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298B1 -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 Google Patents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298B1
KR101561298B1 KR1020140019674A KR20140019674A KR101561298B1 KR 101561298 B1 KR101561298 B1 KR 101561298B1 KR 1020140019674 A KR1020140019674 A KR 1020140019674A KR 20140019674 A KR20140019674 A KR 20140019674A KR 101561298 B1 KR101561298 B1 KR 101561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sh
lip portion
too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411A (ko
Inventor
장형기
Original Assignee
장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기 filed Critical 장형기
Priority to KR102014001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2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통발 내부로 어류가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하면서 통발 내부에 설치된 어류 유인용 미끼의 탈출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는 어로용 통발에 설치되어 어류가 상기 통발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진입유도구에 있어서, 입구가 형성된 일측에서 출구가 형성된 타측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된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통발의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타측 단부를 호형으로 도드라지게 형성시키는 립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tool for leading entry of fish}
본 발명은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통발 내부로 어류가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하면서 통발 내부에 설치된 어류 유인용 미끼인 참게 치어의 탈출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은 근해에서 낙지, 문어, 게, 장어 등의 어류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통발은 원통형의 그물망 구조로서 측면에 1개 이상의 진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진입부를 통해 어류가 통발의 내부로 들어오면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도구이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1997-026551호, 제 1999-014314호에는 통발이 개시되어있다.
종래의 통발을 살펴보면, 금속재질로 형성된 본체의 둘레에 나일론 재질로 된 그물망이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어류가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통발의 내부에 갇힌 어류를 한꺼번에 꺼내기가 용이한 배출부가 형성된다. 진입부는 그물망으로 형성되며, 통발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행할수록 통로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어류가 다시 진입부를 통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종래의 통발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 진입부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제품이 나오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972782호에 어로용 통발의 유인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유인구는 출구쪽에 위치한 탄성복원판에 의해 벌어진 출구가 즉각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여 낙지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하지만, 구멍이 뚫려 있는 본체와 달리 탄성복원판이 형성된 부분은 구멍이 뚫리지 않고 막혀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여러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바다에 투척된 상태에서 막혀있는 탄성복원판에는 조류에 대한 저항이 크다. 따라서 조류의 저항에 의해 탄성복원판이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어 통발 내부에 포획된 어류가 탈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막혀있는 탄성복원판은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따개비와 같은 패각류들이 쉽게 부착될 수 있으며, 어류가 유인구의 출구를 통해 통발 내부로 진입시 어류가 밀고 들어가기가 어렵다.
셋째, 김이나 파래 등의 해초류가 유인구의 출구측에 걸려있는 경우 출구 주변에 형성된 탄성복원판이 막혀 있어 상대적으로 출구를 막고 있는 해조류에 가해지는 조류의 저항이 커지므로 해조류가 쉽게 통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통발 내부에 넣어둔 살아있는 미끼(예를 들어 어린 참게)가 유입된 해조류와 엉키어 질식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넷째, 출구가 형성된 유인구의 단부가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류를 유인하기 위해 통발 내부의 어린 참게가 쉽게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다섯째, 종래의 유인구는 모서리부분에 구멍이 뚫려 있지 않고 막혀 있으므로 유인구의 세척시 세척수가 바깥에서 안쪽으로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유인구의 내측 모서리에 붙어 있는 따개비나 이물질의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출구가 형성된 단부의 상하면을 호형으로 돌출되게 라운딩처리하여 통발 내부에 넣어둔 미끼가 쉽게 도망가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어류는 통발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는 어로용 통발에 설치되어 어류가 상기 통발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진입유도구에 있어서, 입구가 형성된 일측에서 출구가 형성된 타측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통발의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타측 단부를 호형으로 도드라지게 형성시키는 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립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부 및 하면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마주하며, 상기 본체의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립부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립부에는 다수의 절개슬릿들이 전후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립부에 형성된 절개슬릿들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절개슬릿들 중 중앙에 위치한 절개슬릿이 좌우측에 위치한 나머지 절개슬릿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립부에서 상기 절개슬릿들이 형성된 면적은 상기 절개슬릿이 미형성된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슬릿들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패턴이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립부는 상기 절개슬릿들 중 중앙에 위치한 절개슬릿을 기준으로 제 1영역부와 제 2영역부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모서리에서는 불연속적으로 코너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입유도구의 출구측의 상면부 및 하면부에 호형의 립부를 형성하여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직선형의 출구를 갖는 종래의 진입유도구에 비해 미끼의 손실을 줄이면서 어획량은 높일 수 있다.
특히, 출구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는 수산자원보호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안 통발의 기준을 준수하면서 출구를 좁히는 효과를 가지므로 통발의 외부에서 내부로 어류가 진입하는 것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미끼용 어린 참게나 포획된 어류가 출구를 통해 통발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립부에 전후로 길게 형성한 절개슬릿을 구비함으로써 립부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어 어류가 들어는 것이 쉽고 어류가 들어온 후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복원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체의 네 모서리에 코너홀을 형성하여 외관의 변화를 주면서 종래에 비해 막힌 부위가 감소되어 따개비의 부착을 줄이고 물세척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진입유도구가 통발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진입유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입유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입유도구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입유도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진입유도구(40)는 어로용 통발(10)에 설치된다. 통발(10) 내부에 수용된 어린 참게와 같이 살아있는 미끼에 의해 어류는 진입유도구(40)를 통해 통발(10) 내부로 진입하여 포획된다.
통상적으로 어로용 통발(10)은 철재로 이루어진 프레임(20)에 그물망(30)을 씌워 만든다.
프레임(20)은 통발(10)의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외에도 프레임의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레임(20)의 상부에는 고리 모양을 형성하는 상부링(21)이 배치된다. 상부링(21)의 하부에는 상부링(21)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하부링(23)이 배치된다. 하부링(23)은 상부링(21)과 마주하도록 상부링(21)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부링(21)의 모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링(21)의 내측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제 1간주(2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링(23)에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 2간주(29)가 설치된다. 이 경우 제 1간주(27)와 제 2간주(29)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 제 1간주(27) 및 제2 간주(29)는 상호 교차하도록 즉,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여러 방향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바(25)가 설치된다. 지지바(25)의 상단은 상부링(21)에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링(23)에 결합된다. 지지바(25)는 상부링(21) 및 하부링(23)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총 6개가 설치된다. 물론, 지지바(25)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프레임(20)의 둘레에는 그물망(30)이 씌워진다. 그물망(30)은 프레임(20)의 상부와 하부 그리고 측면을 둘러싼다. 진입유도구가 장착될 측면부분은 미리 절개하여 진입유도구를 설치할 수 있는 개구공간(33)을 확보한다. 그물망(30)은 통상적인 구조로, 나일론 소재의 실을 이용하여 엮어 만든다. 그물망(30)은 프레임(20)을 둘러싸 통발 내부에 낙지 또는 문어, 쭈꾸미 등의 연체동물이 포획되는 포획공간을 형성한다.
그물망(30)은 고정용 로프(31)를 이용하여 프레임(20)에 고정시킨다. 즉, 로프(31)를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인접하는 그물망(30)의 코에 꿰면서 상부링 (21)및 하부링(23)에 나선형으로 권취시켜 그물망을 고정시킨다. 이 경우 진입유도구가 장착될 부분의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는 진입유도구를 장착한 후에 로프를 권취하여 진입유도구와 그물망(30)을 함께 고정시킨다.
그물망(30)의 상부에는 포획된 어류를 꺼낼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통상적인 배출부(35)가 형성된다. 배출부(35)는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37)의 주위에 노끈(38)이 설치되어 노끈(38)을 조였다 풀었다 하여 배출구(37)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노끈(38)의 일측에는 고리(39)가 형성될 수 있다.
통발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공간(33)에 진입유도구(40)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진입유도구(40)는 통발의 측면에 120도 간격으로 총 3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외에도 180도 간격으로 2개가 설치되거나, 90도 간격으로 4개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진입유도구(4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한다. 사출 성형된 진입유도구(40)는 실로 엮어 만든 그물망과 달리 일정한 형체를 유지할 수 있고 통발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빠르고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통발(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진입유도구(40)는 어류가 통발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통발 내부로 포획된 어류가 탈출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입유도구(40)는 크게 본체(50)와, 지지부(70)와, 립부(80)를 구비한다.
본체(50)는 내부에 진입통로가 마련된다. 진입통로의 입구(51)는 본체(50)의 일측에 형성되고, 출구(55)는 타측에 형성된다. 진입통로는 입구(51)가 형성된 일측에서 출구(55)가 형성된 타측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진다. 입구(51)를 통해 진입통로로 진입한 어류는 진입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출구(55)를 통해 통발(10) 내부로 진입한다.
본체(50)는 상면부(61), 하면부(63), 좌측면부(65), 우측면부(67)로 이루어진다. 상면부(61)와 하면부(63)는 입구(51)에서 출구(55)방향으로 진행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면부(61)와 하면부(63)는 상하로 대응되게 위치한다. 그리고 좌측면부(65)와 우측면부(67)는 상면부(61)와 하면부(63)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된다. 좌측면부(65)와 우측면부(67)는 좌우로 대응되게 위치한다. 좌측면부(65)와 우측면부(67)는 입구(51)에서 출구(55)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상면부(61), 하면부(63), 좌측면부(65), 우측면부(67)에는 사각의 관통홀들이 다수 형성된다.
상면부(61), 하면부(63), 좌측면부(65), 우측면부(67)로 이루어진 본체는 네개의 모서리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50)의 모서리에 코너홀(69)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코너홀(69)은 다수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코너홀(69)은 본체(50)의 유연성을 증대시키므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본체(50)의 파손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통발(10)을 바다로 투척하는 경우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을 본체(40)의 진입통로로 넣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통발(10) 프레임의 상부링(21)을 움켜쥐는데 이때 본체(50)에 큰 외력이 가해진다. 이 경우 코너홀(69)에 의해 본체(50)의 유연성이 증대되어 본체(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진입유도구는 모서리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막힌 구조를 가져서 따개비가 쉽게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 세척시 모서리의 내측부분에 물이 닿질 않아 따개비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모서리에 코너홀(69)을 형성하여 따개비의 부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코너홀이 형성되어 물 세척 시 코너의 내측부분에 부착된 따개비나 뻘의 제거가 매우 쉬워 세척이 용이하다.
립부(80)는 본체(50)의 출구(55) 측에 마련되어 본체의 출구(55) 측 단부를 호형으로 도드라지게 형성시킨다.
도시된 예에서 립부(80)는 본체(50)의 상면부(61) 및 하면부(63)에 각각 형성되어 출구(55)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마주한다.
립부(80)는 본체의 좌측면부(65) 및 우측면부(67)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립부(80)는 출구를 열고 닫는 기능을 가져 덩치가 큰 어류도 출구(55)를 통해 통발(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50)의 좌측면부(65) 및 우측면부(67)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80)는 수산자원보호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안 통발의 기준(진입유도구의 출구 둘레 140mm, 좌우폭 70mm)을 준수하면서 출구(55)를 좁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립부(80)는 통발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출구(55)를 좁히는 효과를 가지므로 통발(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어류가 진입하는 것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미끼용 어린 참게나 포획된 어류가 출구(55)를 통해 통발(1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은 종래에 비해 더욱 어렵게 한다.
특히, 립부(80)의 단부를 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직선형의 출구를 갖는 종래의 진입유도구에 비해 미끼용 어린 참게가 통발(1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효과가 매우 높다. 따라서 미끼의 손실을 줄이면서 어획량은 높일 수 있다.
립부(80)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립부(80)에는 다수의 절개슬릿(85)이 형성된다. 절개슬릿(85)에 의해 립부(80)는 유연하게 변형이 될 수 있어 어류가 들어는 것이 쉽고 어류가 들어온 후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복원된다. 립부(80)에 절개슬릿(85)을 형성하여 립부(80)의 변형력을 높임과 동시에 조류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따개비의 부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립부의 물세척이 용이하다.
립부(80)에 형성된 절개슬릿(85)은 입구에서 출구방향, 즉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본체의 상면부(61), 하면부(63), 좌측면부(65), 우측면부(67)에 형성된 관통홀과 패턴이 다르다. 본체의 상면부(61), 하면부(63), 좌측면부(65), 우측면부(67)에 형성된 정사각형의 관통홀은 물의 유통을 원활하게 함이고, 립부(80)에 형성된 절개슬릿(85)은 립부(80)를 유연하게 변형시키고자 하기 위한 것이므로 패턴, 즉 모양과 크기가 다르다. 절개슬릿(85)을 폭이 좁고 전후로 길게 형성하므로 출구(55) 근처에서 서성이는 미끼용 참게가 탈출을 시도할 때 립부(80)를 발로 잡기기 힘들어져 탈출이 어렵다.
그리고 립부(80)는 절개슬릿(85)이 형성된 면적보다 절개슬릿(85)이 형성되지 않은 면적이 더 크다. 이는 주 포획대상인 낚지가 진입통로로 진입시 다리의 빨판을 립부(80)에 잘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립부(80)에 형성된 다수의 절개슬릿들(85)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절개슬릿들(85) 중 중앙에 위치한 절개슬릿이 좌우측에 위치한 나머지 절개슬릿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의 절개슬릿을 기준으로 좌우 측의 립부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중앙의 절개슬릿(8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0)의 상면부와 하면부로 연장되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70)는 본체(50)의 입구(51) 측에 형성되어 통발의 프레임(20)에 지지된다.
도시된 지지부(70)의 일 예로, 본체(50)의 입구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프레임의 지지바(25)를 감싸는 결합부(71)와, 그물망(30)의 코에 꿰이는 돌기(75)로 이루어진다.
결합부(71)는 지지바(25)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지지바(25)의 형상과 대응되는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기(75)는 결합부(71)와 인접하게 본체의 좌측면부(65) 및 우측면부(67)에 형성된다. 돌기(75)는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돌기(75)는 그물망(30)의 코에 꿰일 수 있도록 그물망(30)의 코 크기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진입유도구(40)는 개구(33)에 삽입하여 통발에 설치시 결합부(71)가 좌우측에 위치한 지지바(25)의 전면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때 돌기(75)는 그물망의 코에 삽입된다. 지지바(25)를 사이에 두고 결합부(71)와 돌기(75)가 그물망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그물망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다수의 돌기들(75) 중 제일 위에 위치한 돌기와 제일 아래에 위치한 돌기 걸림턱(7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턱(77)은 결합부(71)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진입유도구(40)를 프레임에 결합시 지지바(25)는 돌기(75)의 걸림턱(77)에 걸려 진입유도구(40)가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진입유도구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진입유도구는 도 2의 실시 예에 비해 립부(80)가 전방으로 더욱 돌출된다. 본체(50)의 상면부 및 하면부에 각각 형성된 립부(80)의 단부가 매우 근접하도록 돌출된다. 이는 출구를 더욱 좁히는 효과를 가져 통발의 외부에서 내부로 어류가 진입하는 것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미끼용 어린 참게나 포획된 어류가 출구를 통해 통발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은 종래에 비해 더욱 어렵게 한다.
도 7에서 립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2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진입유도구의 립부(90)는 중앙에 위치한 절개슬릿(97)을 기준으로 좌우측의 2개의 영역, 즉 제 1영역부(91)와 제 2영역부(95)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중앙에 위치한 절개슬릿(97)의 단부는 본체(50)의 전면방향으로 터진 형상을 갖는다. 제 1영역부(91)와 제 2영역부(95)는 분할되어 형성되므로 각각 독립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중앙에 위치한 절개슬릿(97)에 의해 좌우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립부(90)는 통발의 외부에서 내부로 어류가 진입하는 경우 출구를 더욱 쉽게 벌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어류의 진입이 더욱 용이하다.
도 8에서 립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6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통발 20: 프레임
30: 그물망 40: 진입유도구
50: 본체 51: 입구
55: 출구 70: 지지부
71: 결합부 75: 돌기
80: 립부 85: 절개슬릿

Claims (8)

  1. 삭제
  2. 어로용 통발에 설치되어 어류가 상기 통발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진입유도구에 있어서,
    입구가 형성된 일측에서 출구가 형성된 타측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통발의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타측 단부를 호형으로 도드라지게 형성시키는 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립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부 및 하면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마주하며, 상기 본체의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립부에는 다수의 절개슬릿들이 전후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에 형성된 절개슬릿들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절개슬릿들 중 중앙에 위치한 절개슬릿이 좌우측에 위치한 나머지 절개슬릿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에서 상기 절개슬릿들이 형성된 면적은 상기 절개슬릿이 미형성된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슬릿들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패턴이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는 상기 절개슬릿들 중 중앙에 위치한 절개슬릿을 기준으로 제 1영역부와 제 2영역부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8. 어로용 통발에 설치되어 어류가 상기 통발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진입유도구에 있어서,
    입구가 형성된 일측에서 출구가 형성된 타측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통발의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타측 단부를 호형으로 도드라지게 형성시키는 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모서리에서는 불연속적으로 코너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KR1020140019674A 2014-02-20 2014-02-20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KR101561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674A KR101561298B1 (ko) 2014-02-20 2014-02-20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674A KR101561298B1 (ko) 2014-02-20 2014-02-20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411A KR20150098411A (ko) 2015-08-28
KR101561298B1 true KR101561298B1 (ko) 2015-10-16

Family

ID=5405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674A KR101561298B1 (ko) 2014-02-20 2014-02-20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2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889B1 (ko) * 2019-10-01 2020-03-06 제이와이솔루션(주) 통발용 유도구
KR102428937B1 (ko) * 2022-02-18 2022-08-05 제이와이솔루션(주) 통발유도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500B1 (ko) * 2019-05-30 2020-05-19 이종철 복합 통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889B1 (ko) * 2019-10-01 2020-03-06 제이와이솔루션(주) 통발용 유도구
KR102428937B1 (ko) * 2022-02-18 2022-08-05 제이와이솔루션(주) 통발유도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411A (ko) 201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298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KR101587801B1 (ko)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
KR20100033640A (ko) 낙지 포획용 통발
US7874097B2 (en) Lobster trap with ring guard assembly
KR20110017211A (ko)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KR20110112517A (ko) 어류 포획용 통발
CA2951946A1 (en) Crab pot
KR100972782B1 (ko) 어로용 통발의 유인구
KR102428937B1 (ko) 통발유도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KR102374742B1 (ko) 어로용 통발
US5207017A (en) Marine life traps
CN209201906U (zh) 一种漂浮式捕鱼装置
KR101143597B1 (ko)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KR100939101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어로용 통발
JP2011115081A (ja) 魚卵及び稚魚の保護装置
KR200465503Y1 (ko)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KR101748393B1 (ko) 어로용 통발
KR20110008689U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KR102085889B1 (ko) 통발용 유도구
KR20200000873A (ko)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2354382B1 (ko)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KR102055126B1 (ko) 착탈식 통발용 유인진입구
KR200453378Y1 (ko) 접이식 게 포획 낚시망
KR20190042976A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