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146B1 -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 Google Patents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146B1
KR102230146B1 KR1020200075681A KR20200075681A KR102230146B1 KR 102230146 B1 KR102230146 B1 KR 102230146B1 KR 1020200075681 A KR1020200075681 A KR 1020200075681A KR 20200075681 A KR20200075681 A KR 20200075681A KR 102230146 B1 KR102230146 B1 KR 10223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p
catching
capture
catcher
beeh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만호
Original Assignee
송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만호 filed Critical 송만호
Priority to KR102020007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는,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말벌 포획부; 상기 말벌 포획부로 말벌이 진입하기 위한 말벌 입구부; 및 빛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빛을 통과하는 망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말벌 포획부와 체결되어 설치되고, 말벌을 상기 말벌 입구부로 유도하기 위한 말벌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말벌 포획부는, 상기 말벌 포획부의 윗면을 이루는 포획 상면부; 상기 말벌 포획부의 측면을 이루는 포획 측면부; 및 상기 말벌 포획부의 아랫면을 이루고 상기 벌통 위에 놓이는 포획 하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말벌 포획부 및 상기 말벌 입구부는 상기 벌통 윗면에 설치된다. 상기 말벌 유도부는 상기 말벌 포획부와 체결되어 상기 벌통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벌통 전면의 개방공간에 상기 투과되거나 통과한 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본 발명은 말벌 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말벌은 양봉업자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말벌은 꿀벌을 주요 먹이로 한다. 말벌은 매년 8월부터 9월 사이에 가장 극성을 부리는 데, 하루에 수 천 마리가 양봉장에 출현하여 꿀벌들을 공격한다. 이러한 말벌의 공격으로부터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 양봉업자들은 벌통에 접근하는 말벌을 잠자리채로 잡고 있다. 또한, 양봉업자들은 끈끈이를 벌통 주변에 놓거나, 말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그물망을 씌워서 말벌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66750호에는 포획망 내부에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 포획기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인액을 이용한 말벌 포획기는 유인액으로 유인된 말벌만을 포획하도록 되어 있어서 말벌이 직접 벌통의 꿀벌들을 공격해 사냥해 가는 것을 막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유인액 포획방식은 유인액 성분이 공기 중에서 증발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 수록 유인액 향이 달아나 포획율이 떨어지고 유인액을 매번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6024호는 유인액을 사용하지 않고, 벌통 입구에 탐색비행실과 포획실을 형성하는 말벌 포획기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는 꿀벌 사냥을 위해 탐색비행하는 말벌이 탐색비행실 안으로 들어오도록 하여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등록특허는 탐색비행실로 인해 벌통 내부에 있는 꿀벌들의 외부 활동이 심각하게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8379호는 탐색비행실을 없애고 꿀벌 출입구에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말벌 포획기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는 말벌의 상승비행 습성과 빛에 민감한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등록특허 제10-2108379호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벌통(11)의 전면에 말벌 포획기(12)가 설치된다. 햇빛이 말벌 포획기(12)을 통해 개방공간까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등록특허는 말벌 포획기(12)의 구조물이나 말벌의 죽은 사체로 인해, 개방공간까지 충분한 햇빛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충분한 빛이 개방공간에 제공되도록 말벌의 죽은 사체를 매번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꿀벌의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고, 탐색비행실이라는 장애물로 인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며, 말벌 사체를 매번 제거하지 않더라도 개방공간에 충분한 빛이 제공될 수 있는 말벌 포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는,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말벌 포획부; 상기 말벌 포획부로 말벌이 진입하기 위한 말벌 입구부; 및 빛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빛을 통과하는 망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말벌 포획부와 체결되어 설치되고, 말벌을 상기 말벌 입구부로 유도하기 위한 말벌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말벌 포획부는, 상기 말벌 포획부의 윗면을 이루는 포획 상면부; 상기 말벌 포획부의 측면을 이루는 포획 측면부; 및 상기 말벌 포획부의 아랫면을 이루고 상기 벌통 위에 놓이는 포획 하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말벌 포획부 및 상기 말벌 입구부는 상기 벌통 윗면에 설치된다. 상기 말벌 유도부는 상기 말벌 포획부와 체결되어 상기 벌통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벌통 전면의 개방공간에 상기 투과되거나 통과한 빛을 제공한다.
예로서, 상기 말벌 입구부는 말벌이 상기 말벌 포획부로 진입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말벌 포획부로 진입 후에 말벌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입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벌 유도부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말벌 포획부는 서랍식으로 구성되며 죽은 말벌을 제거하기 위한 말벌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벌 포획부는 상기 말벌 제거부 위에 말벌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말벌의 상승 비행하는 습성과 빛에 민감한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는 꿀벌 출입구 앞에서 말벌의 상승 비행과 꿀벌의 자유 비행을 위한 충분한 개방 공간을 제공함으로, 말벌의 포획율을 높이고 꿀벌의 꿀 생성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는 빛을 차단하는 말벌 사체를 매번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말벌 사체로 인한 빛 차단이 없어 항상 일정한 포획율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는 말벌 포획부 내 살아있는 말벌로 인한 꿀벌들의 스트레스가 없고, 말벌 포획부에 갇힌 말벌을 꿀벌들이 방어적으로 공격하여 발생되는 꿀벌의 희생이 없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등록특허 제10-2108379호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말벌 포획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의 진입 가이드와 말벌 유도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의 말벌 입구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말벌 포획 시스템에 말벌 채집통이 포함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 시스템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의 말벌 포획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100)은 벌통(110) 및 말벌 포획기(120)를 포함한다. 벌통(110)에는 꿀벌이 출입할 수 있는 꿀벌 출입구(111)가 있다. 말벌 포획기(120)는 벌통(11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120)는 말벌의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말벌은 꿀벌을 주요 먹이로 하여 번식을 한다. 말벌은 에너지원인 꿀벌을 사냥하기 위해 벌통 입구면으로 모여든다. 말벌은 꿀벌 출입구(111)가 있는 벌통 입구면 주위를 비행하면서 꿀벌을 사냥한다.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120)는 꿀벌을 사냥하기 위해 꿀벌 출입구(111) 주위를 비행하는 말벌의 비행 습성을 연구 관찰하고 수많은 포획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것이다.
연구 관찰에 의하면, 말벌은 다음과 같은 비행 습성을 갖는다. 첫째로, 말벌은 꿀벌을 사냥할 때 탐색을 목적으로 상승 비행하는 습성을 갖는다. 도 2의 (A)는 말벌이 꿀벌을 사냥하기 위해 상승 비행하는 경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둘째로, 말벌은 빛을 향하여 이동하는 습성을 갖는다. 도 2의 (B)는 빛이 벌통 입구면으로 들어오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말벌은 꿀벌 출입구(111) 주위에서 비행하다가, 벌통 입구면으로 들어오는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빛을 향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120)는 이러한 말벌의 비행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기(120)는 말벌 포획부(121), 말벌 입구부(122), 그리고 말벌 유도부(124)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120)는 말벌의 상승 비행 습성과 빛에 민감한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말벌 포획부(121)는 말벌 입구부(122)를 통해 들어온 말벌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실시 예로서, 말벌 포획부(121)는 말벌은 밖으로 나가지 못하지만, 꿀벌은 나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말벌 포획부(121)는 말벌은 통과할 수 없지만, 꿀벌은 통과할 수 있는 망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로서, 말벌 포획부(121)의 망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이나 옆으로 긴 타원형 모양일 수 있다. 말벌 포획부(121)가 이러한 모양을 가지면, 몸통이 큰 말벌은 통과할 수 없으나, 몸통이 작은 꿀벌은 쉽게 통과할 수 있다. 하지만, 망의 구멍 모양은 정사각형이든 원형이든 꿀벌은 통과되고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조건이면 제한을 받지 않는다
말벌 입구부(122)는 상승 비행하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121)로 들어가는 입구이다. 말벌 입구부(122)는 상승 비행하는 말벌이 쉽게 진입하도록 꿀벌 출입구(111)가 있는 벌통 입구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말벌 입구부(122)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121)로 진입하기 쉽도록 진입 가이드(123)를 구비할 수 있다. 말벌 입구부(122)의 진입 가이드(1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 포획부(121)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진입 가이드(123)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말벌 유도부(124)는 빛에 민감한 말벌을 유인하여 말벌 포획부(121)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말벌 유도부(124)는 빛이 벌통 입구면으로 들어오도록 한다. 말벌 유도부(124)는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제조되거나, 빛이 잘 통과되도록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구멍이 뚫여 있는 망 구조로 될 수 있다. 한편, 말벌 유도부(124)는 빛을 투과하거나 통과하고, 또는 일부 빛을 반사하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말벌 유도부(124)는 빛이 잘 통과하도록 구멍이 뚫여 있는 망 구조로 되어 있고, 구멍 이외의 부분에서 빛을 반사할 수 있다. 말벌은 말벌 유도부(124)에서 반사되는 빛을 따라 말벌 포획기(120)로 유인될 수 있다. 즉, 말벌은 말벌 유도부(124)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반짝거림에 유혹되어 먼 곳에 있더라도 말벌 포획기(120)로 유인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말벌 포획기(120)는 말벌 포획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의 진입 가이드와 말벌 유도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200)은 벌통(210) 및 말벌 포획기(22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220)는 말벌 포획부(221), 말벌 입구부(222), 그리고 말벌 유도부(224)를 포함한다. 도 2와 비교하면, 도 3의 말벌 포획기(220)는 진입 가이드(223)와 말벌 유도부(224)가 다름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진입 가이드(223)는 도 2와 같이 반드시 두 개의 진입 가이드(123)로 구성되고 내부로 갈수록 양방향에서 좁아지는 구조를 가질 필요는 없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 가이드(223)는 하나로 구성되고, 한 방향만 경사지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말벌 유도부(224)는 도 2의 경사형과 달리, 수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말벌 유도부(224)는 수직형 외에도 수직형의 직각 부분을 라운드 처리한 곡선형이나, 계단식으로 구현한 계단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의 말벌 입구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300)은 벌통(310) 및 말벌 포획기(32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320)는 말벌 포획부(321), 말벌 입구부(322), 그리고 말벌 유도부(324)를 포함한다. 도 2와 비교하면, 도 4의 말벌 포획기(320)는 말벌 입구부(322)가 다름을 알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말벌 입구부(322)는 도 2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 입구부(322)는 벌통 입구면 앞쪽에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말벌 입구부(322)는 도 4의 경사형과 달리, 벌통 입구면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말벌 입구부(322)의 위치, 모양, 그리고 진입 가이드(323)의 수와 배치는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말벌 포획 시스템에 말벌 채집통이 포함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400, 500)은 벌통(410, 510), 말벌 포획기(420, 520), 그리고 채집통(430, 530)을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420, 520)는 채집통(430, 530)을 이용하여 살아 있는 말벌을 채집할 수 있다. 채집통(430, 530)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말벌 포획기(420, 52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채집통(430)은 연결관(431), 제 1 체결부(432), 그리고 제 2 체결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채집통(430)은 도 5와 같이 벌통(410) 옆의 지면에 설치되거나, 말벌 포획기(42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채집통(430)은 연결관(431)을 통해 말벌 포획기(420)에 연결될 수 있다. 말벌 포획기(420)에 포획된 말벌은 연결관(431)를 통해 채집통(430)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 1 체결부(432)는 볼트 체결이나 마개 또는 뚜껑 등과 같은 방식으로 채집통(430)에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체결부(433)도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말벌 포획기(42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채집통(530)은 연결관(531), 제 1 체결부(532), 그리고 제 2 체결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체결부(432)는 볼트 체결 등과 같은 방식으로 채집통(530)에 체결될 수 있다. 제 2 체결부(533)는 도 5와 달리, 말벌이 연결관(531)으로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하거나 깔때기를 뒤집어 놓은 모양으로 말벌 포획기(520)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는 벌통 입구면에서 꿀벌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하, 개방 공간이라 함)을 형성할 수 있다. 개방 공간은 꿀벌 출입구 앞에 형성되며, 꿀벌이 벌통에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 꿀벌은 꿀벌 출입구를 통해 하루에도 수십번씩 벌통 밖으로 나가 꿀을 얻는다. 그리고 꿀벌은 시각과 냄새를 통해 자신의 벌통을 기억하고, 꿀벌 출입구를 통해 벌통 안으로 들어온다.
꿀벌이 벌통에 들어올 때 꿀벌 출입구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특히 시각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꿀벌은 꿀벌 출입구 앞에 있는 장애물로 인해 벌통에 들어오고 나갈 때, 심한 비행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꿀벌은 이러한 비행 스트레스로 인해 활동에 제한을 받고, 꿀벌의 생활 환경이나 꿀을 얻는 활동 및 여왕벌의 산란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는 꿀벌 출입구 앞에 개방 공간을 형성함으로, 꿀벌이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말벌 포획기는 말벌의 충분한 상승 비행 공간을 제공함으로, 보다 많은 말벌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에서와 같이, 말벌이 갇히는 말벌 포획기(12)가 꿀벌들이 드나드는 꿀벌의 출입구 바로 위에 형성되는 경우, 포획실 내부의 살아있는 말벌로 인해 꿀벌들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포획실에 갇혀 살아있는 말벌을 꿀벌들이 본능적으로 공격하거나 방어하는 과정에서 꿀벌들이 희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는 벌통의 윗면에 설치됨으로, 위의 문제를 방지하고 꿀벌이 말벌 포획부로 들어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꿀벌 출입구 앞에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는 충분한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말벌 포획부, 말벌 입구부, 그리고 말벌 유도부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조립식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는 말벌의 상승 비행 습성과 빛에 민감한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는 꿀벌 출입구 앞에서 말벌의 상승 비행과 꿀벌의 자유 비행을 위한 충분한 개방 공간을 형성함으로, 말벌의 포획율을 높이고 꿀벌의 꿀 채집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말벌 포획기의 다양한 실시 예 및 변형 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1000)은 벌통(1100)과 말벌 포획기(120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1200)는 벌통(110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말벌 포획기(1200)는 말벌 포획부(1210), 말벌 입구부(1220), 그리고 말벌 유도부(123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1200)는 말벌의 상승 비행(A)과 빛 민감성(B)을 이용하여 말벌을 말벌 포획부(1210) 내에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말벌 포획기(1200)는 꿀벌의 자유 비행(C)을 위한 충분한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말벌 포획부(1210)는 말벌 입구부(1220)를 통해 들어온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말벌 포획부(1210)는 포획 상면부, 포획 측면부, 그리고 포획 하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포획 상면부는 말벌 포획부(1210)의 윗쪽 면으로, 말벌 포획기(1200)의 일종의 뚜껑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말벌 포획부(1210) 내에 포획된 말벌은 포획 상면부을 열고 제거할 수 있다. 포획 하면부는 말벌 포획부(1210)의 아랫쪽 면으로, 벌통(1100) 위에 놓여지는 부분이다.
포획 측면부는 말벌 포획기(1200)의 모양에 따라 원기둥이나 복수의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말벌 포획부(1210)는 4개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꿀벌 출입구(1110)가 있는 면은 포획 정면부, 그 반대면은 포획 배면부, 포획 정면부의 우측면은 포획 우측부, 좌측면은 포획 좌측부라고 부르기로 한다.
말벌 입구부(1220)는 포획 정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말벌 입구부(1220)는 진입 가이드의 수와 배치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 입구부(1220)는 말벌 포획부(120) 내부로 갈수록 중앙 부분에서 좁아지는 >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말벌 입구부(1220)는 진입 가이드에 따라 < 모양, ∠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말벌 입구부(1220)는 상승 비행하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1210)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말벌 입구부(1220)는 제 1 및 제 2 진입 가이드(1221, 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진입 가이드(1221)는 포획 하면부에서 중앙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진입 가이드(1222)는 제 1 진입 가이드(1221)의 위쪽에 위치하고 포획 상면부에서 중앙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입 가이드(1221, 1222)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1210) 내로 진입하기 쉽도록 진입 유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입 가이드(1221, 1222)는 말벌의 진입 방향을 유도하고, 말벌의 비행 공간을 제한하여 말벌 포획부(1210) 내에 포획된 말벌이 다시 나가지 못하도록 탈출 방지 역할을 할 수 있다.
말벌 유도부(1230)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1210)로 들어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말벌 유도부(1230)는 빛이 벌통 입구면으로 들어오도록 한다. 말벌 유도부(1230)는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제조되거나, 빛이 잘 통과되도록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구멍이 뚫여 있는 망 구조로 될 수 있다. 한편, 말벌 유도부(1230)는 빛을 투과하거나 통과하고, 또는 일부 빛을 반사하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말벌 유도부(1230)는 빛이 잘 통과하도록 구멍이 뚫여 있는 망 구조로 되어 있고, 구멍 이외의 부분에서 빛을 반사할 수 있다. 말벌은 말벌 유도부(1230)에서 반사되는 빛을 따라 말벌 포획기(1200)로 유인될 수 있다. 즉, 말벌은 말벌 유도부(1230)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반짝거림에 유혹되어 먼 곳에 있더라도 말벌 포획기(1200)로 유인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말벌 포획기(1200)는 말벌 포획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말벌 유도부(12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져서 포획 상면부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말벌 유도부(1230)는 경첩(1240)을 통해 포획 상면부와 체결될 수 있다. 말벌 유도부(1230)는 개방 공간으로 빛이 가장 잘 들어오는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말벌 유도부(1230)는 벌통 입구면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1200)는 말벌 유도부(1230)를 포획 상면부 위에 접혀지게 함으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말벌 유도부(1230)와 포획 상면부의 크기는 같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말벌 유도부(1230)가 항상 포획 상면부와 같은 크기를 갖는 것은 아니며, 더 크게 하거나 작게 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말벌 포획기(1200)는 일체형 구조를 갖거나 조립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말벌 포획기(1200)가 조립형 구조를 갖는 경우에, 청소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부피를 줄여서 보관을 쉽게 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1200)는 포획 상면부, 포획 측면부, 그리고 포획 하면부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말벌 포획기(1200)는 포획 측면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포획 상면부 또는 포획 하면부를 슬롯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말벌 포획기(1200)는 제 1 및 제 2 진입 가이드(1221, 1222)를 포획 우측면이나 포획 좌측면으로 빼내거나 삽입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2000)은 벌통(2100)과 말벌 포획기(220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2200)는 벌통(210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말벌 포획기(2200)는 말벌 포획부(2210), 말벌 입구부(2220), 그리고 말벌 유도부(2230)를 포함한다.
말벌 유도부(223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말벌 포획기(2200)는 끼움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말벌 유도부(2230)는 끼움부(2240)를 이용하여 소정의 경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말벌 포획기(2200)는 말벌 유도부(2230)를 경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 개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 꿀벌의 자유 비행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한편, 끼움부(2240)는 힌지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하도록 함으로, 말벌 유도부(223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3000, 4000)은 벌통(3100, 4100)과 말벌 포획기(3200, 420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3200, 4200)는 벌통(3100, 410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말벌 포획기(3200, 4200)는 말벌 포획부(3210, 4210), 말벌 유도부(3230, 4230), 그리고 이탈 방지부(3240, 4240)를 포함한다.
이탈 방지부(3240, 4240)는 말벌 유도부(3230, 4230)의 양쪽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3240, 4240)는 말벌 유도부(3230, 3230)가 말벌 포획부(3210, 4210)에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부(3240, 4240)는 말벌이 말벌 포획부(3210, 4210)로 진입하도록 유도하고, 진입하는 과정에서 말벌 유도부(3230, 4230)의 양쪽 측면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3240, 4240)는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3240)는 말벌 입구부 앞에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4240)는 말벌 유도부(4230)의 양쪽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5000)은 벌통(5100)과 말벌 포획기(5200)를 포함한다. 말벌 포획기(5200)는 벌통(510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말벌 포획기(5200)는 말벌 포획부(5210), 말벌 유도부(5230), 그리고 말벌 제거부(5240)를 포함한다.
말벌 제거부(5240)는 말벌 포획부(5210)의 포획 배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말벌 제거부(5240)는 서랍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말벌 제거부(5240)가 서랍식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서랍처럼 화살표 방향으로 넣고 빼낼 수 있다. 말벌 포획부(5210) 내에 말벌들이 쌓이면 말벌 제거부(5240)를 꺼내서 포획된 말벌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말벌 제거부(5240)가 반드시 포획 배면부에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포획 정면부, 포획 좌측부, 포획 우측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기(5200)는 말벌 차단판(5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말벌 차단판(5250)은 슬롯식으로 말벌 포획부(5210)에 넣거나 빼낼 수 있다. 말벌 포획부(5210) 내에는 살아있는 말벌과 죽은 말벌이 공존할 수 있다. 죽은 말벌들은 아래로 떨어지고, 살아있는 말벌들은 위에서 비행할 수 있다. 말벌 포획부(5210)에서 죽은 말벌을 제거하려고 할 때, 살아있는 말벌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말벌 포획부(5210)에서 죽은 말벌을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때 말벌 차단판(5250)을 이용하면 죽은 말벌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평소에 말벌 차단판(5250)을 빼놓고 있다가, 죽은 말벌을 제거할 때 삽입을 한다. 말벌 차단판(5250)을 삽입을 하면, 죽은 말벌과 살아 있는 말벌은 말벌 차단판(525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죽은 말벌은 말벌 제거부(5240)에만 남게 된다. 또한, 말벌 제거부(5240)를 말벌 포획부(5210)로부터 빼낼 때, 말벌 차단판(5250)은 살아 있는 말벌의 공격을 막고 탈출을 차단해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 시스템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말벌 포획 시스템(6000)은 복수의 벌통(6101, 6102, 6103)과 복수의 말벌 포획기(6201, 6202, 6203)를 포함한다. 각각의 말벌 포획기(6201, 6202, 6203) 사이에는 포획기 연결판(6241, 6242)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말벌 포획기(6201)는 제 1 벌통(6101) 위에 설치되고, 제 2 말벌 포획기(6202)는 제 2 벌통(6102) 위에 설치되고, 제 3 말벌 포획기(6203)는 제 3 벌통(6103)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말벌 포획기(6201, 6202) 사이에는 제 1 포획기 연결판(6241)이 설치되고, 제 2 및 제 3 말벌 포획기(6202, 6203) 사이에는 제 2 포획기 연결판(6242)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포획기 연결판(6241, 6242)는 조립식 또는 체결식으로 제 1 내지 제 3 말벌 포획기(6201, 6202, 6203)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 시스템(6000)은 복수의 말벌 포획기(6201, 6202, 6203) 사이를 포획기 연결판(6241, 6242)으로 연결함으로, 상승 비행하는 말벌이 말벌 포획기(6201, 6202, 6203)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고 말벌 포획부 내부로 들어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획기 연결판(6241, 6242)를 통해 말벌 채집율을 높일 수 있다.
말벌은 꿀벌을 잡기 위해 꿀벌 출입구가 있는 개방 공간으로 모여든다. 말벌은 꿀벌을 잡기 전에 상승 비행하는 습성이 있다. 또한, 말벌은 빛에 민감하여 빛을 향하여 상승 비행한다. 말벌 포획기는 이러한 말벌의 습성을 이용하여 말벌을 말벌 출입구로 유인하고, 말벌 포획부에 여러 가지 기하학적 구조물(예를 들면, 진입 가이드 등)을 이용하여 말벌을 포획한다. 포획된 말벌은 포획 상면부를 통해 제거하거나(뚜껑식), 또는 포획 배면부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서랍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말벌 포획기는 유인액을 사용하지 않고도 많은 양의 말벌을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는 빛을 잘 투과하거나 빛의 일부를 반사하여 반짝거리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벌통의 꿀벌 출입구 앞에 개방 공간을 제공함으로, 말벌의 상승 비행으로 인한 말벌 포획율을 높이고, 꿀벌의 자유 비행으로 인한 꿀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말벌 포획기는 벌통 위에 설치된다. 말벌 포획기가 벌통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개방공간으로 향하는 빛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말벌 포획부나 말벌 유도부를 철망이나 나일론과 같은 저렴한 그물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반면에,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말벌 포획기(12)는 벌통(11) 전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빛이 투과되거나 통과할 수 있는 고가의 소재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말벌 포획 시스템 110: 벌통
111: 꿀벌 출입구 120: 말벌 포획기
121: 말벌 포획부 122: 말벌 입구부
123: 진입 가이드 124: 말벌 유도부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말벌 포획 시스템
1100, 2100, 3100, 4100, 5100, 6101, 6102, 6103: 벌통
1200, 2200, 3200, 4200, 5200, 6201, 6202, 6203: 말벌 포획기
1210, 2210, 3210, 4210, 5210: 말벌 포획부
1220, 2220: 말벌 입구부
1230, 2230, 3230, 4230, 5230: 말벌 유도부
1240: 경첩부
2240: 끼움부
3240: 4240: 이탈 방지부
5240: 말벌 제거부
5250: 말벌 차단판

Claims (5)

  1.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고, 말벌을 포획하기 위한 말벌 포획부;
    말벌이 상기 말벌 포획부로 진입하도록 유도하고, 말벌이 상기 말벌 포획부로 진입 후에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말벌 입구부; 및
    상기 말벌 포획부와 체결되어 설치되고, 말벌을 상기 말벌 입구부로 유도하기 위한 말벌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말벌 포획부는,
    상기 말벌 포획부의 윗면을 이루는 포획 상면부;
    상기 말벌 포획부의 측면을 이루는 포획 측면부; 및
    상기 말벌 포획부의 아랫면을 이루고 상기 벌통 위에 놓이는 포획 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벌 포획부 및 상기 말벌 입구부는 상기 벌통 윗면에 설치되고,
    상기 포획 측면부는,
    꿀벌 출입구가 있는 면에 위치하는 포획 정면부;
    상기 포획 정면부의 반대면을 이루는 포획 배면부;
    상기 포획 정면부의 우측면을 이루는 포획 우측부; 및
    상기 포획 정면부의 좌측면을 이루는 포획 좌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벌 입구부는 상기 포획 정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말벌 유도부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판형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빛을 통과하는 망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재 또는 망구조로 이루어진 말벌 유도부 아래의 상기 벌통의 전면에는 개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투과되거나 통과한 빛을 상기 벌통 전면의 개방공간에 제공하는 말벌 포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유도부는 경첩을 통해 상기 포획 상면부와 체결되고, 접혀진 경우에 상기 포획 상면부 위에 위치하는 말벌 포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유도부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는 말벌 포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포획부는 서랍식으로 구성되며 죽은 말벌을 제거하기 위한 말벌 제거부를 포함하는 말벌 포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포획부는 상기 말벌 제거부 위에 말벌 차단판을 포함하는 말벌 포획기.
KR1020200075681A 2020-06-22 2020-06-22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KR102230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81A KR102230146B1 (ko) 2020-06-22 2020-06-22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81A KR102230146B1 (ko) 2020-06-22 2020-06-22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146B1 true KR102230146B1 (ko) 2021-03-19

Family

ID=7526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681A KR102230146B1 (ko) 2020-06-22 2020-06-22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1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37Y1 (ko) * 2014-09-01 2016-07-28 주식회사 대동금속 말벌 포획기
KR20180125411A (ko) * 2018-11-05 2018-11-23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말벌포획기
KR20190038703A (ko) * 2017-09-29 2019-04-09 한석윤 벌통용 단열 패널
KR102029064B1 (ko) * 2018-12-04 2019-10-07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KR102108379B1 (ko) * 2019-11-04 2020-05-14 송만호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37Y1 (ko) * 2014-09-01 2016-07-28 주식회사 대동금속 말벌 포획기
KR20190038703A (ko) * 2017-09-29 2019-04-09 한석윤 벌통용 단열 패널
KR20180125411A (ko) * 2018-11-05 2018-11-23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말벌포획기
KR102029064B1 (ko) * 2018-12-04 2019-10-07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KR102108379B1 (ko) * 2019-11-04 2020-05-14 송만호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tch A simplified type of funnel trap for reptiles
KR101966024B1 (ko) 말벌포획기
US7632167B1 (en)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KR102029064B1 (ko)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SE455460B (sv) Anordning for infangning av barkborrar
KR200446750Y1 (ko)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Eberhard The natural history and behaviour of the wasp Trigonopsis cameronii Kohl (Sphecidae)
JP4505542B1 (ja) 鱗翅目昆虫防除器
KR20190045031A (ko)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KR102108379B1 (ko)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KR102230146B1 (ko)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US10076108B2 (en) Insect trap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24000845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pest denial, apiary monitoring and management
US20210386048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KR101934779B1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JP6178681B2 (ja) 野生動物捕獲システム
KR200489335Y1 (ko) 먹이 유인부가 구비된 유해 동물 트랩
KR20210053778A (ko)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US11304409B2 (en) Murder hornet excluder
EP3878276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JP2005168488A (ja) 捕虫装置
KR200435146Y1 (ko) 말벌포살기
KR20230076651A (ko) 말벌 포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