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851B1 -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 Google Patents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851B1
KR102503851B1 KR1020200170313A KR20200170313A KR102503851B1 KR 102503851 B1 KR102503851 B1 KR 102503851B1 KR 1020200170313 A KR1020200170313 A KR 1020200170313A KR 20200170313 A KR20200170313 A KR 20200170313A KR 102503851 B1 KR102503851 B1 KR 102503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 unit
unit
artificial bait
l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969A (ko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파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파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파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20017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8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6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other than flat, or substantially flat, undulating bodies, e.g. plu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외력에 따른 바늘 분리가 가능하여 인조미끼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는, 미끼 형상을 갖는 루어부와, 루어부의 말단부에 장착되는 바늘유닛과, 루어부와 바늘유닛을 차례로 관통하며 바늘유닛 외부로 노출된 바늘심과, 바늘유닛의 외부로 노출된 바늘심에 결합되어 바늘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Artificial bait with detachable needle}
본 발명은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에 따른 바늘 분리가 가능하여 인조미끼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바늘에 미끼를 끼워 물고기를 낚는 방식으로, 생계수단 또는 취미활동으로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초기에는 주로 생미끼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물고기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인조미끼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낚시로 잡을 수 있는 물고기도 점차 다양해지면서, 오징어, 낙지, 문어, 주꾸미 등을 낚기 위한 두족류 전용 인조미끼 등도 개발되고 있다.
두족류는 척추가 없고 몸이 연한 연체동물로 다리가 머리에 달려있는 동물의 한 종류로, 이러한 두족류를 낚기 위해 미끼 후미에 여러 개의 낚시바늘이 매달린 인조미끼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인조미끼는 재질, 형상,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가격도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다. 통상 인조미끼는 물고기를 유인하는 루어(lure)부와 낚시바늘이 일체로 형성되어, 낚시바늘이 바위 등에 걸리게 되면 인조미끼 전체를 잃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인조미끼에서 가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루어부까지 잃어버릴 경우 경제적 손실이 크며, 낚시바늘과 루어부가 함께 물속에 있을 경우 지나가던 물고기가 이를 물고 물속에서 죽을 수도 있어 생태계 파괴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5827호(2018. 07. 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력에 따른 바늘 분리가 가능하여 인조미끼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는, 미끼 형상을 갖는 루어부; 상기 루어부의 말단부에 장착되는 바늘유닛과, 상기 루어부와 상기 바늘유닛을 차례로 관통하며 상기 바늘유닛 외부로 노출된 바늘심과, 및 상기 바늘유닛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바늘심에 결합되어 상기 바늘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한다.
상기 바늘심은, 상기 바늘유닛의 외부로 노출된 끝단부가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늘유닛을 통과하여 이탈 가능한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캡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바늘유닛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는, 상기 루어부 내부에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바늘심이 관통하되 상기 확장부가 통과하지 못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스토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늘유닛은, 상기 루어부에 고정되며 상기 바늘심이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형 구조의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낚시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어부는, 내부에 유인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유인제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루어부는, 상기 바늘심에 각각 관통되는 복수 개의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망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늘심은, 상기 루어부 외부로 노출되며 낚시줄이 연결되는 전단부가 굴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바늘이 물 속에서 장애물에 걸린 경우 낚시바늘만 루어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인조미끼 전체를 분실하지 않고 낚시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낚시바늘은 물고기가 잡힌 경우에는 분리되지 않으나, 바위와 같은 단단한 장애물에 걸린 경우에만 분리될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태계 파괴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낚시바늘이 분리되더라도 루어부가 낚시줄로부터 이탈할 수 없도록 하여, 낚시바늘이 분리되더라도 인조미끼 전체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루어부를 이루는 몸체가 그물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유인제(예를 들어, 먹이, 형광물질 등의 미끼) 등을 수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확장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의 사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1)는 낚시줄(10)끝단에 매여 물 속으로 던져져 물고기 등을 유인하고 걸어 잡기 위한 낚시 도구이다.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1)는 무게추(20)와 함께 낚시줄(10)에 연결되며, 무게추(20)의 무게 조절에 의해 물 속의 위치가 조절된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두족류를 낚기 위한 인조미끼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권리범위가 두족류용 인조미끼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일반 어류나 기타 낚시로 낚을 수 있는 생물을 위한 인조미끼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1)는, 미끼 형상을 갖는 루어부(100)와, 루어부(100)의 말단부에 장착되는 바늘유닛(120)과, 루어부(100)와 바늘유닛(120)을 차례로 관통하며 바늘유닛(120) 외부로 노출된 바늘심(130)과, 바늘유닛(120)의 외부로 노출된 바늘심(130)에 결합되어 바늘유닛(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캡(140)을 포함한다.
루어부(100)는 주꾸미 등과 같은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한 부분으로 인조미끼(1)의 몸체(102)를 형성한다. 루어부(100)는 두족류가 먹이로 오인할 수 있도록 먹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두족류가 좋아하는 색상(예를 들어, 형광색 등)으로 도색될 수 있다. 루어부(100)의 몸체(102)는 제1 몸체(102a)와 제2 몸체(102b)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 상에는 몸체(102)를 일체로 도시하거나 제1 몸체(102a)와 제2 몸체(102b)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제1 몸체(102a)과 제2 몸체(102b)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며,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몸체(102a)와 제2 몸체(102b)를 단일 몸체(102)로 도시하였다.
루어부(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두족류의 먹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각종 유인제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0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몸체(102)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는 제1 몸체(102a)와 제2 몸체(102b)가 결합되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제1 몸체(102a)와 제2 몸체(102b)를 분리하면 유인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01)이 개방될 수 있다.
특히, 제2 몸체(102b)는 외측면에 수용공간(101)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103)이 형성된다. 배출홀(103)은 수용공간(101)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통로가 되며, 유인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02) 내부에 수용되는 유인제가 액체로 이루어지거나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 한 두개의 작을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교적 확산 정도가 느린 유인제를 사용할 경우 제2 몸체(102b)를 망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몸체(102a)와 제2 몸체(102b)는 서로 나사 결합되거나 자력을 이용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배출홀(103)은 몸체(102)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낚시 대상이 되는 어류 또는 두족류 등의 습성에 따라 그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배출홀(103)은 루어부(100)의 몸체(102)를 통과하여 물이 흐르도록 복수 개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관통될 수 있으며, 몸체(102)가 망체로 이루어질 경우 전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루어부(100)에 수용되는 유인제는 물에 확산되는 형광제와 같이 두족류의 시각을 자극하는 물질일 수도 있으며, 떡밥이나 젓갈류 등과 같이 후각 등을 자극하는 물질일 수 있다.
바늘유닛(120)은 두족류가 걸려 잡히는 부분으로, 루어부(100)의 일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늘유닛(120)은 루어부(100)의 끝단부에 바늘심(130)에 의해 고정되며 일정 한도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루어부(100)로부터 이탈한다.
바늘유닛(120)은 루어부(100)의 끝단에 고정되는 중공형의 튜브체(121)와, 튜브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낚시바늘(122)로 구성된다. 튜브체(121)는 중앙부가 관통 형성된 중공관 형상으로, 낚시바늘(122)과 루어부(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낚시바늘(122)은 복수 개의 후크부가 튜브체(12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튜브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낚시바늘(122)은 후크부가 루어부(100)를 향하여 굴절될 수 있다. 즉, 두족류의 사냥 특성상 두족류가 루어부(100)를 잡고 후퇴할 때 걸릴 수 있도록 후크부가 루어부(100) 전방을 향하도록 굴절될 수 있다.
한편, 루어부(100)와 바늘유닛(120)은 바늘심(130)에 의해 고정된다. 바늘심(130)은 일단부가 낚시줄(10)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루어부(100)와 바늘유닛(1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바늘유닛(120) 외부로 노출된다. 바늘심(130)은 바늘유닛(120)과 낚시줄(10)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루어부(100)와 바늘유닛(120)을 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함께 한다.
바늘심(130)은 루어부(100)와 바늘유닛(120)의 튜브체(121)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즉, 바늘심(130)은 외력이 작용하면 바늘유닛(120)과 루어부(100) 중앙을 쉽게 이탈할 수 있다. 이때, 바늘심(130)이 너무 쉽게 이탈할 수 없도록 고정캡(140)이 바늘심(130) 끝단부에 결합되고, 바늘심(130)이 루어부(100)를 완전히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부재(110)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심(130)은 금속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루어부(100)의 전방으로 삽입되고 바늘유닛(12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늘심(130)은 낚시줄(10)에 연결되고 루어부(1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전방부가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고, 루어부(100)와 바늘유닛(120)을 관통하는 부분은 직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바늘심(130)은 인조미끼 전체를 지지하는 중심축 역할을 하며, 굴절부는 루어부(100)와 바늘유닛(120)이 수평방향을 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고, 직선부분은 루어부(100)와 바늘유닛(120)으로 쉽게 통과하고 쉽게 이탈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바늘심(130)은 바늘유닛(120)에 일정 한도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고정캡(140)을 이탈하여 바늘유닛(1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바늘심(130)은 끝단부가 확장되어 단면적이 넓어지는 확장부(131)가 형성된다. 확장부(131)는 바늘심(130)의 직경보다 커지는 형태가 되며, 고정캡(140)이 걸려 쉽게 이탈할 수 없도록 한다. 확장부(131)는 바늘심(130) 외주면 전체가 확장된 형태일 수도 있고, 일단부가 눌려 납작하게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고정캡(140)은 확장부(131)를 감싸며 고정되어 바늘심(130)이 바늘유닛(120)을 통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캡(140)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이나 경도를 조절하여 확장부(131)로부터 이탈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캡(140)은 내부에 확장부(131)를 수용하는 수용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41)은 입구보다 내부가 더 넓은 형태로 이루어져 확장부(131)가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확장부(131)는 외경이 튜브체(12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정캡(140)이 분리되면, 튜브체(121)를 통과하여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캡(140)은 확장부(131)가 삽입된 채로 일단부가 튜브체(1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확장부(131)와 튜브체(121) 사이에 탄성 재질의 고정캡(140)이 지지하고 있어, 바늘심(130)이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루어부(100) 내측 수용공간(101)에는 스토퍼부재(110)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재(110)는 바늘심(130)이 통과하는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홀(111)의 내경은 확장부(13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장부(131)는 튜브체(121)를 통과하여 루어부(100) 내부를 통과하며 스토퍼부재(110)에 걸려 더 이상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토퍼부재(110)는 바늘심(130)이 루어부(100)를 완전히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늘유닛(120)이 루어부(100)로부터 이탈하는 한계 외력은 확장부(131)의 형상이나 크기 그리고 고정캡(140)의 재질이나 수용홈(141)의 직경 등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의 동작 과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의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확장부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의 사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바늘유닛에 외력이 우측으로 가해지는 모습이고, 도 3의 (b)는 바늘유닛에 외력이 가해진 후의 모습이며, 도 4의 (a)는 도 3의 (a)의 확장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b)의 확장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와 도 4의 (a)를 참조하면,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1)가 두족류를 낚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바늘유닛(120)에 두족류가 낚여 후방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고정캡(140)이 바늘심(130)에 고정되어 있어 두족류는 바늘유닛(120)에 걸려서 빠져 나올 수 없다. 즉, 두족류가 낚시바늘(122)에 걸려 움직이는 상태이거나 두족류가 낚시바늘(122)에 걸린 상태에서 물 밖으로 끌려 나오더라도 고정캡(140)은 바늘심(13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도 3의 (b)와 도 4의 (b)를 참조하면,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1)가 바위 등에 걸려 바늘유닛(120)이 이탈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바늘유닛(120)에 일정 한도 이상의 외력이 가해져, 바늘심(130)이 바늘유닛(120)을 이탈하게 된다. 고정캡(140)에 삽입되어 있던 확장부(131) 또한 고정캡(140)의 수용홈(14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고정캡(140)은 확장부(131)의 이탈 방향을 따라 유연하게 형상이 변하여, 확장부(131)가 고정캡(140)을 빠져나올 수 있다. 바늘심(130)은 바늘유닛(120)을 이탈하여 루어부(100) 속으로 이동하며, 스토퍼부재(110)에 걸린 상태로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122)이 바위와 같은 장애물에 걸린 경우 바늘유닛(120)에 작용하는 힘은 두족류가 걸려서 잡혔을 때보다 현저하게 큰 힘이 작용한다. 예를 들어, 낚시바늘(122)이 바위와 같은 장애물에 걸리면, 낚시를 하는 사람은 낚시대를 강하게 당기게 되며 그 힘은 바늘심(130)을 통하여 고정캡(140)에 작용하게 된다.
고정캡(140)은 설정된 힘 이상이 작용하면 바늘심(130)의 확장부(131)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바늘심(130)은 바늘유닛(120)을 통과하여 루어부(100)의 스토퍼부재(110)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바늘유닛(120)은 고정캡(140)과 함께 루어부(100)로부터 분리되며, 루어부(100)는 바위와 같은 장애물로부터 자유롭게 이탈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루어부(100)는 회수가 가능해지며 여분의 바늘유닛(120)과 고정캡(140)이 장착되면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10: 낚시줄
20: 무게추 30: 연결고리
100: 루어부 101: 수용공간
102: 몸체 102a: 제1 몸체
102b: 제2 몸체 103: 배출홀
110: 스토퍼부재 111: 관통홀
120: 바늘유닛 121: 튜브체
122: 낚시바늘 130: 바늘심
131: 확장부 140: 고정캡
141: 수용홈

Claims (8)

  1. 미끼 형상을 갖는 루어부;
    상기 루어부의 말단부에 장착되는 바늘유닛;
    상기 루어부와 상기 바늘유닛을 차례로 관통하며 상기 바늘유닛 외부로 노출된 바늘심; 및
    상기 바늘유닛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바늘심에 결합되어 상기 바늘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되,
    상기 바늘심은, 상기 바늘유닛의 외부로 노출된 끝단부가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늘유닛을 통과하여 이탈 가능한 확장부를 포함하는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바늘유닛을 지지하는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부 내부에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바늘심이 관통하되 상기 확장부가 통과하지 못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스토퍼부재를 더 포함하는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유닛은, 상기 루어부에 고정되며 상기 바늘심이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형 구조의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낚시 바늘을 포함하는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부는, 내부에 유인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유인제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 미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부는, 상기 바늘심에 각각 관통되는 복수 개의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망체 구조로 형성된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 미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심은, 상기 루어부 외부로 노출되며 낚시줄이 연결되는 전단부가 굴절된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KR1020200170313A 2020-12-08 2020-12-08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KR102503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313A KR102503851B1 (ko) 2020-12-08 2020-12-08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313A KR102503851B1 (ko) 2020-12-08 2020-12-08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969A KR20220080969A (ko) 2022-06-15
KR102503851B1 true KR102503851B1 (ko) 2023-02-27

Family

ID=8198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313A KR102503851B1 (ko) 2020-12-08 2020-12-08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253B1 (ko) * 2023-10-10 2024-03-07 (주)앵글러즈 코리아 천연어피를 구비한 낚시용 인조미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565B2 (ja) 1998-09-29 2000-04-1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短絡保護回路
JP2001148966A (ja) 1999-11-22 2001-06-05 Hiroshi Matsuda センターロツク疑似餌、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専用テグスの加工、製造方法。
KR200484089Y1 (ko) * 2015-08-03 2017-07-28 신승호 루어 낚시용 인조 미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565U (ja) * 1996-07-12 1997-01-28 敦朗 大島 深海イカ漁用疑似餌
JPH11266744A (ja) * 1998-03-23 1999-10-05 Shiko Tokeshi イカ釣り用の疑似餌
KR101875827B1 (ko) 2016-08-25 2018-07-06 정경희 낚시용 인조미끼
KR20190130244A (ko) * 2018-05-14 2019-11-22 김성대 생미끼 삽입형 루어
KR20200000292U (ko) * 2018-07-27 2020-02-05 김화규 루어 바늘
KR20200000563U (ko) * 2020-02-20 2020-03-11 이병운 변형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565B2 (ja) 1998-09-29 2000-04-1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短絡保護回路
JP2001148966A (ja) 1999-11-22 2001-06-05 Hiroshi Matsuda センターロツク疑似餌、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専用テグスの加工、製造方法。
KR200484089Y1 (ko) * 2015-08-03 2017-07-28 신승호 루어 낚시용 인조 미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969A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9497B2 (en) Fishing lure assembly
US5299378A (en) Fishing lure
US7971387B2 (en) Support device for a fishing lure or bait
US6557293B2 (en) Fish lure
US8938907B2 (en) Anti-snag fishing device
KR200492799Y1 (ko) 두족류 생미끼 채비
US20190082667A1 (en) Bait sleeve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US20220240492A1 (en) Fishing lure
US20130318859A1 (en) Weighted keeper and hook apparatus for anglers
JP2017518773A (ja) 疑似餌システム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US4976060A (en) Weedless fish lure
US5505015A (en) Fishing lure
KR102503851B1 (ko)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US20110035987A1 (en) Fishing lure and accessory
US9420773B2 (en) Swim bait
US5950351A (en) Fishing lure
US8826585B2 (en) Fishing hook assembly
US4763436A (en) Lure dressing with hook guard
US20090151220A1 (en) Hook assembly
US20130247443A1 (en) Swim Bait
US11627731B1 (en) Articulated exoskeleton bait holder/protector and hook device
AU2006319730B2 (en) Baitfish holder fishing jig
US10609911B1 (en) Fish attra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