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382B1 -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 Google Patents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4382B1 KR102354382B1 KR1020210086218A KR20210086218A KR102354382B1 KR 102354382 B1 KR102354382 B1 KR 102354382B1 KR 1020210086218 A KR1020210086218 A KR 1020210086218A KR 20210086218 A KR20210086218 A KR 20210086218A KR 102354382 B1 KR102354382 B1 KR 1023543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
- trap
- mesh
- fish
- bent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은, 어류를 포획하는 통발에 있어서, 아릿줄과 체결되는 체결부, 일측은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개구되고, 내부에 포획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어류의 상기 포획공간으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트랩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랩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안착되고,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며, 유동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그물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물부는, 끝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어류가 상기 포획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 개구를 커버하여, 상기 포획공간 내의 어류가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통발의 날대 사이로 어류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은 근해에서 낙지, 문어, 게, 장어 등의 어류를 잡기 위해 사용된다. 통발은 일측에 1개 이상의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어, 이 진입로를 통해 어류가 내부로 유입되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구조이다.
통발은 금속, 플라스틱, 나일론 재질의 그물 등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미끼 등을 넣은 후에 바다 속에 침강시켜 사용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발의 뚜껑은 플라스틱 날대로 된 제품을 통발 입구에 끼워서 어류를 포획하는데 이 때, 끝부분이 플라스틱 날대로 된 제품이다 보니 날대 사이 간격이 잘 벌어져, 어류가 통발안에서 미끼만 먹고 탈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통발을 다수 설치해도 수익성을 보장받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발의 날대 사이로 어류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은, 어류를 포획하는 통발에 있어서, 아릿줄과 체결되는 체결부, 일측은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개구되고, 내부에 포획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어류의 상기 포획공간으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트랩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랩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안착되고,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며, 유동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그물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물부는, 끝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어류가 상기 포획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 개구를 커버하여, 상기 포획공간 내의 어류가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 개구를 규정하는 테두리에 걸쳐지는 걸침부, 중공을 형성한 채, 상기 걸침부로부터 연장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중공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채, 상기 걸침부를 향해 개구된 고리를 형성하는 그물고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침부는, 상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절곡부 및 상기 외측절곡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측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절곡부는,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하측절곡부는,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 옆면에 접촉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측 테두리는, 상기 하측절곡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 사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상기 그물고리부는, 상기 그물부의 상측단이 걸쳐지는 삽입공간을 제공하며, 걸쳐진 상기 그물부가 상기 안착부에 종속되도록 하며, 상기 연장부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로부터 연장되되,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편으로 구성되는 그물형상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그물형상유지부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그물부의 내측 방향으로의 변형 한계를 규정하여, 상기 그물부가 일정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상기 하측절곡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테두리의 옆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측절곡부가 상기 테두리의 옆면과 접촉된 채,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기 장착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테두리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그물고리부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채,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원통부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된 제2 볼록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볼록부는, 끝단이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그물부의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상기 그물부는, 상기 그물고리부에 삽입되며, 고무 재질로 형성된 고정링, 상기 고정링으로부터 연장되며, 섬유 재질로 형성된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끝단에 형성되며,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그물망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입구를 규정하는 입구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그물망은, 상기 고정링으로부터 상기 입구링을 향해 개구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입구링은, 상기 그물망의 끝단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그물망의 끝단이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하여, 상기 입구와 상기 그물망의 내부가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상기 그물고리부는, 단절된 단절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그물고리부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그물고리부에 의해 은닉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단절공간으로 노출되어, 노출된 적어도 일부분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그물고리부로부터 탈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상기 그물형상유지부는, 상기 원통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치편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치편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그물형상유지부의 길이가 변화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2 배치편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배치편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치편은,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배치편은, 상기 제1 배치편에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배치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2 배치편은, 이웃한 제2 배치편과 신축 가능한 연결부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류가 출입하는 트랩부를 원형, 사각형, 삼각형태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다양한 형태의 통발 본체와 결합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어,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장어통발, 사각통발, 낚지통발, 게 통발 등, 입구가 필요한 제품에는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트랩부의 입구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꼬리부분(어류가 이동되며 통로가 좁아지는 부분)은 그물이나 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어류에 의한 트랩부의 파손/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트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그물고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그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트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그물형상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트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그물고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그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트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그물형상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트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발(1)은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통발(1)은 체결부(10), 본체부(20) 및 트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0)는, 아릿줄과 체결되어 강 또는 바다로 투입된 후, 위치 확인 및 회수 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일측은 상기 체결부(10)와 연결되며, 타측은 개구되고, 내부에 포획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폐쇄된 일측은 상기 체결부(10)가 형성되며, 개구된 타측은 상기 트랩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랩부(30)는, 상기 본체부(20)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어류의 상기 포획공간(S1)으로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랩부(30)는 상기 본체부(20)의 타측에 안착되고,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안착부(31) 및 상기 안착부(31)에 연결되며, 유동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그물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물부(33)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그물 또는 섬유재질로 형성되어, 물은 출입하되, 어류는 출입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그물부(33)는, 끝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어류가 상기 포획공간(S1)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20)의 타측 개구를 커버하여, 상기 포획공간(S1) 내의 어류가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물부(33)는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되, 상대적으로 큰 홀은 상기 안착부(31)에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홀은 어류가 출입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는 걸침부(311), 연장부(313) 및 그물고리부(3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침부(311)는, 상기 본체부(20)의 타측 개구를 규정하는 테두리(21)에 걸쳐질 수 있다.
상기 걸침부(311)는, 상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절곡부(311a) 및 상기 외측절곡부(311a)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측절곡부(31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측절곡부(311a)는, 상기 본체부(20)의 테두리(2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절곡부(311b)는, 상기 본체부(20)의 테두리(21) 옆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타측 테두리(21)는, 상기 하측절곡부(311b)와 상기 연장부(313)의 외측면 사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20) 테두리(21)의 두께와 상기 외측절곡부(311a)의 길이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313)와 상기 하측절곡부(311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313)는, 중공을 형성한 채, 상기 걸침부(311)로부터 연장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중공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13)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통부(313a) 및 상기 원통부(313a)로부터 연장되되,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편으로 구성되는 그물형상유지부(31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그물형상유지부(313b)는, 상기 걸침부(311)가 상기 본체부(20)의 타측 테두리(21)에 안착되면, 상기 포획공간(S1) 내로 유입된 채, 상기 포획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물형상유지부(313b)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그물부(33)의 내측 방향으로의 변형 한계를 규정하여, 상기 그물부(33)가 일정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물고리부(315)는, 상기 연장부(313)의 외주면에 형성된 채, 상기 걸침부(311)를 향해 개구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물고리부(315)는, 상기 그물부(33)의 상측단이 걸쳐지는 삽입공간(S2)을 제공하며, 걸쳐진 상기 그물부(33)가 상기 안착부(31)에 종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물부(33)는, 상기 그물고리부(315)에 삽입되며, 고무 재질로 형성된 고정링(331) 및 상기 고정링(331)으로부터 연장되며, 섬유 재질로 형성된 그물망(3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부(33)는, 상기 고정링(331)이 상기 그물고리부(315)에 걸쳐지면, 상기 그물형상유지부(313b)의 외측을 커버한 채, 상기 포획공간(S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그물부(33)를 따라 이동된 어류는, 상기 그물부(33)의 끝단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포획공간(S1)에 포획될 수 있다. 상기 그물부(33)의 끝단 개구를 통과한 어류는 상기 그물부(33)의 끝단 개구를 찾지 못한 채, 상기 포획공간(S1) 내에 체류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은 하측절곡부(1311b) 및 본체부(12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통발(1)과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이하 하측절곡부(1311b)와 본체부(120)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측절곡부(1311b)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장착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0)는, 테두리(121)의 옆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3)는, 상기 하측절곡부(1311b)가 상기 테두리(121)의 옆면과 접촉된 채,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기 장착홀(H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23)는 상기 테두리(121)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측절곡부(1311b)는 상기 돌출부(123)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중에, 상기 돌출부(123)의 턱을 넘으며, 일부 변형되고 상기 장착홀(H1)에 상기 돌출부(123)가 삽입되는 경우, 변형에 의한 외력이 해소되어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된다.
상기 장착홀(H1)에 삽입된 돌출부(123)의 상대적으로 높은 일측은 상기 장착홀(H1)에 걸려, 상하 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123)가 상기 장착홀(H1)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트랩부(130)를 상기 본체부(12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트랩부(130)를 반경 방향으로 벌려, 상기 돌출부(123)가 상기 장착홀(H1)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랩부(130)가 상기 본체부(120)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그물고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은 그물고리부(2315)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통발(1)과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이하 그물고리부(2315)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상기 그물고리부(2315)는, 상기 원통부(2313a)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채, 상기 원통부(2313a)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삽입공간(S2)을 형성하는 제1 볼록부(2315a) 및 상기 제1 볼록부(2315a)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원통부(2313a)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된 제2 볼록부(2315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부(2315b)는, 끝단이 상기 원통부(2313a)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그물부의 상기 삽입공간(S2)으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볼록부(2315b)는 형성된 형상에 따라 상기 원통부(2313a)의 외주면으로 밀착되려는 탄성력이 생기므로, 삽입공간(S2)의 크기가 상기 고정링(233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링(2331)은 상기 삽입공간(S2)으로의 진입 중에 상기 제2 볼록부(2315b)가 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공간(S2)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링(2331)의 상기 삽입공간(S2)으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 볼록부(2315b)는, 끝단이 상기 원통부(2313a)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그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은 그물부(433)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통발(1)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하 그물부(433)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물부(433)는, 고정링(4331), 그물망(4333) 및 입구링(43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4331)은, 상기 그물고리부(4315)에 삽입되며,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4333)은, 상기 고정링(4331)으로부터 연장되며,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링(4335)은, 상기 그물망(4333)의 끝단에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4333)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입구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4333)은, 상기 고정링(4331)으로부터 상기 입구링(4335)을 향해 개구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링(4335)은, 상기 그물망(4333)의 끝단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그물망(4333)의 끝단이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하여, 상기 입구와 상기 그물망(4333)의 내부가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구링(4335)은 물 속에 배치되는 그물망(4333)이 물 속에서 부유하면서, 입구가 노출되어 어류가 의도치 않게 통발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입구링(4335)은 자중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며, 기울어진 통발 내측면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그물망(4333)을 통해 이동하는 어류는 상기 입구링(4335)을 통해 상기 포획공간(S1)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나, 노출되지 않은 입구를 찾아 어류가 상기 포획공간(S1)으로부터 외부로 탈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트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은 트랩부(530)만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통발(1)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하 트랩부(530)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트랩부(530)는, 원통부(5313a)에 연결된 그물형상유지부(5313b)의 형성 각도가 상술한 그물형상유지부(313b, 도 5 참조)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물형상유지부(5313b)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공간의 크기가 감소하되, 상기 그물형상유지부(313b)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작은 어류를 포획하기 용이하다.
또한, 그물부(533)는 상술한 그물부(33, 도 4 참조)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물부(533)의 고정링(5331)은 상술한 고정링(331, 도 3 참조)과 동일하게 형성되나, 상기 고정링(5331)에 연결된 그물망(5333)이 상기 그물형상유지부(5313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물망(333) 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의 그물형상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발은 그물형상유지부(6313b)만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통발(1)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하 그물형상유지부(6313b)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물형상유지부(6313b)는, 상기 원통부(6313a)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치편(6131)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치편(613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그물형상유지부(6313b)의 길이가 변화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2 배치편(61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배치편(6131)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치편(6132)은,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1 배치편(6131)에 하나의 제2 배치편(6132)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2 배치편(6132)은, 상기 제1 배치편(6131)에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치편(6132)이 상기 제1 배치편(6131)으로부터 슬라이딩되면, 그물형상유지부(6313b)의 전체 길이는 길어지게 되며, 이는 큰 어류가 이동되는 충분한 길이의 그물부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배치편(6132)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2 배치편(6132)은, 이웃한 제2 배치편(6132)과 신축 가능한 연결부(6135)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치편(6132)을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한 조작의 편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2 배치편(6132)이 연결된 각각의 복수의 제1 배치편(613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통발
10: 체결부
20: 본체부
21: 테두리
30: 트랩부
31: 안착부
33: 그물부
10: 체결부
20: 본체부
21: 테두리
30: 트랩부
31: 안착부
33: 그물부
Claims (5)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어류를 포획하는 통발에 있어서,
아릿줄과 체결되는 체결부;
일측은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개구되고, 내부에 포획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어류의 상기 포획공간으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트랩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랩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안착되고,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며, 유동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그물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물부는,
끝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어류가 상기 포획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 개구를 커버하여, 상기 포획공간 내의 어류가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 개구를 규정하는 테두리에 걸쳐지는 걸침부,
중공을 형성한 채, 상기 걸침부로부터 연장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중공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채, 상기 걸침부를 향해 개구된 고리를 형성하는 그물고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침부는,
상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절곡부 및 상기 외측절곡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측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절곡부는,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하측절곡부는,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 옆면에 접촉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측 테두리는,
상기 하측절곡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 사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그물고리부는,
상기 그물부의 상측단이 걸쳐지는 삽입공간을 제공하며, 걸쳐진 상기 그물부가 상기 안착부에 종속되도록 하며,
상기 연장부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로부터 연장되되,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편으로 구성되는 그물형상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그물형상유지부는,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그물부의 내측 방향으로의 변형 한계를 규정하여, 상기 그물부가 일정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하측절곡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테두리의 옆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측절곡부가 상기 테두리의 옆면과 접촉된 채,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기 장착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테두리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그물고리부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채,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원통부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된 제2 볼록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볼록부는,
끝단이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그물부의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그물부는,
상기 그물고리부에 삽입되며, 고무 재질로 형성된 고정링, 상기 고정링으로부터 연장되며, 섬유 재질로 형성된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끝단에 형성되며,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그물망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입구를 규정하는 입구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그물망은,
상기 고정링으로부터 상기 입구링을 향해 개구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입구링은,
상기 그물망의 끝단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그물망의 끝단이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하여, 상기 입구와 상기 그물망의 내부가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그물형상유지부는,
상기 원통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치편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치편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그물형상유지부의 길이가 변화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2 배치편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배치편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치편은,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배치편은,
상기 제1 배치편에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배치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2 배치편은,
이웃한 제2 배치편과 신축 가능한 연결부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6218A KR102354382B1 (ko) | 2021-07-01 | 2021-07-01 |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6218A KR102354382B1 (ko) | 2021-07-01 | 2021-07-01 |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4382B1 true KR102354382B1 (ko) | 2022-01-20 |
Family
ID=8005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6218A KR102354382B1 (ko) | 2021-07-01 | 2021-07-01 |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438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9021A (ja) * | 1997-12-18 | 1999-06-29 | Goshiya Eijirou | 魚介類捕獲具 |
KR100424093B1 (ko) * | 2002-01-17 | 2004-03-22 | 정정호 | 활어 포획용 어구 |
KR100999928B1 (ko) * | 2010-05-06 | 2010-12-13 | 대한민국 |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
KR20110017211A (ko) * | 2009-08-13 | 2011-02-21 | 장형기 |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
KR200467830Y1 (ko) * | 2013-03-26 | 2013-07-08 | 윤맹열 | 문어 포획단지 |
KR101544017B1 (ko) | 2014-01-09 | 2015-08-13 | 강기문 | 문어포획용 통발 |
-
2021
- 2021-07-01 KR KR1020210086218A patent/KR1023543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9021A (ja) * | 1997-12-18 | 1999-06-29 | Goshiya Eijirou | 魚介類捕獲具 |
KR100424093B1 (ko) * | 2002-01-17 | 2004-03-22 | 정정호 | 활어 포획용 어구 |
KR20110017211A (ko) * | 2009-08-13 | 2011-02-21 | 장형기 |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
KR100999928B1 (ko) * | 2010-05-06 | 2010-12-13 | 대한민국 |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
KR200467830Y1 (ko) * | 2013-03-26 | 2013-07-08 | 윤맹열 | 문어 포획단지 |
KR101544017B1 (ko) | 2014-01-09 | 2015-08-13 | 강기문 | 문어포획용 통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3679B1 (ko) |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 |
EP3183958A1 (en) | Fish trap | |
KR20100033640A (ko) | 낙지 포획용 통발 | |
US7874097B2 (en) | Lobster trap with ring guard assembly | |
KR102354382B1 (ko) |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 |
KR20110112517A (ko) | 어류 포획용 통발 | |
KR101143597B1 (ko) |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 |
KR20150098411A (ko) |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 |
JP6742146B2 (ja) | ボウフラストッパー | |
KR102085889B1 (ko) | 통발용 유도구 | |
JPWO2018174258A1 (ja) | 水生動物脱出装置および定置網 | |
US2736986A (en) | Minnow trap | |
KR200449587Y1 (ko) | 낙지잡이용 통발 | |
JP3209881U (ja) | ボウフラストッパー | |
KR20100000836A (ko) | 어류 포획용 통발 | |
KR102147622B1 (ko) | 미끼통 및 이를 구비하는 통발 장치 | |
KR200443156Y1 (ko) | 어류 포획기 | |
JP3103317U (ja) | タニシの捕獲および飼育具 | |
KR200387099Y1 (ko) | 전복 양식집 | |
KR20070001093U (ko) | 낙지잡이용 통발 | |
KR20200000873A (ko) | 양방향 포획 구조를 갖는 정치망 | |
KR101689060B1 (ko) | 장어 통발 | |
CN217242288U (zh) | 多功能害虫诱捕装置 | |
KR100516233B1 (ko) | 어류포획기 | |
KR200455814Y1 (ko) | 배수트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