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211A -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 Google Patents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211A
KR20110017211A KR1020090074774A KR20090074774A KR20110017211A KR 20110017211 A KR20110017211 A KR 20110017211A KR 1020090074774 A KR1020090074774 A KR 1020090074774A KR 20090074774 A KR20090074774 A KR 20090074774A KR 20110017211 A KR20110017211 A KR 20110017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main body
ring
upper ring
c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3679B1 (ko
Inventor
장형기
Original Assignee
장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기 filed Critical 장형기
Priority to KR102009007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6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통발에 설치되어 물고기나 꽃게, 낚지 등이 유인되어 들어오는 포획구의 입구측을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포획구의 설치공정이 간단함과 동시에 통발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며 제 1그물로 감싸진 본체에 설치되는 포획구에 있어서, 상기 포획구는 내부에 진입통로가 마련되며 제 2그물로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와 결합되어 상기 망체를 상기 본체에 지지시키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포획구, 통발, 그물, 돌기, 결합부, 합성수지, 사출성형, 망체

Description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Capture tool of fish trap and fish tra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통발에 설치되어 물고기나 꽃게, 낚지 등이 유인되어 들어오는 포획구의 입구측을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통발의 제조공정이 간단함과 동시에 통발의 뼈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은 근해에서 물고기, 낙지, 문어, 게, 장어 등의 어류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통발은 원통형의 그물망 구조로서 측면에 1개 이상의 포획구가 형성되어 있고, 포획구를 통해 어류가 통발의 내부로 들어오면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도구이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1997-026551호에는 통발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통발을 살펴보면, 금속재질로 형성된 본체의 둘레에 나일론 재질로 된 그물망이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어류가 유인되어 들어오는 포획구가 형성되어 있다. 포획구는 그물망으로 형성되며 통발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행할수록 통 로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어류가 다시 포획구를 통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통발의 내부에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넣은 후, 바다 속에 침강시키게 되면, 통발은 바다의 바닥면에 저면이 착지한 상태에서 각종 어류 등을 유인하게 되는데, 미끼에서 흘러나오는 냄새와 육즙에 유인된 어류는 포획구를 통해 통발 내부에 들어가게 되면서 통발에 갇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발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둘레에 그물망을 씌운 다음 그물망을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링 및 하부링에 고정용 로프를 나선형으로 감아 그물망을 상부링 및 하부링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포획구를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에 설치한다. 이때 포획구의 입구부분은 줄을 이용하여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에 결합시킨다. 줄은 포획구의 그물망의 코와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의 코를 꿰도록 하여 상호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포획구를 일정한 형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맞은 편의 포획구와 연결줄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포획구의 그물망이 맞은편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포획구를 본체에 설치하기 위해 줄을 이용하여 공장에서 작업자들이 일일이 2개의 그물망끼리 코를 걸어 연결해야 하므로 공장에서의 공정이 대단히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에 포획구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한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며 제 1그물로 감싸진 본체에 설치되는 포획구에 있어서, 상기 포획구는 내부에 진입통로가 마련되며 제 2그물로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와 결합되어 상기 망체를 상기 본체에 지지시키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체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망체의 진입통로와 연통되는 입구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및 제 4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망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그물의 코를 꿰며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마련된 다수의 돌기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또는 제 4결합부를 상기 지지바에 결합시 상기 제 3 또는 제 4결합부를 상기 지지바로 밀착시키는 다수의 돌기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돌기에 형성되어 상기 제 3 또는 제 4결합부가 상기 지지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는 상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며 제 1그물로 감싸진 본체에 설치되는 포획구에 있어서, 상기 포획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되고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망체와, 상기 망체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지지되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제 1그물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포획구;를 구비하고, 상기 포획구는 내부에 진입통로가 마련되며 제 2그물로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와 결합되어 상기 망체를 상기 본체에 지지시키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획구가 설치된 영역을 벗어나서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감싸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보호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상부링에 장착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링에 장착되 는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 및 하부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커버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지지수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에 의하면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지지수단을 가지는 포획구는 본체에 설치시 제 1그물과 일일이 엮어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포획구의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포획구는 본체로부터 탈착이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제 1 및 제 2결합부가 상부링 및 하부링, 지지바를 감싸는 구조이므로 상부링 및 하부링, 지자바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막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부링 및 하부링, 지자바 부위를 감싸는 제 1그물이 찢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포획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10)은 크게 본체(20)와, 제 1그물(30)과, 포획구(40)로 구비된다.
본체(20)는 통발(10)의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외에도 본체(20)의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20)의 상부에는 고리 모양을 형성하는 상부링(21)이 배치된다. 상부링(21)의 하부에는 상부링(21)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하부링(23)이 배치된다. 하부링(23)은 상부링(21)과 마주하도록 상부링(21)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부링(21)의 모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링(21)의 내측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제 1간주(2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링(23)에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 2간주(29)가 설치된다. 이 경우 제 1간주(27)와 제 2간주(29)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 제 1간주(27) 및 제2 간주(29)는 상호 교차하도록 즉,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여러 방향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본체(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바(25)가 설치된다. 지지바(25)의 상단은 상부링(21)에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링(23)에 결합된다. 지지바(25)는 상부링(21) 및 하부링(23)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총 6개가 설치된다. 물론, 지지바(25)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상부링(21), 하부링(23), 지지바(25), 제 1 및 제 2간주(27)(29)의 표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막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0)의 둘레에는 제 1그물(30)이 씌워진다. 제 1그물(30)은 본체(20)의 상부와 하부 그리고 측면을 둘러싼다. 제 1그물(30)은 통상적인 구조로, 나일론 소 재의 실을 이용하여 엮어 만든다. 제 1그물(30)은 본체(20)를 둘러싸 본체(20)의 내부에 물고기나 꽃게, 낚지 등이 포획되는 포획공간을 형성한다.
제 1그물(30)은 고정용 로프(60)를 이용하여 본체(20)에 고정시킨다. 즉, 로프(60)를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인접하는 제 1그물(30)의 코에 꿰면서 상부링 (21)및 하부링(23)에 나선형으로 권취시켜 제 1그물을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포획구(40)가 장착될 부분의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는 포획구(40)를 장착한 후에 로프(60)를 권취하여 포획구(40)와 제 1그물(30)을 함께 고정시킨다.
제 1그물(30)의 상부에는 포획된 어류를 꺼낼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통상적인 배출부(35)가 형성된다. 배출부(35)는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37)의 주위에 노끈(38)이 설치되어 노끈(38)을 조였다 풀었다 하여 배출구(37)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노끈(38)의 일측에는 고리(39)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포획구(40)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포획구(40)는 하나만 형성되나, 이 외에도 120도 간격으로 총 3개의 포획구가 형성되거나 90도 간격으로 4개의 포획구(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간격으로 2개의 포획구(40)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20)의 측면에 제 1그물이 씌워진 상태에서 포획구(40)를 본체(20)에 장착한 후 포획구(40)와 대응되는 제 1그물을 절제하거나, 포획구(40)가 장착될 제 1그물(30)의 측면부분을 미리 절개한 상태에서 포획구(40)를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획구(40)는 제 2그물로 형성된 망체(41)와, 상기 망 체(41)와 결합되어 망체(41)를 본체(20)에 지지시키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망체(41)는 제 1그물과 동일한 소재로 엮어진 제 2그물로 이루어진다. 망체(41)는 내부에 어류가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통로가 마련되고, 진입통로의 전후 양측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즉, 진입통로의 개방된 양측은 입구 및 출구가 각각 된다. 진입통로는 포획구(40)의 입구에서 출구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지지수단은 망체(41)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베이스부(45)와, 베이스부(45)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결합부(51)(53)와, 베이스부(45)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바(25)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및 제 4결합부(55)(57)를 구비한다.
베이스부(45)는 사각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은 포획구의 입구(43)를 형성한다. 베이스부(45)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삽입홀(47)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삽입홀(47)에는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베이스부(45)에 망체(4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연결부재로 통상적인 줄(65)을 이용하여 망체(41)를 베이스부(45)에 결합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47)에는 후술할 제 1 및 제 2결합부(51)(53)를 본체의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각각 결합시키는 고정용 로프(60)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홀(47)은 고정용 로프(60)와 줄(65)이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고정용 로프(60)와 줄(65)은 삽입홀(47)에 번갈아 가면서 삽입될 수 있다. 즉, 홀수번째 삽 입홀(47)에는 줄(65)을 삽입하여 베이스부(45)와 망체(41)를 결합시키고, 짝수번째 삽입홀(47)에는 고정용 로프(60)를 삽입하여 제 1 및 제 2결합부(51)(53)를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각각 결합시킨다.
제 1 및 제 2결합부(51)(53)는 베이스부(4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제 3 및 제 4결합부(55)(57)는 베이스부(45)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제 1 및 제 2결합부(51)(53)는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일부를 각각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상부링 및 하부링의 형상과 대응되는 호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및 제 4결합부(55)(57) 역시 좌우에 위치한 지지바(25)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지지바(25)의 형상과 대응되는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포획구(40)는 두개의 지지바 사이에 삽입하여 제 1 및 제 2결합부(51)(53)가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전면에 접속되도록 하고, 제 3 및 제 4결합부(55)(57)가 양 지지바(25)의 전면에 접속되도록 한다. 포획구(40)가 본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용 로프(60)를 이용하여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을 각각 권취하여 제 1 및 제 2결합부(51)(53)가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즉, 로프(60)를 제 1그물(30)의 코에 꿴 다음 베이스부에 형성된 삽입홀(47)에 삽입하여 제 1결합부(51) 및 상부링(21)의 주위로 돌려 감는다. 그리고 포획구(40)가 본체(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망체(41)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건너편 방향의 제 1그물(30)과 망체(41)를 연결용 줄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다.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포획구가 설치된 경우 마주 하는 망체(41)의 출구 측을 연결용 줄(67)로 서로 연결하여 망체(41)가 수평방향으로 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및 제 4결합부(55)(57)의 가장자리에 돌기(5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59)는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돌기(59)는 제 3 및 제 4결합부(55)(57)의 가장자리에서 본체(2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기(59)의 상하 폭은 제 1그물(30)의 코에 꿰일 수 있도록 제 1그물(30)의 코 간격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포획구(40)의 설치시 돌기들(59)은 제 1그물(30)의 코에 꿰여 제1그물(30)과 포획구(40)를 상호 결합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71)는 제 3 및 제 4결합부(55)(57)와 나란하도록 베이스부(45)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포획구의 설치시 제 3 또는 제 4결합부(55)(57)를 지지바로 밀착시켜 제 3 또는 제 4결합부(55)(57)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돌기는 베이스부(45)의 상부 및 하부측에 돌출되어 제 1 및 제 2결합부(51)(53)와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71)의 단부에 베이스부(45)의 바깥 방향, 즉 제 4결합부(57)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73)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73)은 돌기(71)의 단부에서 형성되어 돌기(71)의 단부 반대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돌출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바(25)와 마주하는 방향에 경사면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포획구를 본체에 결합시 돌기(71)가 베이스부(45)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지지바(25)가 제 4결합부(57)로 진입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바(25)는 돌기의 걸림턱(73)에 걸려 포획구가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돌기(71)가 제 1그물(30)의 코에 꿰인 상태에서 지지바(25)를 사이에 두고 제 4결합부(57) 및 돌기(71)가 제 1그물(30)을 고정시키므로 제 1그물(30)이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3결합부 측에 형성된 돌기에도 걸림턱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75)는 베이스부(45)의 단부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45)의 상하측에 형성된 돌기(75)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47)이 형성되고, 베이스부(45)의 좌우측에 형성된 돌기(75)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47)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고정용 로프(60)가 돌기들(75) 사이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고정용 로프(60)의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고정용 로프(60)가 삽입되는 보조 삽입홀(미도시)이 베이스부(45)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돌기(75)의 삽입홀(47)에는 베이스부(45)에 망체(41)를 결합시키기 위한 줄(32)이 삽입된다. 베이스부(45)의 상부측에 형성된 돌기들(75)에 망체(41)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망체(41)의 코를 통과한 줄을 돌기에 형성된 삽입홀의 상부에서 삽입하여 하부방향으로 통과시킨 다음 인접하는 돌기에 형성된 삽입홀의 하부에서 줄을 삽입하여 상부방향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줄은 망체(41)의 코를 통과한다. 그리고 다시 인접하는 돌기에 형성된 삽입홀의 상부에서 줄을 삽입하여 하부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45)의 상하측에 형성된 돌기(76)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고, 베이스부(45)의 좌우측에 형성된 돌기(76)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부(45)에 망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줄을 삽입홀에 삽입시 삽입작업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45)의 상부측에 형성된 돌기들에 망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돌기들(76)의 삽입홀을 따라 순차적으로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방향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줄이 어느 하나의 돌기에서 인접하는 돌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망체의 코를 통과하여 망체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획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포획구는 합성수지로 각각 사출성형되어 형성된 지지수단(40)과 망체(42)로 이루어진다. 망체(42)는 지지수단(40)과 별도로 성형되어 지지수단(4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수단(40)은 베이스부(45)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편(77)이 구비된다. 결합편(77)은 베이스부(45)의 상부 및 하부 그리고 좌우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결합편(77)은 화살촉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망체(42)는 상술한 바와 달리 사출성형된다. 지지수단(40)과 결합되는 방향의 망체(42)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결합편(77)이 결합하는 고정부(79)가 형성된다. 고정부(79)에는 결합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의 결합홈이 마련된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망체(42)는 지지수단(40)과 달리 연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된다. 이는 어류 등이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망체의(42) 변형을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부(79)에 결합편(77)이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경우 결합홈이 신장되 어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망체(42)와 지지수단(40)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지지수단(40)은 경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강도를 높이고, 망체(42)는 상대적으로 연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9에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그물(30)의 외측에서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을 감싸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보호시트(90)가 더 설치된다. 이때 보호시트(90)는 포획구(40)가 설치되지 않은 본체(20)의 측면에 설치된다.
보호시트(90)는 상부링(21)에 장착되는 상부커버(91)와, 하부링(23)에 장착되는 하부커버(93)와, 상부 및 하부커버(91)(93)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커버(91)(93)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95)를 구비한다. 상부 및 하부커버(91)(93)는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절반 정도를 감쌀 수 있도록 호형으로 형성되고, 연결부(9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양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도록 2개가 설치된다. 이외에도 1개 또는 세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시트는 연결부 없이 상부링 또는 하부링 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호시트(90)는 포획구(40)가 설치된 곳을 제외하고는 본체(20)의 측면을 모두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보호시트(90)는 지지바(25) 사이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상호 연결된다. 이 외에도 하나의 보호시트(90)가 포획구(40)를 제외한 본체(20)의 측면을 모두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획구(40)가 120도 간격으로 본체(20)의 측면에 3개가 설치된 경우, 포획구(40) 사이마다 보호시트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95)에는 인접하는 포획구(40)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가진다. 결합수단으로 연결부(95)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95)와, 포획구(40)의 제 3 및 제 4결합부(55)(57)에 형성되어 결합돌기(97)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결합홈(99)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체(20)의 외측에 제 1그물(30)이 둘러싼 상태에서 포획구를 설치한 후 보호시트(90)를 설치한다. 이 경우 연결부재(95)에 형성된 결합돌기(97)를 결합홈(99)에 끼워 상호 연결시킨다. 본체(20)의 측면에 포획구(40)와 보호시트(90)가 상호 연결되어 설치되면 고정용 로프를 이용해 포획구(40)와 보호시트(90)를 본체(20)에 고정시킨다. 도시된 예와 반대로 결합돌기가 포획구(40)의 제 3 및 제 4결합부(55)(57)에 형성되고, 연결부재(95)에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상기의 보호시트(90)를 장착한 상태에서 로프를 감으면 로프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종래와 같이 빨래집게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상부링 및 하부링에 씌워진 비닐시트를 일일이 집어가며 로프를 감는데 비해 훨씬 더 작업이 간단하다. 그리고 상부링 및 하부링에 비닐시트를 감을 필요가 없어 재료가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3 내지 도 11의 실시 예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포획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획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획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포획구가 지지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발췌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획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포획구가 상부링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발췌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획구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획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통발 20:본체
21:상부링 23: 하부링
25: 지지바 30: 제 1그물
35: 배출부 40:포획구
41:망체 51:제1결합부
53: 제 2결합부 55: 제 3결합부
57: 제 4결합부 59: 돌기
60: 고정용 로프

Claims (9)

  1.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며 제 1그물로 감싸진 본체에 설치되는 포획구에 있어서,
    상기 포획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되고 제 2그물로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지지되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체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망체의 진입통로와 연통되는 입구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및 제 4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망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그물의 코를 꿰며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마련된 다수의 돌기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또는 제 4결합부를 상기 지지바에 결합시 상기 제 3 또는 제 4결합부를 상기 지지바로 밀착시키는 다수의 돌기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돌기에 형성되어 상기 제 3 또는 제 4결합부가 상기 지지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6.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며 제 1그물로 감싸진 본체에 설치되는 포획구에 있어서,
    상기 포획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되고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망체와, 상기 망체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지지되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7.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제 1그물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포획구;를 구비하고,
    상기 포획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되고 제 2그물로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지지되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구가 설치된 영역을 벗어나서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감싸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보호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상부링에 장착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링에 장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 및 하부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커버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지지수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
KR1020090074774A 2009-08-13 2009-08-13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KR10116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774A KR101163679B1 (ko) 2009-08-13 2009-08-13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774A KR101163679B1 (ko) 2009-08-13 2009-08-13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11A true KR20110017211A (ko) 2011-02-21
KR101163679B1 KR101163679B1 (ko) 2012-07-06

Family

ID=4377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774A KR101163679B1 (ko) 2009-08-13 2009-08-13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6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9056A1 (en) * 2018-08-20 2021-06-10 Erick Bendure Aquatic trap
KR102354382B1 (ko) * 2021-07-01 2022-01-20 허미자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KR102374742B1 (ko) * 2021-08-02 2022-03-15 이재혁 어로용 통발
KR102515444B1 (ko) * 2022-08-25 2023-03-29 김광섭 통발용 유인진입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278B1 (ko) * 2012-04-30 2012-10-16 서진규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KR101962835B1 (ko) * 2018-10-26 2019-03-27 유한회사 우진통발 통발용 유인진입구
KR102055126B1 (ko) * 2019-01-08 2019-12-12 김광섭 착탈식 통발용 유인진입구
KR102153877B1 (ko) * 2019-01-28 2020-09-09 김광섭 통발용 유인진입구를 구비하는 조립식 통발
KR102515447B1 (ko) * 2022-08-25 2023-03-29 김광섭 통발용 유인진입구의 프레임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9056A1 (en) * 2018-08-20 2021-06-10 Erick Bendure Aquatic trap
KR102354382B1 (ko) * 2021-07-01 2022-01-20 허미자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KR102374742B1 (ko) * 2021-08-02 2022-03-15 이재혁 어로용 통발
KR102515444B1 (ko) * 2022-08-25 2023-03-29 김광섭 통발용 유인진입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679B1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679B1 (ko)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KR20100033640A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101143597B1 (ko)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KR102428937B1 (ko) 통발유도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KR101384136B1 (ko) 접이식 어패류 포획용 통발
KR20110080115A (ko) 적층이 가능한 통발
KR100939101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어로용 통발
JP2009159898A (ja) 貝類の養殖篭
KR102374742B1 (ko) 어로용 통발
KR101830507B1 (ko) 조립식 바다 통발
KR101561298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DK176967B1 (da) Bur til fangst af krebsdyr
KR200449587Y1 (ko) 낙지잡이용 통발
KR200435353Y1 (ko) 물고기용 통발
KR20110008689U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JP2009044968A (ja) 貝類の養殖篭
KR20110115637A (ko) 적층이 가능한 통발
KR102189103B1 (ko) 낙지의 탈출을 방지하는 통발용 진입구 및 그것이 적용된 통발
KR102354382B1 (ko)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TW201729675A (zh) 魚籠
KR200351465Y1 (ko) 보호부재가 구비된 통발
KR101661875B1 (ko) 범포식 어망
KR102055126B1 (ko) 착탈식 통발용 유인진입구
KR101397465B1 (ko) 통발
JP3221558U (ja) 野鳥の羅網を防止する防鳥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