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093U - 낙지잡이용 통발 - Google Patents

낙지잡이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093U
KR20070001093U KR2020070014049U KR20070014049U KR20070001093U KR 20070001093 U KR20070001093 U KR 20070001093U KR 2020070014049 U KR2020070014049 U KR 2020070014049U KR 20070014049 U KR20070014049 U KR 20070014049U KR 20070001093 U KR20070001093 U KR 200700010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trap
side support
frame
support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연주
Original Assignee
고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연주 filed Critical 고연주
Priority to KR2020070014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1093U/ko
Publication of KR20070001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09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4Fixed nets with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지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링 및 하부링에 연직하게 연결된 소정간격의 측면지지봉을 둔 통발프레임을 그물망으로 전체적으로 감싸되 상기 그물망의 측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측면지지봉 사이에 각각 외광내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낙지유인구가 연속하여 배열되도록 하여 통발의 외측에는 입구부만이 존재하게 되어 포획된 낙지의 발이 측면지지봉이 형성하는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외부요인에 의해 발이 잘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낙지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은, 내부에 낙지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놓아 낙지를 포획하는 낙지잡이용 통발에 있어서, 상하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이 구비되고, 소정간격으로 상기 상부링 및 상기 하부링에 연직하게 연결된 측면지지봉이 구비된 통발프레임과; 상기 통발프레임을 전체적으로 감싸되 낙지를 포획하도록 측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측면지지봉 사이에 각각 외광내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낙지유인구가 연속하여 배열되도록 구비되고, 상부에는 개폐되는 포획낙지배출구가 구비된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발, 낙지, 통발프레임, 그물망, 낙지유인구, 포획낙지배출구

Description

낙지잡이용 통발{TRAP FOR COMMON OCTOPUS}
본 고안은 낙지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링 및 하부링에 연직하게 연결된 소정간격의 측면지지봉을 둔 통발프레임을 그물망으로 전체적으로 감싸되 상기 그물망의 측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측면지지봉 사이에 각각 외광내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낙지유인구가 연속하여 배열되도록 하여 통발의 외측에는 입구부만이 존재하게 되어 포획된 낙지의 발이 측면지지봉이 형성하는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외부요인에 의해 발이 잘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낙지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낙지를 포획하는 방법은 낚시대를 이용한 주낚의 방법과, 내부에 낙지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넣은 통발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의 방법 중 주낚에 의해 낙지를 잡는 방법이 성행하였으나, 최근에는 장어잡이용 통발 내부에 낙지의 주요 미끼인 게 등을 넣어 낙지를 포획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의 장어잡이용 통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링(1a)과 하부링(1b)에 연직하게 연결된 통상 6개의 측면지지봉(1c)을 둔 통발프레임(1)을 그물망(2)으로 전체적으로 감싸되 상기 그물망(2)의 측면에는 포획된 장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보다 확보하기 위해 6개의 상기 측면지지봉(1c) 사이에 통상 3개의 외광내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장어유인구(2a)를 상호 연속하지 않게 배열하여 왔다.
즉, 도 2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발의 외측이 장어유인구(2a)가 구비된 입구부(I)와 그물망(2)으로 둘러진 측벽부(W)가 교대로 배치되도록 하여 왔다.
이러한, 장어잡이용 통발을 그대로 미끼만을 바꾸어 낙지잡이용 통발로 사용해 왔는데 8개의 긴 발을 가지고 있고 벽에 붙는 것을 선호하는 낙지의 특성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W)의 외측으로 발이 노출되어 수확을 위해 통발을 거두어 들이는 경우에 있어서나, 거두어 드린 통발들을 임시 보관하는 경우에 있어서 바위나 통발 상호간에 부딪히는 등 외부요인에 의해 포획된 낙지의 발이 잘려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발프레임의 측면지지봉 사이에 각각 외광내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낙지유인구가 연속하여 배열되도록 하여 통발의 외측에 입구부만이 존재하게 되어 포획된 낙지의 발이 측면지지봉이 형성하는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외부요인에 의해 발이 잘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낙지잡이용 통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은, 내부에 낙지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놓아 낙지를 포획하는 낙지잡이용 통발에 있어서, 상하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이 구비되고, 소정간격으로 상기 상부링 및 상기 하부링에 연직하게 연결된 측면지지봉이 구비된 통발프레임과; 상기 통발프레임을 전체적으로 감싸되 낙지를 포획하도록 측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측면지지봉 사이에 각각 외광내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낙지유인구가 연속하여 배열되도록 구비되고, 상부에는 개폐되는 포획낙지배출구가 구비된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은, 통발프레임의 측면지지봉 사이에 각각 외광내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낙지유인구가 연속하여 배열되도록 하여 통발의 외측에 입구부만이 존재하게 되어 포획된 낙지의 발이 측면 지지봉이 형성하는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외부요인에 의해 발이 잘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일실시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은, 통발프레임(10)과, 그물망(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발프레임(10)은, 상하 이격된 상부링(11) 및 하부링(12)이 구비되고 소정간격으로 상기 상부링(11) 및 상기 하부링(12)에 연결된 측면지지봉(13)이 구비되어 있다.
낙지를 포획하기 위한 용도로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지지봉(13)의 개수는 4개를 소정간격으로 두고 이웃하는 상기 측면지지봉(13) 사이에 각각 연속하여 4개의 낙지유인구(21)를 두는 것이 바람직한 개수이지만,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통발처럼 6개의 측면지지봉(13)을 두고 그에 대응되도록 6개의 낙지유인구(21)를 연속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통발은 통발의 외측에 입구부(I)와 측벽부(W)가 교대로 배치되는 관계로 상기 측면지지봉(13)의 개수가 짝수개로 한정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에서는 통발의 외측에 입구부(I)만이 존재하는 관계로 상기 측면지지봉(13)의 개수가 홀수 개이든 짝수개이든 관계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통발프레임(10)에는 상기 상부링(11) 및 상기 하부링(12)의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미끼 내지는 미끼통을 장착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링보강봉(14) 및 하부링보강봉(15)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발프레임(10)은 내부에 낙지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장착하고 포획된 낙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통발의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며 통발의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그물망(20)은, 상기 통발프레임(10)을 전체적으로 감싸되 낙지를 포획하도록 측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측면지지봉(13) 사이에 각각 외광내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낙지유인구(21)가 연속하여 배열되도록 구비되고, 상부에는 개폐되는 포획낙지배출구(22)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낙지유인구(21)의 바깥측 넓은 구멍을 통하여 낙지가 일단 내부로 들어오면 내부의 좁은 구멍을 통해서는 다시 외부로 나갈 수 없게 되어 낙지가 포획되고, 낙지가 포획되면 포획낙지배출구(22)를 개방하여 포획된 낙지를 수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낙지유인구(21)를 이웃하는 상기 측면지지봉(13) 사이에 연속하여 배열되도록 하여 통발의 외측에 입구부(I)만이 존재하게 됨으로써 도 3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된 낙지의 발이 통발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낙지유인구(21)를 통해서는 돌출될지언정 측면지지봉(13)이 형성하는 외주면 외측으로는 돌출되지 않아 외부요인에 의해 발이 잘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장어잡이용 통발은 포획된 장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보다 확보하기 위해 상기 장어유인구(2a)를 연속하여 배열하지 않고 통발의 외측에 입구부(I)와 측벽부(W)를 교대로 배치하였지만 이를 낙지잡이용 통발로 전용하여 사용하는 데에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포획된 낙지의 발이 잘려나가는 등 문제점이 많이 발생되고, 몸이 유연하고 8개의 긴발을 가지고 있므며 벽에 달라붙는 것을 선호하는 낙지에 있어서는 포획된 낙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은 큰 문제가 되지 않고, 오히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지유인구(21)가 연속하여 배열되어 낙지가 달라붙기 위한 그물망의 면적은 종래의 장어잡이용 통발보다 더 넓어져 낙지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보다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일실시예에 따른 낙지잡이용 통발의 평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통발프레임
11 상부링
12 하부링
13 측면지지봉
14 상부링보강봉
15 하부링보강봉
20 그물망
I 입구부
W 측벽부
21 낙지유인구
22 포획낙지배출구

Claims (1)

  1. 내부에 낙지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놓아 낙지를 포획하는 낙지잡이용 통발에 있어서,
    상하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이 구비되고, 소정간격으로 상기 상부링 및 상기 하부링에 연직하게 연결된 측면지지봉이 구비된 통발프레임과;
    상기 통발프레임을 전체적으로 감싸되 낙지를 포획하도록 측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측면지지봉 사이에 각각 외광내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낙지유인구가 연속하여 배열되도록 구비되고, 상부에는 개폐되는 포획낙지배출구가 구비된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잡이용 통발.
KR2020070014049U 2007-08-24 2007-08-24 낙지잡이용 통발 KR200700010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049U KR20070001093U (ko) 2007-08-24 2007-08-24 낙지잡이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049U KR20070001093U (ko) 2007-08-24 2007-08-24 낙지잡이용 통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093U true KR20070001093U (ko) 2007-10-10

Family

ID=4155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049U KR20070001093U (ko) 2007-08-24 2007-08-24 낙지잡이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109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87Y1 (ko) * 2008-05-14 2010-07-22 고연주 낙지잡이용 통발
KR102112500B1 (ko) * 2019-05-30 2020-05-19 이종철 복합 통발
US20220046905A1 (en) * 2018-12-12 2022-02-17 Innomar As Fish po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87Y1 (ko) * 2008-05-14 2010-07-22 고연주 낙지잡이용 통발
US20220046905A1 (en) * 2018-12-12 2022-02-17 Innomar As Fish pot
KR102112500B1 (ko) * 2019-05-30 2020-05-19 이종철 복합 통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KR101142075B1 (ko) 민물거북 생포용 덫
KR102029064B1 (ko)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KR102029761B1 (ko)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CA2951946A1 (en) Crab pot
KR20070001093U (ko) 낙지잡이용 통발
KR101384136B1 (ko) 접이식 어패류 포획용 통발
US6739087B2 (en) Garden pest trap
KR200446750Y1 (ko)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KR200449587Y1 (ko) 낙지잡이용 통발
KR19990014314U (ko) 낙지잡이통발
KR100775966B1 (ko) 물고기용 통발
KR200435353Y1 (ko) 물고기용 통발
ES2356635T3 (es) Trampa para atrapar plagas de insectos de bosques, jardín y agrícolas y método para atrapar y almacenar plagas de insectos de bosques, jardines y agrícolas.
KR20110008689U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CN107306911B (zh) 一种可以捕鱼的鱼护
JP6742146B2 (ja) ボウフラストッパー
KR102642628B1 (ko) 뱀 포획틀
WO2006054275A9 (en) Fish trap element
CN216722777U (zh) 诱捕福寿螺装置
KR102230146B1 (ko)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KR200286707Y1 (ko) 조류포획용 트랩
CN211064742U (zh) 一种树木害虫阻隔捕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