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380Y1 - 스티로폼 박스 - Google Patents

스티로폼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380Y1
KR200304380Y1 KR20-2002-0035756U KR20020035756U KR200304380Y1 KR 200304380 Y1 KR200304380 Y1 KR 200304380Y1 KR 20020035756 U KR20020035756 U KR 20020035756U KR 200304380 Y1 KR200304380 Y1 KR 200304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ide wall
styrofoam
contents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길호
Original Assignee
첨단스치로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첨단스치로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첨단스치로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5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5Containers stackable in a staggered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에 담긴 내용물을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박스를 격자로 겹쳐서 쌓아두더라도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한 스티로폼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는 사각형상으로 안쪽으로 내용물을 넣어 포장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박스의 가로측벽 및 세로측벽의 상·하단부에 각각 철(凸)부와 요(凹)부가 형성되어 상자 적층시 이들의 결합으로 상자의 미끄러짐과 내용물의 눌림이 방지되도록 한 스티로폼 박스에 있어서, 상기 가로측벽 하단부에 형성된 요부 중 양단 요부 간의 간격이 상기 세로측벽의 가로길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티로폼 박스{Styrofoam Box}
본 고안은 과일 또는 생선 등을 담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사용하는 스티로폼 박스(Styrofoam Box)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의 격자쌓기가 가능하고, 겹쳐 쌓아두더라도 박스 상단에 담겨진 내용물을 압박하지 않으면서 박스가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한 스티로폼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통단계에서 손상되기 쉬운 딸기, 포도 등과 같은 과일이나 생선 등은 운반 및 보관 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한 내용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스티렌 수지(Styrene Resin)를 발포 성형한 스티로폼(일명, 스치로폴) 박스를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스티로폼 박스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스티로폼 박스(10)는 사각형상으로 안쪽으로는 내용물을 넣어 포장할 수 있는 공간(11)이 구비되며, 박스(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일정한 크기의 통풍구(12)가 구비된다. 또한, 박스(10)의 좌·우측에는 박스를 취급할때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요홈(13)이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박스(10)를 블럭을 쌓듯이 겹겹히 쌓았을때 상·하의 박스가 서로 맞물려지도록 박스의 저면부에 돌출받침부(14)가 구비되어 여러개의 박스를 쌓아두더라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티로폼 박스의 저면부에 구비된 돌출받침부(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의 외곽 테두리부를 제외하고는 전체가 돌출되어진 구조로서, 박스를 겹쳐서 쌓을 경우 박스의 윗부분에 담긴 내용물을 압박하여 내용물을 쉽게 상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 184144 호의 '과일상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 저면부의 돌출받침부를 제거하고 상자(20) 본체의 가로측벽과 세로측벽의 상·하단부에 각각 철부(21)와 요부(22)를형성하여 상자 적층시에 이들이 결합되어 박스의 무너짐과 과일의 눌림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과일상자는 여러겹으로 적층시 과일의 눌림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과일, 생선 등의 내용물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내용물 확인 등을 위해 상자의 격자쌓기가 필요한 경우 다 수개의 요부가 형성된 상자 저면부의 외곽테두리와 상자 본체의 상단부에 돌출된 다 수개의 철부로 인하여 근본적으로 격자쌓기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격자쌓기를 하더라도 불안정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박스에 담긴 내용물을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박스를 격자로 겹쳐서 쌓아두더라도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한 스티로폼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는, 사각형상으로 안쪽으로 내용물을 넣어 포장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박스의 가로측벽 및 세로측벽의 상·하단부에 각각 철(凸)부와 요(凹)부가 형성되어 상자 적층시 이들의 결합으로 상자의 미끄러짐과 내용물의 눌림이 방지되도록 한 스티로폼 박스에 있어서, 상기 가로측벽 하단부에 형성된 요부 중 양단 요부 간의 간격이 상기 세로측벽의 가로길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스티로폼 박스의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티로폼 박스의 적층 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스티로폼 박스의 적층 상태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의 적층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스티로폼 박스 31 : 공간
32 : 통풍구 33 : 요홈
34 : 철부 35 : 요부
40 : 가로측벽 50 : 세로측벽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도 3의 스티로폼 박스의 적층 상태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스티로폼 박스의 적층 상태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30)는 사각형상으로 안쪽으로는 내용물을 넣어 포장할 수 있는 공간(31)이 구비되며, 박스(30)의 상단과 하단에는 일정한 크기의 통풍구(32)가 다 수개 구비된다. 또한, 박스(30) 좌·우의 세로측벽(50)에는 박스를 취급할때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요홈(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티로폼 박스(30)의 가로측벽(40) 및 세로측벽(50) 상단부로는 각각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철(凸)부(34)가 다 수개 형성되고, 가로측벽(40) 및 세로측벽(50) 하단부로는 박스(30)의 적층시 하부에 적층된 박스의 철부(34)와 대응 결합하는 요홈형태의 요(凹)부(35)가 철부(34)의 위치 및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30)의 통풍구(32)는 각각 가로측벽(40)의 하단에 3개와 상단에 2개, 세로측벽(50)의 하단에 2개와 상단에 1개가 구비되고, 상기 철부(34) 및 요부(35)는 가로측벽(40)의 상·하단부에 각각 3개, 세로측벽(50)의 상·하단부에 각각 2개가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스티로폼 박스(30)는 통풍구, 철부 및 요부 등의 갯수가 이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가로측벽(40) 및 세로측벽(50) 상단부에 형성된 철부(34)의 가로길이(a)는 박스(30)의 측벽 두께보다 길다.
또한, 상기 가로측벽(40) 하단부에 형성된 요부(35)에 있어 양단, 즉 가장 바깥쪽에 형성된 요부(35')(35") 간의 간격(b)은 박스의 세로측벽(50)의 가로길이(c)와 동일하다. 따라서, 필요에 의해 박스(30)의 격자쌓기를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30)의 가로측벽(40) 하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바깥쪽 요부(35')(35")에 하단 적층된 박스의 철부(34')(34")가 각각 결합함으로써 박스 내부의 내용물에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서 격자로 여러겹 쌓아두더라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이때, 상기 박스(30)의 가로측벽(40) 하단부에 형성된 요부(35) 중 각각의 양단 요부(35')(35")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적층된 박스(30')의 세로측벽(50)에 형성된 철부(34')(34")가 수직결합하되, 상기 철부(34')(34")가 상단에 적층된 박스(30)의 양단 요부(35')(35")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 접하여 결합된다. 도 5a는 하단에 적층된 박스(30')의 철부(34')(34")가 상단에 적층된 박스(30)의 양단 요부(35')(35")의 내측벽에 접하여 결합된 상태도이고, 도 5b는 하단에 적층된 박스(30')의 철부(34')(34")가 상단에 적층된 박스(30)의 양단 요부(35')(35")의 외측벽에 접하여 결합된 상태도이다.
상기 철부(34')(34")가 양단 요부(35')(35")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 접하여 결합함에 따라 박스(30)(30')의 격자쌓기 후 상기 철부(34')(34")가 양단 요부(35')(35")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 의하여 지지됨으로 적층된 박스(30)(3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의 적층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60)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30)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단지, 상기 박스(60)의 일측 세로측벽(70) 하부에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6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타측 세로측벽(70') 하부로는 상기 박스(60)의 돌출부(61)와 대응 결합하는 요홈형태의 오목부(62)가 돌출부(61)의 위치 및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60)의 적층시 상기 박스(60)의 세로측벽(70)(70')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61) 및 오목부(62)가 박스의 좌·우측에 적층되는 다른 박스들과 상호 결합됨으로써 박스(60)를 좌·우방향으로 여러 겹으로 쌓아두더라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티로폼 박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박스의 가로측벽 및 세로측벽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철부와 요부의 간격을 조정하여 박스의 격자쌓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딸기, 포도, 생선 등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박스가 적층된 상태로 내부의 내용물 확인이 용이할 수 있도록하는 잇점이 있다.
둘째, 박스의 일측 세로측벽 하단에 돌출부를, 타측 세로측벽 하단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 결합되는 오목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박스의 적층시 여려겹 겹쳐서 쌓아두더라도 좌·우측에 적층된 박스들과의 결합으로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각형상으로 안쪽으로 내용물을 넣어 포장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박스의 가로측벽 및 세로측벽의 상·하단부에 각각 철(凸)부와 요(凹)부가 형성되어 상자 적층시 이들의 결합으로 상자의 미끄러짐과 내용물의 눌림이 방지되도록 한 스티로폼 박스에 있어서,
    상기 가로측벽 하단부에 형성된 요부 중 양단 요부 간의 간격이 상기 세로측벽의 가로길이와 동일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측벽 하단부에 형성된 요부 중 양단 요부에는,
    하단에 적층된 박스의 세로측벽에 형성된 철부가 수직결합하되, 상기 철부가 양단 요부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 접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티로폼 박스는,
    박스의 일측 세로측벽 하부에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타측 세로측벽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 결합하는 요홈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박스.
KR20-2002-0035756U 2002-11-29 2002-11-29 스티로폼 박스 KR200304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756U KR200304380Y1 (ko) 2002-11-29 2002-11-29 스티로폼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756U KR200304380Y1 (ko) 2002-11-29 2002-11-29 스티로폼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380Y1 true KR200304380Y1 (ko) 2003-02-19

Family

ID=49400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756U KR200304380Y1 (ko) 2002-11-29 2002-11-29 스티로폼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3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898B1 (ko) 농산물 포장용 박스
WO2015180197A1 (zh) 一种栈板及包装箱
JP6919196B2 (ja) 果菜類輸送容器
KR200304380Y1 (ko) 스티로폼 박스
JPS5917838Y2 (ja) 「莓」等果物の包装容器
JP6738633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JP6691413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CN207843706U (zh) 结构稳固的礼品包装盒
JP6175150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KR200416610Y1 (ko) 구조개선된 과일 포장용 상자
JP2007099321A (ja) 運搬用容器
JP2003170963A (ja) 瓶体収容箱
JPH0777900B2 (ja) 段ボール箱板紙
KR20190015676A (ko) 농수산물 운반용 포장상자
JPS5938336Y2 (ja) 収壜仕切枠
JP3102405U (ja) 荷崩れ及び衝撃防止ダンボ−ル容器
KR200235873Y1 (ko) 과일 포장상자
US8511494B2 (en) Four-sided container
JPH0126571Y2 (ko)
KR200350862Y1 (ko) 절첩이 용이한 포장박스
KR200322733Y1 (ko) 과일 포장상자
KR200223774Y1 (ko) 과일 포장 상자
KR20210029627A (ko) 부패방지 농산물 포장박스
JPH0326126Y2 (ko)
JP2021133993A (ja) 集合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