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76Y1 - 적재박스 - Google Patents

적재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76Y1
KR200487176Y1 KR2020170000833U KR20170000833U KR200487176Y1 KR 200487176 Y1 KR200487176 Y1 KR 200487176Y1 KR 2020170000833 U KR2020170000833 U KR 2020170000833U KR 20170000833 U KR20170000833 U KR 20170000833U KR 200487176 Y1 KR200487176 Y1 KR 200487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formation
predetermined space
piec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389U (ko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박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수 filed Critical 박창수
Priority to KR2020170000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7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8Baskets or like containers of skeleton or apertured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는, 대상물이 출입하도록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적재박스에 있어서, 상기 소정 공간의 형태를 규정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이 메워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이 포함하는 수분이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부, 상기 배수부에 적재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배수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부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부를 보강하는 보강부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채, 상기 보강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곡률 반경이 변화하는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재박스{Load box}
본 고안은 적재박스에 관한 것으로, 어획된 어류 등을 운반하기 위하여 적재하거나 또는 상기 어류 등을 건조하기 위해 보관하는 적재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획된 어류를 적재하는 상자 즉, 어상자는 바닥판과 전, 후벽 및 좌, 우측벽을 형성함에 있어서 주로 나무를 때고 못으로 박아 만든 나무 상자였다.
이와 같은 나무로 된 어상자는 물이 내부로 스며들면 빠른 시간 내에 건조되지 않고 항상 젖어 있게 된다. 따라서 어상자에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어류를 담아 운송 보관 시 어류의 선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어류 등이 적재된 이 후, 깨끗하게 세척하는 것이 쉽지 않음으로 매우 비위생적이며 사용 및 운반 적층 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상자를 플라스틱으로 사출하되, 이러한 플라스틱 상자의 전체면, 즉 바닥면과 전후 좌우 둘레면 전체에 배수를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적제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도록 구성한 제품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제2005-0019157호)를 참조하면,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어상자가 개시되어 있으나, 어상자의 수용공간이 구획됨이 없이 형성되어 어상자를 운반하는 경우, 일측으로 쏠리게 되면 어상자에 수용된 어류 등이 모두 일측으로 쏠리게 되어 어류 등이 눌리거나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또한 상기 어류 등을 수용하면서 반복된 하중을 받는 하부판의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어상자가 복수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어상자에 수용된 어류 등에 의해 상측에 위치한 어상자의 바닥면이 내려앉거나 하측으로 휘어지게 되어, 하측에 위치한 어상자에 수용된 어류가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획된 어류 등이 외력에 의한 기울어짐에 따라 어느 일 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며, 반복적으로 하중을 지탱하는 적재박스의 하측을 보강한 적재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는, 대상물이 출입하도록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적재박스에 있어서, 상기 소정 공간의 형태를 규정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이 메워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이 포함하는 수분이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부, 상기 배수부에 적재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배수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부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부를 보강하는 보강부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채, 상기 보강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곡률 반경이 변화하는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상기 변형부는,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에서 제2 무게로 점차 늘어나는 경우, 상기 변형부의 곡률 반경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상기 변형부는,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보강부와의 접촉 면적이 변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상기 변형부는,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인 경우, 상기 보강부와 제1 면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이 상기 제1 무게보다 무거운 제2 무게인 경우, 상기 보강부와 제2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상기 제1 면적은 상기 제2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상기 변형부는,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이 상기 제1 무게에서 상기 제2무게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제1 형태에서 상기 보강부와 평행한 제2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소정공간을 제공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제2 프레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4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변형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변형편 중 제1 변형편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1 변형편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제3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하향 경사지게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상기 변형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변형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변형편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3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변형편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4 삽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상기 제1 변형편은,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속부와 상기 제2 결속부는 상호 꼬아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상기 변형부는, 상기 제1 변형편과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보조부 및 상기 제1 변형편과 상기 제3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보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보조부 및 상기 제2 보조부는, 상기 제1 변형편이 상기 제1 형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어획된 어류 등이 외력에 의한 기울어짐에도 일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류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류 등의 하중을 지탱하는 적재박스의 하부측에 보강부재를 장착하여 적재박스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박스가 다수 적재된 경우, 어류 등이 적재된 상측 적재박스의 하부가 변형되어 하측에 위치한 적재박스의 어류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배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구획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의 제1 형태와 제2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의 제1 형태와 제2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접촉부 및 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고안이나 본 고안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고안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1)는 어획된 어류(멸치 등) 등을 운반하거나 건조시키기 위하여 적재하는 일종의 어상자이다.
적재박스(1)는, 대상물이 출입하도록 상측이 개방되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소정 공간(S)이 형성된다.
여기서, 대상물이란 대형어선 등에서 어획된 어류 등을 의미하며, 적재박스(1)는, 상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이하 폭 방향(Y)은 적재박스(1) 밑면의 짧은 모서리가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길이 방향(X)은 적재박스(1) 밑면의 긴 모서리가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적재박스(1)는, 프레임(10), 배수부(20) 및 구획부(3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적재박스(1)의 윤곽 즉, 육면체를 형성하는 모서리를 포함하는 구조물이며,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즉, 소정 공간(S)의 형태 및 크기를 규정한다.
배수부(20)는, 프레임(10)의 하측이 메워지도록 프레임(10)에 연결되며, 배수부(20)에 의해 프레임(10)의 하측은 면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배수부(20)는 대상물이 포함하는 수분 등이 프레임(10)의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복수의 배수공(H1)이 형성된다.
배수공(H1)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 할 수 있으나, 적어도 일반적인 멸치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어획된 어류 등이 수분과 함께 하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배수부(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한편, 구획부는 프레임(10) 및 배수부(20)에 의해 규정된 소정 공간(S)이 구획되도록 프레임(10)에 연결되어, 수용된 대상물이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적재박스(1)가 대형어선 등에서 높이 적층되는 경우, 바람 또는 어선의 흔들림에 의해 적재된 어류가 일방향으로 쏠리게 되면, 적층된 적재박스(1)의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편중되어 적층된 적재박스(1)가 기울어지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울어짐에 따라 적층된 적재박스(1)가 낙하하거나 적층된 적재박스(1)가 쓰러지게 될 수 있다.
구획부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부(20) 및 프레임(10)에 의해 규정된 소정 공간(S)을 구획하여, 바람 또는 어선의 흔들림에 의해 적재된 어류가 이동되는 한계를 규정하여 무게 중심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획부(30)를 통해 어선 내 적재 및 가마솥 삶음 공정 크레인 작업 시 바람 및 이동으로 인한 흔들림에 적재박스(1)의 무게 중심이 편중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로 구획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은 후술할 적재박스(1)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 각 구성요소의 위치 및 형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별도로 언급하지 않아도 참고하길 바란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배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1)의 배수부(20)는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가로편(22) 및 타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세로편(24)을 구비한다.
여기서, 일 방향이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X) 또는 폭 방향(Y)과 사선을 형성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 방향이 프레임(10)의 길이 방향(X) 또는 폭 방향(Y)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방향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타 방향이란 상기 일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복수의 가로편(22) 및 복수의 세로편(24)은 각각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배수공(H1)이 형성되도록 격자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가로편(22)과 세로편(24)이 번갈아 연결되되, 연결된 모양이 격자를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각 가로편(22)은 인접한 세로편(24)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 세로편(24)은 인접한 가로편(22)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다시 말해, 각각의 가로편(22)은 서로 인접한 세로편(24)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며, 각각의 세로편(24)은 서로 인접한 가로편(22)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또한, 가로편(22) 및 세로편(24)의 상면은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는, 적재된대상물과 배수부(20)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어획된 어류 등이 적재되어 배수부(20)와 접촉된 경우 상면의 볼록한 부드러운 곡면을 따라 이동하거나 하중에 의해 배수부(20)에 의해 눌리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어종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어획된 어류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배수부(20)의 상면은 하중에 의해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구획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1)의 구획부(30)는, 프레임(1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되, 소정 공간(S)이 동일한 크기로 구획되도록 프레임(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구획부(30)는 소정 공간(S)이 3등분되도록 제1 구획부(32) 및 제2 구획부(34)를 구비하며, 제1 구획부(32)는 프레임(10) 길이 방향(X)의 3분의 1 위치에 형성되고, 제2 구획부(34)는 프레임(10) 길이 방향(X)의 3분의 2 위치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소정 공간(S)이 3등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구획부(32) 또는 제2 구획부(34)는 배수부(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결되되, 프레임(1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다른 적재박스(1)가 적층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구획부(3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천공(H2)이 형성되어 소정 공간(S)에 유입된 수분이 배수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구획부(30)가 소정 공간(S)을 3등분하도록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N(N은 자연수)등분 되도록 제1 구획부(32) 내지 제N-1 구획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1)는 보강부(40)를 더 포함한다.
보강부(40)는 배수부(20)에 적재된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배수부(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수부(20)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배수부(20)를 보강한다.
즉, 배수부(20)에는 대상물이 반복적으로 적재되거나 적재 해제될 수 있으며, 대상물과의 잦은 접촉과 대상물에 포함된 수분 등에 의한 훼손 등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크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배수부(20)의 하측으로 보강부(40)를 설치한다.
보강부(40)는, 배수부(20)의 가로편(22) 및 세로편(24)에 의해 형성된 격자 무늬보다 큰 격자 무늬를 형성하며, 배수부(20)의 복수의 가로편(22) 및 복수의 세로편(24)에 의해 형성된 배수공(H1)을 막지 않도록 복수의 가로편(22) 또는 복수의 세로편(24) 하측면에 연결된다.
여기서, 보강부(40)의 두께는 배수부(20)의 가로편(22) 또는 세로편(24) 보다 작게 설계되어 배수부(20)의 배수 효율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의 제1 형태와 제2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1)의 변형부(50)는, 프레임(10)에 연결된 채, 보강부(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곡률 반경이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부(50)와 보강부(40)는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연동될 수 있다. 즉,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보강부(4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보강부(40)와 일체로 형성된 변형부(50)는 보강부(40)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곡률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부(50)는, 대상물이 수용된 적재박스(1)가 복수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적재박스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배수부가 아래로 볼록하게 변형되어 하측에 위치한 적재박스의 수용 공간을 침범함으로써, 하측에 위치한 적재박스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변형부(50)는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에서 제2 무게로 변화하는 경우, 보강부(40)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제1 형태에서 보강부(40)와 평행한 제2 형태로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에서 제2 무게로 점차 늘어나는 경우,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인 경우,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가장 작을 수 있으며, 제1 무게에서 제2 무게로 점차 늘어나는 경우,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점점 커져, 대상물의 하중이 제2 무게인 경우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가장 큰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대상물의 하중이 제2 무게인 경우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무한대 즉, 지면과 평행한 상태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a)은 변형부(50)의 제1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로, 프레임(10)에 의해 제공된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이 제1 무게인 경우이다. 여기서, 제1 무게는 변형부(50)의 변형이 시작되기 전의 대상물의 무게일 수 있다.
또한, 변형부(50)의 제1 형태는 보강부(40)의 하측과 연결된 상태로, 보강부(40)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굴곡진 형태로 인해 보강부(40)의 상측 방향으로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변형부(50)의 제1 형태는 일정 곡률 반경에서 곡률 반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변형됨에 따라, 곡률 반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강부(40)의 하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프레임(10)에 의해 제공된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무게가 제1 무게에서 제2 무게로 점차 늘어나면, 변형부(50)는 보강부(40)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면서 변형되게 된다. 이 때,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제1 형태일 때의 곡률 반경보다 커지게 된다. 즉, 굴곡된 형태가 완화되어 직선형에 가깝게 된다.
여기서, 변형부(50)가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이 커지므로,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보강부(40)에 작용하여, 대상물의 무게에 대항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프레임(10)에 의해 제공된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무게가 제2 무게가 되면,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더욱 커지게 되며, 이 때 보강부(40)와 대략 평행한 상태가 된다. 이 때,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무한대에 가까워질 수 있다. 여기서 무한대란,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변형부(50)가 보강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은 가장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부(50)는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며, 제2 형태일 때 가장 큰 변형이 일어나므로, 제2 형태에서 제1 형태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은 가장 크다.
이 때, 변형부(50)는, 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즉, 변형부(50)는 프레임(10)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적재박스(1)의 하부측에 위치한 다른 적재박스(1)의 대상물과 접촉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적재박스(1)가 적재된 경우, 상측에 위치한 적재박스(1)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측에 위치한 적재박스(1)의 바닥면 즉, 배수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변형되어 하측에 위치한 적재박스(1)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1)의 변형부(50)는, 프레임(10)에 연결된 채, 보강부(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곡률 반경이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부(50)와 보강부(40)는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연동될 수 있다. 즉,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보강부(4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보강부(40)와 일체로 형성된 변형부(50)는 보강부(40)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곡률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부(50)는, 대상물이 수용된 적재박스(1)가 복수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적재박스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배수부가 아래로 볼록하게 변형되어 하측에 위치한 적재박스의 수용 공간을 침범함으로써, 하측에 위치한 적재박스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변형부(50)는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에서 제2 무게로 변화하는 경우, 보강부(40)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제1 형태에서 보강부(40)와 평행한 제2 형태로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에서 제2 무게로 점차 늘어나는 경우,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인 경우,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가장 작을 수 있으며, 제1 무게에서 제2 무게로 점차 늘어나는 경우,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점점 커져, 대상물의 하중이 제2 무게인 경우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가장 큰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대상물의 하중이 제2 무게인 경우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무한대 즉, 지면과 평행한 상태일 수 있다.
변형부(50)의 제1 형태와 제2 형태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3을 참조로 상세히 하기로 한다.
한편, 프레임(10)은 소정 공간(S)을 제공하는 제1 프레임(12), 제1 프레임(1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14), 제2 프레임(14)과 연결되며 제1 프레임(12)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프레임(16) 및 제1 프레임(12)과 제3 프레임(16)을 연결하며 제2 프레임(14)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4 프레임(18)을 구비한다.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제1 프레임(12), 제2 프레임(14), 제3 프레임(16) 및 제4 프레임(18)은 사각 형태를 형성한다. 즉, 제1 프레임(12) 내지 제4 프레임(18)이 사각 형태를 형성하는 네 모서리를 규정하며, 제1 프레임(12)과 제3 프레임(16) 및 제2 프레임(14)과 제4 프레임(18)이 대향하는 모서리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50)는, 프레임(10)에 연결되는 복수의 변형편을 구비한다.
제1 프레임(12)은 복수의 변형편 중 제1 변형편(52a)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21)를 구비하며, 제3 프레임(16)은 제1 변형편(52a)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161)를 구비한다.
제1 삽입부(121)는, 제1 프레임(12)의 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함입되어 형성되며, 제2 삽입부(161)는 제1 프레임(12)과 대향하는 제3 프레임(16)의 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함입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 방향이란 프레임(10)이 형성하는 소정 공간(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1 프레임(12)의 외측 방향이란 제1 프레임(12)의 제3 프레임(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3 프레임(16)의 외측 방향이란 제3 프레임(16)의 제1 프레임(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대략, 직선 형태의 제1 변형편(52a)은 제1 삽입부(121)와 제2 삽입부(161)에 삽입된 채, 제1 형태 즉, 보강부(40)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로 변형되어 제1 형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1 삽입부(121)와 제2 삽입부(161)의 각각의 외측 방향은 반대 방향이다.
또한, 제1 변형편(52a)의 굴곡 정도는 제1 삽입부(121)와 제2 삽입부(161)의 외측 방향으로 함입 경사진 경사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삽입부(121) 또는 제2 삽입부(161)의 하향 경사각이 클수록 제1 변형편(52a)의 곡률 반경은 작아지게 된다.
제1 변형편(52a)은 제1 결속부(520) 및 제2 결속부(521)를 구비한다. 제1 결속부(520)와 제2 결속부(521)는 상호 꼬아진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속부(520)와 제2 결속부(521)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제1 결속부(520)와 제2 결속부(521)는 제1 변형편(52a)이 보강부(40)를 지지함에 있어서 향상된 탄성으로 수용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한다. 즉, 꼬아진 형태의 제1 결속부(520)와 제2 결속부(521)는 꼬아진 변형에 의해서 재질 상의 탄성이 긴장된 상태일 수 있으며,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에 삽입되면서 변형된 제1 형태로 인해 탄성이 고조되어 수용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결속부(520)와 제2 결속부(521)에 대한 구성은 제1 변형편(52a)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기술 요소가 아닌, 후술할 제1-2 변형편(52b), 제1-3 변형편(52c), 제1-4 변형편(52d)과 제2 변형편(54), 제3 변형편(56), 제4-1 변형편(57a) 및 제4-2 변형편(57b)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변형부(50)는 제1 프레임(12)과 제3 프레임(16)에 연결되는 제1-2 변형편(52b), 제1-3 변형편(52c) 및 제1-4 변형편(52d)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1-2 변형편(52b), 제1-3 변형편(52c) 및 제1-4 변형편(52d)의 구성은 제1 변형편(52a)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프레임(12)과 제3 프레임(16)은 제1-2 변형편(52b), 제1-3 변형편(52c) 및 제1-4변형편이 삽입/고정되는 각각의 삽입부를 구비한다.
한편, 변형부(50)는 제1 프레임(12)과 제2 프레임(14)에 연결되는 제2 변형편(54)을 더 구비한다. 이 때, 제1 프레임(12)은 제2 변형편(54)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3 삽입부를 구비하며, 제2 프레임(14)은 제2 변형편(54)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4 삽입부를 구비한다.
제3 삽입부는 제1 프레임(12)의 외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되, 여기서 외측 방향이란 제1 삽입부의 외측 방향과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제2 변형편(54)은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사각 형태의 제1 프레임(12) 내지 제4 프레임(18) 중, 인접한 제1 프레임(12)과 제2 프레임(14)에 연결된 제2 변형편(54)이 삽입되는 일종의 홈이므로 제1 삽입부의 외측 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틀어진 방향일 수 있다.
제3 삽입부와 제4 삽입부의 외측 방향은 반대방향이다.
또한, 변형부(50)는 제3 프레임(16)과 제4 프레임(18)에 연결되는 제3 변형편(56)을 더 구비한다. 제3 변형편(56)의 구성은 제2 변형편(54)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제3 변형편(56)은 제3 프레임(16)과 제4 프레임(18)에 각각 구비된 삽입부에 삽입된 채, 보강부(40)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변형부(50)는 제2 프레임(14)과 제4 프레임(18)에 연결되는 제4-1 변형편(57a) 및 제4-2 변형편(57b)을 더 구비한다. 제4-1 변형편(57a) 및 제4-2 변형편(57b)은 각각 제2 프레임(14)과 제4 프레임(18)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고정된다.
여기서, 제2 프레임(14)과 제4 프레임(18)은 각각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의 삽입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외측 방향이란 프레임(10)이 형성하는 소정 공간(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2 프레임(14)의 외측 방향이란 제2 프레임(14)의 제4 프레임(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4 프레임(18)의 외측 방향이란 제4 프레임(18)의 제2 프레임(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대략, 직선 형태의 제4-1 변형편(57a) 및 제4-2 변평현은 제2 프레임(14)과 제4 프레임(18)에 삽입된 채, 제1 형태 즉, 보강부(40)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로 변형되어 제1 형태를 유지한다.
한편, 변형부(50)는, 제1 변형편(52a)과 제1 프레임(12)을 연결하는 제1 보조부(523) 및 제1 변형편(52a)과 제3 프레임(16)을 연결하는 제2 보조부(525)를 더 구비한다.
제1 보조부(523)는, 제1 프레임(12)으로부터 제1 변형편(52a)의 일부분에 연결된 직선의 바(bar) 형상으로, 제1 변형편(52a)의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제1 변형편(52a)을 지지하되, 제1 변형편(52a)의 제2 형태로의 변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변형편(52a)의 일부분이란, 제1 변형편(52a)의 중심에서 제1 프레임(12)으로 치우친 방향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부(525)는, 제3 프레임(16)으로부터 제1 변형편(52a)의 일부분에 연결된 직선의 바(bar) 형상으로, 제1 변형편(52a)의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제1 변형편(52a)을 지지하되, 제1 변형편(52a)의 제2 형태로의 변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즉, 제1 보조부(523)와 제2 보조부(525)는 제1 변형편(52a)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편(52a)에 적용된 제1 보조부(523)와 제2 보조부(525)의 구성은 상술한, 제1-2 변형편(52b), 제1-3 변형편(52c), 제1-4 변형편(52d)과 제2 변형편(54), 제3 변형편(56), 제4-1 변형편(57a) 및 제4-2 변형편(57b)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로, 변형부(50)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150)는, 프레임(110)에 연결된 채, 보강부(1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보강부(140)와의 접촉 면적이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부(150)는 보강부(14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별도의 부재로서, 보강부(140)의 위치 이동에 보강부(140)와 접촉되며, 접촉된 상태에서 보강부(140)의 위치 이동에 변형되면서 보강부(140)와의 접촉 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궤적으로, 변형부(150)는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인 경우, 보강부(140)와의 접촉면적이 제1 면적이며,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보다 무거운 제2 무게인 경우, 보강부(140)와 제2 면적으로 접촉된다.
여기서, 제1 면적은 제2 면적보다 작으며, 제1 면적은 점 접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부(150)는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인 경우, 보강부(140)와 점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접촉하지 않는 경우는, 변형부(150)와 보강부(140)가 이격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프레임의 제1 프레임(12), 제2 프레임(14), 제3 프레임(16), 제4 프레임(18), 변형부(50)의 제1 변형편(52a), 제1-2 변형편(52a), 제1-3 변형편(52a), 제1-4 변형편(52a), 제2 변형편(54), 제3 변형편(56), 제1 삽입부(121) 등에 대한 구성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150)가 적용된 적재박스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의 제1 프레임(112), 제2 프레임(114), 제3 프레임(116), 제4 프레임(118), 변형부(150)의 제1 변형편(152a), 제1-2 변형편(152a), 제1-3 변형편(152a), 제1-4 변형편(152a), 제2 변형편(154), 제3 변형편(156), 제1 삽입부(1121)는 상술한 각 구성요소와 형상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의 제1 형태와 제2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a)은 변형부(50)의 제1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로, 프레임(10)에 의해 제공된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이 제1 무게인 경우이다. 여기서, 제1 무게는 변형부(50)의 변형이 시작되기 전의 대상물의 무게일 수 있다.
이 때, 변형부(50)와 보강부(40)는 제1 면적으로 접촉되며, 제1 면적은 점 접촉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접촉되지 않은 상태여도 무방하다.
또한, 변형부(50)의 제1 형태는 보강부(40)의 하측으로부터 보강부(40)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굴곡진 형태로 인해 보강부(40)의 상측 방향으로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변형부(50)의 제1 형태는 일정 곡률 반경에서 곡률 반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변형됨에 따라, 곡률 반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강부(40)의 하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도 13(b)를 참조하면, 프레임(10)에 의해 제공된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무게가 제1 무게에서 제2 무게로 점차 늘어나면, 변형부(50)는 보강부(40)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면서 변형되게 된다. 이 때,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제1 형태일 때의 곡률 반경보다 커지게 된다. 즉, 굴곡된 형태가 완화되어 직선형에 가깝게 된다.
여기서, 변형부(50)가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이 커지므로,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보강부(40)에 작용하여, 대상물의 무게에 대항한다.
도 13(c)를 참조하면, 프레임(10)에 의해 제공된 소정 공간(S)에 수용된 대상물의 무게가 제2 무게가 되면, 변형부(50)는 보강부(40)와의 접촉 면적이 더 넓어지게 되며, 이 때 보강부(40)와 대략 평행한 상태가 된다. 변형부(50)의 곡률 반경은 더욱 커지며 무한대에 가까워질 수 있다. 여기서 무한대란,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이 때, 변형부(50)가 보강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은 가장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부(50)는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며, 제2 형태일 때 가장 큰 변형이 일어나므로, 제2 형태에서 제1 형태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은 가장 크다.
이 때, 변형부(50)는, 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즉, 변형부(50)는 프레임(10)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적재박스(1)의 하부측에 위치한 다른 적재박스(1)의 대상물과 접촉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적재박스(1)가 적재된 경우, 상측에 위치한 적재박스(1)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측에 위치한 적재박스(1)의 바닥면 즉, 배수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변형되어 하측에 위치한 적재박스(1)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1)는 지지부(60)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60)는, 프레임(10)의 측면이 메워지도록 프레임(10)에 연결되며 대상물이 포함하는 수분이 프레임(10)의 측면으로 배수되도록 복수의 중공(H3)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60)는 프레임(10) 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편(62)을 구비하며, 각각의 지지편(62)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프레임(10)의 측면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복수의 중공(H3)은 지지편(62) 각각이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H3)의 크기 및 형상은 지지편(62)의 높이 및 지지편(62) 각각의 이격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60)에 의해 프레임(10)의 측면부가 메워짐으로써, 프레임(10)의 측면이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지지편(62) 각각은 적재된 대상물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도록 외면이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어획된 어류 등이 적재되어 지지부(60)와 접촉된 경우 외면의 볼록한 부드러운 곡면을 따라 이동하거나 적체되어 지지부(60)에 의해 눌리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어종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어획된 어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의 접촉부 및 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박스(1)는 접촉부(70) 및 보조부(80)를 더 포함한다.
접촉부(70)는, 프레임(10)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적재박스(1)의 상측으로 적재되는 경우 다른 적재박스(1)와 접촉되어 다른 적재박스(1)에 수용된 대상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접촉부(70)는 프레임(10)의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재박스(1)를 운반할 때 손가락을 넣어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적재박스(1)의 프레임(10) 상측에 접촉되어 적재박스(1) 각각의 수용 공간이 유지된 채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적재박스(1)의 프레임(10) 상측에 접촉된 접촉부(70)는 적재박스(1)의 하중을 다른 적재박스(1)에 전달하는 부재가 되므로, 파손 및 손상에 취약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적재박스(1)는 프레임(10) 측면과 접촉부(70)에 동시에 접촉되어 접촉부(70)가 프레임(10)을 기준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부(80)를 더 포함한다.
즉, 보조부(80)는 접촉부(70)와 프레임(10) 사이에서 양자의 연결 관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로서, 일종의 리브(rib) 일 수 있다.
또한, 보조부(80)는 복수개 형성되어 접촉부(70)와 프레임(10)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며, 접촉부(70)와 프레임(10) 사이에서 불필요한 힘의 동선을 줄이도록 사선을 형성한다.
즉, 삼각 형태의 보조부(80)의 일 모서리는 접촉부(70)에 연결되고, 다른 일 모서리가 프레임(10)에 연결되어, 접촉부(70)에 가해진 외력이 프레임(10)에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적재박스
S: 소정 공간
10: 프레임
20: 배수부
H1: 배수공
30: 구획부
H2: 천공
40: 보강부
50: 변형부
60: 지지부
H3: 중공
70: 접촉부
80: 보조부

Claims (10)

  1. 대상물이 출입하도록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적재박스에 있어서,
    상기 소정 공간의 형태를 규정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이 메워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이 포함하는 수분이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부;
    상기 배수부에 적재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배수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부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부를 보강하는 보강부;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채, 상기 보강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곡률 반경이 변화하는 변형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수부는,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가로편 및 타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
    열되는 복수의 세로편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가로편 및 상기 복수의 세로편은 각각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격자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가로편 각각은, 인접한 세로편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세로편 각각은, 인접한 가로편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세로편 및 상기 가로편의 상면은 상기 대상물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고, 상기 대상물이 손상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면이 부드러운 곡면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대상물은 어류이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소정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제2 프레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4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변형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변형편 중 제1 변형편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1 변형편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제3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함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에서 제2 무게로 점차 늘어나는 경우, 상기 변형부의 곡률 반경은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보강부와의 접촉 면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이 제1 무게인 경우, 상기 보강부와 제1 면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이 상기 제1 무게보다 무거운 제2 무게인 경우, 상기 보강부와 제2 면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적은 상기 제2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박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소정 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상물의 하중이 상기 제1 무게에서 상기 제2 무게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제1 형태에서 상기 보강부와 평행한 제2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변형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변형편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3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변형편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4 삽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편은,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속부와 상기 제2 결속부는 상호 꼬아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박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제1 변형편과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보조부 및 상기 제1 변형편과 상기 제3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보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보조부 및 상기 제2 보조부는, 상기 제1 변형편이 상기 제1 형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박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배수부에 의해 규정된 상기 소정 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수용된 상기 대상물이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박스.
KR2020170000833U 2017-02-20 2017-02-20 적재박스 KR200487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33U KR200487176Y1 (ko) 2017-02-20 2017-02-20 적재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33U KR200487176Y1 (ko) 2017-02-20 2017-02-20 적재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397 Division 2016-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89U KR20180000389U (ko) 2018-02-07
KR200487176Y1 true KR200487176Y1 (ko) 2018-08-16

Family

ID=6128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833U KR200487176Y1 (ko) 2017-02-20 2017-02-20 적재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7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72Y1 (ko) 2002-01-31 2002-05-03 이현구 조립식 농산물 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268A (ja) * 1993-12-13 1995-06-27 Sakai Yoki Kk ホタルイカ用運搬容器
DE602006021074D1 (de) * 2006-04-26 2011-05-12 Iko Co Ltd Metallverstärkungsbeschla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72Y1 (ko) 2002-01-31 2002-05-03 이현구 조립식 농산물 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89U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2897B2 (en) Transport container
KR200487176Y1 (ko) 적재박스
JP2007161309A (ja) 果実用トレー
SK500202015U1 (sk) Skladací viacposchodový obal s vkladacími bunkami na prepravu tovaru
JP5468308B2 (ja) 合成樹脂発泡体製容器
KR200481921Y1 (ko) 적재박스
JP7094542B2 (ja) 蓋部材
JP6203656B2 (ja) 容器
KR100432183B1 (ko) 계란좌판을 수납하기 위한 물류용 계란상자
EP2108593B1 (en) Container for storage and transport
KR20110116869A (ko) 제품 포장용 좌판
JP2000085773A (ja) 運搬用容器
KR101192112B1 (ko) 완충부를 가지는 간지조립체 및 이를 내장하는 포장용 박스
KR102060325B1 (ko)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JP7028449B2 (ja) 容器
KR200391412Y1 (ko) 보강부가 구비된 계란재치판
JP7037182B2 (ja) 発泡樹脂容器
JP5442651B2 (ja) 箱型容器
KR102328150B1 (ko) 확장가능한 수납장
KR102410601B1 (ko) 팔레트의 적층을 위한 보조자재
KR200294343Y1 (ko) 다단으로 적층되는 수납 바구니
JP6991529B2 (ja) 搬送器具
KR200493840Y1 (ko) 물품용 상자
CN213139459U (zh) 一种可拼接塑料托盘
JP6230581B2 (ja) パルプモウルド製青果物収納ト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