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689U - 통발용 진입 유도구 - Google Patents

통발용 진입 유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689U
KR20110008689U KR2020100002270U KR20100002270U KR20110008689U KR 20110008689 U KR20110008689 U KR 20110008689U KR 2020100002270 U KR2020100002270 U KR 2020100002270U KR 20100002270 U KR20100002270 U KR 20100002270U KR 20110008689 U KR20110008689 U KR 201100086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entry
octopus
induc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율
Original Assignee
박형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율 filed Critical 박형율
Priority to KR2020100002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689U/ko
Publication of KR20110008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통발용 진입 유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틀체에 그물로 덮어 씌운 어로용 통발에 부착되어 낙지가 통발내부로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 유도구에 있어서, 상기 진입 유도구는 양측이 개방되어 낙지가 통발 내부로 들어가기 좋도록 진입부에서 내측으로 향한 내부공간이 좁은 형태로 유인 통로를 구성하며, 통발로 들어간 낙지가 빠져나올 수 없도록 진입 유도구의 유인 통로 끝부분인 유도부에 양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걸림대를 성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용 진입 유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발용 진입 유도구 {Creel penetration type tool}
본원 고안은 통발용 진입 유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틀체에 그물로 덮어 씌운 낙지용 통발에 부착되어 낙지가 통발내부로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 유도구에 있어서, 상기 진입 유도구는 양측이 개방되어 낙지가 통발 내부로 들어가기 좋도록 진입부에서 내측으로 향한 내부공간이 좁은 형태로 유인 통로를 구성하며, 통발로 들어간 낙지가 빠져나올 수 없도록 진입 유도구의 유인 통로 끝부분인 유도부에 양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걸림대를 성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용 진입 유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로용 통발은 해저에 간편히 설치하여 내부에 미끼를 달아두면 각종 해저의 게, 새우, 낙지 등이 고기 유인구를 통과하여 통발 내부에 포획될 수 있게 한 것인바,
종래 통발의 경우는 원통형의 그물망 구조로서 측면에 1개 이상의 진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진입부를 통해 낙지가 통발의 내부로 들어오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낙지를 포획하는 도구이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1997-026551호, 제 1999-014314호에는 통발이 개시되어있다.
종래의 통발을 살펴보면, 금속재질로 형성된 본체의 둘레에 나일론 재질로 된 그물망이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그 일측에는 어류가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통발의 내부에 갇힌 어류를 한꺼번에 꺼내기가 용이한 배출부가 형성된다. 진입부는 그물망으로 형성되며, 통발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행할수록 통로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어류가 다시 진입부를 통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통발의 내부에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넣은 후, 바다 속에 침강시키게 되면, 통발은 바다의 바닥면에 저면이 착지한 상태에서 각종 어류 등을 유인하게 되는데, 미끼에서 흘러나오는 냄새와 육즙에 유인된 어류는 진입부를 통해 통발 내부에 들어가게 되면서 통발에 갇히게 된다. 통발 내부에 갇힌 어류를 꺼내고자 할 때에는 통발을 갑판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통발 상부의 배출부를 묶었던 로프를 풀어 배출부의 크기를 크게 넓히게 되면 그 내부에 갇혀있던 어류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공개실용신안 제1998-0423482호의 게 통발에서도, 기존 원형틀체에 그물로 덮어 씌운 게 통발을 살펴보면 입구부가 분리할 수 없도록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입구부에서 내측으로 향한 그물을 세곳이나 묶어서 내부공간이 좁은 형태로 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통발의 경우, 어류가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부는 나일론 재질의 어망으로 형성되어 있어 어망의 파손과 어류를 잡기 위한 통발로 사용시 미끼로 주로 양식 참게를 통발의 내부에 넣어 두는 경우 통발의 내부에 갇힌 참게의 집게다리에 의해 진입부의 그물망이 쉽게 파손이 되고 낡아져 포획된 어류나 미끼인 참게가 탈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진입부의 설치시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과 진입부의 프레임을 둘러싸는 그물망을 나일론이나 면사로 일일이 서로 엮어 결합시킨 후 다시 본체의 테두리와 그물망을 고정용 로프를 이용하여 권취시켜 진입부가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본체의 내측에 위치한 진입부의 통로를 일정한 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해 네 귀퉁이를 본체나 본체를 감싸는 그물망에 일일이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다 속에서 잠긴 통발은 시간이 지나면 따개비, 해조류 등 각종 이물질이 끼게 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하게 된다. 이때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그물과 진입부의 이음새가 풀리고 진입부가 종종 찢기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종래의 낙지 통발은 낙지를 꺼낼 때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입구부 파손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통발 전체를 재구입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진입 유도구를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망체 형상의 유도구를 형성함으로써 나일론 소재의 실을 엮어 만든 그물망에 비해 진입부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진입유도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며, 진입 유도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낙지 수확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입구부가 파손될 때에는 진입 유도구만 교체하면 되는 낙지 통발을 제공하므로서 기존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발로 들어간 낙지가 빠져나올 수 없도록 진입 유도구의 유인 통로 끝부분인 유도부에 양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걸림대를 성형하여 구성함으로서, 낙지를 잡기 위한 통발로 사용시 미끼로 주로 양식 참게를 통발의 내부에 넣어 두는 경우 통발의 내부에 갇힌 참게의 집게다리에 의해 진입 유도구의 포획된 낙지나 미끼인 참게가 탈출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발 내부에 줄을 묶지 않으므로 공간이 넓어져서 많은 양의 낙지를 수확할 수 있으며, 진입 유도구만 분리하면 낙지 등을 쉽게 빼낼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입 유도구에 걸림대를 성형하여 구성함으로서 포획된 낙지나 미끼인 참게가 탈출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진입 유도구가 파손될 때에는 유도구만 분리시켜서 수리함으로서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낙지잡이용 통발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통발용 진입 유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통발용 진입 유도구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통발용 진입 유도구의 하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통발용 진입 유도구가 통발에 결착된 구성도
본원 고안은 통발용 진입 유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통발용 진입 유도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형틀체에 그물로 덮어 씌운 어로용 통발(B)에 부착되어 낙지가 통발내부로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 유도구(A)에 있어서,
상기 진입 유도구(A)는 그물모양으로 천공된 것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낙지가 통발 내부로 들어가기 좋도록 진입 유도구(A)의 진입부(10)에서 내측으로 향한 내부공간이 좁은 형태로 유인 통로(30)를 구성하며, 통발로 들어간 낙지가 빠져나올 수 없도록 진입 유도구의 유인 통로(30) 끝부분인 유도부(20)에 양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걸림대(40)를 성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용 진입 유도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진입 유도구(A)는 합성수지로 사출하여 그물모양으로 천공된 구성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어류가 통발 내부로 들어가기 좋도록 구성된 진입부(10)는 개구된 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되며, 유인통로(30)는 진입부(10)에서 내측으로 향한 내부공간이 삼각뿔 모양의 좁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입 유도구의 유인 통로(30) 끝부분인 유도부(20)는 탄력성을 가진 걸림대(40)가 양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구성되어 통발로 들어간 어류 및 살아있는 미끼가 통발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통발용 진입 유도구의 일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상부는 진입 유도구(A)의 유인 통로(30) 끝부분인 유도부(20)에 양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구성된 걸림대(40)의 구성을 나타내며, 진입유도구의 일측면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통발용 진입 유도구의 하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중앙부는 진입 유도구(A)의 유인 통로(30) 끝부분인 유도부(20)에 양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구성된 걸림대(4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통발용 진입 유도구가 통발에 결착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통발(B)에 사출되어 형성된 통발용 진입 유도구(A)가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A : 통발용 진입 유도구 B : 통발
10 : 진입부 20 : 유도부
30 : 유인통로 40 : 걸림대

Claims (1)

  1. 통발용 진입 유도구에 있어서,
    상기 진입 유도구(A)는 양측이 개방되어 낙지가 통발 내부로 들어가기 좋도록 진입부(10)에서 내측으로 향한 내부공간이 삼각뿔 모양의 좁은 형태로 유인 통로(30)를 구성하며,
    통발(B)로 들어간 낙지와 미끼가 빠져나올 수 없도록 진입 유도구(A)의 유인 통로(30) 끝부분인 유도부(20)에 양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탄력성을 가진 걸림대(40)를 성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용 진입 유도구
KR2020100002270U 2010-03-05 2010-03-05 통발용 진입 유도구 KR201100086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270U KR20110008689U (ko) 2010-03-05 2010-03-05 통발용 진입 유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270U KR20110008689U (ko) 2010-03-05 2010-03-05 통발용 진입 유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89U true KR20110008689U (ko) 2011-09-15

Family

ID=4509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270U KR20110008689U (ko) 2010-03-05 2010-03-05 통발용 진입 유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68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801B1 (ko) * 2015-07-21 2016-01-22 김응환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
KR102085889B1 (ko) * 2019-10-01 2020-03-06 제이와이솔루션(주) 통발용 유도구
US20210169056A1 (en) * 2018-08-20 2021-06-10 Erick Bendure Aquatic tra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801B1 (ko) * 2015-07-21 2016-01-22 김응환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
US20210169056A1 (en) * 2018-08-20 2021-06-10 Erick Bendure Aquatic trap
KR102085889B1 (ko) * 2019-10-01 2020-03-06 제이와이솔루션(주) 통발용 유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801B1 (ko)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
KR20100033640A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200459958Y1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20110017211A (ko)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CA2951946A1 (en) Crab pot
CA2906797A1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KR20110008689U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KR100868526B1 (ko) 해파리 분리배출망
KR100939101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어로용 통발
KR20110112517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0972782B1 (ko) 어로용 통발의 유인구
KR101143597B1 (ko)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KR200465503Y1 (ko)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KR101830507B1 (ko) 조립식 바다 통발
KR101561298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DK176967B1 (da) Bur til fangst af krebsdyr
KR20140064283A (ko) 안강망 어업용 어망
CN203872838U (zh) 一种海鲜诱捕笼
KR200449587Y1 (ko) 낙지잡이용 통발
JP2009044968A (ja) 貝類の養殖篭
KR19990014314U (ko) 낙지잡이통발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2040792B1 (ko) 미역 채묘틀
WO2006054275A2 (en) Fish trap element
KR101689060B1 (ko) 장어 통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