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283A - 안강망 어업용 어망 - Google Patents

안강망 어업용 어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283A
KR20140064283A KR1020120131460A KR20120131460A KR20140064283A KR 20140064283 A KR20140064283 A KR 20140064283A KR 1020120131460 A KR1020120131460 A KR 1020120131460A KR 20120131460 A KR20120131460 A KR 20120131460A KR 20140064283 A KR20140064283 A KR 2014006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fixed
nail
rop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자
Original Assignee
유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자 filed Critical 유선자
Priority to KR102012013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4283A/ko
Publication of KR2014006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4Fixed nets with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안강망의 인양 작업 시 안강망의 파손 또는 훼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강망의 강도를 높인 안강망 어업용 어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강망 어업용 어망은 수산동물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결망, 상기 결망의 출구에 입구가 연결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세망, 상기 세망의 출구 쪽 내측에 수산동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출구가 좁게 형성된 조구, 상기 세망의 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낭망, 상기 세망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낭망의 인양 위치를 알려주는 제1 부유체, 상기 낭망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 부유체, 상기 결망, 세망, 낭망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며, 상기 결망, 세망, 낭망의 처짐을 보강하여 상기 결망, 세망, 낭망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로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안강망의 외부에 로프가 고정되어 있어 포획된 수거동물에 의해 낭망이 처지지 않게 되고,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낭망의 수거 작업 시 로프가 고정되어 있어 낭망의 파손 또는 훼손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강망 어업용 어망{Stow Fishery Fishnets}
본 발명은 안강망 어업용 어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산동물을 유도하여 포획할 때 사용되는 안강망 어업용 어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강망(stow net)이란, 조류가 빠른 곳에서 어구(漁具)를 조류에 밀려가지 않게 고정해 놓고, 어군(魚群)이 조류의 힘에 의해 강제로 자루에 밀려 들어가게 하여 포획·채취하는 어구나 어법을 의미하고, 상기 안강망 중 연안안강망(낭장망)은 조류(潮流)가 빠른 곳에 설치하여 실치, 까나리, 멸치, 기타의 수산동물을 포획·채취하는 어구(漁具)를 의미한다.
이러한 연안안강망(낭장망)에서는 어망에 서로 다른 크기의 수산동물이 한꺼번에 포획된다. 따라서 어망을 인양한 후에 어망에서 수산동물를 채취하기 위해 별도의 분류작업을 해야 했다.
이러한 분류작업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분류작업 중에 수산동물이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포획된 수산동물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안강망에는 많은 양의 어류가 유입되어 포획되므로, 안강망의 인양 작업 시 어류의 무게로 인하여 안강망을 구성하는 결망, 세망, 낭망 중에서 어느 하나가 파손되거나 조류에 의해 안강망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강망의 인양 작업 시 안강망의 파손 또는 훼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강망의 강도를 높인 안강망 어업용 어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강망 어업용 어망은 수산동물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결망,
상기 결망의 출구에 입구가 연결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세망,
상기 세망의 출구 쪽 내측에 수산동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출구가 좁게 형성된 조구,
상기 세망의 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낭망,
상기 세망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낭망의 인양 위치를 알려주는 제1 부유체,
상기 낭망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 부유체,
상기 결망, 세망, 낭망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며, 상기 결망, 세망, 낭망의 처짐을 보강하여 상기 결망, 세망, 낭망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는 결망, 세망, 낭망에 결속끈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는 결망의 입구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낭망의 끝단까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는 결망의 입구게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낭망의 중간 길이까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는 상기 결망의 네 모서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안강망의 외부에 로프가 고정되어 있어 포획된 수거동물에 의해 낭망이 처지지 않게 되고,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낭망의 수거 작업 시 로프가 고정되어 있어 낭망의 파손 또는 훼손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강망 어업용 어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강망 어업용 어망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강망 어업용 어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강망 어업용 어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강망 어업용 어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강망 어업용 어망을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강망 어업용 어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강망 어업용 어망은 안강망 어업용 어망으로서, 수산동물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결망(10),
상기 결망(10)의 출구에 입구가 연결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세망(20),
상기 세망(20)의 출구 쪽 내측에 수산동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출구가 좁게 형성된 조구(30),
상기 세망(20)의 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낭망(40),
상기 세망(4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낭망(40)의 인양 위치를 알려주는 제1 부유체(50),
상기 낭망(40)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 부유체(60),
상기 결망(10), 세망(20), 낭망(40)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며, 상기 결망(10), 세망(20), 낭망(40)의 처짐을 보강하여 상기 결망(10), 세망(20), 낭망(4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로프(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강망 어업용 어망은 수산동물의 여과 및 포획용 어망으로써, 결망(10)에 연결되는 세망(20)과 낭망(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산동물의 여과 및/또는 포획용 어망은 상기 세망(20)의 입구 쪽에 결망(10)이 연결되어 연안 안강망(낭장망)으로 사용된다.
상기 결망(10)은 어류 등의 수산동물이 들어오는 입구(11)와 수산동물이 세망(20)으로 이동되도록 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출구에는 세망(20)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결망(10)은 입구가 넓게 형성되어 있고,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결망(10)의 입구(1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결망(10)의 출구에는 세망(20)이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세망(20) 또한 결망(10)의 출구에 고정되는 입구로부터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망(20)의 출구 쪽 내측에는 조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구(30)는 어류 등의 수산동물이 결망(10) 쪽으로 이동하여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가 넓고 출구 쪽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있다.
즉, 조구(30)는 입구에 비해 출구가 매우 좁게 형성되어 있어 조구(30)를 통과한 수산동물이 결망(1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낭망(40)은 세망(20)의 출구에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낭망(40)은 어류 등의 수산동물이 포획되며, 선박으로 끌어올린 다음 세망(20)으로부터 분리시켜 낭망(40)에 포획된 수산동물을 수거하게 된다.
상기 세망(20)의 망눈(마름모로 된 4변형의 공간)은 결망(10)의 망눈에 비해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고, 낭망(40)의 망눈은 세망(20)의 망눈에 비해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낭망(40)의 망눈이 가장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 낭망(40)으로 유입된 작은 수산동물을 포획되게 한다.
상기 세망(20)에는 안강망이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안강망이 설치된 위치를 알려주는 제1 부유체(50)가 설치되어 있으며, 낭망(40)의 끝단에는 제1 부유체(50)와 동일한 제2 부유체(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프(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된 수산동물에 의해 안강망이 처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결망(10)의 입구에서부터 낭망(40)의 끌단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로프(70)는 결망(10), 세망(20), 낭망(40)에 고정되는데, 결속끈(75)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결속끈(75)은 어망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로프(70)가 결망(10), 세망(20), 낭망(4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로프(70)는 사각형상으로 된 결망(10)의 모서리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망(10), 세망(20), 낭망(40)에는 로프(7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로프(70)는 결망(10)의 입구에서부터 낭망(40)의 중간까지 고정되어 있다.
즉, 로프(70)는 낭망(40)의 전체 길이의 중간 위치까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로프(7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속끈(75)이 고정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조류에 의해 어류 등의 수산동물이 이동하는 도중에 결망(10)을 통해 안강망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이렇게 결망(10)으로 들어온 수산동물은 세망(20)과 조구(30)를 거쳐 낭망(40)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낭망(40)으로 들어온 수산동물은 출구가 좁게 형성되어 있는 조구(30)에 의해 결망(10)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산동물이 낭망(40) 내부로 들어와 가득 차게 되면, 수산동물의 무게에 의해 낭망(40)이 처지게 되는데, 강도가 강한 로프(70)가 안강망의 외부에 고정되어 있어 낭망(40)이 처지지 않게 된다.
즉, 로프(70)는 결망(10), 세망(20), 낭망(40)의 처짐을 보강하여 줌으로써, 로프(70)는 결속끈(75)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결망(10), 세망(20), 낭망(4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세망(20)의 망눈은 결망(10)의 망눈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낭망(40)의 망눈은 세망(20)의 망눈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낭망(40)에는 작은 크기의 수산동물이 포획된다.
상기 안강망이 일정 기간 설치된 이후 작업자는 수산동물을 거두기 위하여 안강망 설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제1 부유체(50) 또는 제2 부유체(60)의 위치를 확인하여 안강망 설치 위치로 이동하여 낭망(40)에 포획된 수산동물을 거두게 된다.
작업자는 안강망을 인양하기 위하여 제1 부유체(50)를 끌어올리게 되고, 이에 세망(20)과 낭망(40)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인양된 낭망(40)을 세망(20)으로부터 분리하고, 낭망(40)에 있는 수산동물을 수거하게 된다.
이렇게 분리된 낭망(40)은 재차 사용하기 위하여 세망(20)과 낭망(40)을 다시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10: 결망 11: 입구
20: 세망 30: 조구
40: 낭망 50: 제1 부유체
60: 제2 부유체 70: 로프
75: 결속끈

Claims (5)

  1. 안강망 어업용 어망에 있어서,
    수산동물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결망(10),
    상기 결망(10)의 출구에 입구가 연결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세망(20),
    상기 세망(20)의 출구 쪽 내측에 수산동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출구가 좁게 형성된 조구(30),
    상기 세망(20)의 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낭망(40),
    상기 세망(4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낭망(40)의 인양 위치를 알려주는 제1 부유체(50),
    상기 낭망(40)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 부유체(60),
    상기 결망(10), 세망(20), 낭망(40)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며, 상기 결망(10), 세망(20), 낭망(40)의 처짐을 보강하여 상기 결망(10), 세망(20), 낭망(4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로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강망 어업용 어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70)는 결망(10), 세망(20), 낭망(40)에 결속끈(75)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강망 어업용 어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70)는 결망(10)의 입구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낭망(40)의 끝단까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강망 어업용 어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70)는 결망(10)의 입구에서부터 시작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낭망(40)의 중간 길이까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강망 어업용 어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70)는 상기 결망(10)의 네 모서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1020120131460A 2012-11-20 2012-11-20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20140064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460A KR20140064283A (ko) 2012-11-20 2012-11-20 안강망 어업용 어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460A KR20140064283A (ko) 2012-11-20 2012-11-20 안강망 어업용 어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283A true KR20140064283A (ko) 2014-05-28

Family

ID=5089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460A KR20140064283A (ko) 2012-11-20 2012-11-20 안강망 어업용 어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42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875B1 (ko) 2016-01-12 2016-10-04 유하영 범포식 어망
KR101707936B1 (ko) 2016-08-23 2017-02-20 대한민국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US10532936B2 (en) * 2017-11-29 2020-01-14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Integrated system with an absorption refrigeration subsystem and a desalination subsystem
WO2021237954A1 (zh) * 2020-05-27 2021-12-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南极磷虾桁杆拖网升潜自供能调节装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875B1 (ko) 2016-01-12 2016-10-04 유하영 범포식 어망
KR101707936B1 (ko) 2016-08-23 2017-02-20 대한민국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US10532936B2 (en) * 2017-11-29 2020-01-14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Integrated system with an absorption refrigeration subsystem and a desalination subsystem
WO2021237954A1 (zh) * 2020-05-27 2021-12-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南极磷虾桁杆拖网升潜自供能调节装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78087B (zh) 一种渔船捕鱼装置
KR100878839B1 (ko)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KR200459958Y1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20140064283A (ko) 안강망 어업용 어망
CN209914824U (zh) 一种水下鱼类科学捕捞诱导装置
KR101587801B1 (ko)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
CN113057147B (zh) 一种龙虾捕捞装置
CN105409894A (zh) 一种深海底栖生物防逃逸诱捕器
US4373286A (en) Reaction gill net
JP4445440B2 (ja) 海藻類及び魚介類の定量的計数を目的とした採集方法とこの採集方法に用いる採集網
KR101096750B1 (ko)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200436112Y1 (ko)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
CN203872838U (zh) 一种海鲜诱捕笼
JP3121845U (ja) 魚類捕獲装置
CN208863388U (zh) 一种漂流性鱼卵、仔稚鱼调查网具
KR200419022Y1 (ko) 참게 포획기구
DK176967B1 (da) Bur til fangst af krebsdyr
CN205196755U (zh) 一种深海底栖生物防逃逸诱捕器
JP2009044968A (ja) 貝類の養殖篭
CN204499107U (zh) 对虾偷死症取样装置
CN209995134U (zh) 一种蜜蜂自然分蜂或飞逃蜂群自动收捕装置
KR20110008689U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CN207721001U (zh) 一种浮游动物自动收集装置
RU48455U1 (ru) Верша рыболова двухконусная
CN215736485U (zh) 一种养殖鱼类分级起捕栅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