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314U - 낙지잡이통발 - Google Patents

낙지잡이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314U
KR19990014314U KR2019980028172U KR19980028172U KR19990014314U KR 19990014314 U KR19990014314 U KR 19990014314U KR 2019980028172 U KR2019980028172 U KR 2019980028172U KR 19980028172 U KR19980028172 U KR 19980028172U KR 19990014314 U KR19990014314 U KR 199900143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trap
bait
net
ou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김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섭 filed Critical 김광섭
Priority to KR2019980028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314U/ko
Priority to KR2019990002404U priority patent/KR19990017675U/ko
Publication of KR19990014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314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낙지잡이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낙지나 문어등을 잡는 포획도구로는 원형통발의 외측방에 형성된 3개의 유인구(誘引口)와 상측부에는 배출자루등이 형성된 종래의 장어잡이통발로 내부에 낙지의 주요 미끼인 게를 다수 넣어 낙지를 포획하는 도구로 사용했지만,가령 한 마리의 낙지가 유인구를 통해 포획됐다면 통발내부에 잔존한 미끼의 전부를 먹어치워 버리는 결과로 그 이후로는 낙지를 유인할 미끼가 없어지게 되어 다량의 미끼를 사용하고서도 1-2마리의 낙지밖에 잡지 못해 미끼값도 못치루는 경우가 허다 하였었다. 이에 본 고안은 외형은 종래의 통발(200)과 동일하나 본고안의 통발 본체(100)는 미끼인 게가 통발내부의 외륜부에서만 활동하는 공간을 형성한 속망을 별도로 형성해 포획 대상인 낚지는 통발의 외륜부에 활거하는 게를 보면서 통발 주위를 따라 돌다가, 바깥은 넓으나 안쪽으로는 좁아지도록 그물망을 엮어 통발 본체 몸통외륜부에 3-4개씩 형성한 유인구를 통과해 포획된 낚지가 속망 중앙부에만 머물고 미끼인 게는 속망과 분리된 체 통발의 외륜부에만 계속 활거하기 때문에 미끼인 게를 단 한점의 허실 없는 상태로 낙지가 포획되도록 한 매우 경제적인 낙지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지잡이통발
본 고안은 낙지잡이통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낙지나 문어등을 잡는 포획도구로는 도 4에 참고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통발의 외측방에 형성된 3개의 유인구(誘引口)와 상측부에는 배출자루 등이 형성된 종래의 장어잡이통발로 내부에 낙지의 주요 미끼인 게를 다량 넣은 체 입수시켜 낙지를 포획하는 도구로 사용했지만,가령 한 마리의 낙지가 유인구를 통해 포획된 후에는 통발내부에 잔존한 미끼의 전부를 먹어치워 버리는 결과로 그 이후로는 낙지를 유인할 미끼가 없어지게 되어 다량의 미끼를 사용하고서도 1-2마리의 낙지밖에 잡지 못해 미끼값도 못치루는 경우가 허다 하였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 한것으로서, 이를 위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로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는 위와같은 종래의 통발을 이용한 낙지잡이통발의 구조를 개선해 고가의 미끼인 게는 단 하나의 허실도 없는 상태에서 다량의 낙지를 포획할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처럼 게를 주로 사용하는 미끼의 잔존여부를 확인할 필요도 없이 장시간 물속에 넣은 경우에도 미끼의 허실없이 다량의 낙지가 포획되므로서, 어업농가에 막대한 이익이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통발의 내부구조를 크게 개선한 통발 본체를 제공하고자 하는것으로서, 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외형은 종래의 통발(200)과 동일하나 본 고안에 따른 통발의 본체(100)는 미끼인 게가 통발내부의 외륜부에서만 활동하는 공간 때문에, 포획 대상인 낙지는 통발의 외륜부를 따라 활거하는 게를 보면서 통발 주위를 따라 돌다가, 바깥은 넓으나 안쪽으로는 좁아지도록 그물망을 엮어 통발 본체 몸통외륜부에 3-4개씩 형성한 유인구를 통과해 포획된 낙지가 속망(5)에만 머물고 미끼인 게는 속망(5)과 분리된체 통발의 외륜부에만 활거하기 때문에 미끼인 게는 단 한점의 허실 없는 상태로 남고 낙지가 포획되도록한 매우 경제적인 낙지잡이용 통발을 고안하고자 함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인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그물종막의 배치를 나타낸 일부생략 횡단면도
도 3 은 도 2의 일부생략 A-A선 사용상태참고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통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상테
1':하테 2:간격테
3;3':보강테 4;4';4:유인구(誘引口)
5:속망 6:묶음줄
7:겉망 8:걸고리
9:배출자루 10:미끼투입틈새
200:종래의 통발
도1과 도2에 도시된바와 같이 일정 직경길이의 보강테(3;3')로 보강된 상테(1)와 하테(1') 외륜부에 일정높이의 간격테(2) 6개를 용접한 프레임에 자루형 어망을 씌워 몸통 외륜부에 유인구(4;4';4)를 형성한 본체(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주면의 겉망(7) 안쪽으로 일정 공간이 형성 되도록 본체(100)의 상하방 어망에 속망(5)을 엮고 일부 유인구(4;4') 사이의 속망(5) 엮음부는 미끼투입구(10)로 틈새를 마련하며,속망(5) 중간 높이를 찢어 각 유인구(4;4';4)의 내측 병목부를 진입해 각 유인구(4;4'4)의 병목부를 묶음줄(6)로 팽팽하게 엮어 만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통발 본체(100)는 도1내지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체(100)내에 미끼를 투입할때는 배출자루(9)의 걸고리(8)를 풀고 어망을 느슨히 한다음, 본체(100)의 상방에 엮어진 속망(5)의 일측에 마련된 틈새인 미끼투입틈새(10)를 통해 미끼를 투입한 체 다시 배출자루(9)를 졸라맨후, 걸고리(8)를 하테(1')에 걸어 팽팽히 조이면 상기 미끼투입틈새(10)가 졸아들어 투입된 미끼는 본체(100)의 내주면과 속망(5)사이에 마련된 공간부에서만 활거 하게 되어 이의 포식자인 낙지는 미끼에는 근접할수 없게 되고,겉망(7)주변을 배회 하다가 유인구(4;4';4)를 통해 본체(100)내로 유도되어 본체내의 속망(5)에 형성된 중앙부로 포획되어 모아져 있도록 된 것으로, 병목처럼 형성된 유인구(4;4'4)를 통해서는 다시 외부로 빠질수 없어 미끼는 한점도 허실되지 않은체, 다량의 낙지를 유도 포획할 수 있도록 된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 작용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 작용효과로는 먼저 종래처럼 다량의 미끼인 게를 투여하고도 1-2마리의 낙지를 잡는데 그쳤으나 본 고안에 따라 포획도구인 통발 본체(100)의 겉망(7)과 속망(5)사이인 내주연부의 일정 공간부에서만 미끼인 게가 활동하므로서, 이의 포식자인 낙지의 눈에 띄기 쉽고 더욱이 근접한 낚지를 피하기 위해 미끼의 활동이 더욱 활발하게 움직여 본체의 내주연인 속망(5)과 겉망(7)사이의 공간에만 활발하게 배회하는 것이다. 따라서, 적은량의 미끼를 사용하고서도 다량의 미끼를 투입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체(100)의 내주연에 배회하는 미끼를 따라 유도된 낙지는 겉망(7)의 내주연에 형성된 유인구(4;4';4)를 통해 속망(5)의 내부로 유도되어 미끼에는 근접할 수 없이 포획되기 때문에, 소량의 미끼로도 다량의 낙지를 유인 포획할 수 있는 도구로서 낙지잡이의 원가가 절감되어 어업농가에 이익을 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것이다.

Claims (1)

  1. 일정 직경길이의 보강테(3;3')로 보강된 상테(1)와 하테(1') 외륜부에 일정높이의 간격테(2) 6개를 용접한 프레임에 자루형 어망을 씌워 몸통 외륜부에 유인구(4;4';4)를 형성한 본체(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주면에 일정 공간이 형성 되도록 본체(100)의 상하방 어망에 속망(5)을 엮고 일부 유인구(4;4') 사이의 속망(5) 엮음부는 미끼투입구(10)로 틈새를 마련하며, 속망(5) 중간 높이를 찢어 각 유인구(4;4';4)의 내측 병목부를 진입해 각 유인구(4;4'4)의 병목부를 묶음줄(6)로 팽팽하게 엮어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잡이통발.
KR2019980028172U 1998-12-29 1998-12-29 낙지잡이통발 KR19990014314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172U KR19990014314U (ko) 1998-12-29 1998-12-29 낙지잡이통발
KR2019990002404U KR19990017675U (ko) 1998-12-29 1999-02-13 낙지잡이용통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172U KR19990014314U (ko) 1998-12-29 1998-12-29 낙지잡이통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14U true KR19990014314U (ko) 1999-04-26

Family

ID=547550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172U KR19990014314U (ko) 1998-12-29 1998-12-29 낙지잡이통발
KR2019990002404U KR19990017675U (ko) 1998-12-29 1999-02-13 낙지잡이용통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404U KR19990017675U (ko) 1998-12-29 1999-02-13 낙지잡이용통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1431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0294A (zh) * 2018-08-15 2018-11-27 昆山市恒达精密机械工业有限公司 蟹笼自动打圈焊接一体机
KR102029761B1 (ko) * 2018-04-12 2019-10-08 차창수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KR20190124025A (ko) * 2018-04-25 2019-11-04 박상우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580B1 (ko) * 2008-09-22 2011-06-15 황정용 낙지 포획용 통발
KR200459958Y1 (ko) * 2009-08-10 2012-04-25 황정용 낙지 포획용 통발
KR102147622B1 (ko) * 2020-03-02 2020-08-24 김민찬 미끼통 및 이를 구비하는 통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761B1 (ko) * 2018-04-12 2019-10-08 차창수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KR20190124025A (ko) * 2018-04-25 2019-11-04 박상우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CN108890294A (zh) * 2018-08-15 2018-11-27 昆山市恒达精密机械工业有限公司 蟹笼自动打圈焊接一体机
CN108890294B (zh) * 2018-08-15 2024-03-29 昆山市恒达精密机械工业有限公司 蟹笼自动打圈焊接一体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75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580B1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US3497989A (en) Shellfish trap
KR102029761B1 (ko)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KR19990014314U (ko) 낙지잡이통발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US5207017A (en) Marine life traps
KR200449587Y1 (ko) 낙지잡이용 통발
JP4629708B2 (ja) 貝類の養殖篭
KR20110008689U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KR20070001093U (ko) 낙지잡이용 통발
KR20110007483A (ko)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KR102503851B1 (ko)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KR19990017674U (ko) 낙지잡이용통발장치
CN208175873U (zh) 一种农业害虫诱捕水灯装置
KR200158825Y1 (ko) 새우잡이 통발
KR20210020287A (ko) 어로용 통발
CN207870153U (zh) 一种果蝇诱杀装置
KR200244845Y1 (ko) 통발의 미끼 투입구
US5119584A (en) Aquatic animal trap
CN220630755U (zh) 一种绿色防控农业害虫诱捕器
CN211064742U (zh) 一种树木害虫阻隔捕捉装置
CN210726482U (zh) 一种实蝇诱捕器
CN218043348U (zh) 一种防虫害诱虫捕杀器
KR102147622B1 (ko) 미끼통 및 이를 구비하는 통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