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40Y1 - 물품용 상자 - Google Patents

물품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40Y1
KR200493840Y1 KR2020190002922U KR20190002922U KR200493840Y1 KR 200493840 Y1 KR200493840 Y1 KR 200493840Y1 KR 2020190002922 U KR2020190002922 U KR 2020190002922U KR 20190002922 U KR20190002922 U KR 20190002922U KR 200493840 Y1 KR200493840 Y1 KR 200493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auxiliary
box
shape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160U (ko
Inventor
김민수
김재열
Original Assignee
(주)세한
(주)한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한, (주)한중기계 filed Critical (주)세한
Priority to KR2020190002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4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2Containers presenting local stacking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edge of a side wall, e.g. handles, lugs, ribs,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4Open-ended containers shaped to be nested when empty and to be superposed when fu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는 바닥면(12), 바닥면(12)의 모서리에서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측벽(14), 측벽(14)의 상단부위를 따라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돌출단(16), 돌출단(16)과 일체형을 이루되 돌출단(16)보다 낮은 수직높이를 가지며 일정폭으로 연장되는 안치단(18)이 구비되는 상자몸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측벽(14) 내면에 형성되되 각각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삽입홈(22), 각 삽입홈(22)에 대응하여 측벽(14) 외면에 형성되되 각각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삽입단(24), 각 삽입단(24)의 중앙부위에서 일정수직 높이로 형성되는 삽입장공(26), 각 삽입장공(26)의 하단부위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단(28)이 구비되는 삽입체;를 포함하여, 보관할 때는 각 삽입단(24) 부위를 각 삽입홈(22) 부위에 삽입시켜 각 걸림단(28)을 각 삽입장공(26)에 삽입시켜 적층하며, 운반할 때는 각 걸림단(28)을 각 안치단(18)에 안치시켜 적재하되, 상기 걸림단(28) 각각의 상면부위에는 경사단(29)이 형성되어 각 삽입장공(26)의 하측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용 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품용 상자{Box for goods}
본 고안은 물품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협소한 공간이라도 많은 수의 상자를 보관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상자의 수납공간을 축소하지 않더라도 매우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적층된 상자를 매우 손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물품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이나 수산물, 또는 공산품 등과 같이 일정 형상을 가지는 물품을 수납하여 전시하거나 일정 기간 보관하는 경우, 상측 부위가 개구되며 일정 면적 및 일정 깊이로 이루어지는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자를 주로 이용하게 된다.
한편, 상자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일시 보관할 때에는, 공간에 대한 점유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자들을 적층시키게 되는데, 이처럼 상자에 일정크기의 수납공간이 마련되면 그 수납공간의 형상으로 인해 상자를 적층시키기에 일정한 제약이 따른다.
상자의 적층에 있어 이러한 제약을 회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 상자의 측면 부위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자의 측면 부위를 이렇게 경사지게 형성하면 수납공간이 자연스럽게 축소되는 단점이 있는데, 상자의 적층은 용이하게 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편으로 제안된 기술 중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88504호가 있다.
이 기술은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격벽(2)의 외면 및 내면 각각에 삽입단(111, 112) 및 삽입홈(113, 114)을 형성시키되, 상호 대향하는 삽입단(111, 112) 및 삽입홈(113, 114)을 서로 어긋난 지점에 형성시킴으로써, 상자가 적층될 때 인접하는 상자 상호간의 측면 부위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해준다.
하지만, 이 기술 역시 적층과정에서 일측 상자의 삽입단이 인접하는 타측 상자의 삽입홈에 그대로 삽입되어 적층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 7과 같이 상자의 측면 부위가 일정 경사를 이룰 수밖에 없어, 상자에 있어 수납공간의 크기가 일정부분 감소되는 현상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88504호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자의 수납공간을 줄이지 않고도 보다 편리한 사용 및 적층 보관을 담보할 수 있는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는 바닥면(12), 바닥면(12)의 모서리에서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측벽(14), 측벽(14)의 상단부위를 따라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돌출단(16), 돌출단(16)과 일체형을 이루되 돌출단(16)보다 낮은 수직높이를 가지며 일정폭으로 연장되는 안치단(18)이 구비되는 상자몸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측벽(14) 내면에 형성되되 각각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삽입홈(22), 각 삽입홈(22)에 대응하여 측벽(14) 외면에 형성되되 각각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삽입단(24), 각 삽입단(24)의 중앙부위에서 일정수직 높이로 형성되는 삽입장공(26), 각 삽입장공(26)의 하단부위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단(28)이 구비되는 삽입체;를 포함하여, 보관할 때는 각 삽입단(24) 부위를 각 삽입홈(22) 부위에 삽입시켜 각 걸림단(28)을 각 삽입장공(26)에 삽입시켜 적층하며, 운반할 때는 각 걸림단(28)을 각 안치단(18)에 안치시켜 적재하되, 상기 걸림단(28) 각각의 상면부위에는 경사단(29)이 형성되어 각 삽입장공(26)의 하측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2)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14)은 전, 후면측벽(141, 142) 및 좌, 우면측벽(143, 1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단(16) 및 안치단(18) 각각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은 전, 후면측벽(141, 142) 각각에 형성되되, 상기 전면측벽(141)에 형성되는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은 상호 대향하며 상기 후면측벽(142)에 형성되는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 사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면측벽(143)의 내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1보조삽입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좌면측벽(143)의 내면에는 제1보조삽입홈(221)에 대응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1보조삽입단(24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삽입단(241) 각각의 중앙부위에는 일정수직 높이의 제1보조삽입장공(26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조삽입장공(261) 각각의 하단부위에는 제1보조걸림단(28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우면측벽(144)의 내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보조삽입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우면측벽(144)의 외면에는 제2보조삽입홈(222)에 대응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보조삽입단(2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보조삽입단(242) 각각의 중앙부위에는 일정수직 높이의 제2보조삽입장공(26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삽입장공(262) 각각의 하단부위에는 제2보조걸림단(28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좌면측벽(143)에 형성되는 제1보조삽입홈(221) 사이 간격 L1은 상호 대향하며 상기 우면측벽(144)에 형성되는 제2보조삽입홈(222) 사이 간격 L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바닥면(12)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14)은 원통벽(14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단(16) 및 안치단(18) 각각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은 원통벽(146)을 따라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은 인접하는 상자의 삽입단 및 삽입홈을 이용하여 적층하되 삽입단의 걸림단이 수직장공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아무리 협소한 공간이라도 많은 수의 상자를 보관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상자의 수납공간을 축소하지 않더라도 매우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하에 인접하는 걸림단이 경사단과 밀착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을 위해 적층된 상자를 분리하는 경우 그 작업을 매우 손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품용 상자의 개략적인 일례로서의 사시구성도.
도 2a 내지 도 2d 각각은 도 1에 개시된 물품용 상자의 개략적인 전, 후면도 및 좌, 우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물품용 상자의 개략적인 다른 예로서의 사시구성도.
도 3b는 도 3a에 개시된 물품용 상자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도 1에 개시된 물품용 상자의 개략적인 운반 및 보관상태도.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도 3a에 개시된 물품용 상자의 개략적인 운반 및 보관상태도.
도 6은 종래 물품용 상자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7은 도 6에 개시된 물품용 상자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a 각각에는 본 고안에 따른 물품용 상자에 있어 서로 다른 개략적인 사시구성도가 개시되어 있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상자몸체 및 삽입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자몸체는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부분으로, 바닥면(12), 측벽(14), 돌출단(16), 안치단(18) 각각이 구비된다. 바닥면(12)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공(11)은 공기나 물과 같은 유체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바닥면(12)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
측벽(14)은 수납공간의 외벽을 이루는 부분으로, 바닥면(12)의 모서리에서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바닥면(12)이 사각형을 이루면 측벽(14)은 전, 후면측벽(141, 142) 및 좌, 우면측벽(143, 144)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면(12)이 원형을 이루면 측벽(14)은 원통벽(146)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단(16)은 후술할 걸림단(28)의 하면 일측부위가 접하는 부분으로, 측벽(14)의 상단부위를 따라 일정수직 높이로 형성된다. 안치단(18)은 걸림단(28)의 하면 타측부위가 접하는 부분으로, 돌출단(16)보다 낮은 수직높이를 가지며, 돌출단(16)과 일체형을 이루면서 일정폭으로 연장된다.
이때, 바닥면(12)이 사각형을 이루면 돌출단(16) 및 안치단(18) 각각은 사각형의 폐회로를 이루며 측벽(14)의 상단부위에 마련되고, 바닥면(12)이 원형을 이루면 돌출단(16) 및 안치단(18) 각각은 원형의 폐회로를 이루며 측벽(14)의 상단부위에 마련된다.
삽입체는 인접하는 상자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부분으로, 삽입홈(22), 삽입단(24), 삽입장공(26), 걸림단(28)이 구비된다. 삽입홈(22)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측벽(14)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 삽입홈(22)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삽입단(24)은 각 삽입홈(22)에 대응하여 측벽(14)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 삽입단(24)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측벽(14)의 내, 외면에 형성되는 삽입홈(22) 및 삽입단(24)은 한 쌍씩 짝을 이루며 구성된다.
삽입장공(26)은 상자 상호간이 보관을 위해 적층되는 경우 걸림단(28)을 위한 공간으로, 각 삽입단(24)의 중앙부위에서 일정수직 높이로 형성된다. 걸림단(28)은 상자 상호간이 운반을 위해 적층되는 경우 인접하는 상자의 돌출단(16) 및 안치단(18) 각각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각 삽입장공(26)의 하단부위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은 걸림단(28) 각각의 상면부위에 경사단(29)이 형성되어 각 삽입장공(26)의 하측부위에 위치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걸림단(28)의 각 상면에 경사단(29)이 형성되면, 상자를 적층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한편, 상자의 바닥면(12)이 도 3a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면,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은 한 쌍씩 짝을 이루며 원통벽(146)을 따라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면 무방하나, 이와 달리 상자의 바닥면(12)이 도 1과 같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이 아래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은 전, 후면측벽(141, 142) 각각의 내면 및 외면에 한 쌍씩 짝을 이루며 형성되며, 전면측벽(141)에 형성되는 이러한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의 짝은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호 대향하며 후면측벽(142)에 한 쌍씩 짝을 이루며 형성되는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의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즉, 한 쌍씩 짝을 이루는 전면측벽(141) 및 후면측벽(142) 각각에 형성되는 삽입홈(22) 및 삽입단(24)은 상호 대향하지 않고 서로 어긋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형성된다. 이럴 경우, 물품이 적재된 상자들을 운반을 위해 적층하면, 전, 후면측벽 각각에 형성되는 삽입단이 전, 후면측벽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지 않고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은 좌, 우면측벽(143, 144) 각각에도, 도 1 내지 도 2d 각각에 개시되어 있듯이, 제1, 2보조삽입홈(221, 222) 및 제1, 2보조삽입단(241, 242) 각각이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좌면측벽(143)의 내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1보조삽입홈(221)이 형성되고, 좌면측벽(143)의 내면에는 제1보조삽입홈(221)에 대응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1보조삽입단(2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우면측벽(144)의 내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보조삽입홈(222)이 형성되고, 우면측벽(144)의 외면에는 제2보조삽입홈(222)에 대응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보조삽입단(242)이 형성된다.
또한, 제1보조삽입단(241) 각각의 중앙부위에는 일정수직 높이의 제1보조삽입장공(261)이 형성되고, 제1보조삽입장공(261) 각각의 하단부위에는 제1보조걸림단(281)이 돌출 형성되며, 제2보조삽입단(242) 각각의 중앙부위에는 일정수직 높이의 제2보조삽입장공(262)이 형성되고, 제2보조삽입장공(262) 각각의 하단부위에는 제2보조걸림단(282)이 돌출 형성된다.
삽입홈(22) 및 삽입단(24)과 마찬가지로, 제1보조삽입홈(221) 및 제1보조삽입단(241)과 제2보조삽입홈(222) 및 제2보조삽입단(242) 각각 역시 한 쌍씩 짝을 이루며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제1, 2보조걸림단(281, 282) 각각의 상면 부위에 걸림단(28)과 같이 경사단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좌, 우면측벽(143, 144) 각각에 제1보조삽입홈(221) 및 제1보조삽입단(241)과 제2보조삽입홈(222) 및 제2보조삽입단(242) 각각이 형성되는 경우, 도 1과 같이 좌면측벽(143)에 형성되는 제1보조삽입홈(221) 사이 간격 L1은 우면측벽(144)에 형성되는 제2보조삽입홈(222) 사이 간격 L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면측벽(141) 및 후면측벽(142) 각각에 형성되는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의 경우와 동일하게, 좌, 우면측벽 각각에 형성되는 제1, 2보조삽입단 각각이 좌, 우면측벽에 형성되는 제1, 2보조삽입홈 각각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L1 < L2인 도면과 달리 L2 < L1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상자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 4a 내지 도 5b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a 및 도 5a 각각은 상자의 수납공간에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각 상자의 수납공간에 물품이 수납되면, 물품이 수납된 상자 1개를 지면에 두고, 그 상부에 물품이 수납된 다른 상자를 적재한다.
이때, 상자의 바닥면(12)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면, 상부에 적재되는 상자에 있어 전, 후면측벽(141, 142) 및 좌, 우면측벽(143, 144) 각각의 하면 부위가,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상자에 있어 후, 전면측벽(142, 141) 및 우, 좌면측벽(144, 143) 각각의 상면 부위와 대향하도로 위치시킨다.
전면측벽(141) 및 후면측벽(142) 각각에 형성되는 삽입홈(22) 및 삽입단(24)은 상호 대향하지 않고 서로 어긋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좌, 우면측벽(143, 144) 각각에 형성되는 제1, 2보조삽입홈(221, 222) 각각의 사이 간격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측에 위치하는 상자의 각 삽입단(24)은 하측에 위치하는 상자의 각 삽입홈(22)에 삽입되지 않고 적층된다.
한편, 상측의 상자에 있어 걸림단(28)은 각 삽입단(24)의 하단 부위에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의 상자가 하측의 상자 상부에 적재되면, 상측 상자의 각 걸림단(24)은 하측 상자의 돌출단(16) 및 안치단(18)과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측 상자들은 도 4a와 같이 자연스럽게 하측 상자 상면에 순차적으로 안치된다.
상자의 바닥면(12)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면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은 원통벽(146)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면 무방하므로, 상측 및 하측 각각에 위치하는 상자에 있어 삽입단(22) 및 삽입홈(24) 각각이 상호간에 겹치지 않게만 위치시키면 도 5a와 같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다음으로, 물품의 수납 없이 빈 상자를 적층시켜 보관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빈 상자를 하측에 안치하고 별도의 상자에 있어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을 하측에 위치한 상자에 있어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과 대향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상측의 상자에 마련되는 각 삽입단(24)을 하측에 위치하는 상자의 각 삽입홈(22)에 삽입한다.
상자의 바닥면(12)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면, 상하에 위치하는 상자의 전, 후면측벽(141, 142) 및 좌, 우면측벽(143, 144) 각각이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이는 상자의 바닥면(12)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마찬가지이다.
상측 상자에 마련되는 각 삽입단(24)이 하측에 위치하는 상자의 각 삽입홈(22)에 삽입되면, 각 삽입단(24)의 하단부위에 마련되는 걸림단(28)이 각 삽입홈(22)을 통해 수직장공(26)에 삽입된 다음 수직장공(28)을 따라 하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수직장공(28)을 따른 각 걸림단(28)의 이동은 걸림단(28)의 하면부위가 경사단(29)과 접할 때까지 이어진다.
상측 상자의 각 걸림단(28) 하면부위가 하측 상자의 경사단(29)과 접하게 되면, 상측 상자의 돌출단(16) 및 안치단(18) 각 하면부위는 하측 상자의 돌출단(16) 및 안치단(18) 각 상면부위와 자연스럽게 밀착된다. 이러한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상자들은 도 4b와 같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인접하는 상자들은 상호 간에 밀착되어 적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와 달리 아무리 협소한 공간이라도 많은 수의 상자를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삽입단에 형성되는 걸림단이 수직장공에 삽입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상자의 측벽이 수직으로 형성되더라도 매우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상자의 바닥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대동소이한 과정을 거쳐 도 5b와 같이 적층될 수 있다.
한편,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던 상자를 사용하기 위해 분리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 4b와 같이 상자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면, 상측 상자의 각 걸림단(28) 하면부위는 하측에 위치하는 상자의 각 경사단(29)과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상측 상자를 들어 올리면, 상측 상자의 걸림단(28) 하면부위는 하측 상자의 경사단(29) 상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가이드된다.
즉, 상측 상자의 각 걸림단(28)은 가해지는 힘에 의해 하측 상자의 각 경사단(29) 상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걸림단(28)이 삽입되어 있던 수직장공(26) 및 삽입홈(22) 각각을 순차적으로 빠져나가면서 상측 상자는 하측 상자와 분리되는 것이다.
종래 상자가 적층되는 경우, 상자 개별적인 크기가 다르거나 또는 상자 사이에 끼인 이물질 등에 의해 적층된 상자 상호간의 분리 작업이 쉽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걸림단이 경사단을 따라 자연스럽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분리 작업을 매우 손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2 : 바닥면 14 : 측벽
16 : 돌출단 18 : 안치단
22 : 삽입홈 24 : 삽입단
26 : 수직장공 28 : 걸림단
29 : 경사단

Claims (5)

  1. 복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는 바닥면(12), 바닥면(12)의 모서리에서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측벽(14), 측벽(14)의 상단부위를 따라 일정수직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돌출단(16), 돌출단(16)과 일체형을 이루되 돌출단(16)보다 낮은 수직높이를 가지며 일정폭으로 연장되는 안치단(18)이 구비되는 상자몸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측벽(14) 내면에 형성되되 각각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삽입홈(22), 각 삽입홈(22)에 대응하여 측벽(14) 외면에 형성되되 각각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삽입단(24), 각 삽입단(24)의 중앙부위에서 일정수직 높이로 형성되는 삽입장공(26), 각 삽입장공(26)의 하단부위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단(28)이 구비되는 삽입체;를 포함하여,
    보관할 때는 각 삽입단(24) 부위를 각 삽입홈(22) 부위에 삽입시켜 각 걸림단(28)을 각 삽입장공(26)에 삽입시켜 적층하며, 운반할 때는 각 걸림단(28)을 각 안치단(18)에 안치시켜 적재하되,
    상기 걸림단(28) 각각의 상면부위에는 경사단(29)이 형성되어 각 삽입장공(26)의 하측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2)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14)은 전, 후면측벽(141, 142) 및 좌, 우면측벽(143, 1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단(16) 및 안치단(18) 각각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은 전, 후면측벽(141, 142) 각각에 형성되되, 상기 전면측벽(141)에 형성되는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은 상호 대향하며 상기 후면측벽(142)에 형성되는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 사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용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측벽(143)의 내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1보조삽입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좌면측벽(143)의 내면에는 제1보조삽입홈(221)에 대응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1보조삽입단(24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삽입단(241) 각각의 중앙부위에는 일정수직 높이의 제1보조삽입장공(26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조삽입장공(261) 각각의 하단부위에는 제1보조걸림단(28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우면측벽(144)의 내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보조삽입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우면측벽(144)의 외면에는 제2보조삽입홈(222)에 대응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보조삽입단(2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보조삽입단(242) 각각의 중앙부위에는 일정수직 높이의 제2보조삽입장공(26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삽입장공(262) 각각의 하단부위에는 제2보조걸림단(28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좌면측벽(143)에 형성되는 제1보조삽입홈(221) 사이 간격 L1은 상호 대향하며 상기 우면측벽(144)에 형성되는 제2보조삽입홈(222) 사이 간격 L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용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2)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14)은 원통벽(14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단(16) 및 안치단(18) 각각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22) 및 삽입단(24) 각각은 원통벽(146)을 따라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용 상자.
  5. 삭제
KR2020190002922U 2019-07-11 2019-07-11 물품용 상자 KR200493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22U KR200493840Y1 (ko) 2019-07-11 2019-07-11 물품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22U KR200493840Y1 (ko) 2019-07-11 2019-07-11 물품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60U KR20210000160U (ko) 2021-01-20
KR200493840Y1 true KR200493840Y1 (ko) 2021-08-09

Family

ID=7423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922U KR200493840Y1 (ko) 2019-07-11 2019-07-11 물품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4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1152A1 (en) * 2009-08-06 2011-02-10 Frank Andrew Petlak Container with stacking feature
WO2015176740A1 (en) * 2014-05-19 2015-11-26 Schoeller Allibert Gmbh Contain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504B1 (ko) 2002-11-04 2005-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사이드 글라스 장착장치
ES2394297T3 (es) * 2009-03-13 2013-01-30 Rehrig Pacific Company Contenedor apilable multiposició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1152A1 (en) * 2009-08-06 2011-02-10 Frank Andrew Petlak Container with stacking feature
WO2015176740A1 (en) * 2014-05-19 2015-11-26 Schoeller Allibert Gmbh Contain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60U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1879A (en) Crate for carrying bottles, cans or the like articles
KR200407206Y1 (ko) 운반이 용이한 스티로폼박스
US3420402A (en) Stackable and nestable container
US4635562A (en) Sidewall assembly for tote box
US4901876A (en) All-purpose utility crate
US20130183412A1 (en) Tri-fold egg carton for jumbo eggs
US3926321A (en) Stacking aid
US3438544A (en) Pallet container
JP7357908B2 (ja) ボックス、スタッキングされたボックスの組み合わせ構造、および、スタッキングされたボックスを機械的にグリップする方法
KR200493840Y1 (ko) 물품용 상자
WO2010064986A1 (en) Stackable plastic pallet and a system of stackable plastic pallets
JP2003034330A (ja) 運搬用パレット
EP2108593B1 (en) Container for storage and transport
KR100885680B1 (ko) 적층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상자
KR200449586Y1 (ko) 수산물 운반상자
JP2000085773A (ja) 運搬用容器
US10703531B2 (en) Collapsible crate with wood appearance
US20070007160A1 (en) Box
KR200488504Y1 (ko) 병 운반용 상자
JP3180024U (ja) 積み重ね収納用のトレー
EP3604153B1 (en) Container for the packaging of disc-shaped elements, particularly brake discs for car braking systems
KR200339384Y1 (ko) 접철식 종이상자
KR890003667B1 (ko) 운송용 팰리트
TW201821332A (zh) 裝載用貨盤
KR200304380Y1 (ko) 스티로폼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