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795B1 -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 Google Patents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795B1
KR102089795B1 KR1020180073088A KR20180073088A KR102089795B1 KR 102089795 B1 KR102089795 B1 KR 102089795B1 KR 1020180073088 A KR1020180073088 A KR 1020180073088A KR 20180073088 A KR20180073088 A KR 20180073088A KR 102089795 B1 KR102089795 B1 KR 10208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network
inlet
induct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873A (ko
Inventor
성재경
Original Assignee
성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경 filed Critical 성재경
Priority to KR102018007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7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2Fixed nets without 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에 관한 것으로서, 어류를 포획 가능한 다수의 그물망을 유도망을 매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바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 및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를 모두 효율적으로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어획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Set net}
본 발명은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어류를 포획 가능한 다수의 그물망을 유도망을 매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바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 및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를 모두 효율적으로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어획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치망이란 연안의 얕은 곳(대략 수심 50 m 이하)에 일정기간 부설해 두고 어획하는 어구로서, 육지 쪽에서 바다 쪽으로 길게 설치한 유도망을 장애물로 여겨 바다 쪽으로 선회하는 어류만을 최종어획망에서 포획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단번에 대량어획하는 데 쓰인다.
이러한 정치망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1671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제1수평지지선(100)과 이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수평지지선(200)에 대해 종설된 유도망(4); 상기 유도망(4)의 양측으로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에서부터 제2수평지지선(200)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안내망(26,26'); 상기 안내망(26,26')과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사이의 통로와 연결되는 헛망(5, 5'); 및 상기 헛망(5, 5')과 연결되는 통망(15, 15')으로 구성되며,
상기 헛망(5, 5')은 상기 안내망(26,26')과 상기 제1수평지지선(100)사이의 통로와 연결되는 제1공통면(5a)과 상기 통망(15, 15')과 연결되는 제2공통면(5b)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통면(5a)과 상기 제2공통면(5b)으로부터의 공통 중심사영면(50)을 갖도록 망지가 조립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유도망을 따라 바다 쪽으로 이동하는 어류는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나, 육지 쪽으로 이동하는 어류는 포획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어획량이 감소되는 구조이며, 따라서, 효율적으로 어류를 포획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이 등록특허 제10-1772540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본 출원인이 2015년 05월 29일자로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로서, 회유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어류가 머무는 공간을 형성하는 어류유입부; 상기 어류유입부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어류유입부로 유입된 어류를 포획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어류포획부; 상기 유입구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결 설치되며,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가 상기 어류유입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망; 및 상기 유도망의 끝단에 설치되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어류유입부로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어류선회망;을 포함하되, 상기 어류선회망은 상기 유도망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유도망의 끝단에서 유도망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는 차단망과, 상기 차단망의 끝단에서 상기 어류유입부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차단망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어류를 어류유입부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선회가이드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2는 유도망의 끝단에 어류선회망을 설치하여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더 이상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어류유입부 방향으로 선회하여 어류유입부를 거쳐 어류포획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획량을 증대하는 것이 가능하나, 어류선회망을 통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를 선회시키는 과정에서 어류가 유도망을 따라 이동하지않고 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에 따라 높은 어획량을 기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710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254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류를 포획 가능한 다수의 그물망을 유도망을 매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바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 및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를 모두 효율적으로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어획량을 효율적으로 증대하는 것이 가능한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도망의 양측에 나란히 위치하는 이탈방지망을 통해 유도망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유도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어류유입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함으로써, 어획량을 효율적으로 증대하는 것이 가능한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은, 회유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제1유입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어류가 머무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어류유입부와, 상기 제1어류유입부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1어류유입부로 유입된 어류를 포획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1어류포획부로 이루어지는 제1그물망;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결 설치되며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가 상기 제1어류유입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제1유도망; 상기 제1유도망의 끝단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유도망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제2유입구가 형성되며 제2유입구와 대향되는 곳에 바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제3유입구가 형성되어 유입된 어류가 머무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어류유입부와, 상기 제2어류유입부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2어류유입부로 유입된 어류를 포획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어류포획부로 이루어지는 제2그물망; 및 상기 제3유입구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결 설치되며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가 상기 제2어류유입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제2유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유도망의 양측에는 상기 제1,2유도망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위치하여 상기 제1,2유도망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제1,2유도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2어류유입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이탈방지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유도망의 끝단에 설치되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제1어류유입부로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어류선회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어류선회망은 상기 제1유도망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제1유도망의 끝단에서 제1유도망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는 차단망과, 상기 차단망의 끝단에서 상기 제1유도망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차단망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어류를 상기 제1유도망으로 선회시키는 선회가이드망과, 상기 선회가이드망의 끝단에서 상기 제1유도망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어류유입부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제1유도망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제1유도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어류유입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이탈방지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류를 포획 가능한 다수의 그물망을 유도망을 매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바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 및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를 모두 효율적으로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어획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도망의 양측에 나란히 위치하는 이탈방지망을 통해 유도망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유도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어류유입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함으로써, 어획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은 제1그물망(100), 제1유도망(200), 제2그물망(300), 제2유도망(400)이 포함된다.
상기 제1그물망(100)은 바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유하는 어류가 유입되어 머무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어류유입부(110)와 상기 제1어류유입부(110)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1어류유입부(110)로 유입된 어류를 포획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1어류포획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어류유입부(110)의 전면부에는 회유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제1유입구(111)가 형성되며, 그 양측면에는 제1어류유입부(110)로 유입된 어류가 제1어류포획부(120)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이동통로(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유도망(200)은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가 상기 제1어류유입부(11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회유하는 어류가 제1유입구(11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유입구(110)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2그물망(300)은 상기 제1유도망(200)의 끝단에 연결 설치되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유도망(200)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유입되어 머무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어류유입부(310)와 상기 제2어류유입부(310)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2어류유입부(310)로 유입된 어류를 포획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어류포획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2어류유입부(3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유도망(200)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제2유입구(311)가 형성되며, 그 양측면에는 제2어류유입부(310)로 유입된 어류가 제2어류포획부(320)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2이동통로(31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어류유입부(310)에는 상기 제2유입구(311)와 대향되는 상기 제2어류유입부(310)의 타측에, 제2유도망(400)을 따라 바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제3유입구(313)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제2어류유입부(310)의 양측으로 제2유입구(311) 및 제3유입구(313)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제2그물망(300)을 통해 제1유도망(200)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와 제2유도망(400)을 따라 바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를 모두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어획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유도망(400)은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가 상기 제2어류유입부(31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회유하는 어류가 제3유입구(313)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3유입구(313)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결 설치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유도망(200,400)의 양측에는 제1,2유도망(200,40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위치하는 이탈방지망(500)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이탈방지망(500)은 제1,2유도망(200,400)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제1,2유도망(200,4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대다수의 어류가 제1,2유도망(200,400)을 따라 제1,2어류유입부(110,310)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어획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도망(200)의 끝단에는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제1어류유입부(110)로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어류선회망(600)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어류선회망(600)은 상기 제1유도망(200)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제1유도망(200)의 끝단에서 제1유도망(20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는 차단망(610)과, 상기 차단망(610)의 끝단에서 상기 제1유도망(200)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차단망(61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어류를 상기 제1유도망(200)으로 선회시키는 선회가이드망(620)과, 상기 선회가이드망(620)의 끝단에서 상기 제1유도망(20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어류유입부(110)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제1유도망(200)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제1유도망(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어류유입부(110)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이탈방지망(6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류선회망(600)은 제1유도망(200)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더 이상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1어류유입부(110) 방향으로 선회하여 제1어류유입부(110)를 거쳐 제1어류포획부(12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정치망을 이용한 어업활동시 효율적인 어류 포획이 가능하게 되므로, 어획량 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그물망(100)과 제2그물망(300)을 통해 어류를 포획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수의 그물망을 유도망을 매개로 연결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정치망 하단 및 상단에는 각각 납(10) 및 부자(20)가 설치되는데, 납(10)은 그 무게로 인하여 정치망 하단이 바다의 바닥면에 닿도록 하며, 부자(20)는 그 부력에 의해 정치망 상단이 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치망이 물속에서 펼쳐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납(10) 및 부자(20)는 정치망의 하단 및 상단에서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류를 포획 가능한 다수의 그물망을 유도망을 매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바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 및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를 모두 효율적으로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어획량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납 20: 부자
100: 제1그물망 110: 제1어류유입부
111: 제1유입구 112: 제1이동통로
120: 제1어류포획부 200: 제1유도망
300: 제2그물망 310: 제2어류유입부
311: 제2유입구 312: 제2이동통로
313: 제3유입구 320: 제2어류포획부
400: 제2유도망 500,630: 이탈방지망
600: 어류선회망 610: 차단망
620: 선회가이드망

Claims (3)

  1. 회유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제1유입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어류가 머무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어류유입부와, 상기 제1어류유입부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1어류유입부로 유입된 어류를 포획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1어류포획부로 이루어지는 제1그물망;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결 설치되며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가 상기 제1어류유입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제1유도망;
    상기 제1유도망의 끝단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유도망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제2유입구가 형성되며 제2유입구와 대향되는 곳에 바다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유입되도록 제3유입구가 형성되어 유입된 어류가 머무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어류유입부와, 상기 제2어류유입부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2어류유입부로 유입된 어류를 포획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어류포획부로 이루어지는 제2그물망; 및
    상기 제3유입구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결 설치되며 바다에서 회유하는 어류가 상기 제2어류유입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제2유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유도망의 양측에는 상기 제1,2유도망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위치하여 상기 제1,2유도망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제1,2유도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2어류유입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이탈방지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망의 끝단에 설치되어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제1어류유입부로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어류선회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어류선회망은 상기 제1유도망을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제1유도망의 끝단에서 제1유도망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설치되는 차단망과, 상기 차단망의 끝단에서 상기 제1유도망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차단망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어류를 상기 제1유도망으로 선회시키는 선회가이드망과, 상기 선회가이드망의 끝단에서 상기 제1유도망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어류유입부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제1유도망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상기 제1유도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어류유입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이탈방지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KR1020180073088A 2018-06-26 2018-06-26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KR10208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088A KR102089795B1 (ko) 2018-06-26 2018-06-26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088A KR102089795B1 (ko) 2018-06-26 2018-06-26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73A KR20200000873A (ko) 2020-01-06
KR102089795B1 true KR102089795B1 (ko) 2020-03-16

Family

ID=6915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088A KR102089795B1 (ko) 2018-06-26 2018-06-26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30B1 (ko) 2022-08-29 2023-01-19 이승엽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10Y1 (ko) 2003-04-01 2003-06-18 김정대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KR101583151B1 (ko) 2014-08-27 2016-01-06 이호열 대형 물고기 수집 장치
KR101772540B1 (ko) 2015-05-29 2017-08-29 성재경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7711Y2 (ko) * 1978-06-15 1981-07-02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10Y1 (ko) 2003-04-01 2003-06-18 김정대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KR101583151B1 (ko) 2014-08-27 2016-01-06 이호열 대형 물고기 수집 장치
KR101772540B1 (ko) 2015-05-29 2017-08-29 성재경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30B1 (ko) 2022-08-29 2023-01-19 이승엽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73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747902A (en) Migratory fish passage arrangement
KR102089795B1 (ko)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KR101163679B1 (ko)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KR101772540B1 (ko)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US20160076213A1 (en) Corrugated fish screen with continuous flow refugia
JP4481251B2 (ja) クラゲ捕捉防止方法及びクラゲ捕捉防止魚網
KR20200109120A (ko) 사각통그물망을 구비한 정치어망
WO2012116702A1 (en) Floating barrier
KR101119972B1 (ko) 친환경 어도구조물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KR101063124B1 (ko) 삼각 그물망
KR100783823B1 (ko)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JP4590512B2 (ja) 定置網の垣網
KR101561298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WO2015127493A1 (en) Screen
KR102104669B1 (ko) 보조유도망이 구비된 정치어망
JPWO2018174258A1 (ja) 水生動物脱出装置および定置網
KR101583151B1 (ko) 대형 물고기 수집 장치
KR200316710Y1 (ko)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KR200316711Y1 (ko)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DE2532523C3 (de) Vorrichtung zum Fangen von Bisamratten und artverwandten Tieren
KR20150091547A (ko)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KR20150056383A (ko) 물고기포획기
KR20040079652A (ko) 수렴형 헛망을 구비하는 정치망
KR100473938B1 (ko) 하천용 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