보충하기 위한 바이패스(110) 배관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는 댐(109)에 나선배관(102)의 기울기를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배관내부에 댐의 상류수가 유입되면 유속은 하측으로 점차적으로 빨라지기 때문에 회귀성어류가 헤엄쳐 상류로 이동하기 어렵다
상기에 의한 나선배관의 인공어도는 배관내부에 벤추리(104)를 설치하여 배관에서 유속을 감속시키어 회귀성어류가 배관에서 헤엄치기 유리한 조건을 만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U 수관의 인공어도는 낙차가 낮은 수중보에 설치하면 연어, 은어, 황어, 등이 회귀성어류가 U 수관의 인공 어도를 통하여 수중보의 상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의 인공어도는 낙차가 큰 댐에 설치하면 연어, 은어, 황어, 등 회귀성어류가 나선배관의 인공 어도를 통하여 댐의 상류로 이동한다
도1은 U 수관의 인공어도 정면도
도2은 U 수관이 개구부 설치된 수중보를 통과한 인공어도 계통도
도2a는 U 수관이 수중보 상부에 설치된 인공어도 계통도
도3은 U 수관에 설치된 벤추리 사시도
도3a는 U 수관에 합판 2개 설치한 벤추리 평면도
도4는 나선배관의 인공어도 정면도
도5는 나선배관 계통도
도6은 나선배관 상부에 창 설치한 평면도
도7은 나선배관의 벤추리 평면도
도8은 봉 형태로 제조
도9는 봉 형태로 제조하고 물통과 결합한 인공어도
물고기의 특징은 전장이 긴 유선형이며 머리, 몸통, 꼬리 형태로 구성된다
물고기는 몸체의 높이보다 물의 수위가 높아야 꼬리지느러미를 흔들고 전진한다
모천 회귀성어류는 바다에서 성장하고 하천상류의 산란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중보(8) 및 댐(109) 등의 수리 시설물에 가로막혀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U 수관(2)을 사용하여 하천의 수중보를 건너는 방식과 나선배관(102)을 사용하여 하천의 댐을 건너는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의 U 수관의 인공어도는 수관(2)의 기울기를 완만히 하여도 유속은 빠르게 흐른다 유속이 빠르면 회귀성 어류가 수관에서 헤엄쳐 나가기 어려울 때는 수관 내부에 벤추리(4) 방식의 유속 감속기를 설치하면 수관내의 유속은 낮아져 소량의 수량으로 회귀성어류를 하천의 수중보의 상류로 이동 할 수 있다
U 수관 인공어도에서 수관(2)의 재질은 목재, 합판을 사용하며 수관의 상부는 투명아크릴(107)을 사용하여 못이나 나사로 접합하여 제조 한다
도(4) 참조하여 나선배관 인공어도(101)는 배관상부에 투명아크릴(107)을 사용하여 조명창(106)을 설치하면 회귀성어류가 나선배관(102)을 통하여 댐 상류로 순조롭게 이동하기 위함이다
나선배관에 설치한 조명창(106)은 배관상부에 직사각형의 구멍을 타공하고 배관에 볼트구멍을 타공한다
배관에 투명아크릴(107)과 아크릴 플랜지(107a)는 배관에 타공한 볼트 구멍과 일치하게 타공한다
나선배관상부에 고무판의 패킹을 삽입하고 아크릴 덥고 플랜지를 덥고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하면 나선배관(102)에 조명창(106)이 설치된다
나선배관의 인공어도와 U 수관 방식의 인공어도는 회귀성 어류를 인공어도로 유입하기 위하여 방사형 어도입구(5)의 유입구가 넓어서 회귀성어류가 쉽게 방사형 어도입구(5)에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본 발명의 U 수관의 인공어도는 수중보의 개구부(9) 또는 수중보(8)에 설치하여 회귀성어류가 수중보의 상류로 이동하기 위해 설치한 구조물이다
U 수관의 인공어도는 유입수관(21), 중간수관(22), 말단수관(23), 방사형 유입구 등이 있으며 수관의 내부직경은 유입수관(21), 중간수관(22), 말단수관(23), 등으로 순차적으로 내부직경은 증가 한다
도1 참조하여 입구수관(21)은 수중보 수면(6)아래로 잠기게 설치하여 자연낙차에 의하여 하천수를 흐르게 하면 수중보에 흐르는 수위가 낮아도 하천수를 말단수관(23)및 방사형 어류입구(5)측으로 배수된다
U 수관의 인공어도는 유입수관(21)의 내부로 흐르는 유량이 일정하면 중간수관(22), 말단수관(23),은 내부직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중간수관(22), 말단수관(23)의 수면이 순차적으로 낮아진다
상기에 의한 수관에서 수면이 낮아지면 회귀성어류가 수관에서 헤엄쳐 수중보의 상류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량을 보충하기 위한 바이패스 배관(10)을 설치한다
도1, 도2 참조하여 유입수관(21)의 유속을 감속시키기 위하여 바이패스 배관(10)의 밸브(3) 개방하여 U 수관으로 수량을 보충하면 유입수관(21)의 유속은 감속 된다
본 발명의 U 수관의 인공어도의 수관(2)내부에 벤추리(4)를 설치하면 수관의 유속을 감속시키어 회귀성어류가 수관에서 헤엄치기 유리한 조건을 만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U 수관의 인공어도는 수중보에서 하천이 흐르는 개구부(9)에 설치하면 효과적이다
하천의 수중보 상부에 하천수량이 낮게 흘러가면 도1, 도2 참조하여 입구수관(21)을 수중보의 수면 아래로 잠기게 제조 한다
상기에 의한 U 수관의 인공어도는 하천의 수중보 수면(6)의 수위가 낮아도 U 수관의 인공 어도를 통하여 회귀성어류를 수중보(8)의 상류로 이동 할 수 있다
바이패스 입구배관에 설치된 1번 밸브(31), 2번 밸브(32), 3번 밸브(33), 차단하고 4번 밸브(34), 5번 밸브(35) 개방하여 바이패스 배관(10) 내부로 물을 가득 채운후 5번 밸브(35), 차단후 4번 밸브(34) 3번 밸브(33), 2번 밸브(32), 1번 밸브(31)를 순차적으로 밸브(3)를 개방하면 수면에서 하향으로 설치된 바이패스 유입구(11)로 하천수를 빨라 올리고 말단수관(23)을 통하여 방사형 어도입구(5)로 배수 된다
수중보 상부(8)에 하천수량이 낮게 흘러가면 도1a 참조하여 입구수관(21)을 수중보 수면(6) 아래로 잠기게 설치한다
바이패스 배관(10)을 통하여 수관으로 배수하는 과정에서 파이패스 4번 밸브(34) 차단하면 낙차에 의하여 U 수관(2)의 유입수관(21)은 진공상태가 되어 하천수를 흡입하여 말단수관(23)으로 배수 된다
상기에 의한 유입수관(21)을 통하여 말단수관(23)으로 배수되면 바이패스(10)배관 4번 밸브(34) 개방하면 바이패스 배관(10)은 정상적으로 배수 된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는 하천의 댐(109)에 설치하여 회귀성어류가 댐의 상류로 이동하기 위해 설치한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는 나선배관(102)의 기울기를 완만히 하여도 유속은 빠르게 흐른다
상기에 의한 유속이 빠르면 회귀성어류가 배관내부에서 헤엄쳐 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배관내부에 벤추리(104)의 유속 감속기를 설치하면 배관내의 유속은 낮아져 소량의 수량으로 회귀성어류를 댐의 상류로 이동 할 수 있다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에서 배관구경은 입구배관(121) 중간배관(122), 말단배관(123), 등으로 배관구경은 순차적으로 증가 한다
상기에 의한 나선배관(102)은 댐의 낙차에 의하여 입구배관(121)에서 말단배관(123)으로 배수하는 과정에서 배관에 설치된 벤추리(104)가 이물질 등으로 차단되면 배관에서 수압상승으로 인하여 배관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배수관(108)설비를 설치한다
도4, 도5 참조하여 안전 배수관(108)설비는 배관낙차가 5M에서∼10M까지 하나씩 안전배수관(108)설비를 설치하고 안전배수관의 배출수를 나선배관의 말단배관(123)과 연결한다
상기에 의한 나선배관에서 벤추리(104)가 이물질에 차단되면 배관압력이 상승하여 안전배수관(108)의 배관을 통하여 말단배관(123)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는 배관의 기울기를 낮게하고 배관내부에 밴추리(4)를 다수 설치하고 감압하여 유속을 낮추면 바이패스 배관(110)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입구배관(121), 중간배관(122), 말단배관(123)의 배관구경은 동일하게 제조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도4, 도5 참조하여 입구배관(121)은 댐의 수면 아래로 잠기게 하여 낙차에 의하여 하천수를 흐르게 하면 댐에 흐르는 수위가 낮을 경우에도 하천수를 말단배관(123)및 방사형 어도입구(105)측으로 배수가 가능하다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는 배관내부에 설치한 벤추리(104)에 의하여 수압을 감압하여도 입구배관(121)의 내부에 흐르는 유량이 일정하면 중간배관(122), 말단배관(123)의, 배관구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배관의 수면이 낮아진다
상기에 의한 중간배관(122), 말단배관(123)의 수면이 낮아지면 회귀성어류가 배관에서 헤엄쳐 댐의 상류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량을 보충하기 위한 바이패스 배관(110)을 설치한다
도4, 도5 참조하여 입구배관(121)의 유속을 감속시키기 위하여 바이패스 배관(110)의 밸브(103)를 개방하여 중간배관(122)과 말단배관(123)으로 수량을 보충하면 유입배관(121)의 유속은 감속 된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는 배관내부에 벤추리(104)를 설치하면 배관에서 유속을 감속시키어 회귀성어류가 배관에서 헤엄치기 유리한 조건을 만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는 배관내부에 설치된 벤추리(104)가 이물질에 차단되면 벤추리 근처의 설치된 조명창(106)을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나선배관의 인공어도에서 댐 상부(109)는 자동차도로 및 기타 시설물에 의하여 입구배관 및 바이패스 배관으로 흡입하여 배수하기가 어려울 경우는 수중펌프(를 사용하여 나선배관의 입구배관 및 바이패스 배관을 통하여 말단배관으로 배수하여 회귀성어류를 댐의 상류로 이동한다
봉 형태 인공어도
도8 참조하여 병(202) 형태의 PVC 물질의 바닥면을 절단 후 절단된 병(203) 형태의 머리에 넣은 후 양측을 밀폐하기 위하여 태이프를 감아서 결합 봉 형태 인공어도(200)가 제조된다
물통 측면에 봉 형태 어도의 몸체직경의 크기와 동일하게 타공하여 물통과 봉형태 어도(201)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도9 참조하여 물통(202) 속에 송사리 등이 일시 보관 할 수 있도록 물통의 중앙상부의 측면에 송사리가 탈출 할 수 없도록 작은 구멍을 타공하여 여울목에서 물통으로 유입하는 수량과 물통에서 타공된 구멍을 통하여 배수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제조하다
상기에 의한 봉 형태 인공어도의 물통에 송사리 및 작은 어류 등을 넣으면 봉 형태 인공 어도를 통하여 개울의 여울목의 상류로 이동한다
1, U 수관 인공어도 2, U 수관 3, 밸브
4, 벤추리 5, 방사형 어도입구 6, 수중보 수면
7, 고정 서어포트 8, 수중보 상부 9, 개구부
10, 바이패스 배관 11, 바이패스 유입구
21, 입구수관 22, 중간수관 23, 수관말단
31, 1번 밸브 32, 2번 밸브 33, 3번 밸브
34, 4번 밸브 35, 5번 밸브
101, 나선배관 인공어도 102, 나선배관 103, 밸브
104, 벤추리 105, 방사형 어도입구 106, 조명 창
107, 투명 아크릴 107a, 아크릴 플랜지 108, 안전배수관
109, 댐 상부 110, 바이패스 배관 110a, 바이패스배관 입구
111, 펌프
121, 입구배관 122, 중간배관 123, 말단배관
200, 봉 형태 어도 201, 물통 202, 병 형태 PVC
203, 절단된 병 형태 PVC

Claims (11)

  1. 하천의 수중보에 설치하는 U 수관의 인공어도(1)에서 수관(2)상부는 투명 아크릴(107) 커버를 설치하고 수관 직경은 입구수관(21), 중간수관(22), 말단수관(23)으로 배관구경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며 수관내부에 벤추리(4) 유속 감속장치를 다수 설치하고 수량을 공급하기 위한 바이펫스 배관(1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2. 댐 등에 설치하는 나선배관의 인공어도(2)에서 배관상부는 조명창(106)을 설치하고 배관구경은 입구배관(121), 중간배관(122), 말단배관(123)으로 배관구경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며 배관내부에 벤추리(104) 유속 감속장치를 다수 설치하여 수량을 공급하기 위한 바이펫스 배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3. 1항에 있어서
    하천의 수중보에 설치하는 U 수관의 인공어도(1)에서 수관상부는 아크릴 등 투명커버를 설치하고 수관직경은 입구수관(21), 중간수관(22), 말단수관(23)으로 수관직경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4. 2항에 있어서
    댐 등에 설치하는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에서 배관상부에 조명창(106)을 설치하여 회귀성어류가 나선배관에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5. 2항에 있어서
    댐 등에 설치하는 나선방식의 인공어도(101)의 배관에서 유속을 감속하기 위하여 배관구경이 입구배관(121), 중간배관(122), 말단배관(123) 등으로 배관구경이 순차적으로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6. 1항에 있어서
    하천의 수중보에 설치하는 U 수관의 인공어도(1)에서 벤추리(4) 방식의 유속 감속장치를 다수 설치하여 수관내부의 유속을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7. 2항에 있어서
    댐 등에 설치하는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에서 벤추리(104) 방식의 유속 감속장치를 다수 설치하여 배관내부의 유속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8. 1항에 있어서
    하천의 수중보에 설치하는 U 수관의 인공어도(1)에서 수관직경이 입구수관(21), 중간수관(22), 말단수관(23)으로 내부직경이 순차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수관내부로 수량 보충을 하기 위하여 바이패스 배관(1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9. 2항에 있어서
    댐 등에 설치하는 나선배관의 인공어도(101)에서 배관구경이 입구배관(121), 중간배관(122), 말단배관(123)으로 내부구경이 순차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배관내부로 수량 보충을 하기 위하여 바이패스 배관(103)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10. 1항 및 2항에 있어서
    U 수관 방식의 인공어도(1)와 나선 배관의 인공어도(101)에는 방사형 어도입구(5)를 설치한다
    상기에 의한 방사형 어도입구(5)는 어도의 입구가 넓어서 회귀성어류가 쉽게 방사형 어도입구(5)에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11. 바닥면을 절단한 병(203)의 목 부분을 삽입하여 양측을 태이프를 감아서 결합하여 봉 형태 어도(200)가 제작된다
    상기의 봉 형태 어도(200)를 여울목의 높이와 비례하여 송사리가 상류로 이동 할 수 있는 길이로 제조하여 봉 형태의 어도를 통하여 송사리 등이 여울목 상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도
KR1020140130937A 2014-09-30 2014-09-30 수중보,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 KR20140135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937A KR20140135130A (ko) 2014-09-30 2014-09-30 수중보,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
PCT/KR2015/009796 WO2016052892A1 (ko) 2014-09-30 2015-09-17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KR1020150131935A KR101728609B1 (ko) 2014-09-30 2015-09-17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937A KR20140135130A (ko) 2014-09-30 2014-09-30 수중보,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130A true KR20140135130A (ko) 2014-11-25

Family

ID=524559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937A KR20140135130A (ko) 2014-09-30 2014-09-30 수중보,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
KR1020150131935A KR101728609B1 (ko) 2014-09-30 2015-09-17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935A KR101728609B1 (ko) 2014-09-30 2015-09-17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1351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4908A (zh) * 2021-05-11 2021-07-27 皖江工学院 鱼道
CN113718728A (zh) * 2020-05-25 2021-11-30 丁学彬 一种水利工程挡水坝用鱼类回游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726B1 (ko) * 2019-03-25 2022-01-11 삼화건설환경(주)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6404B2 (ja) * 2009-09-04 2014-06-18 公益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サイフォン式パイプ魚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8728A (zh) * 2020-05-25 2021-11-30 丁学彬 一种水利工程挡水坝用鱼类回游装置
CN113174908A (zh) * 2021-05-11 2021-07-27 皖江工学院 鱼道
CN113174908B (zh) * 2021-05-11 2022-05-17 皖江工学院 鱼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609B1 (ko) 2017-04-19
KR20160038747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23B1 (ko)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CN204959707U (zh) 多级式生态鱼道
CN109469030B (zh) 一种用于引水式发电高坝的集运鱼系统
CN114561918A (zh) 高坝综合过鱼设施的过鱼方法
JP6882448B2 (ja) 魚の養殖のための設備及び方法
CN107034861B (zh) 一种能够适应上游大水位变幅的混合型鱼道
KR20090011975A (ko)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KR20140135130A (ko) 수중보,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
KR101543206B1 (ko) 조수간만을 이용한 양식용 저수조
CN109469029A (zh) 一种鱼类集运鱼系统
JPH0767495A (ja) 人工塩濃度勾配を有した魚道装置
CN109736255A (zh) 利用水电站尾水进行集鱼的升鱼机装置及其集鱼方法
KR20170067624A (ko) 실뱀장어 포획장치
JP2003166228A (ja) シラスウナギ用魚道システム
JPH09182541A (ja) 湖、沼、ダムにおける水生動植物の育成浮遊棚
CN206233352U (zh) 一种人工生态池系统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CN114086520A (zh) 一种河道生态环境保护用生态修复清污装置
CN209873693U (zh) 高坝综合过鱼设施
CN206744337U (zh) 一种安全高效的鱼类下行装置
KR100954218B1 (ko) 갈수위에도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시설물
CN209482272U (zh) 一种鱼类集运鱼系统
KR20160128583A (ko) 수중보를 우회하는 인공어도
KR101622774B1 (ko) 실뱀장어와 참게 소상용 생태어도
CN104430128A (zh) 一种应用于趋流性鱼类养殖的增氧造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