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936B1 -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 Google Patents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936B1
KR101707936B1 KR1020160106835A KR20160106835A KR101707936B1 KR 101707936 B1 KR101707936 B1 KR 101707936B1 KR 1020160106835 A KR1020160106835 A KR 1020160106835A KR 20160106835 A KR20160106835 A KR 20160106835A KR 101707936 B1 KR101707936 B1 KR 10170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weight
fish
cannon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호
조삼광
차봉진
정성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0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4Devices for spreading or positioning, e.g. 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개방된 어구 입구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자루형태의 그물망; 상기 어구 입구의 좌, 우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범포가 층상구조를 이루며 직립으로 연결되는 전개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전개장치의 하부에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의 전방 및 후방에는 밧줄로 구성되는 로프부가 연결되며; 상기 그물망의 전방의 로프부는 해저 바닥에 고정되는 닻과 연결되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를 제공함으로써, 해저바닥에 암해가 작용하는 단위면적당 무게가 감소하게 됨으로, 암해가 저질에 빠지게 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암해가 저질에 묻힌 상태에서 조류의 세기 및 흐름이 변하게 되는 경우 어구의 전개 방향이 바뀌면서 엉키게 되거나 닻과 접촉하여 그물망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ANGANGMANG FISH NET}
본 발명은 안강망 어구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저바닥에 작용하는 암해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판 형태의 편철이 하나 이상 수용가능한 무게 분산형 암해를 장착하고, 암해가 저질 깊숙이 묻히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조류 흐름의 세기와 방향이 변화하면서 어구가 이동함에 따라 엉키게 되거나, 닻에 접촉하여 망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무게 분산형 암해를 장착한 안강망 어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안강망 어법은 참조기, 갈치, 멸치 등의 어족자원을 어획하는데 유용한 어법으로, 조류가 빠른 곳에서 어구를 닻으로 고정시킨 후, 어군이 조류에 떠밀려 끝자루까지 이동하도록 하여 어획하는 강제 함정류 어구의 형태이다.
안강망 어업은 에너지 효율적 측면에서 기선저인망 어법이나 트롤어법에 비하여 생산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어업이며, 조류가 강한 곳에서도 조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조류가 빠른 곳에서 닻 하나만에 지지된 채로 스스로 그물 입구를 벌려야 하기 때문에 어구의 전개 성능이 뛰어나야 하고, 조류의 방향이 시간적으로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조류 방향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안강망(stow net)은 크게 연안에서 사용하는 소형 안강망과 근해에서 사용하는 대형 안강망으로 나누어진다. 산업성이 있는 안강망은 근해의 대형 안강망으로, 1980년까지는 사용되었던 근해 안강망으로는 수암해식 어구가 있다. 수암해식 어구는 4폭의 그물감과, 입구 상단과 하단에 기다란 철관으로 이루어진 수해(부력체)와 암해(침강체)를 각각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수해와 암해가 너무 길고 무거워서 많은 불편이 있어 범포식 어구와 띠범포식 어구가 개발이 되었다.
범포식 어구는 기존의 그물감에 수해와 암해를 없애고 그물 입구의 좌우 앞 끝에 그 전체가 범포로 구성되는 전개 장치를 부착한 것이다. 띠범포식 어구는 띠 모양으로 된 여러장의 범포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나열하듯이 부착하여 전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범포식 어구의 범포 소요량을 1/3정도로 줄일 수 있고 범포 사이의 간격을 전개 장치의 상하부에서 좁게 하고 중앙부로 갈수록 넓게 하여 전개 장치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만곡을 크게 줄임으로써 전개력을 크게 높임과 동시에 유속의 증가에 따른 망고 감소를 크게 줄인 것이다.
안강망 어구 입구는 조류의 힘을 받을 때 벌어지게 되고, 통상의 조류는 시간에 따라서 흐르는 방향이 0°에서 360°까지 서서히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안강망 어구는 조류의 방향에 따라서 회전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조류가 약한 시기에는 어구 회전과 그에 따른 어구의 전개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어구의 방향이 바뀔 때 원만한 반원을 그리며 180°회전하지 않고 일자에 가까운 찌그러진 반원을 그리며 회전하여 어구가 닻에 부착하게 되거나, 조류가 약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그물망 뒤쪽에서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그물망 끝자루가 어구 입구쪽으로 이동하여 U자 형태로 말려서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들의 기본적인 원인은 어구 입구의 아래쪽에서 무게추의 역할을 하는 암해가 저질에 묻혀서 조류의 흐름에 따라서 어구가 유동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암해가 저질에 묻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암해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561057호에는 기존의 안강망이 바다의 파도 및 조류로 인해 수중에 고정된 닻을 기준으로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포획그물이 좌우방향, 상하방향, 후단방향의 3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로프 결합부나, 로프와 로프가 서로 엮여지는 로프 매듭부분에 포획 그물이 말려지며 펼쳐지지 않고, 서로 엉켜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기는 등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로프부, 포획 그물로 이루어진 개량형 안강망이 구성됨으로써, 포획그물이 파도나 조류의 영향으로 인해 불규칙적으로 사방으로 이동되더라도 3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로프 결합부와 같이 복잡하여 엮여있는 로프에 포획 그물이 엉키거나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고, 로프 매듭부분에 포획 그물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며 전개상태를 유지시켜주어 포획 그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강망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안강망 어구 파손방지 안전통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4283호에는 안강망 어업용 어망은 수산동물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결망, 상기 결망의 출구에 입구가 연결되어 있으며,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세망, 상기 세망의 출구 쪽 내측에 수산동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출구가 좁게 형성된 조구, 상기 세망의 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낭망, 상기 세망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낭망의 인양 위치를 알려주는 제1 부유체, 상기 낭망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 부유체, 상기 결망, 세망, 낭망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며, 상기 결망, 세망, 낭망의 처짐을 보강하여 상기 결망, 세망, 낭망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로프를 포함하는 안강망 어업용 어망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080143호에는 전개판에 축광재를 구비하여 어류를 입구 쪽으로 유인하고, 축광한 빛을 소진하여 어두워진 후에 입구에 잔류한 어류가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방식으로 포획하는 한편, 후방측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어획량을 늘리는 개량 안강망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본 발명의 개방된 어구 입구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자루형태의 그물망; 상기 어구 입구의 좌, 우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범포가 층상구조를 이루며 직립으로 연결되는 전개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전개장치의 하부에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의 전방 및 후방에는 밧줄로 구성되는 로프부가 연결되며; 상기 그물망의 전방의 로프부는 해저 바닥에 고정되는 닻과 연결되는 구성은 개시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어구 입구에 설치된 암해가 해저의 저질에 묻히게 되면서 어구가 조류의 흐름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원 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암해를 대체하여, 얇은 판 형태의 편철을 하나 이상 수용할 수 있는 무게 분산형 암해를 전개장치의 하부에 장착할 수 있는 무게 분산형 암해를 장착한 안강망 어구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개방된 어구 입구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자루형태의 그물망; 상기 어구 입구의 좌, 우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범포가 층상구조를 이루며 직립으로 연결되는 전개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전개장치 하부 측면에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의 전방 및 후방에는 밧줄로 구성되는 로프부가 연결되며; 상기 그물망의 전방의 로프부는 해저 바닥에 고정되는 닻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안강망 어구 입구의 좌, 우측면에 범포가 직립으로 연결되는 범포형 안강망 어구에 있어서, 범포 하단부에는 일정 직경의 범포 천이 하나 이상 겹쳐지고 박음질되어 형성되는 수용프레임과, 수용프레임 좌,우 또는 상,하 가장자리에는 고정공이 일렬로 하나 이상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어 고정수단으로 범포 하부에 장착되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를 제공한다.
또한 범포형 안강망 어구에 있어서, 어구 입구의 좌, 우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범포가 층상구조를 이루며 직립으로 연결되고 층상구조의 최상부와 중간 부분에는 속이 빈 스텐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해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범포를 펼친 상태로 고정하며, 범포 최하단부에는 일정 직경의 범포 천이 하나 이상 겹쳐져 박음질되어 편철 수용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편철 수용부에 판 형태의 철 또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의 편철이 분산 수용되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는 해저바닥에 암해가 작용하는 단위면적당 무게를 감소시켜 암해가 저질에 빠지게 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암해가 저질에 묻힌 상태에서 조류의 세기 및 흐름이 변하게 되는 경우 어구의 전개 방향이 바뀌면서 엉키게 되거나 닻과 접촉하여 그물망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의 전개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전개장치에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의 무게 분산형 암해의 사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와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를 나타낸다. 안강망 어구는 어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어구 입구가 전방에 구비된 자루 형태의 그물망과, 어구 입구의 좌, 우에는 그물망이 수중에서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두꺼운 천 재질의 범포가 설치된다. 범포는 원통 형상의 범포 연결파이프(수해)에 의해 하나 이상 층상구조를 이루며 직립으로 어구 입구 좌우측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범포 최하부에는 무게추의 역할을 하는 암해가 설치된다. 또한 어구 입구의 전방에는 닻줄에 연결되며 닻줄은 닻과 연결되어 해저에 안강망 어구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안강망 어구는 강한 조류가 형성되는 수중에 설치되어 유수저항을 크게 받아 그물 각부가 심하게 손상되기 쉽다. 따라서 그물망(30)의 전방은 개방되어 어구 입구를 형성하고 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자루 형태로 형성하여, 어구가 조류에 의한 저항을 적게 받을 수 있고 동시에, 그물망 내부로 진입하여 어획된 수산생물이 빠져나오기 어렵도록 한다.
그물망의 재질은 강한 조류의 영향에 의한 그물 파손을 방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항장력과 내마성이 클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된다. 그물망을 이루는 그물코는 그물망 내부로 유입한 어류가 빠져나갈 수 없는 망목 크기로 그물망 끝자루와 망목크기가 차이가 나지 않도록 형성한다.
그물망의 어구입구에는 해수보다 비중이 작은 것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뜸 또는 부자를 설치된다. 뜸의 일반적인 실시예로는 스티로폼 재질로 같은 크기의 반구를 2개로 접착하고, 한쪽 반구에는 줄을 끼워 고정이 가능하도록 고리 형태의 꼭지가 부착되어 있는 중공형의 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뜸은 어구 입구의 그물망이 전개되어 망고가 수중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어구 입구로 어류가 유입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로프부(20)는 그물망과 닻 사이 및 부표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밧줄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개량형 안강망 어구에 설치되는 로프 구성과 유사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그물망의 어구 입구의 좌우에 밑걸이줄이 상,하로 연결되고, 상,하로 연결된 밑걸이줄을 연결하는 쌍고삐줄과, 좌,우로 연결된 쌍고삐줄을 하나로 연결하여 닻과 연결되는 닻줄로 이루어진다. 또한, 그물망과 부표와 연결되는 돋음줄 및 선체를 연결하는 밧줄이 추가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로프부가 설치됨으로써 그물망의 중앙부는 해수에서 만곡되면서 전개되고, 이와 같은 형상은 해류에서 저항을 받게 되어도 비틀리는 것이 방지되고 그물코들이 바르게 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닻(10)은 고정지형에 따라 재료 및 크기와 프레임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으나, 해저에 고정될 경우에는 철재의 닻채와 닻팔로 이루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닻팔이 해저지형에 깊숙이 꽃히게 되어 고정된다. 닻은 닻줄을 매개로 연결된 안강망 어구를 고정부설함으로써 닻을 기준으로 안강망이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닻은 중량이 클수록 해저에 잘 파고들고 해저에 잠입된 닻팔의 면적이 클수록 고정력이 커지기 때문에 닻의 중량을 크게하고 닻팔의 전체 면적을 크게 하거나 닻줄을 길게함으로써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의 전개장치를 나타낸다. 전개장치(40)는 어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어구 입구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자루형태의 그물망(30)으로 이루어진 어구 입구의 좌, 우측면에 하나 이상의 범포가 층상구조를 이루며 직립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전개장치 하부 측면에는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50)가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의 전방 및 후방에는 밧줄로 구성되는 로프부(20)가 연결되며; 상기 그물망의 전방의 로프부는 해저 바닥에 고정되는 닻(10)과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개장치(40)는 어구입구의 좌,우 측면에 하나 이상의 범포(41)가 하나 이상 층상구조를 이루며 직립으로 지지하면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범포는 직사각형 형태의 범포천(41a)과 범포천 상, 하부에 설치되는 수해파이프(41b)를 포함한다. 범포천(41a)은 천연섬유인 대마, 아마, 조마, 황마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재질인 나일론(Nylon)등의 합성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범포천의 가장자리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로프부와 연결된다.
수해파이프(41b)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형태의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 구조로, 뜸에 의해 어구가 수표로 부유하지 않고 수중에서 범포가 적절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중성부력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무게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수해파이프가 설치되는 범포천은 유연한 재질로, 조류에 의해 그물망의 중앙부가 만곡되어 그물망이 전개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조류의 흐름에도 중앙부가 만곡됨으로써 보다 큰 면적으로 그물망이 전개 될 수 있도록 수해 파이프 상부 및 하부 측면에는 고리 등과 같은 고정부를 형성시켜 고정수단을 매개로 하나 이상의 범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3은 전개장치에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50)는 전개장치(범포)의 하부에 설치되고 그 설치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ype A 또는 Type B의 실시예로 고정될 수 있다. Type A의 고정방법은 본 발명의 전개장치에서 무게 분산형 암해가 차지하는 면적만큼의 하부를 잘라낸 후, 무게 분산형 암해를 전개장치의 하부에 이어서 고정한 실시예이고, Type B는 전개장치의 하부에 겹쳐서 연결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암해가 설치되는 전개장치의 하부 말단에는 수해를 설치하여 중성부력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무게 분산형 암해(50)는 일정 직경의 범포천(41b)이 하나 이상 겹쳐지고 가장자리를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수용 프레임(55)과 상기 수용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의 중앙부에는 하나 이상의 편철 수용부(51)가 직렬로 형성된다. 수용프레임 좌, 우 또는 상, 하 가장자리에는 고정공(52)이 일렬로 하나 이상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고정공(52)은 통공형태로 로프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무게 분산형 암해가 전개장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통공부 둘레에는 구멍쇠를 설치하여 조류의 흐름에 고정수단이 강하게 흔들리거나 잦은 충격등으로 고정공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수용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부 중앙에는 편철 수용부(51)가 하나 이상 직렬로 형성된다. 편철 수용부는 판형태의 철 또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이루어진 편철(54)의 수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주머니 형태로 개구부에는 지퍼(53)가 설치되어 수용된 편철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편철(54)은 얇은 판 형태로 철 또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형성되고, 단일의 편철은 통상적인 암해의 중량과 유사한 60-70kg 이상의 무게로 형성되어 기존의 암해와 같이 뜸과 반대 방향으로 해저 바닥을 향하여 전개장치가 침강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하여 어구 입구가 조류흐름과 함께 개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의 무게 분산형 암해의 사진을 나타낸다. 기존의 암해는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물보다 비중이 현저히 높은 재질의 파이프 또는 무게추 형태로 전개장치 하부에 설치되고, 어구 입구에 설치된 뜸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으로 어구입구는 상,하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면서 수산생물이 어획되기에 적절한 크기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암해가 저질 깊숙이 파고들게 되고 이때, 조류의 흐름이 약해지면 어구의 전개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어구의 방향이 바뀔 때 원만한 반원을 그리며 180°회전하지 않고 일자에 가까운 찌그러진 반원을 그리며 회전하여 어구가 닻에 부착하게 되거나, 이와 같은 약한 조류의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그물망의 끝자루가 어구 입구쪽으로 이동하여 U자 형태로 말려서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기존의 암해는 원기둥의 덩어리 형태로 본 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는 기존의 원기둥 모양의 덩어리 구조인 데 반해, 본발명의 무게 분산형 암해는 두께가 얇은 복수 개의 편철을 이용해 넓은 면적에 펼쳐놓은 구조로 암해가 해저 바닥에 가하는 단위면적당 무게를 최소화하여 대부분의 펄과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해저지형에서 암해가 깊숙이 지형으로 빠지게 되어 조류에 따라 움직이는 어구의 이동을 방해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부는 직렬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편철을 추가 또는 제거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편철 설치 개수와 암해 무게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어구의 크기에 따라 적합한 크기와 중량을 가진 암해를 따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조류의 흐름에 따라 어구입구를 조절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무게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를 이용함으로써, 해류의 흐름이 약해지거나 조류의 방향이 달라지게 되면서 어구의 전개가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어구 구성장치의 수명이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잦은 어구 손상으로 인한 교체비용과 작업시간 소요의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수산분야의 어업 종사자들의 소득증대에 기여 가능함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10: 닻 20: 로프부 30: 그물망
40: 전개장치 41: 범포 41a: 범포천
41b: 수해파이프
50: 무게 분산형 암해 51: 편철 수용부 53: 지퍼
54: 편철 55: 수용프레임

Claims (7)

  1. 개방된 어구 입구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자루 형태의 그물망; 상기 어구 입구의 좌, 우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범포가 층상구조를 이루며 직립으로 연결되는 전개장치가 설치되고;
    전개장치의 하부에는 일정 직경의 범포천이 하나 이상 겹쳐져 박음질되어 이루어지는 수용프레임과, 수용프레임 좌,우 또는 상,하 가장자리에는 일렬로 하나 이상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는 고정공으로 이루어지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고정수단을 매개로 장착되고,
    수용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부 중앙에는 편철의 수용과 분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주머니 형태의 편철 수용부가 하나 이상 직렬로 형성되며; 전개장치 전방에는 밧줄로 연결되는 로프부가 해저 바닥에 고정되는 닻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지퍼가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편철을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철은 판형태의 철 또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4. 범포형 안강망 어구에 있어서, 어구 입구의 좌, 우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범포가 층상구조를 이루며 직립으로 연결되고 층상구조의 최상부와 중간 부분에는 속이 빈 스텐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해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범포를 펼친 상태로 고정하며,
    범포 최하단부에는 일정 직경의 범포 천이 하나 이상 겹쳐져 박음질되어 편철 수용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편철 수용부에 판 형태의 철 또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의 편철이 분산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06835A 2016-08-23 2016-08-23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KR101707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35A KR101707936B1 (ko) 2016-08-23 2016-08-23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35A KR101707936B1 (ko) 2016-08-23 2016-08-23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936B1 true KR101707936B1 (ko) 2017-02-20

Family

ID=5826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835A KR101707936B1 (ko) 2016-08-23 2016-08-23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9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248B1 (ko) 2017-10-30 2018-01-0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연료절감형 권현망어구
CN111903624A (zh) * 2020-06-05 2020-11-10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重力扩张式南极磷虾桁杆拖网渔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018A (ko) * 2003-02-12 2004-08-19 김대안 전개범식 멸치 들망 어구 및 이를 이용한 조업 방법
KR101080143B1 (ko) 2011-07-13 2011-11-07 박명자 개량 안강망
KR101096750B1 (ko) * 2011-03-16 2011-12-21 충남연안안강망낭장망영어조합법인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20140064283A (ko) 2012-11-20 2014-05-28 유선자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101561057B1 (ko) 2015-02-24 2015-10-16 김창호 안강망 어구 파손방지 안전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018A (ko) * 2003-02-12 2004-08-19 김대안 전개범식 멸치 들망 어구 및 이를 이용한 조업 방법
KR101096750B1 (ko) * 2011-03-16 2011-12-21 충남연안안강망낭장망영어조합법인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101080143B1 (ko) 2011-07-13 2011-11-07 박명자 개량 안강망
KR20140064283A (ko) 2012-11-20 2014-05-28 유선자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101561057B1 (ko) 2015-02-24 2015-10-16 김창호 안강망 어구 파손방지 안전통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본 발명의 개방된 어구 입구가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자루형태의 그물망; 상기 어구 입구의 좌, 우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범포가 층상구조를 이루며 직립으로 연결되는 전개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전개장치의 하부에는 무게 분산형 암해가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의 전방 및 후방에는 밧줄로 구성되는 로프부가 연결되며; 상기 그물망의 전방의 로프부는 해저 바닥에 고정되는 닻과 연결되는 구성은 개시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안강망 어구 파손방지 안전통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248B1 (ko) 2017-10-30 2018-01-0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연료절감형 권현망어구
CN111903624A (zh) * 2020-06-05 2020-11-10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重力扩张式南极磷虾桁杆拖网渔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eed et al. Modern fishing gear technology
KR100876227B1 (ko)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JP6266026B2 (ja) 水生動物を捕獲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845500B1 (ko) 잠수형 가두리장치
CN108849777B (zh) 一种可释放海蜇的毛虾张网及其装配方法
CN111526717B (zh) 用于围网渔业的网组件
KR101707936B1 (ko)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KR101561057B1 (ko) 안강망 어구 파손방지 안전통
JP7201269B2 (ja) 魚養殖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20168229A1 (en) Fish attractive device
CA3180730A1 (en) A variable buoyancy structure for aquaculture
CN212573920U (zh) 一种用于湿地潮沟鱼类浮游生物采样的拖网
EP3031319A1 (en) Aquaculture system with rigid structure
KR101807481B1 (ko) 낭망 전개용 차수포를 구비하는 어망
KR101807483B1 (ko) 어망 회전용 차수포를 구비하는 어망
WO2007125363A1 (en) Fish enclosure
JP4476571B2 (ja) 沈降力を変化させた編組状シンカーラインおよび浮力を変化させた編組状フロートライン並びにこれらを使用する漁網
WO2006043116A1 (en) Technical-technological and ecological solution for tuna farms
ES1205886U (es) Tramado que maximiza la producción en el cultivo de mitilidos
Schotte et al. Development of a stock protection system for flexible oceanic pens containing finfish
CA2102539A1 (en) Integrated live fish harvesting and holding system
JP2006296215A (ja) 中層設置型浮魚礁
Yu et al. Development of circular floating cages for milkfish broodstock at the SEAFDEC Aquaculture Department
WO2007131600A1 (en) An aquaculture pen with energy absorbing connections
Chellappan et al. Cage construction: principle and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