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707Y1 - 조류포획용 트랩 - Google Patents
조류포획용 트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6707Y1 KR200286707Y1 KR2020020016741U KR20020016741U KR200286707Y1 KR 200286707 Y1 KR200286707 Y1 KR 200286707Y1 KR 2020020016741 U KR2020020016741 U KR 2020020016741U KR 20020016741 U KR20020016741 U KR 20020016741U KR 200286707 Y1 KR200286707 Y1 KR 2002867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p
- inlet
- frame
- pair
- frames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류포획용 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트랩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전후방프레임과 한 쌍의 양측프레임, 및 부분적으로 상향 개구된 트랩입구를 가지는 상부프레임으로 소정의 포획공간을 형성하는 트랩본체; 트랩본체의 외면을 덮으며, 트랩입구에 대응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포획그물; 및 트랩본체의 트랩입구에 설치되며, 트랩입구의 개구면에 다수의 새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프레임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유해조류를 대량포획가능하며, 간단히 조립해체하여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류포획용 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간에게 유해한 조류들을 포획할 수 있는 트랩에 관한 것이다.
농가에서는 최근, 조류에 의한 조생 농작물이나 과실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환경이나 기후의 이상변동으로 유해조류는 날로 늘어만 가고, 이에 따른 피해규모는 년간 약 11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하지만, 새망이나 딱총외에 별다른 대안을 가지고 있지 아니한 현실의 농가에서는, 유해조류에 의한 피해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농업종사자 및 그와 관련한 전문가들이 유해조류를 퇴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유해조류를 퇴치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조류포획용 트랩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트랩들은, 비교적 소형의 조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유해조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적기 때문에, 조류포획가능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비록 대형의 조류포획용 트랩에서 조차도, 일정한 장소에 고정적인 구성을 가지므로, 그 조립 및 해체가 곤란하고, 또한, 이동이 불편하여 현실적으로 보급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농작물이나 과실에 피해를 주는 유해조류들을 효율적으로 대량 포획가능하고, 또한, 그 설치 및 분리가 간단하여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조류포획용 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류포획용 트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도로서, 트랩본체, 포획망, 및 유입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도 2의 트랩본체의 개략적 분해도로서, 각 프레임의 구성을 각각 축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류포획용 트랩 10 : 트랩본체
13 : 트랩입구 15a : 전방프레임
15b : 후방프레임 20a, 20b: 양측프레임
25a, 25b: 상부프레임 30 : 유입프레임
40 : 포획그물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조류포획용 트랩에 있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전후방프레임과 한 쌍의 양측프레임, 및 부분적으로 상향 개구된 트랩입구를 가지는 상부프레임으로 소정의 포획공간을 형성하는 트랩본체; 상기 트랩본체의 외면을 덮으며, 상기 트랩입구에 대응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포획그물; 및 상기 트랩본체의 트랩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트랩입구의 개구면에 다수의 새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포획용 트랩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프레임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바아 및 세로바아에 의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유입프레임의 길이방향 연부에 각각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대향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하여, 유해조류의 포획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류포획용 트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조류포획용 트랩(1)은, 크게 포획공간을 형성하는 트랩본체(10)와, 이 트랩본체(10)의 외면을 덮는 포획그물(40)로 구성된다. 여기서, 트랩본체(40)의 상부에는 트랩입구(13)가 형성되며, 본 조류포획용 트랩(1)은 트랩입구(13)에 설치되는 유입프레임(30)을 더 포함한다.
트랩본체(10)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전방프레임(15a)과 후방프레임(15b), 역시 한 쌍의 양측프레임(20a, 20b), 및 상부프레임(30)을 구비한다. 전후방프레임(15a, 15b)은 각각 도 4의 (a) 및 (b)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의 가로바아(16)와, 이 가로바아(16)에 대하여 세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바아(17) 및 한 쌍의 내측바아(18), 그리고,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바아(19)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외측바아(20)는 한 쌍의 내측바아(18)를 사이에 두고 가로바아(16)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다. 이 외측바아(20)는 내측바아(18)에 비하여 상향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각 바아(16, 17, 18, 19)들은 상호 예를 들어, 용접등을 통해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각 바아들도 마찬가지로 용접에 의해 결합가능하며, 이하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전방프레임(15a)은 후방프레임(15b)과 달리 출입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출입부(35) 역시 가로바아(36)와 세로바아(37)로 구성되며, 전방프레임(15a)에 의해 형성된 일측의 구획구간내에 좌우회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출입부(35)와 내측바아(18) 사이에는 잠금장치(38)가 설치된다. 이러한 잠금장치(38)는,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부(39a)와, 이 고정부(39a)와 맞물리도록 타측에 마련되는 결합고리(39b)로 간단히 구성가능하다.
각 연결바아(19)는 상측의 가로바아(16)의 중앙영역과 양측 외측바아(17)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한다. 상측의 가로바아(16)와 연결바아(19)의 상호 연결부분은 가로바아(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바아(19)는 각각, 가로바아(16)와의 연결단부가 외측바아(17)와의 연결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각을 형성한다.
한편, 양측프레임(20a, 20b)은 도 4의 (c) 및 (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가로바아(21)와, 4개의 세로바아(2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4개의 세로바아(22)는 간단히 2개 이상으로 마련할 수 있으며, 전후방프레임(15a, 15b)의 외측바아(17)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한 쌍의 상부프레임(25a, 25b) 역시, 도 4의 (e) 및 (f)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로바아(26)와 4개의 세로바아(27)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로바아(26)는 양측프레임(20a, 20b)의 가로바아(21)와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바아(27)는 전후방프레임(15a, 15b)의 연결바아(19)와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세로바아(27)는 2개 이상으로 간단히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의해, 각 상부프레임(25a, 25b)은 그 가로바아(26)가 양측프레임(20a, 20b)의 가로바아(21)와 접촉하는 한편, 그 세로바아(27)가 연결바아(19)와 접촉하도록, 전후방프레임(15a, 15b)과 양측프레임(20a, 20b)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 때, 각 상부프레임(25a, 25b)의 상호 인접하는 가로바아(26) 사이에 트랩입구(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트랩입구(13)를 형성하는 가로바아(26)에 대하여 외측에 배치된 가로바아(26)는 상측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연결바아(19)와 마찬가지로, 외측을 향한 상향 경사각을 형성한다.
한편, 트랩입구(13)에 설치되는 유입프레임(30)은 평행하게 배치되는 4개의가로바아(33)와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바아(34)로 구성되어 있다. 가로바아(33)는 양측프레임(20a, 20b) 및 상부프레임(25a, 25b)의 가로바아(21, 26)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세로바아(34)는 전후방프레임(15a, 15b)의 상측 가로바아(16)에 마련된 연결부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유입프레임(30)의 세로바아(34)들은 가로바아(33)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분으로부터 양측방향을 향해 그 이격거리가 점차적으로 축소되어 있다. 여기서, 가로바아(33)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세로바아(34)들의 이격거리는 예를 들어, 약 16㎝로 구성가능한 한편, 양측 단부영역에 배치되는 세로바아(34)들의 이격거리는 약 10㎝로 구성가능하다. 이러한 가로바아(33)와 세로바아(34)들의 상호 이격으로 유입프레임에는 복수개의 '#'형상의 새유입구(31)들이 형성된다. 약 10 내지 16㎝ 길이를 가지는 새유입구(31)들은, 이를 통해 그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조류의 탈출을 차단하는데 유리하다.
이와 같이, 전후방프레임(15a, 15b)과 양측프레임(20a, 20b), 그리고, 상부프레임(25a, 25b)은 별도의 연결부재(50)를 사용하여 간단히 조립가능하며, 이에 의해 조립된 트랩본체(10)는 그 내부에 포획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연결부재(50)는 저렴한 가격의 철사나 노끈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재(50)들은 조립된 트랩본체(10)를 간단히 해체시키는데도 유리하다.
한편, 포획그물(40)은 거의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각 프레임(15a, 15b, 20a, 20b, 25a, 25b)에 대응하는 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부에는 트랩본체(10)의 트랩입구(13)에 해당하는 개방부(43)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포획그물(40)은,다수의 통공(45)을 가지는 망사재질로 구성가능하며, 트랩본체(10)의 상측으로부터 하향 결합되어, 트랩본체(10)를 포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조류포획용 트랩(1)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프레임(15a, 15b, 20a, 20b, 25a, 25b, 30)을 간단히 차량에 실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전후방프레임(15a, 15b) 및 양측프레임(20a, 20b)을 상호 조립하여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포획공간을 형성한다. 이들 전후방프레임(15a, 15b) 및 양측프레임(20a, 20b)은, 상호 대응하는 모서리부분의 세로바아(17, 22)들을 연결부재(50)를 사용하여 간단히 결합시켜 조립가능하다.
전후방프레임(15a, 15b)과 양측프레임(20a, 20b)의 조립이 완성되면, 그 상부에 한 쌍의 상부프레임(25a, 25b)을 각각 배치시킨다. 이 상부프레임(25a, 25b)들은, 전후방프레임(15a, 15b) 및 양측프레임(20a, 20b)과 상호 대응하는 가로바아(26)를 상술한 바와 같이, 철사나 노끈등을 사용하여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프레임(25a, 25b) 사이에는 트랩입구(13)가 형성된다.
한편, 전후방프레임(15a, 15b), 양측프레임(20a, 20b), 및 상부프레임(25a, 25b)을 조립하여, 소정의 포획공간을 형성하는 포획본체(10)가 완성되면, 그 상부에 개구된 트랩입구(13)에 유입프레임(30)을 설치한다. 이 유입프레임(30)은 자중에 의해 양측의 상부프레임(25a, 25b) 사이에 배치가능하므로, 별도의 연결부재(50)를 사용하여 고정시키지 아니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포획본체(10)의 외면에 포획그물(40)을 덮는다. 포획그물(40)은 트랩입구(13)에 해당하는 개방부(43)만이 상향 개구된 상태로 포획본체(10)를 포위하며, 이에 의해, 포획본체(10)내로 들어온 조류는 탈출이 곤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간단히 조립가능한 본 조류포획용 트랩(1)은, 조용하고 근처에 음수가능한 물이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접한 곳에 조류가 쉴수 있는 큰 나무가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조류포획용 트랩(1)에는 또한, 그 내부에, 조류가 앉을 수 있는 지지대등이 설치될 수 있고, 과일이나 기타 먹이도 넣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치된 조류포획용 트랩(1)에는, 일기가 고르지 않거나 비가 내리는 경우, 유해조류가 먹이나 쉴곳을 찾아 날아든다. 이 때, 유해조류는 유입프레임(30)이 형성하는 '#'형상의 새유입구(31)를 통해 포획공간내로 들어오며, 이 후, 별도의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그 내부에 포획되는 것이다.
한편, 본 조류포획용 트랩(1)은, 상술한 역순을 따라 각 프레임(15a, 15b, 20a, 20b, 25a, 25b, 30)으로 간단히 해체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차량에 실어 다른 설치장소로 간편하게 이동가능하며, 이송된 각 프레임(15, 15b, 20a, 20b, 25a, 25b, 30) 역시, 간단히 조립하여 상술한 유해조류를 포획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 프레임들의 조립해체가 간편하고 이동이 편리하며, 조립된 상태에서 농작물이나 과실에 피해를 주는 유해조류들을 효율적으로 대량 포획가능한 조류포획용 트랩이 제공된다.
Claims (2)
- 조류포획용 트랩에 있어서,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전후방프레임과 한 쌍의 양측프레임, 및 부분적으로 상향 개구된 트랩입구를 가지는 상부프레임으로 소정의 포획공간을 형성하는 트랩본체;상기 트랩본체의 외면을 덮으며, 상기 트랩입구에 대응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포획그물; 및상기 트랩본체의 트랩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트랩입구의 개구면에 다수의 새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포획용 트랩.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유입프레임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바아 및 세로바아에 의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며;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유입프레임의 길이방향 연부에 각각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포획용 트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6741U KR200286707Y1 (ko) | 2002-05-31 | 2002-05-31 | 조류포획용 트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6741U KR200286707Y1 (ko) | 2002-05-31 | 2002-05-31 | 조류포획용 트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6707Y1 true KR200286707Y1 (ko) | 2002-08-30 |
Family
ID=7312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16741U KR200286707Y1 (ko) | 2002-05-31 | 2002-05-31 | 조류포획용 트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6707Y1 (ko) |
-
2002
- 2002-05-31 KR KR2020020016741U patent/KR20028670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74124B2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1322341B1 (ko) |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 |
KR102029064B1 (ko) |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장 | |
EP0095309B1 (en) | Insect trap | |
KR101833247B1 (ko) | 양봉용 말벌 침입 방지망 | |
KR102526023B1 (ko) | 다목적 멀티 포획트랩 | |
KR200286707Y1 (ko) | 조류포획용 트랩 | |
KR200405159Y1 (ko) | 말벌 방어 울타리 | |
US20170238478A1 (en) | Garden plot encasement system | |
KR102052989B1 (ko) |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관리시스템 | |
KR20070001093U (ko) | 낙지잡이용 통발 | |
US11213007B2 (en) | Kit for assembly of a cat habitat | |
ES2356635T3 (es) | Trampa para atrapar plagas de insectos de bosques, jardín y agrícolas y método para atrapar y almacenar plagas de insectos de bosques, jardines y agrícolas. | |
KR20220108950A (ko) | 벌통 덮개 구조 | |
KR200460817Y1 (ko) | 조류 포획용 트랩 유인구 | |
GB2471778A (en) |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fauna | |
KR100470713B1 (ko) | 조류 포획 장치 | |
JP2000316456A (ja) | 動物捕獲装置 | |
KR20050003700A (ko) | 조류포획용 트랩 | |
KR20090010225U (ko) | 탈출 방지형 조류 포획 장치 | |
AU2001100134B4 (en) | Enviro-trap | |
KR102721728B1 (ko) | 유해조류 포획트랩용 게이트유닛과 이를 이용한 유해조류 포획트랩 | |
AU2005201806A1 (en) | A toad trap | |
KR101023248B1 (ko) | 흡혈성 파리목 해충 포집 장치 | |
JPH0711589Y2 (ja) | 野生動物捕獲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