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411A - 말벌포획기 - Google Patents

말벌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411A
KR20180125411A KR1020180134497A KR20180134497A KR20180125411A KR 20180125411 A KR20180125411 A KR 20180125411A KR 1020180134497 A KR1020180134497 A KR 1020180134497A KR 20180134497 A KR20180134497 A KR 20180134497A KR 20180125411 A KR20180125411 A KR 20180125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apturing
washer
capturing chamber
pla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024B1 (ko
Inventor
송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송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송만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말벌포획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13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02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024B1/ko
Priority to EP19882940.0A priority patent/EP3878276A4/en
Priority to CN201980072077.0A priority patent/CN112996385A/zh
Priority to US17/288,977 priority patent/US20210386048A1/en
Priority to PCT/KR2019/014873 priority patent/WO20200963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Abstract

본 발명은 말벌로 인한 양봉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말벌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 유인액으로 말벌을 유인하여 일부의 말벌만이 포획되는 방식과는 달리, 꿀벌의 벌통입구에 탐색비행실과 포획실을 형성하여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탐색비행실 안으로 들어오면 포획실하부에 개방된 입구를 통해 진입되어 포획실에 갇히게 되는 구조로, 말벌의 꿀벌사냥 전단계인 탐색비행에서 모두 포획되는 특징이 있으며, 벌통입구에 말벌진입방지부를 형성하여 말벌로부터 꿀벌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꿀벌을 사냥하여 애벌레에게 끊임없이 먹이를 공급, 양육하는 말벌의 번식싸이클 핵심개체들을 포획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서, 말벌개체수 증가를 막는 것은 물론, 말벌의 번식싸이클을 붕괴시켜 말벌로 인한 종래의 막대한 양봉피해를 해결하고, 꿀벌개체수의 증가로 생태계에서 꿀벌이 지니는 이로운 역할을 확대시켜 양봉농가의 소득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말벌포획기이다.

Description

말벌포획기 {Wasp Capturing Device}
본 발명은 말벌로 인한 양봉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말벌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는 유인제를 포획틀 안에 넣어 유인액으로 말벌을 유인하여 잡는 구조로 된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등록번호 20-0446750)", "말벌 포획기 (등록번호 20-0480937)" 등이 있다.
종래기술의 공통점은 유인액으로 말벌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종래방식의 문제점은 말벌을 유인제로 유인하여 포획틀 안에 들어가도록 하는 방식이어서 포획틀 안에 들어가는 말벌이 일부에 불과하여 실효성이 없다는 데에 있다.
또한, 주변 꿀벌의 벌통에서 말벌이 자유롭게 꿀벌을 사냥하는 상태로 놓여져 심각한 양봉피해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유인액으로 유인하여 포획하는 방식이나 유인제를 접착제에 발라 말벌이 앉으면 붙게 되는 종래기술의 방식 등은 일부의 말벌만이 포획되므로, 대부분의 말벌이 벌통에서 꿀벌을 쉽게 사냥하여 먹이를 공급받게 된다.
말벌개체수가 나날이 증가하여 매년 양봉피해가 커지고 있는 사실만 보아도 유인액을 사용하는 종래기술의 방식은 말벌개체수 증가를 막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으며, 유인제 방식에 대한 무용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유인액은 먼 거리의 말벌들까지 꿀벌의 벌통으로 불러들여 벌통이 초토화되는 등 역기능의 문제가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유인액의 향이 날아가 유인제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자주 유인액을 교환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부담까지 지니고 있다.
유인액을 포획틀 안에 넣고 유인제로 유인하여 말벌을 잡는 종래기술의 방식에서 포획율이 매우 떨어지는 이유는, 말벌이 꿀벌의 벌통에서 자유롭게 사냥할 수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이다.
벌통에 말벌의 먹이감이 되는 꿀벌들이 무수히 많이 모여있고, 쉽게 꿀벌을 사냥할 수 있기에 말벌이 종래기술의 방식인 유인제로 유인되어 포획틀 안에 들어가는 말벌의 숫자가 매우 적다는 뜻이다.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와 종래기술의 유인제 방식 포획틀을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에 85%의 말벌이 포획되었고 종래기술의 유인제 방식 포획틀에는 15%의 말벌이 포획되었는데, 이러한 실험결과만 보아도 잘 알 수가 있다.
등검은말벌의 주먹이원 80%가 꿀벌이고, 말벌은 주변의 벌통에서 언제든지 쉽게 꿀벌사냥이 가능하여 번식을 위해 꿀벌을 잡아 말벌의 애벌레 양식으로 먹이게 되므로서 말벌이 급격하게 증가된다.
말벌은 양봉농가로부터 번식에 필요한 먹이감을 쉽게 얻고, 말벌에 의해 사냥되는 꿀벌은 말벌의 번식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공급되어 말벌개체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말벌과 꿀벌의 먹이사슬은 매년 말벌개체수의 증가로 이어져 과다한 꿀벌의 손실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고, 매년 양봉농가의 피해가 심각하게 확대되어 등검은말벌이 생태계교란종으로 입법추진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유인액을 넣은 포획틀로 말벌을 유인하여 잡는 종래기술의 방식으로는 포획율이 적어 빠른 속도로 번식되고 증가하는 말벌의 개체수를 감소시킬 수가 없는데, 꿀벌을 사냥하여 애벌레에게 잡은 꿀벌을 먹여 양육시키는 말벌은 번식싸이클의 주요개체들이므로 이러한 주요개체들의 포획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양봉농가의 피해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말벌로 인한 양봉피해의 문제와 기술적 과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말벌의 먹이가 되어 사라지는 막대한 꿀벌개체수의 손실을 막고, 생태계를 위협하는 말벌의 번식싸이클을 붕괴시켜 말벌개체수 증가를 차단하는 기술이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양봉피해의 문제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 말벌의 번식싸이클을 효과적으로 붕괴시켜 말벌개체수를 감소시키는 말벌포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말벌의 번식싸이클에서 꿀벌이 주된 에너지원이므로, 말벌이 양봉농가의 벌통에서 꿀벌을 사냥하기 위해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으로 비행하는 단계에서 말벌을 포획하는 특징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유인액을 사용하여 말벌을 포획하는 게 아니라 꿀벌을 사냥하기 위해 벌통입구로 날아들며 탐색비행하는 말벌들을 포획하므로, 이러한 말벌들은 꿀벌을 잡아 애벌레에게 먹이로 주고 애벌레를 성장시키며 번식하는 말벌 증가의 주요개체들이므로 말벌의 번식싸이클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말벌의 번식 주요개체들에 대한 포획은, 말벌애벌레의 성장에 필요한 성장 에너지원의 차단이어서, 꿀벌을 잡아 애벌레에게 먹여 말벌개체수가 증가하는 말벌의 번식싸이클이 붕괴된다.
따라서, 말벌의 번식 주요개체들 포획의 기술적인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말벌이 꿀벌을 사냥하는 비행습성을 이해해야 하는데, 말벌의 비행습성은 꿀벌을 잡기 위해 꿀벌의 벌통입구로 접근하여 사냥에 적당한 꿀벌을 탐색하는 비행과정을 갖는다.
이것을 말벌의 탐색비행이라 하는데, 말벌이 벌통입구 전방에서 탐색비행을 하는 이유는, 벌통입구에 꿀벌들이 많이 모여있어 사냥에 가장 용이한 지점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에서 말벌이 꿀벌을 사냥하기 위해 탐색비행하는 단계에서 포획되는 구조와 원리를 갖는데,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재료는 포획된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게 목적이므로,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 또는 판재로 구성되고, 또한 망과 판재를 혼합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한데, 이와 같은 구성재료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도시되는 도면은 편의상 망으로 구성되는 도면임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본체(16)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는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밀착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를 탐색비행실(40), 상부를 포획실(42)로 하고 하부와 상부 경계에 포획실하부를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상방으로 넓어지고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형하부(72)로 구성되고, 상기 포획실하부는 말벌이 탐색비행실(40)에서 탐색비행하며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형하부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좌우 양측에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되고, 탐색비행실(40) 위로는 포획실(42)이 구성되는데, 말벌은 포획실하부 양측에 개방된 포획실입구(46)를 통해 상기 포획실 내부로 진입되고, 포획실은 내부에 갇힌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된 배면프레임(24))이 형성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포획실(42) 상부는 개폐되도록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뚜껑부(48)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6)는 양측단 또는 상단에 고리 등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벌통전면(12)에 고정된다.
상기의 망(14)은 말벌이 통과할 수 없도록 일정한 크기로 통공 형성되는데, 망의 구멍크기가 가로세로 약 5~6mm 정도이면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 말벌이 포획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말벌은 꿀벌을 사냥하기 위해 꿀벌이 모여있는 벌통입구(10)를 향해 탐색비행하게 되고,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본체의 하부 공간인 탐색비행실 안으로 진입된 말벌은 포획실하부의 ∨형하부(72) 아래 면을 따라 비행하면서 포획실하부 양측에 개방된 포획실입구(46)를 통해 포획실(42)로 진입하여 포획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은 위로 개방된 공간이 있으면 날아오르는 말벌의 습성을 이용한 포획원리를 갖고 있다.
포획실(42)에 갇힌 말벌은 위로 날아오르는 습성으로 인해 포획실 아래로 비행하여 포획실입구(46)로 나가지 못하고 포획실 내부 윗쪽 공간에 머물게 되고, 말벌이 간혹 아래로 내려오더라도 바닥에서 기어다닐 때에는 작은 공간을 뛰어넘는 습성을 지니고 있어 포획실에 갇히면 입구로 나오는 게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망(14) 또는 판재(50)로 된 턱부(52)와 지붕판(54)을 포획실입구(46)에 형성할 수 있는데, 양측으로 형성된 상기 포획실입구 가장자리에 일정한 경사를 갖는 턱부(52)를 일정한 높이로 세워 구성하고, 말벌이 양측의 포획실입구(46)를 통과하여 포획실(42) 내부 양측방으로부터 진입되도록 포획실입구 위로 일정한 높이를 이격시킨 지붕판(54)이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은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로 포획이 된다.
본 발명은 포획실(42) 내부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상부통합포획실(62a)을 구성할 수 있는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비행실(40)에서 포획실(42)로 진입한 말벌이 포획실(42) 상부 양측면으로부터 진입되도록 상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64)가 양측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좁아진 윗쪽 끝단과 뚜껑부(48)의 거리는 말벌이 통과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측 경사부(64)의 하방에서 양측 경사부(64)를 잇는 상부통합포획실바닥부(80)가 구성된다.
포획실(42) 내의 말벌은 상부의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상부통합포획실(62a)에 갇히게 되는데, 말벌이 위로 향하는 습성으로 앞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구조로 된 경사부(64)의 윗쪽 끝단 공간으로 진입하여 상부통합포획실에 갇히게 된다.
본 발명은 포획실하부를 ∧형하부(68), 사방경사하부(74), 평면하부(70)로 구성할 수 있는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실하부가 하방으로 넓어지고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형하부(68),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넓어지고 사방에 경사면을 갖는 사방경사하부(74),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하부(70)로 형성된다.
포획실하부로 형성되는 ∧형하부(68), 사방경사하부(74), 평면하부(70)는 말벌이 꿀벌의 벌통입구(10) 전방에서 탐색비행하며 지면과 이격된 탐색비행실(40) 안으로 진입한 후 위로 날아오르는 말벌의 습성에 의해 하부에 형성된 면을 따라 비행하면서 포획실입구(46)를 통과하여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상기 포획실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된다.
말벌이 포획실입구(46)를 통과하여 포획실 내부 양측방으로 진입되도록 상기 포획실입구 가장자리에 일정한 경사를 갖는 턱부(52)를 일정한 높이로 세워 구성하고, 포획실입구 위로 일정한 높이를 이격시킨 지붕판(54)을 형성할 수 있다.
말벌의 포획경로를 점선으로 표시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실입구(46)에 형성되는 턱부와 지붕판은 입구를 간접적으로 차단하고 장애물 역할을 수행하여 말벌의 탈출을 어렵게 하는 이점과 포획실(42) 내부에 별도의 미니포획실 또는 상부통합포획실(62a),(62b)을 구성할 때 포획실로 진입되는 말벌을 양측방으로 보내 상기 미니포획실 또는 상부통합포획실로 신속하게 갇히게 하는 이점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실(42) 내부 상·하 양측에 망(14) 또는 판재(50)로 된 미니포획실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미니포획실은 말벌이 포획실하부 양측면에서 진입되도록 하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의 아래쪽 끝단이 포획실하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하부경사부(58)를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포획실(42) 하부의 좌우 양측에 하부미니포획실(76)이 구성된다.
또한, 말벌이 포획실(42) 상부 양측면에서 진입되도록 상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의 윗쪽 끝단이 뚜껑부(48)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상부경사부((60)를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포획실 상부의 좌우 양측에 상부미니포획실(78)이 구성된다.
포획실(42) 내의 말벌은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통해 하부미니포획실(76) 또는 상부미니포획실(78)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하여 갇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실 내부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상부통합포획실(62b)이 구성될 수 있는데, 말벌이 포획실(42) 상부 양측면으로부터 진입되도록 상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64)가 상·하로 한쌍씩 양측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경사부(64)는 앞이 점점 좁아지는 통발과 같은 형상으로 된 경사구조를 갖고 좁아진 경사부의 상·하 양끝단 거리는 말벌이 통과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한쌍의 경사부(64) 중 윗쪽 경사부의 끝단이 뚜껑부(48)에 밀착되고, 아래쪽 경사부(64)의 하방으로 양측 아래쪽 경사부를 잇는 상부통합포획실바닥부(80)가 구성된다.
포획실(42) 내의 말벌은 위로 향하는 습성으로 상부의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통해 진입하게 되고, 앞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구조로 된 경사부(64)의 상·하 양끝단 공간을 통과하여 상부통합포획실(62b)에 갇히게 된다.
하부미니포획실(76)은 포획실(42) 내에 형성되는 상부통합포획실(62a),(62b)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통합포획실 또는 미니포획실로 진입되어 갇힌 말벌은 공간이 좁으면 좁을 수록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말벌의 특성상 스트레스가 최고조에 이르게 되고 에너지를 신속하게 소진시켜 말벌을 조기에 죽게 하는 이점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6)의 구성에 있어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판재(50)로 형성된 저면부(26a)를 본체(16) 하단에 형성하여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의 하부에 일정한 크기의 탐색비행실입구(38)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있어서 저면부(26a)는 말벌이 탐색비행실(40) 내부로 진입했을 때 아래 공간을 저면부로 차단시켜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말벌이 위로 상승비행하여 포획실입구(46)로 빠르게 진입되도록 돕는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비행실(40)과 포획실(42)이 하나로 형성되는 본체(16)의 구성과,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비행실(40)과 포획실(42)이 각각 분리되어 포획실이 탐색비행실 위에 안착되어 탈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의 분리구조는 말벌이 갇혀있는 포획실(42)만을 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말벌이 벌통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말벌진입방지부(82a),(82b)를 벌통입구(10)에 형성할 수 있는데,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진입방지부(82a)의 배면을 벌통전면(12)에 밀착시켜 상기 탐색비행실(40) 내부에 구성되는 것과,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진입방지부(82b)를 탐색비행실(40) 배면에 구성하여 상기 말벌진입방지부(82b)가 벌통전면(1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탐색비행실 내부에 구성되는 말벌진입방지부(82a)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30), 좌측면부(34), 우측면부(36), 상면부(32)는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간격을 길이로 하는 판재(50)로 된 저면부(26b)를 바닥으로 구성하고, 상기 전면부의 하단은 꿀벌은 출입되고 말벌은 진입할 수 없도록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켜 아래로 꿀벌출입구(84)를 형성하고,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진입방지부(82a)의 배면을 벌통전면(12)에 밀착시켜 상기 말벌진입방지부를 탐색비행실(40) 내부로 구성한다.
상기 탐색비행실 배면에 구성되는 말벌진입방지부(82b)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진입방지부(82a)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도15,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비행실(40) 배면에 구성되는데, 상기 말벌진입방지부(82b) 양측단 또는 상단에 고리 등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벌통전면(12)에 고정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진입방지부(82a),(82b)는 꿀벌의 벌통입구(10)에 형성되어 꿀벌출입구(84)를 통해 크기가 작은 꿀벌은 자유롭게 출입되고 크기가 큰 말벌은 벌통 안으로 진입할 수 없도록 되어있어 꿀벌이 말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이점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프레임(20)과 우측면프레임(22),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포획실의 하부경사부(58)와 상부경사부(60) 양측으로 홈(66)을 형성하여 망(14) 또는 판재(50)가 상기 홈에 끼워져 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부통합포획실의 경사부(64) 또한 양측으로 홈(66)을 형성하여 망(14) 또는 판재(50)가 상기 홈에 끼워져 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홈에 끼워진 망은 쉽게 탈착시킬 수 있어 포획실(42) 내부의 죽은 말벌을 밖으로 손쉽게 꺼내거나 청소하는데 용이한 이점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꿀벌의 벌통으로 날아드는 말벌이 탐색비행 단계에서 포획되므로, 대량으로 말벌포획이 이루어져 말벌로 인한 양봉농가 피해를 해결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말벌의 꿀벌사냥이 이루어지는 벌통입구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꿀벌을 사냥하여 에벌레에게 먹이는 말벌의 번식 주요개체들을 포획하여 말벌의 에벌레 에너지원 공급을 차단하고 말벌개체수를 감소시켜 말벌의 번식싸이클을 붕괴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양봉농가로 날아드는 모든 말벌이 탐색비행 단계에서 포획되므로, 양봉농가의 꿀벌개체수 손실을 막아 꿀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꿀벌개체수를 감소시키는 말벌을 대량 포획하므로서, 꿀벌이 생태계에서 행하는 수많은 이로운 역할을 복원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벌통입구의 말벌진입방지부로 꿀벌이 안전하게 보호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유인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정기적으로 유인제를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유인제 구매에 따르는 경제적 부담없이 말벌을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내부 청소가 쉬운 특징을 갖는다.
도1은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본체 사시도.
도2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과 뚜껑부를 제거한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형하부 사시도.
도3은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형하부 말벌포획기 사시도.
도4는 ∨형하부와 포획실입구에 형성된 턱부, 지붕판에서 말벌이 포획실로 진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정면 단면도.
도5는 말벌이 ∨형하부와 포획실 내부에 형성된 상부통합포획실(62a)로 진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정면 단면도.
도6은 ∧형하부로 이루어진 포획실하부에서 말벌이 포획실로 진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정면 단면도.
도7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 좌측면프레임, 우측면프레임, 뚜껑부의 망을 제거한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사방경사하부 사시도.
도8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 좌측면프레임, 우측면프레임, 뚜껑부의 망을 제거한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평면하부 사시도.
도9는 평면하부와 포획실입구에 형성된 턱부, 지붕판에서 말벌이 포획실로 진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정면 단면도.
도10은 말벌이 평면하부와 포획실 내부에 형성된 하부미니포획실, 상부미니포획실로 진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정면 단면도.
도11은 말벌이 평면하부와 포획실 내부에 형성된 상부통합포획실(62b)로 진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정면 단면도.
도12는 하단에 형성된 저면부와 탐색비행실입구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본체 사시도.
도13은 분리된 탐색비행실과 포획실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사시도.
도14는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에 설치된 본체의 탐색비행실 내부로 형성된 말벌진입방지부(82a)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사시도.
도15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본체의 포획실하부와 배면프레임,뚜껑부가 제거된 탐색비행실의 배면에 말벌진입방지부(82b)가 구성되어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사시도.
도16은 탐색비행실 배면에 말벌진입방지부(82b)를 구성하여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에 설치된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사시도.
도17은 말벌진입방지부(82a),(82b)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사시도.
도18은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에 설치된 본체의 좌측면프레임과 우측면프레임 양측의 홈에 망이 끼워져 탈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사시도.
도19는 하부경사부와 상부경사부 양측의 홈에 망이 끼워져 탈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 사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본체(16)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밀착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를 탐색비행실(40), 상부를 포획실(42)로 하고 하부와 상부 경계에 포획실하부가 형성된다.
상기 포획실하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상방으로 넓어지고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형하부(72)로 구성되고, 상기 포획실하부는 말벌이 탐색비행실(40)에서 탐색비행하며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형하부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좌우 양측에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되고, 탐색비행실(40) 위로는 포획실(42)이 구성되는데, 말벌은 포획실하부의 양측으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를 통해 상기 포획실 내부로 진입되고, 포획실은 내부에 갇힌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배면프레임(24))이 형성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포획실(42) 상부는 개폐되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뚜껑부(48)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6)는 양측단 또는 상단에 고리 등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벌통전면(12)에 고정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로 한다.
포획실하부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하방으로 넓어지고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형하부(68)로 구성되고, 말벌이 꿀벌의 벌통입구(10) 전방에서 탐색비행하며 지면과 이격된 탐색비행실(40) 안으로 진입한 후 위로 날아오르는 말벌의 습성으로 포획실하부를 통과하여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상기 ∧형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로 한다.
포획실하부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하방으로 넓어지고 사방에 경사면을 갖는 사방경사하부(74)로 구성되고, 말벌이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에서 탐색비행하며 지면과 이격된 탐색비행실(40) 안으로 진입한 후 위로 날아오르는 말벌의 습성으로 포획실하부를 통과하여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상기 사방경사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으로 한다.
포획실하부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평면하부(70)로 구성되고, 말벌이 꿀벌의 벌통입구(10) 전방에서 탐색비행하며 지면과 이격된 탐색비행실(40) 안으로 진입한 후 위로 날아오르는 말벌의 습성으로 포획실하부를 통과하여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상기 평면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로 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탐색비행실(40)이 구성되고, 상기 탐색비행실은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밀착되고, 포획실(42)은 내부에 갇힌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배면프레임(24))이 구성되고,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하방으로 넓어지고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형하부(68)로 구성되고, 말벌이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에서 탐색비행하며 지면과 이격된 탐색비행실(40) 안으로 진입한 후 위로 날아오르는 말벌의 습성으로 포획실하부를 통과하여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상기 ∧형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된다.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포획실 상부는 개폐되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뚜껑부(48)가 구성되고, 상기 탐색비행실(40)은 양측단 또는 상단에 고리 등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벌통전면(12)에 고정되고, 포획실은 탐색비행실 위에 안착되어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로 한다.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상방으로 넓어지고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형하부(72)가 구성되고, 상기 ∨형하부는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양측면에서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으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으로 한다.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하방으로 넓어지고 사방에 경사면을 갖는 사방경사하부(74)로 구성되고, 말벌이 꿀벌의 벌통입구 전방에서 탐색비행하며 지면과 이격된 탐색비행실(40) 안으로 진입한 후 위로 날아오르는 말벌의 습성으로 포획실하부를 통과하여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상기 사방경사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으로 한다.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평면하부(70)로 구성되고, 말벌이 꿀벌의 벌통입구(10) 전방에서 탐색비행하며 지면과 이격된 탐색비행실(40) 안으로 진입한 후 위로 날아오르는 말벌의 습성으로 포획실하부를 통과하여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상기 평면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로 한다.
도4,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14) 또는 판재(50)로 된 턱부(52)와 지붕판(54)이 포획실입구(46)에 형성되는데, 상기 포획실하부의 포획실입구(46) 가장자리에 일정한 경사를 갖는 턱부(52)를 일정한 높이로 세워 구성하고, 말벌이 상기 포획실입구를 통과하여 포획실 내부 양측방으로 진입되도록 상기 포획실입구 위로 일정한 높이를 이격시킨 지붕판(54)이 형성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로 한다.
실시예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으로 한다.
실시예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로 한다.
실시예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로 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으로 한다.
실시예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로 한다.
실시예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로 한다.
실시예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으로 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실(42) 내부 상하 양측에 미니포획실이 구성되는데, 상기 미니포획실은 말벌이 포획실(42) 하부 양측면에서 진입되도록 하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의 아래쪽 끝단이 포획실하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하부경사부(58)를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포획실(42) 하부의 좌우 양측에 하부미니포획실(76)이 구성된다.
또한, 말벌이 포획실(42) 상부 양측면에서 진입되도록 상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의 윗쪽 끝단이 뚜껑부(48)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상부경사부((60)를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포획실(42) 상부의 좌우 양측에 상부미니포획실(78)이 구성된다.
포획실 내의 말벌이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통해 하부미니포획실(76) 또는 상부미니포획실(78)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하여 갇히도록 형성된다.
실시예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7로 한다.
실시예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8로 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9로 한다.
실시예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0으로 한다.
실시예1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1로 한다.
실시예1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2로 한다.
실시예1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3으로 한다.
실시예1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4로 한다.
포획실(42) 내부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상부통합포획실(62a)이 구성되는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비행실(40)에서 포획실(42)로 진입한 말벌이 포획실(42) 상부 양측면으로부터 진입되도록 상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64)가 양측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좁아진 윗쪽 끝단과 뚜껑부(48)의 거리는 말벌이 통과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측 경사부(64)의 하방에서 양측 경사부(64)를 잇는 상부통합포획실바닥부(80)가 구성된다.
포획실(42) 내의 말벌은 상부의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상부통합포획실(62a)에 갇히게 되는데, 말벌이 위로 향하는 습성으로 앞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구조로 된 경사부(64)의 윗쪽 끝단 공간으로 진입하여 상부통합포획실에 갇히게 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5로 한다.
실시예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6으로 한다.
실시예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7로 한다.
실시예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8로 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29로 한다.
실시예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0으로 한다.
실시예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1로 한다.
실시예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2로 한다.
실시예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3으로 한다.
실시예1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4로 한다.
실시예1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5로 한다.
실시예1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6으로 한다.
실시예1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7로 한다.
실시예1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8로 한다.
실시예1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39로 한다.
실시예1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0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실 내부에 상부통합포획실(62b)이 구성되는데, 말벌이 포획실(42) 상부 양측면으로부터 진입되도록 상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64)가 상·하로 한쌍씩 양측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경사부(64)는 앞이 점점 좁아지는 통발과 같은 형상으로 된 경사구조를 갖고 좁아진 경사부의 상·하 양끝단 거리는 말벌이 통과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한쌍의 경사부(64) 중 윗쪽 경사부의 끝단이 뚜껑부(48)에 밀착되고, 아래쪽 경사부(64)의 하방으로 양측 아래쪽 경사부를 잇는 상부통합포획실바닥부(80)가 구성된다.
포획실(42) 내의 말벌은 위로 향하는 습성으로 상부의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통해 진입하게 되고, 앞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구조로 된 경사부(64)의 상·하 양끝단 공간을 통과하여 상부통합포획실(62b)에 갇히게 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1로 한다.
실시예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2로 한다.
실시예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3으로 한다.
실시예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4로 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5로 한다.
실시예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6으로 한다.
실시예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7로 한다.
실시예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8로 한다.
실시예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49로 한다.
실시예1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0으로 한다.
실시예1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1로 한다.
실시예1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2로 한다.
실시예1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3으로 한다.
실시예1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4로 한다.
실시예1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5로 한다.
실시예1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6으로 한다.
말벌이 포획실 하부 양측면에서 진입되도록 하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의 아래쪽 끝단이 포획실하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하부경사부(58)를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포획실(42) 하부의 좌우 양측에 하부미니포획실(76)이 구성된다.
실시예2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7로 한다.
실시예2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8로 한다.
실시예2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59로 한다.
실시예2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0으로 한다.
실시예2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1로 한다.
실시예3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2로 한다.
실시예3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3으로 한다.
실시예3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4로 한다.
실시예3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5로 한다.
실시예3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6으로 한다.
실시예3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7로 한다.
실시예3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8로 한다.
실시예3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69로 한다.
실시예3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0으로 한다.
실시예3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1로 한다.
실시예4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2로 한다.
실시예4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3으로 한다.
실시예4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4로 한다.
실시예4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5로 한다.
실시예4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6으로 한다.
실시예4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7로 한다.
실시예4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8로 한다.
실시예4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79로 한다.
실시예4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0으로 한다.
실시예4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1로 한다.
실시예5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2로 한다.
실시예5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3으로 한다.
실시예5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4로 한다.
실시예5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5로 한다.
실시예5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6으로 한다.
실시예5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7로 한다.
실시예5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8로 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6)의 구성에 있어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저면부(26a)가 본체(16) 하단에 형성되고,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 좌측면프레임, 우측면프레임의 하부에 일정한 크기의 탐색비행실입구(38)가 구성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89로 한다.
실시예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0으로 한다.
실시예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1로 한다.
실시예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2로 한다.
탐색비행실(40)의 구성에 있어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저면부(26a)가 탐색비행실(40) 하단에 형성되고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 좌측면프레임, 우측면프레임의 하부에 일정한 크기의 탐색비행실입구(38)가 구성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3으로 한다.
실시예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4로 한다.
실시예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5로 한다.
실시예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6으로 한다.
좌측면프레임(20)과 우측면프레임(22)은 양측으로 홈(66)을 형성하여 상기 홈으로 망(14) 또는 판재(50)를 끼워 탈착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7로 한다.
실시예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8로 한다.
실시예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99로 한다.
실시예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0으로 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1로 한다.
실시예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2로 한다.
실시예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3으로 한다.
실시예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4로 한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포획실의 하부경사부(58)와 상부경사부(60)는 양측으로 홈(66)을 형성하여 상기 홈으로 망(14) 또는 판재(50)를 끼워 탈착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1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5로 한다.
실시예1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6으로 한다.
실시예1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7로 한다.
실시예2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8로 한다.
실시예2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09로 한다.
실시예2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0으로 한다.
실시예2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1로 한다.
실시예2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2로 한다.
상부통합포획실의 경사부(64)는 양측으로 홈(66)을 형성하여 상기 홈으로 망(14) 또는 판재(50)를 끼워 탈착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2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3으로 한다.
실시예2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4로 한다.
실시예2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5로 한다.
실시예2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6으로 한다.
실시예2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7로 한다.
실시예3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8로 한다.
실시예3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19로 한다.
실시예3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0으로 한다.
실시예3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1로 한다.
실시예3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2로 한다.
실시예3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3으로 한다.
실시예3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4로 한다.
실시예3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5로 한다.
실시예3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6으로 한다.
실시예3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7로 한다.
실시예4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8로 한다.
실시예4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29로 한다.
실시예4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0으로 한다.
실시예4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1로 한다.
실시예4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2로 한다.
실시예4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3으로 한다.
실시예4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4로 한다.
실시예4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5로 한다.
실시예4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6으로 한다.
실시예4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7로 한다.
실시예5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8로 한다.
실시예5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39로 한다.
실시예5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0으로 한다.
실시예5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1로 한다.
실시예5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2로 한다.
실시예5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3으로 한다.
실시예5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4로 한다.
도14,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진입방지부(82a)의 전면부(30),좌측면부(34), 우측면부(36), 상면부(32)는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간격을 길이로 하는 판재로 된 저면부(26b)가 바닥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단은 꿀벌은 출입되고 말벌은 진입할 수 없도록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켜 아래로 꿀벌출입구(84)를 형성하고, 상기 말벌진입방지부가 벌통입구(10) 전방으로 벌통전면(12)에 밀착 구성되어 탐색비행실(40) 내부로 구성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5로 한다.
실시예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6으로 한다.
실시예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7로 한다.
실시예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8로 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49로 한다.
실시예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0으로 한다.
실시예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1로 한다.
실시예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2로 한다.
실시예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3으로 한다.
실시예1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4로 한다.
실시예1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5로 한다.
실시예1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6으로 한다.
실시예1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7로 한다.
실시예1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8로 한다.
실시예1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59로 한다.
실시예1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0으로 한다.
도15, 도16,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진입방지부(84b)의 전면부(30), 좌측면부(34), 우측면부(36), 상면부(32)는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간격을 길이로 하는 저면부(26b)가 바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단은 꿀벌은 출입되고 말벌은 진입할 수 없도록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켜 아래로 꿀벌출입구(84)를 형성하고, 탐색비행실(40) 배면에 말벌진입방지부(82b)를 구성하고, 상기 말벌진입방지부는 양측단 또는 상단에 고리 등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벌통전면(12)에 고정된다.
실시예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1로 한다.
실시예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2로 한다.
실시예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3으로 한다.
실시예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4로 한다.
실시예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5로 한다.
실시예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6으로 한다.
실시예7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7로 한다.
실시예8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8로 한다.
실시예9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69로 한다.
실시예10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70으로 한다.
실시예11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71로 한다.
실시예12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72로 한다.
실시예13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73으로 한다.
실시예14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74로 한다.
실시예15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75로 한다.
실시예16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말벌포획기를 본 발명의 실시예176으로 한다.
10 : 벌통입구
12 : 벌통전면
14 : 망
16 : 본체
18 : 전면프레임
20 : 좌측면프레임
22 : 우측면프레임
24 : 배면프레임
26a, 26b : 저면부
30 : 전면부
32 : 상면부
34 : 좌측면부
36 : 우측면부
38 : 탐색비행실입구
40 : 탐색비행실
42 : 포획실
46 : 포획실입구
48 : 뚜껑부
50 : 판재
52 : 턱부
54 : 지붕판
58 : 하부경사부
60 : 상부경사부
62a, 62b : 상부통합포획실
64 : 경사부
66 : 홈
68 : ∧형하부
70 : 평면하부
72 : ∨형하부
74 : 사방경사하부
76 : 하부미니포획실
78 : 상부미니포획실
80 : 상부통합포획실바닥부
82a, 82b : 말벌진입방지부
84 : 꿀벌출입구
86 : 벌통

Claims (18)

  1.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본체(16);
    상기 본체는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는 하부를 탐색비행실(40), 상부를 포획실(42)로 하고,
    하부와 상부 경계에 포획실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상방으로 넓어지고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형하부(72)로 구성되고, 말벌이 탐색비행실(40)에서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형하부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좌우 양측에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42)은 포획실입구를 통해 진입한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이루어진 배면프레임(24))이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 상부에는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망(14) 또는 판재(50)로 이루어진 뚜껑부(4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2.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본체(16);
    상기 본체는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는 하부를 탐색비행실(40), 상부를 포획실(42)로 하고,
    하부와 상부 경계에 포획실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하방으로 넓어지고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형하부(68)로 구성되고, 말벌이 탐색비행실(40)에서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형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42)은 포획실입구를 통해 진입한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이루어진 배면프레임(24))이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 상부에는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망(14) 또는 판재(50)로 이루어진 뚜껑부(4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3.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본체(16);
    상기 본체는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는 하부를 탐색비행실(40), 상부를 포획실(42)로 하고,
    하부와 상부 경계에 포획실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하방으로 넓어지고 사방에 경사면을 갖는 사방경사하부(74)로 구성되고, 말벌이 탐색비행실(40)에서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사방경사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42)은 포획실입구를 통해 진입한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이루어진 배면프레임(24))이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 상부에는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망(14) 또는 판재(50)로 이루어진 뚜껑부(4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4.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본체(16);
    상기 본체는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는 하부를 탐색비행실(40), 상부를 포획실(42)로 하고,
    하부와 상부 경계에 포획실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하부(70)로 구성되고, 말벌이 탐색비행실(40)에서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평면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42)은 포획실입구를 통해 진입한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이루어진 배면프레임(24))이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 상부에는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망(14) 또는 판재(50)로 이루어진 뚜껑부(4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5.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탐색비행실(40);
    상기 탐색비행실은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고정되고,
    탐색비행실(40) 위로 안착되는 포획실(42);
    상기 포획실은 내부에 갇힌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배면프레임(24))이 형성되고,
    포획실 바닥으로 포획실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하방으로 넓어지고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형하부(68)로 구성되고, 말벌이 탐색비행실(40)에서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형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 상부에는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뚜껑부(48)가 구성되고,
    상기 포획실(42)은 탐색비행실(40) 위에 안착되어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6.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탐색비행실(40);
    상기 탐색비행실은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고정되고,
    탐색비행실(40) 위로 안착되는 포획실(42);
    상기 포획실은 내부에 갇힌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배면프레임(24))이 형성되고,
    포획실 바닥으로 포획실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상방으로 넓어지고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형하부(72)로 구성되고, 말벌이 탐색비행실(40)에서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형하부를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좌우 양측에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 상부에는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뚜껑부(48)가 구성되고,
    상기 포획실(42)은 탐색비행실(40) 위에 안착되어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7.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탐색비행실(40);
    상기 탐색비행실은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고정되고,
    탐색비행실(40) 위로 안착되는 포획실(42);
    상기 포획실은 내부에 갇힌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배면프레임(24))이 형성되고,
    포획실 바닥으로 포획실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하방으로 넓어지고 사방에 경사면을 갖는 사방경사하부(74)로 구성되고, 말벌이 탐색비행실(40)에서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사방경사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 상부에는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뚜껑부(48)가 구성되고,
    상기 포획실(42)은 탐색비행실(40) 위에 안착되어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8. 꿀벌의 벌통(86) 전방에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을 갖는 탐색비행실(40);
    상기 탐색비행실은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진입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꿀벌이 출입하는 벌통입구(10)의 전면(12)에 고정되고,
    탐색비행실(40) 위로 안착되는 포획실(42);
    상기 포획실은 내부에 갇힌 말벌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 외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배면프레임(24))이 형성되고,
    포획실 바닥으로 포획실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포획실하부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하부(70)로 구성되고, 말벌이 탐색비행실(40)에서 포획실(42)로 진입되도록 평면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개방된 포획실입구(46)가 형성되고,
    상기 포획실 상부에는 죽은 말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뚜껑부(48)가 구성되고,
    상기 포획실(42)은 탐색비행실(40) 위에 안착되어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9.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포획실입구(46)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턱부(52)와 지붕판(54)을 구성하되,
    포획실입구(46) 가장자리에 일정한 경사를 갖는 턱부(52)를 일정한 길이와 높이로 세워 구성하고,
    말벌이 포획실 내부 양측방으로 진입되도록 상기 포획실입구(46) 위로 일정한 높이를 이격시킨 지붕판(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10. 제2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포획실(42) 내부 상·하 양측에 망(14) 또는 판재(50)로 된 미니포획실을 형성하되,
    포획실 내부의 말벌이 포획실(42) 하부 양측면에서 진입되도록 하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의 아래쪽 끝단이 포획실하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하부경사부(58)를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포획실(42) 하부의 좌우 양측에 하부미니포획실(76)을 구성하고,
    말벌이 포획실(42) 상부 양측면에서 진입되도록 상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의 윗쪽 끝단이 뚜껑부(48)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상부경사부(60)를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포획실(42) 상부의 좌우 양측에 상부미니포획실(78)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11.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포획실(42) 내부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상부통합포획실(62a)을 구성하되,
    포획실 내부의 말벌이 포획실(42) 상부 양측면으로부터 진입되도록 상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64)가 양측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좁아진 윗쪽 끝단과 뚜껑부(48)의 거리는 말벌이 통과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측 경사부(64)의 하방으로 양측 경사부를 잇는 상부통합포획실바닥부(8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12.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포획실(42) 내부에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된 상부통합포획실(62b)을 구성하되,
    포획실 내부의 말벌이 포획실(42) 상부 양측면으로부터 진입되도록 상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64)가 상·하로 한쌍씩 양측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경사부(64)는 통발과 같이 앞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된 경사구조를 갖고 좁아진 경사부의 상·하 양끝단 거리는 말벌이 통과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한쌍의 경사부(64) 중 윗쪽 경사부의 끝단이 뚜껑부(48)에 밀착되고,
    아래쪽 경사부(64)의 하방으로 양측 아래쪽 경사부를 잇는 상부통합포획실바닥부(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13. 제12항에 있어서,
    포획실 내부의 말벌이 포획실(42) 하부 양측면에서 진입되도록 하부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망(14) 또는 판재(50)로 된 하부경사부(58)를 형성하되,
    상기 하부경사부의 아래쪽 끝단이 포획실하부에 밀착되고,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포획실(42) 하부의 좌우 양측에 하부미니포획실(76)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1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탐색비행실(40)은 바닥이 망(14) 또는 판재(50)로 된 저면부(26a)를 형성하고,
    말벌이 탐색비행하며 상기 탐색비행실의 전면과 측면에서 진입되도록 전면프레임(18), 좌측면프레임(20), 우측면프레임(22)의 하부에 일정한 크기의 탐색비행실입구(38)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1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좌측면프레임(20)과 우측면프레임(22)은 양측으로 홈(66)을 형성하여 상기 홈으로 망(14) 또는 판재(50)를 끼워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16. 제12항에 있어서,
    경사부(64)는 각각 양측으로 홈(66)을 형성하여 상기 홈으로 망(14) 또는 판재(50)를 끼워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17.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벌통입구(10) 전방으로 말벌진입방지부(82a)를 형성하되,
    상기 말벌진입방지부의 전면부(30), 좌측면부(34), 우측면부(36), 상면부(32)는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간격을 길이로 하는 판재(50)로 된 저면부(26b)가 바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30)의 하단은 꿀벌은 출입되고 말벌은 진입할 수 없도록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켜 아래로 꿀벌출입구(84)를 형성하고,
    말벌진입방지부(82a)의 배면을 벌통전면(12)에 밀착시켜 상기 말벌진입방지부가 탐색비행실(4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18.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벌통입구(10) 전방으로 말벌진입방지부(84b)를 형성하되,
    상기 말벌진입방지부(82b)의 전면부(30), 좌측면부(34), 우측면부(36), 상면부(32)는 말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멍크기로 통공된 망(14) 또는 판재(50)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간격을 길이로 하는 판재(50)로 된 저면부(26b)가 바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30)의 하단은 꿀벌은 출입되고 말벌은 진입할 수 없도록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켜 아래로 꿀벌출입구(84)를 형성하고,
    탐색비행실(40) 배면에 말벌진입방지부(82b)를 구성하여 상기 말벌진입방지부가 벌통전면(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포획기.
KR1020180134497A 2018-11-05 2018-11-05 말벌포획기 KR101966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497A KR101966024B1 (ko) 2018-11-05 2018-11-05 말벌포획기
EP19882940.0A EP3878276A4 (en) 2018-11-05 2019-11-04 WASP TRAP DEVICE ARRANGED ON A HONEY
CN201980072077.0A CN112996385A (zh) 2018-11-05 2019-11-04 设置于蜜蜂蜂箱的马蜂捕获器
US17/288,977 US20210386048A1 (en) 2018-11-05 2019-11-04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PCT/KR2019/014873 WO2020096313A1 (ko) 2018-11-05 2019-11-04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497A KR101966024B1 (ko) 2018-11-05 2018-11-05 말벌포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411A true KR20180125411A (ko) 2018-11-23
KR101966024B1 KR101966024B1 (ko) 2019-08-13

Family

ID=6456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497A KR101966024B1 (ko) 2018-11-05 2018-11-05 말벌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0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379B1 (ko) * 2019-11-04 2020-05-14 송만호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KR102230146B1 (ko) * 2020-06-22 2021-03-19 송만호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KR20210089852A (ko) * 2020-01-09 2021-07-19 김호겸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
KR20210091418A (ko) * 2020-01-14 2021-07-22 김호겸 토종벌 보호를 위한 양봉 포획 장치
KR20220016532A (ko) * 2020-08-03 2022-02-10 김호겸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해충 포획 장치
KR20220068480A (ko) * 2020-11-19 2022-05-26 홍병철 다목적 멀티 포획트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758U (ja) * 2011-03-29 2011-08-18 福美 林 胡蜂捕獲器
KR101557265B1 (ko) * 2015-06-04 2015-10-02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KR101723346B1 (ko) * 2016-11-17 2017-04-05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KR101845239B1 (ko) * 2016-05-30 2018-04-04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758B2 (ja) 1993-11-15 2001-05-28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吸収冷凍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758U (ja) * 2011-03-29 2011-08-18 福美 林 胡蜂捕獲器
KR101557265B1 (ko) * 2015-06-04 2015-10-02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KR101845239B1 (ko) * 2016-05-30 2018-04-04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KR101723346B1 (ko) * 2016-11-17 2017-04-05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379B1 (ko) * 2019-11-04 2020-05-14 송만호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KR20210089852A (ko) * 2020-01-09 2021-07-19 김호겸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
KR20210091418A (ko) * 2020-01-14 2021-07-22 김호겸 토종벌 보호를 위한 양봉 포획 장치
KR102230146B1 (ko) * 2020-06-22 2021-03-19 송만호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KR20220016532A (ko) * 2020-08-03 2022-02-10 김호겸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해충 포획 장치
KR20220068480A (ko) * 2020-11-19 2022-05-26 홍병철 다목적 멀티 포획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024B1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5411A (ko) 말벌포획기
Abou-Shaara The foraging behaviour of honey bees, Apis mellifera: a review.
US20080280528A1 (en) Varroa mites control entrance (VMCE)
KR102125495B1 (ko)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KR102029064B1 (ko)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US20200396977A1 (en) Cage for capturing hymenoptera
KR20180037362A (ko) 왕완, 왕완을 이용한 산란틀 및 이를 이용한 로얄제리 생산용 산란프레임 또는 여왕벌 양성용 산란프레임
KR101820068B1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KR101259018B1 (ko)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US20210386048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KR101934779B1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US2024000845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pest denial, apiary monitoring and management
KR101055256B1 (ko) 수벌생산용 소초광
Kennedy Dendrosoter protuberans (Hymenoptera: Braconidae), an introduced larval parasite of Scolylus multistriatus
Linsley et al. The Efftects of DDT and Certain Other Insecticides on Alfalfa Pollinators
KR102108379B1 (ko)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Neupane et al. Bionomics of the maize borer, Chilo partellus (Swinhoe), in Nepal
EP3878276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US4455699A (en) Pollen trap for double queen colony with queen excluder
Sourakov Scientific Note: On the biology of moths that feed on Erythrina in Florida.
JP3203946U (ja) 防除器
Pradeepa et al. Survey on absconding of Apis cerana indica F. colonies at different traditional beekeeping areas of Karnataka.
Batra The hornfaced bee for efficient pollination of small farm orchards
KR101174425B1 (ko) 사봉 수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