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256B1 - 수벌생산용 소초광 - Google Patents

수벌생산용 소초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256B1
KR101055256B1 KR1020090006276A KR20090006276A KR101055256B1 KR 101055256 B1 KR101055256 B1 KR 101055256B1 KR 1020090006276 A KR1020090006276 A KR 1020090006276A KR 20090006276 A KR20090006276 A KR 20090006276A KR 101055256 B1 KR101055256 B1 KR 101055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erged
small
production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841A (ko
Inventor
최용수
여주홍
우순옥
이명렬
이만영
이광길
진병래
김혜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00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2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수벌용 소초판과 일벌용 소초판을 함께 구비하고, 수벌용 소초판이 설치되는 수벌용 소초유닛이 소광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한 쌍으로 마련되는 수벌용 소초판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겹쳐진 상태에서 수벌용 소초유닛 상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마련된 수벌생산용 소초광이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을 이용하게 되면, 수벌용 소초판에 수벌의 산란을 집중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고, 소광틀로부터 수벌용 소초유닛을 분리하거나 수벌용 소초유닛으로부터 수벌용 소초판을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벌집의 분리 과정에서 수벌집 및 수벌의 유충이나 번데기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수벌 및 수벌을 이용한 가공품의 생산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벌생산용 소초광{base of beehive for drone production}
본 발명은 수벌생산용 소초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벌 전용 생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수벌 및 수벌을 이용한 가공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수벌생산용 소초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벌은 꿀벌의 생활 중에서 여왕벌과 교미를 위하여 생존하는 벌로서, 근래까지는 그 사용가치가 매우 미미한 상태였다.
그러나 최근 수벌의 번데기나 유충의 우수한 영양적 가치가 국내외에서 알려지기 시작하고 있다.
다음의 표 1에는 수벌의 영양적 가치 분석을 통한 수벌의 효용 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벌 번데기와 유충을 수확하여 동결건조 시킨 후 믹서기로 곱게 갈아 만든 분말상태의 시료의 성분과 함량을 한국식품 연구소(KAFRI)에 의뢰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1. 수벌 번데기와 유충의 영양성분 종류 및 함량
Figure 112009004911402-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수벌의 번데기와 유충에는 탄수화물을 비롯한 총 18종류의 성분이 분석되었다. 이들 성분 중 특히 비타민 B군과 단백질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수벌의 번데기에는 유충과 차별되게 높은 농도의 엽산도 검출되었다.
따라서 최근 양봉농가에서는 이처럼 영양적 가치가 우수한 수벌을 이용하여 각종 식품을 비롯한 다양한 양봉산물을 개발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 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수벌을 대량으로 생산하기에 적합한 소초광이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벌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수벌을 이용한 가공품의 개발이 서둘러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물론 기존에도 수벌소초광으로서, 육각홈이 수벌에 알맞도록 일반 일벌용보다 크게 형성된 소초판과, 이 소초판을 감싸도록 마련된 소광틀로 이루어진 것이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수벌소초광은 수벌의 집중적인 산란을 유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벌의 성장 과정에서 꿀벌응애 등으로 인해 수벌의 유충 등이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 수벌소초광은 소초판의 양면으로 수벌집이 형성되기 때문에, 수벌집을 소초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중에 수벌집이 손상되어 수벌의 유충이나 번데기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수벌집이 소초판의 양쪽면에 모두 형성된 경우에는 수벌집을 안정된 상태로 보관하기 어렵게 되어 수벌집을 가공지역으로 유동시키는 과정에서도 수벌집이 손상되는 일이 많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벌 전용 생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수벌 및 수벌을 이용한 가공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수벌생산용 소초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은 소광틀과, 수벌용 육각홈을 구비하여 상기 소광틀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수벌용 소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은 각각 수벌용 육각홈을 구비하며 상호 겹쳐지도록 마련된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을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켜 일체화시키는 일체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체화수단은 상호 겹쳐진 상기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의 외곽을 감싸 고정시키는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수벌용 소초판에 테이프를 통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호 끼움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재 아크릴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은 상기 소광틀에 내측면에 마찰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 주변의 소광틀에는 적어도 하나의 일벌용 소초판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벌용 소초판은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은 일벌용 육각홈을 구비하는 일벌용 소초판과, 상기 일벌용 육각홈보다 큰 수벌용 육각홈을 구비하는 수벌용 소초판과, 상기 수벌용 소초판과 일벌용 소초판이 일체로 설치되는 소광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은 수벌용 소초판과 일벌용 소초판을 함께 구비하여 수벌용 소초판에 수벌의 산란을 집중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은 수벌용 소초판이 설치되는 수벌용 소초유닛이 소광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한 쌍으로 마련되는 수벌용 소초판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겹쳐진 상태에서 수벌용 소초유닛 상에 일체로 고정되므로, 소광틀로부터 수벌용 소초유닛을 분리하거나 수벌용 소초유닛으로부터 수벌용 소초판을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벌집의 분리 과정에서 수벌집 및 수벌의 유충이나 번데기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을 이용하게 되면, 수벌 및 수벌을 이용한 가공품의 생산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수벌의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양봉농가의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신수익원으로써 수벌생산이 자 리 잡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1)은 수벌을 전용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사각틀 형상의 소광틀(10)과, 수벌의 번데기나 유충의 생산을 위해 소광틀(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벌용 소초유닛(20)과, 수벌용 소초유닛(20) 주변의 소광틀(10)에 설치되는 일벌용 소초판(31,32)을 구비한다.
소광틀(10)은 상부 및 하부틀부재(11,12)와, 상부 및 하부틀부재(11,12)의 좌우 양단 쪽을 연결하도록 양 측방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방틀부재(1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틀부재(11,12,13,14)는 목재를 통해 마련되어 대응하는 단부가 상호 본드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소광틀(10)을 이룰 수 있다. 소광틀(10)의 안 쪽을 향하는 각 틀부재(11,12,13,14)의 일면에는 일벌용 소초판(31,32) 단부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10a)이 형성되며, 상부틀부재(11) 양단은 수벌생산용 소초광(1)을 벌통(미도시)에 설치할 경우 벌통(미도시) 내에 걸려 지지되도록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수벌용 소초유닛(20)은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과, 이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을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켜 일체화시키는 일체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벌용 소초판(21,22)은 밀랍과 파라핀을 섞어 만든 것으로, 이러한 수벌용 소초판(21,22)의 양면에는 전체적으로 수벌의 알 크기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벌집모양의 육각홈(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체화수단으로써, 투명한 아크릴재질로 마련되어 상호 겹쳐진 상기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의 외곽을 감싸 고정시키는 테두리부재(40)가 채용된다.
테두리부재(40)는 한 쪽 수벌용 소초판(22)의 외곽 외면 면과 상호 겹쳐진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의 외곽 쪽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제1조각부(41)와, 반대 쪽 수벌용 소초판(21)의 외곽 외면을 덮도록 마련된 제2조각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조각부(41)의 각 모서리에는 끼움홈(41a)이 형성되고, 끼움홈(41a)에 대응하는 제2조각부(42)의 각 모서리에는 끼움홈(41a)에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돌기(42a)가 형성되며, 제1조각부(41)와 제2조각부(42)는 상기 끼움홈(41a)에 끼움돌기(42a)를 끼움으로써 상호 결합되어 테두리부재(40)를 이룬다.
따라서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은 제1 및 제2조각부(41,42)의 결합을 통해 상호 겹쳐진 상태로 테두리부재(40) 내측에 고정되며, 이렇게 고정된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은 상기 끼움돌기(42a)가 끼움홈(41a)으로부터 빠지도록 제1 및 제2조각부(41,42) 사이를 벌리게 됨으로써 상호 간단히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벌용 소초판(31,32)은 수벌용 소초판(21,22)과 같이 밀랍과 파라핀을 섞어 만든 것으로, 이러한 일벌용 소초판(31,32)의 양면에는 전체적으로 일벌의 알 크기에 대응하도록 수벌용 소초판(21,22)의 것보다 작은 사이즈의 육각홈(30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벌용 소초유닛(20)은 소광틀(10)의 중앙 쪽에 배치되고, 일벌용 소초판(31,32)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수벌용 소초유닛(20) 양쪽의 소광틀(10)에 배치된다.
상기 일벌용 소초유닛(31,32)은 소광틀(10) 내측면에 대응하는 단부가 소광틀(10)에 형성된 삽입홈(10a)에 삽입됨으로써 소광틀(10)에 고정되고, 수벌용 소초유닛(20)은 외곽을 형성하는 상기 테두리부재(40)가 소광틀(10)의 상부 및 하부틀부재(11,12) 내측면에 마찰되어 지지된 상태가 되도록 소광틀(10)에 결합되며, 이때 테두리부재(40)는 양측의 일벌용 소초판(31,32)에도 지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소광틀(10)에 마찰 지지된 상태로 결합된 수벌용 소초유닛(20)은 소광틀(10)의 전방이나 후방 쪽으로 밀어 낼 경우 언제든지 소광틀(10)로부터 간단히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벌용 소초광(1)을 이용하여 수벌을 생산하게 되었을 때의 이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벌용 소초광(1)을 벌통(미도시) 내부에 설치하게 되면, 수벌용 소초판(21,22)과 일벌용 소초판(31,32)의 육각홈(20a,30a)의 크기 차이를 여왕벌이 인식하게 되므로, 수벌용 소초유닛(20)의 수벌용 소초판(21,22)에는 수벌 의 산란이 집중적으로 유도되며, 일벌용 소초판(31,32)에는 일벌의 산란이 유도된다.
이후 벌들은 각 소초판(21,22,31,32)을 기초로 하여 소초판(21,22,31,32) 상에 벌집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수벌용 소초유닛(20)에 마련된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은 상호 겹쳐지도록 되어 있어, 수벌집(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벌용 소초판(21,22) 사이 쪽에는 형성되지 않고 외부를 향하는 각 수벌용 소초판(21,22)의 바깥 쪽 면에만 형성되며, 일벌집은 각 일벌용 소초판(31,32)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벌집의 형성시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20)의 테두리부재(40)는 수벌용 소초판(21,22)과 일벌용 소초판(31,32) 간의 경계를 이루게 된다.
또 이때 수벌용 소초유닛(20) 양측에 일벌용 소초판(31,32)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 해충이 수벌용 소초유닛(20) 쪽으로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되어 수벌집(A) 쪽이 꿀벌응애 등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 일벌들이 일벌집을 드나들면서 수시로 수벌 유충이나 번데기를 보살피고 보호하게 되므로, 수벌집(A)의 수벌 유충이나 번데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일벌용 소초판(31,32)이 하나로 형성되어 수벌용 소초유닛(20)의 한 쪽에만 설치되는 경우에도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수벌집(A)을 다른 해충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하고 일벌들을 통해 수벌의 유충이나 번데기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벌용 소초광에서 일벌용 소초판(31,32)은 수벌용 소초유 닛(20)의 주변의 소광틀(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만 배치되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벌의 유충이나 번데기의 생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소광틀(10)로부터 수벌용 소초유닛(20)을 분리하게 되는데, 소광틀(10)에 마찰된 상태로 지지되게 결합되어 있는 수벌용 소초유닛(20)은 소광틀(10)의 전방이나 후방 쪽으로 밀어 낼 경우 소광틀(10)로부터 간단히 분리된다. 도 5에는 소광틀(10)에서 분리된 상태에 있는 수벌용 소초유닛(20)의 구조가 도시된다.
이 상태에서 테두리부재(40)의 제1조각부(41)와 제2조각부(42) 사이를 벌리게 되면, 각각 바깥 족 면에 수벌집(A)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이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1)을 사용하게 되면, 수벌집(A)의 분리시에 수벌집(A)이 손상되거나 수벌집(A) 속의 수벌 유충이나 번데기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벌용 소초판(21,22)이 분리된 상태의 상기 테두리부재(40)는 다음 번 수벌의 생산시에 재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이기도 하다.
또 이렇게 분리된 각 수벌집(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벌용 소초판(21,22) 쪽이 보관케이스(100)의 바닥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관케이스(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잇게 되어 수벌집(A)을 가공지역으로 유통시키는 과정에서도 수벌집(A) 및 수벌 유충이나 번데기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00은 보관케이스(100)를 덮기 위한 덮개를 가리킨다.
다음의 표 2는 기존의 수벌용 소초광과 본 실시예의 수벌생산용 소초광(1)을 이용하여 얻은 수벌의 유충 및 번데기의 수확율과 특징을 비교한 비교표이다.
표 2. 수벌집 특징 비교표
Figure 112009004911402-pat00002
표 2의 비교표는 유밀기와 무밀기로 나누어 실험된 결과인데, 여기서 유밀기라 함은 아까시꿀이 생산되는 4 ~ 5월을 뜻하고, 무밀기라 함은 7 ~ 8월의 여름시기를 가리킨다.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수벌용 소초광을 통해서는 유밀기에 약 47.9%, 무밀기에 약 59.9%의 수확율을 보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1)에 의해서는 유밀기에 약 92.8%, 무밀기에 약 93.0%의 수확율을 보였다. 또 종래 소초광의 경우 수벌집이 한 곳에 집중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생산량 규격화가 어려웠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1)의 경우 수벌집이 수벌용 소초판(21,22)에 균일하게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생산량의 규격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수벌용 소초유닛(20)에서 일체화수단으로 사용되는 상기 테두리부재(40)는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을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켜 일체화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40´)가 도시된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테두리부재(40´)는 상호 겹쳐진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의 4변 중 3변 쪽 외곽을 감싸는 제1조각부(41´)와, 나머지 다른 1변 쪽을 감싸도록 상기 제1조각부(41´)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조각부(42´)를 통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도 제1조각부(41´)와 제2조각부(42´)의 결합면에는 상호 끼움결합되는 끼움홈(41´a)과 끼움돌기(4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40″)의 구조가 도시된 도 8과 같이, 테두리부재(40″)는 한 쪽 수벌용 소초판(21)의 외곽 쪽을 덮도록 마련된 제1조각부(41″)와, 다른 한 쪽 수벌용 소초판(22)의 외곽 쪽을 덮도록 마련된 제2조각부(4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21,22)은 제1 및 제2조각부(41″,42″) 사이를 연결하는 테이프(t)를 통해 상호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며, 수벌용 소초판(21,22) 사이는 상기 테이프를 테두리부재(40″)에서 제거함에 따라 상호 간단히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수벌용 소초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절취선 X-X 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 각 수벌용 소초판에 수벌집이 형성된 상태를 가상적으로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에 있어서, 수벌용 소초유닛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수벌용 소초유닛의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에 있어서, 수벌집이 형성된 수벌용 소초유닛이 소광틀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사 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을 통해 생산된 수벌집의 보관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의 수벌용 소초유닛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벌생산용 소초광의 수벌용 소초유닛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벌생산용 소초광 10: 소광틀
20: 수벌용 소초유닛 21,22: 수벌용 소초판
31,32: 일벌용 소초판 40: 테두리부재

Claims (11)

  1. 소광틀과, 수벌용 육각홈을 구비하여 상기 소광틀 안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수벌용 소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은 각각 수벌용 육각홈을 구비하며 상호 겹쳐지도록 마련된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을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켜 일체화시키는 일체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수단은 상호 겹쳐진 상기 한 쌍의 수벌용 소초판의 외곽을 감싸 고정시키는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기 수벌용 소초판에 테이프를 통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호 끼움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7. 제 4항에서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 아크릴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은 상기 소광틀에 내측면에 마찰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 주변의 소광틀에는 적어도 하나의 일벌용 소초판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벌용 소초판은 상기 수벌용 소초유닛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11. 일벌용 육각홈을 구비하는 일벌용 소초판과, 상기 일벌용 육감홈보다 큰 수벌용 육각홈을 구비하는 수벌용 소초판과, 상기 수벌용 소초판과 일벌용 소초판이 일체로 설치되는 소광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벌생산용 소초광.
KR1020090006276A 2009-01-23 2009-01-23 수벌생산용 소초광 KR101055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276A KR101055256B1 (ko) 2009-01-23 2009-01-23 수벌생산용 소초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276A KR101055256B1 (ko) 2009-01-23 2009-01-23 수벌생산용 소초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841A KR20100086841A (ko) 2010-08-02
KR101055256B1 true KR101055256B1 (ko) 2011-08-09

Family

ID=4275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276A KR101055256B1 (ko) 2009-01-23 2009-01-23 수벌생산용 소초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2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512A (ko) 2017-11-08 2019-05-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여왕벌용 소초광
WO2021137405A1 (ko) * 2020-01-02 2021-07-08 오승재 착탈식 왕롱을 갖춘 소초광
KR20220070618A (ko) 2020-11-23 2022-05-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뜨락 벌통 조립식 소초광
KR20240001895A (ko) 2022-06-28 2024-01-04 서영대 진드기 구제를 위한 숫벌방이 구비된 양봉용 소초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712B1 (ko) * 2022-10-24 2024-04-29 한희진 진드기의 구제가 용이한 소초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136Y1 (ko) 2000-12-29 2001-05-15 오금석 소비용 소광
KR200369102Y1 (ko) 2004-09-08 2004-12-03 노태원 양봉용 소초광
KR200439878Y1 (ko) 2007-01-26 2008-05-09 노태원 양봉용 이충소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136Y1 (ko) 2000-12-29 2001-05-15 오금석 소비용 소광
KR200369102Y1 (ko) 2004-09-08 2004-12-03 노태원 양봉용 소초광
KR200439878Y1 (ko) 2007-01-26 2008-05-09 노태원 양봉용 이충소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512A (ko) 2017-11-08 2019-05-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여왕벌용 소초광
WO2021137405A1 (ko) * 2020-01-02 2021-07-08 오승재 착탈식 왕롱을 갖춘 소초광
KR20210087365A (ko) * 2020-01-02 2021-07-12 오승재 착탈식 왕롱을 갖춘 소초광
KR102384096B1 (ko) * 2020-01-02 2022-04-07 오승재 착탈식 왕롱을 갖춘 소초광
KR20220070618A (ko) 2020-11-23 2022-05-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뜨락 벌통 조립식 소초광
KR20240001895A (ko) 2022-06-28 2024-01-04 서영대 진드기 구제를 위한 숫벌방이 구비된 양봉용 소초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841A (ko) 201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ales-Ramos et al. Mass production of beneficial organisms: invertebrates and entomopathogens
Haskins et al. “Queenlessness,” worker sibship, and colony versus population structure in the formicid genus Rhytidoponera
KR101055256B1 (ko) 수벌생산용 소초광
Rattanawannee et al. Southeast Asian meliponiculture for sustainable livelihood
Zillikens et al. Nest architecture, life cycle and cleptoparasite of the Neotropical leaf-cutting bee Megachile (Chrysosarus) pseudanthidioides Moure (Hymenoptera: Megachilidae)
KR20200008182A (ko) 뒤영벌류 여왕벌 대량생산용 봉군 선별법과 여왕 증식용 벌통제형
CN104396892A (zh) 一种中华蜜蜂的双王养殖方法
Gómez-Robles et al. Internal nutrient management associated with gonad quality and successful reproduction in the winged pearl oyster Pteria sterna
US20190075762A1 (en) Breeding comb for solitaire bees
Infante et al. Life history studies of Prorops nasuta, a parasitoid of the coffee berry borer
CN105613430A (zh) 赤眼蜂繁殖装置
CN206909437U (zh) 一种塔形中蜂分群箱
CN107094663A (zh) 元台塔形中蜂分群箱及使用方法
Calado et al. Marine ornamental decapods—Collection, culture, and conservation
CN206835927U (zh) 一种元台塔形中蜂分群箱
Mwaniki et al. Mass produc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using silkworm (Bombyx mori L.) for management of key agricultural pests
Francis-Baker Bees and Beekeeping
Painkra Commercial Beekeeping
CN107018924A (zh) 塔形中蜂分群箱及使用方法
Davis et al. The BBKA guide to beekeeping
Gupta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emerging issues in beekeeping
GB2506641A (en) Beehive with slotted base
KR100704199B1 (ko) 고밀도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CN208425390U (zh) 一种自由拆卸组合的巢框
KR102661712B1 (ko) 진드기의 구제가 용이한 소초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