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652A -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 Google Patents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652A
KR20040079652A KR1020030014631A KR20030014631A KR20040079652A KR 20040079652 A KR20040079652 A KR 20040079652A KR 1020030014631 A KR1020030014631 A KR 1020030014631A KR 20030014631 A KR20030014631 A KR 20030014631A KR 20040079652 A KR20040079652 A KR 20040079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network
guide
fish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대
Original Assignee
김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대 filed Critical 김정대
Priority to KR1020030014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9652A/ko
Publication of KR2004007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6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정치망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정치망은 유도망과 근접하여 방사상으로 제1안내망을 설치하고, 연이어서 통상의 통망보다는 바깥쪽으로 다시 제2안내망을 설치하며, 유도망 및 제1안내망에 의해 유도된 물고기를 망내부에서 좀 더 깊숙히 유도하여 출망율을 낮추고, 더불어 유도망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헛망 및 통망 등을 연결한 구조이다.
이에 의하면 유도망의 양측으로 헛망 및 통망이 구성되어 유도망에 유도된 어군에게 양방향의 진로를 보장해 주어 단방향 시 회군 어군의 출망율울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제1안내망에 연이어 바깥쪽으로 제2안내망을 설치하여 유도망 및 제1안내망에 의해 유도된 물고기를 망 내부에서 좀 더 깊숙히 유도하여 입망된 물고기의 출망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Fixed shore net}
본 발명은 연안에 고정 설치하여 연안에 내유해 오는 대형의 회유어군과 정치성 어족의 어도를 유도망으로 차단하므로서 일정한 우리의 헛망으로 유도하여 어획하는 정치어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도망의 양측에 안내망을 방사상으로 설치하며, 그 뒷 편으로는 또 다른 안내망을 설치하고, 연이어 사면으로부터 경사등망을 설치하여, 유도망에 의해 통로가 차단된 물고기를 헛망으로의 유도를 높이고, 또한 헛망으로 유도된 물고기가 출망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획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정치어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치어망은 물의 흐름이 빠른 연안에 고정 설치하여 조수의 힘에 의해 회유하는 어종을 포획하기 위하여 헛통 또는 헛망이라 불리우는 울타리망의 입구에 바다를 가로지르는 긴 길이의 유도망을 설치하고 어군의 통로를 유도망에 의해 차단시켜 헛통의 내부로 유도한 후, 이에 연결설치한 원통이라 불리우는 포획망으로 낙망시켜 대량의 어군을 동시에 어획하는 것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치어망은 유도망에 의해 통로가 차단된 물고기가 헛통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유도망을 회유하다가 달아나게 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헛통은 저면에 바닥망이 없는 울타리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헛통의 내부에 입망된 물고기가 입구나 저부를 통해 출망되는 사례가 허다하므로서 어획률이 저조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74215호(개량형 정치망)는 유도망의 양측에 보조유도망을 방사상으로 설치하고 하부로는 경사등망을 설치하며, 헛통의 저면에 바닥망(까레망)을 설치한 개량형 정치망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어군의 유도을 높여 어망내로의 입망율을 높이고, 출망율을 억제하므로 어획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정치망은 유도망 양측으로 보조유도망이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유도망에 부딪치는 물고기가 헛망으로 유도될 확율은 높으나 보조유도망을 지난 물고기가 바로 통망에 부딪힐 경우 어망으로부터 달아날 확율 또한 높아 그다지 높은 입망율을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치망은 저면에 바닥망(까레망)을 설치하여 물고기의 출망율을 낮춘다고 하나. 통망 전체에 걸쳐 바닥망을 설치하게 되어 있는 구조로서 설치시나 뜰망 시 불편한 점이 있고, 물고기가 유도되는 방향이 단방향이어서 일방향으로 입망된 물고기가 회유할 시 출망될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망 및 안내망에 의해 유도된 물고기를 망 내부에서 좀 더 깊숙히 유도하여 입망된 물고기의 출망율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헛망을 수렴형으로 구성하여 입망된 물고기가 놀라는 일이 없이 통망으로 유도되어 포획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망을 중심을 양측으로 헛망 및 통망 등을 연결하여 물고기의 유로를 양측으로 보장해 줌으로써 어획율을 높이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정치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치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B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유도망과 근접하여 방사상으로 제1안내망을 설치하고, 연이어서 통상의 통망보다는 바깥쪽으로 다시 제2안내망을 설치하며, 유도망 및 제1안내망에 의해 유도된 물고기를 망내부에서 좀 더 깊숙히 유도하여 출망율을 낮추고, 더불어 유도망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헛망 및 통망 등을 연결하여 물고기의 유로를 양측으로 보장해 주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치망은 제1수평지지선과 이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수평지지선에 대해 종설된 유도망과 이 유도망의 양측으로 상기 제1수평지지선에서부터 제2수평지지선까지 방사상으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제1안내망;과 상기 제1수평지지선의 외측으로 삼각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안내망;과 상기 제1안내망과 상기 제2안내망사이의 통로와 연결되는 헛망;과 상기 헛망과 연결되는 통망으로 구성하되, 상기 헛망을 상기 제1안내망과 상기 제2안내망사이의 통로와 연결되는 제1공통면과 상기 통망과 연결되는 제2공통면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헛망이 제1공통면과 상기 제2공통면으로부터의 공통중심사영면을 갖도록 망지가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정치망에서, 상기 통망의 끝단면은 상기 제2공통평면으로부터 수렴되어 점점 좁아지는 구성으로서 원통 등의 포획망으로 물고기를 원활히 유도할 수 있게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정치망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치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B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1에서 A-A 방향의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치망은 제1수평지지선(100)과 이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수평지지선(200)에 대해 종설된 유도망(4)과 이 유도망(4)의 양측으로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에서부터 제2수평지지선(200)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제1안내망(6,6')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안내망(6,6')은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에서부터 제2수평지지선(200)까지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과 제2수평지지선(200)은 본 발명의 정치망의 뼈대 역할을 하는 망 지지줄이 되며, 서로 평행되게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유도망(4)은 본 발명의 정치망(150)의 본체에 종설(縱設)된다. 상기 유도망(4)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수평지지선(200)의 안쪽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수평지지선(200)에서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에 다다르는 거리의 4/1 되는 곳까지 설치된다. 유도망(4)의 길이는 수심 및 본체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00m내외이고, 수면에서부터 바닥면까지 걸쳐 설치되어 물고기군을 망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유도망(4)의 양측으로 제1수평지지선(100)에서부터 제2수평지지선(200)까지 방사상으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제1안내망(6,6')은 유도망(4)에 의해 유도된 어군을 망 안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수평지지선(100)에서부터 제2수평지지선(200)까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치망은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의 외측으로 삼각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안내망(16, 16')을 포함한다. 이 제2안내망(16, 16')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안내망(6,6')의 수직접선(26, 26')을 포함하는 면(5a)의 다른 수직접선(36, 36')에서 부터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의 외측으로 설치된다.
이 제2안내망(16, 16')의 역할은 제1안내망(6,6')에 의해 망 안쪽으로 유도된-제1안내망(6,6')으로도 충분히 망 내부로 유도되었지만-물고기를 좀 더 깊숙히 안내하여 입망된 물고기의 출망율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정치망은 상기 제1안내망(6,6')과 상기 제2안내망(16, 16')사이의 통로와 연결되는 헛망(5, 5')과 이 헛망(5, 5')과 연결되는 통망(15, 15')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망(15, 15')은 헛망(5, 5')을 통과한 물고기를 원통(미도시) 등의 통상의 포획망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입구보다 출구면(25)이 좁혀져 있다.
또한 상기 헛망(5, 5')은 상기 제1안내망(6,6')과 상기 제2안내망(16, 16')사이의 통로와 연결되는 제1공통면(5a)과 상기 통망(15, 15')과 연결되는 제2공통면(5b)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제1공통면(5a)과 상기 제2공통면(5b)으로부터의 공통 중심사영면(中心寫影面)(50)을 갖도록 망지가 조립된다. 즉 상기 제1공통면(5a)을 원면으로하여 제2공통면(5b)을 향하여 중심사영(中心寫影)하여서 생기는 면이 상기 제2공통면(5b)을 원면으로하여 제1공통면(5a)을 향하여 중심사영하여서 생기는 면과 동일하게 망지가 조립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안내망(6,6')과 상기 제2안내망(16, 16')사이의 통로에 다다른 물고기는 상기 제1공통면(5a)을 통과할 때, 상기 제1공통면(5a)의 4모서리로부터 제2공통면(5b)방향으로 경사 조립된 망지 내부에 놓이게 되고, 물고기는 중앙부로 모이게 되면서, 전진하여에 통망(15, 15')에 이르게되어 포획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53a, 53b, 53c 및 53d은 상기 제1공통면(5a)의 4모서리로부터 제2공통면(5b)방향으로 경사 조립된 망지를 지지하는 줄이다. 물론 상기 53a, 53b, 53c 및 53d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망지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통망(15, 15')에 이른 물고기는 끝단면(25)을 통해 원통(미도시) 등의 포획망에 잡히게 된다.
도면에서 미 설명부호 9는 비중 상승용 침강줄로서 어망의 침강을 도와주는역할을 하는 것이고, 10은 망지로서 통상의 재질이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망의 양측으로 헛망 및 통망이 구성되어 유도망에 유도된 어군에게 양방향의 진로를 보장해 주어 단방향 시 회군 어군의 출망율울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안내망에 연이어 바깥쪽으로 제2안내망을 설치하여 유도망 및 제1안내망에 의해 유도된 물고기를 망 내부에서 좀 더 깊숙히 유도하여 입망된 물고기의 출망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헛망이 중앙부로 수렴하는 구조로서 물고기는 중앙부로 모이게 되면서, 전진하여 통망에 쉽게 이르게 되어 포획된다.

Claims (2)

  1. 제1수평지지선(100)과 이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수평지지선(200)에 대해 종설된 유도망(4);
    상기 유도망(4)의 양측으로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에서부터 제2수평지지선(200)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제1안내망(6,6');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의 외측으로 삼각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안내망(16, 16');
    상기 제1안내망(6,6')과 상기 제2안내망(16, 16')사이의 통로와 연결되는 헛망(5, 5'); 및
    상기 헛망(5, 5')과 연결되는 통망(15, 15')으로 구성되며,
    상기 헛망(5, 5')은 상기 제1안내망(6,6')과 상기 제2안내망(16, 16')사이의 통로와 연결되는 제1공통면(5a)과 상기 통망(15, 15')과 연결되는 제2공통면(5b)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통면(5a)과 상기 제2공통면(5b)으로부터의 공통중심사영면(50)을 갖도록 망지가 조립됨을 특징으로하는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망(15, 15')의 끝단면(25)은 상기 제2공통평면(5b)으로부터 수렴되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KR1020030014631A 2003-03-08 2003-03-08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KR20040079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631A KR20040079652A (ko) 2003-03-08 2003-03-08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631A KR20040079652A (ko) 2003-03-08 2003-03-08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652A true KR20040079652A (ko) 2004-09-16

Family

ID=3736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631A KR20040079652A (ko) 2003-03-08 2003-03-08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96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669B1 (ko) 2019-03-12 2020-04-24 황정향 보조유도망이 구비된 정치어망
KR20200109120A (ko) 2019-03-12 2020-09-22 황정향 사각통그물망을 구비한 정치어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669B1 (ko) 2019-03-12 2020-04-24 황정향 보조유도망이 구비된 정치어망
KR20200109120A (ko) 2019-03-12 2020-09-22 황정향 사각통그물망을 구비한 정치어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9120A (ko) 사각통그물망을 구비한 정치어망
KR101772540B1 (ko)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JP4691218B2 (ja) マグロの養殖装置
KR20200025000A (ko)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KR20040079652A (ko)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KR101119972B1 (ko) 친환경 어도구조물
KR200316710Y1 (ko)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KR100948592B1 (ko) 원통 2단형 인공어초
JP6257120B1 (ja) 幕式水路式生簀
KR200316711Y1 (ko)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CN106818655A (zh) 一种小型建网渔具
KR102089795B1 (ko)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CN110616695A (zh) 一种适于洄游性鱼类通过的游道
KR102104669B1 (ko) 보조유도망이 구비된 정치어망
KR200435353Y1 (ko) 물고기용 통발
KR101420984B1 (ko) 방파제 및 어초 기능을 구비하는 수중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CN211312452U (zh) 一种适于洄游性鱼类通过的游道
KR100775966B1 (ko) 물고기용 통발
CN109511615A (zh) 一种赶海探箔捕鱼网及其诱鱼桩
JP3272695B2 (ja) 流水仕切装置
JPS5934333B2 (ja) 定置網
RU2311025C1 (ru) Ставной невод
KR102224578B1 (ko) 뱀장어를 비롯한 저서성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어도시스템
KR100473938B1 (ko) 하천용 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