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500B1 - 복합 통발 - Google Patents

복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500B1
KR102112500B1 KR1020190063610A KR20190063610A KR102112500B1 KR 102112500 B1 KR102112500 B1 KR 102112500B1 KR 1020190063610 A KR1020190063610 A KR 1020190063610A KR 20190063610 A KR20190063610 A KR 20190063610A KR 102112500 B1 KR102112500 B1 KR 10211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pping
frames
trap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1020190063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4Fixed nets with 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복합 통발이 개시된다. 복합 통발은, 복수개의 제1 프레임들이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제1 통발 프레임과, 제1 프레임들의 사이를 제1 방향에서 연결하는 제1 보강 프레임과, 제1 보강 프레임의 측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복수개의 제2 프레임들이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제2 통발 프레임과, 일측은 제1 통발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통발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과, 제2 프레임들의 대향하는 측면 사이에서 제1 방향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보강 프레임과, 제1 통발 프레임과 제2 통발 프레임을 덮으면서 측면에는 어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네트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통발{COMPLEX FISH TRAP}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되며, 어류의 포획이 용이한 복합 통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이란 물고기를 가두어 잡는 데 쓰는 어획기구로서 통 형태로 이루어져 통 내부로 물고기가 들어가면 다시 거슬러 나오지 못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통발은 물고기 있는 곳을 따라 물속이나 물꼬에 담가 두는데, 어획종에 따라 그리고 어획 위치에 따라 통발의 생김새 및 모양이 각기 다르다.
이러한 통발은 어류가 유입되는 부분이 통발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 통발의 내부로 어류의 포획이 한정된 위치에서만 이루어져 어류의 원활한 포획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통발은 외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통발의 미사용 상태에서 복수개를 안정적으로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6890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류가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 및 포획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하 안정적인 적층 및 보관이 가능한 복합 통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제1 프레임들이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제1 통발 프레임과, 제1 프레임들의 사이를 제1 방향에서 연결하는 제1 보강 프레임과, 제1 보강 프레임의 측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복수개의 제2 프레임들이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제2 통발 프레임과, 일측은 제1 통발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통발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과, 제2 프레임들의 대향하는 측면 사이에서 제1 방향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보강 프레임과, 제1 통발 프레임과 제2 통발 프레임을 덮으면서 측면에는 어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네트부재를 포함한다.
제1 통발 프레임의 모서리 위치에는 제1 보강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발 프레임의 모서리 위치에는 제2 보강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네트부재는, 제1 통발 프레임과 제2 통발 프레임이 연결 프레임에 의해 육면체 형상으로 연결된 6개의 측면 각각 위치로 유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 프레임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안착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발 프레임과 제2 통발 프레임이 연결 프레임에 의해 육면체의 골조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제2 보강 프레임에 의해 구조 보강되어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발 프레임과 제2 통발 프레임에 제1 보강부재와 제2 보강부재가 모서리 위치에 연결되는 바, 구조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통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육면체 형상의 골곡 구조의 구현으로 통발이 복수개로 상하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가능하여, 미사용 상태에서 안정적인 적층 및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측면의 각각에 어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바, 어류가 4개의 유입부를 통해 원활하게 유입 및 포획되는 것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어류 포획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통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통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 통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통발의 제1/제2 통발 프레임이 연결 프레임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복합 통발이 네트부재가 제거된 상태로 복수개로 상하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통발의 제1/제2 통발 프레임이 연결 프레임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합 통발(100)은 프레임들이 육면체 형상으로 연결되고, 측면에는 어류가 유입되는 유입부(71)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적재 보관이 용이하고 어류의 포획이 용이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통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통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복합 통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통발의 제1/제2 통발 프레임이 연결 프레임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통발(100)은, 복수개의 제1 프레임들이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1 프레임들의 사이를 제1 방향에서 연결하는 제1 보강 프레임(31)과, 제1 보강 프레임(31)의 측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복수개의 제2 프레임들이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제2 통발 프레임(20)과, 일측은 제1 통발 프레임(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통발 프레임(20)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30)과, 제2 프레임들의 대향하는 측면 사이에서 제1 방향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보강 프레임(41)과,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의 외부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어류가 유입되는 유입부(71)가 형성되는 네트부재(70)를 포함한다.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은 상하로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서로간에 연결 프레임(30)에 의해 육면체의 골격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통발 프레임(10)은 육면체의 저면 4개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발 프레임(10)은 육면체의 저면 위치의 4개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4개의 프레임들이 서로간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1 통발 프레임(10)의 4개의 프레임()이 연결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굴곡된 2개의 프레임의 양단이 서로간에 연결되거나, 하나의 프레임이 사각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통발 프레임(10)은 수중에 위치된 상태로 내구성을 유지를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물과 접촉에 따른 부식 방지를 위해 표면이 방수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제1 통발 프레임(10)은 금속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구성이 확보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통발 프레임(20)은 제1 통발 프레임(10)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육면체의 상면 4개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발 프레임(20)은 육면체의 상면 위치의 4개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4개의 프레임들이 서로간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2 통발 프레임(20)의 4개의 프레임이 연결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굴곡된 2개의 프레임의 양단이 서로간에 연결되거나, 하나의 프레임이 사각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통발 프레임(20)은 수중에 위치된 상태로 내구성을 유지를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물과 접촉에 따른 부식 방지를 위해 표면이 방수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제2 통발 프레임(20)은 금속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구성이 확보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은 동일 또는 유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간에 이격된 위치로 상하 배치되어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0)은 일단은 제1 통발 프레임(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통발 프레임(2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0)은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의 사이에서 육면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되는 것으로, 4개의 모서리 위치에 대응하여 4개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연결 프레임(30)은 4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통발 프레임(10)이 제2 통발 프레임(20)의 크기의 변경에 대응하여 5개 이상 또는 3개 이하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통발 프레임(10)에는 제1 보강 프레임(31)이 연결되고, 제2 통발 프레임(20)에는 제2 보강 프레임(41)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강 프레임(31)은 제1 통발 프레임(1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에 마주하는 2개의 프레임의 사이를 제1 방향에서 연결하는 것으로, 제1 보강 프레임(3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보강 프레임(31)은 일단은 제1 통발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통발 프레임(10)을 구성하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보강 프레임(31)은 제1 통발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에서 대향하는 2개의 프레임()의 서로간을 제1 방향에서 연결하는 것으로, 제1 통발 프레임(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강 프레임(41)은, 제2 통발 프레임(2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에 마주하는 2개의 프레임의 사이를 제2 방향에서 연결하는 것으로, 제2 보강 프레임(4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엇갈리는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직교하는 방향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제2 보강 프레임(41)은 일단은 제2 통발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통발 프레임(20)을 구성하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보강 프레임(41)은 제2 통발 프레임(2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에서 대향하는 2개의 프레임()의 서로간을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연결하는 것으로, 제2 통발 프레임(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보강 프레임(31)은 제1 통발 프레임(10)에 제1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2 보강 프레임(41)은 제2 통발 프레임(20)에 제2 방향으로 연결되는 바,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이 연결 프레임(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의 각각에는 제1 보강부재(50)와 제2 보강부재(6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강부재(50)는 제1 통발 프레임(10)의 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의 각각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보강부재(50)는 일측은 사각형의 제1 통발 프레임(10)의 4개의 모서리의 각각의 내측의 제1 내측면에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4개의 모서리의 각각의 내측에서 제1 내측면에 인접한 제2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보강부재(50)는 양측이 모서리의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의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보강부재(50)는 제1 통발 프레임(10)의 4개의 모서리의 각각을 지지하도록 4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보강부재(50)가 제1 통발 프레임(10)의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는 바. 제1 통발 프레임(10)을 구조적으로 안정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보강부재(60)는 제2 통발 프레임(20)의 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의 각각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보강부재(60)는 일측은 사각형의 제2 통발 프레임(20)의 4개의 모서리의 각각의 내측의 제1 내측면에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4개의 모서리의 각각의 내측에서 제1 내측면에 인접한 제2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보강부재(60)는 양측이 모서리의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의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보강부재(60)는 제2 통발 프레임(20)의 4개의 모서리의 각각을 지지하도록 4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보강부재(50)가 제1 통발 프레임(10)의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는 바. 제2 통발 프레임(20)을 구조적으로 안정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은 네트부재(70)에 의해 덮힐 수 있다.
네트부재(70)는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의 외부 전체를 덮는 것으로, 측면에는 어류가 유입되는 유입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네트부재(70)는 메쉬 타입으로 그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의 외부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부재(70)의 측면에는 어류가 유입되는 유입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71)는 네트부재(70)의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측면의 각각에 형성되는 것으로,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가 네트부재(70)의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71)는 네트부재(70)가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의 외부 전체를 덮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 실시예의 복합 통발(100)에서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4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71)는 네트부재(70)의 일부분이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의 사이 위치에서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부(71)는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의 사이 위치의 내부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부(71)는 육면체 형상의 본 실시예의 복합 통발(100)의 측면 4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바, 어류가 4개의 측면에서 각각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여 어류의 원활한 포획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복합 통발이 네트부재가 제거된 상태로 복수개로 상하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통발(100)은, 제1 통발 프레임(10)과 제2 통발 프레임(20)이 연결 프레임(30)에 의해 육면체의 골조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복수개가 상하 안정적으로 적층 보관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복합 통발(100)의 4개의 측면의 각각에 어류가 유입되는 유입부(71)가 형성되는 바, 어류가 4개의 유입부(71)를 통해 원활하게 유입 및 포획되는 것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어류 포획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통발의 제1/제2 통발 프레임이 연결 프레임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통발(200)은, 제1 통발 프레임(10)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안착 돌기(110)가 돌출될 수 있다.
안착 돌기(110)는 제1 통발 프레임(10)의 하부에 돌출되는 것으로, 복합 통발(100)이 상하 복수개로 적층 보관되는 과정에서, 다른 하나의 복합 통발(100)의 제2 통발 프레임(20)에 삽입홈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 돌기(110)의 삽입 가이드 작용에 의해 복수개의 복합 통발(100)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제1 통발 프레임 20...제2 통발 프레임
31...제1 보강 프레임 41...제2 보강 프레임
50...제1 보강부재 60...제2 보강부재
70...네트부재 71...유입부
110..안착 돌기

Claims (5)

  1. 복수개의 제1 프레임들이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제1 통발 프레임;
    상기 제1 통발 프레임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복수개의 제2 프레임들이 사각 형상으로 연결된 제2 통발 프레임;
    일측은 상기 제1 통발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통발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들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프레임의 사이를 제1 방향에서 연결하는 제1 보강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들 중 서로 마주하는 제2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보강 프레임;
    상기 제1 통발 프레임의 모서리 위치에 서로 인접한 제1 프레임들 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 보강부재;
    상기 제2 통발 프레임의 모서리 위치에 서로 인접한 제2 프레임들 간을 연결하는 제2 보강부재; 및
    상기 제1 통발 프레임과 상기 제2 통발 프레임을 덮으면서, 측면에는 어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네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부재는 상기 제1 통발 프레임과 상기 제2 통발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의 외부 전체를 덮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4개의 측면에 상기 유입부가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 프레임의 하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안착 돌기가 돌출되는 복합 통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63610A 2019-05-30 2019-05-30 복합 통발 KR10211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10A KR102112500B1 (ko) 2019-05-30 2019-05-30 복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10A KR102112500B1 (ko) 2019-05-30 2019-05-30 복합 통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500B1 true KR102112500B1 (ko) 2020-05-19

Family

ID=7091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610A KR102112500B1 (ko) 2019-05-30 2019-05-30 복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5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64Y1 (ko) * 1999-06-02 2000-02-15 박태진 어로용통발
KR20070000903U (ko) * 2007-07-16 2007-08-14 고연주 통발용 미끼통 취부 장치
KR20070001093U (ko) * 2007-08-24 2007-10-10 고연주 낙지잡이용 통발
KR20150098411A (ko) * 2014-02-20 2015-08-28 장형기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KR101689060B1 (ko) 2013-07-09 2016-12-22 이호열 장어 통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64Y1 (ko) * 1999-06-02 2000-02-15 박태진 어로용통발
KR20070000903U (ko) * 2007-07-16 2007-08-14 고연주 통발용 미끼통 취부 장치
KR20070001093U (ko) * 2007-08-24 2007-10-10 고연주 낙지잡이용 통발
KR101689060B1 (ko) 2013-07-09 2016-12-22 이호열 장어 통발
KR20150098411A (ko) * 2014-02-20 2015-08-28 장형기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749B2 (en) Collapsible animal enclosure
KR101163679B1 (ko)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KR102112500B1 (ko) 복합 통발
US20160023138A1 (en) Adaptable basket
JP5553962B2 (ja) 核燃料集合体を貯蔵及び輸送するための貯蔵装置
CN102460599B (zh) 乏燃料存放搁架
US2804227A (en) Wire container structure
US20210112772A1 (en) Modular frame expandable to form a pet's cage
KR101384136B1 (ko) 접이식 어패류 포획용 통발
KR101718898B1 (ko)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측벽이 일체형 구조로 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사각 물탱크
JP5758471B2 (ja) 生け簀用収容体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養殖用生け簀
JP2016152792A (ja) 動物捕獲用箱わな
KR102135225B1 (ko) 차수벽
JP7376095B2 (ja) ペットサークル
KR200409967Y1 (ko) 육각별 강제 인공어초
KR100666117B1 (ko) 육각별 강제 인공어초
KR102221073B1 (ko) 다층식 흄관복합강제 인공어초
JP2015078004A (ja) 折畳式水槽
JP6781624B2 (ja) ごみ除去フィルター
JPS6182197A (ja) 使用済燃料プ−ル
KR200487176Y1 (ko) 적재박스
KR102319902B1 (ko) 곤충 채집통
KR200401796Y1 (ko) 원통형 강재 인공어초
JP3378803B2 (ja) 網籠連結体の敷設工法および網籠連結体
OA18826A (en) Triangular fishing 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