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928B1 -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928B1
KR100999928B1 KR1020100042678A KR20100042678A KR100999928B1 KR 100999928 B1 KR100999928 B1 KR 100999928B1 KR 1020100042678 A KR1020100042678 A KR 1020100042678A KR 20100042678 A KR20100042678 A KR 20100042678A KR 100999928 B1 KR100999928 B1 KR 100999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unnel
trap
barrel body
conger 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욱
배재현
김성훈
이경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4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붕장어 통발을 이루는 통발몸통의 상단 내측에 부력재를 삽입시킴으로서, 물보다 비중이 무겁게 되는 생분해성 수지로 붕장어 통발을 제조하더라도 통발몸통의 상단측이 부력재에 의하여 들려진 상태로 해저면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고,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수지로서 강도가 우수한 반면 신장률이 낮은 PBS(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수지와, 상기 PBS수지에 비하여 구조적인 강도는 낮지만 신장률이 우수한 PBAT(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의 혼합수지를 사용하여 붕장어 통발의 통발몸통을 제조토록 함으로서, 붕장어 통발의 하단 입구측이 해저면에 파묻히거나, 모래나 뻘 또는 니질 등과 같은 이물질이 통발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어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발어구에 요구되는 강도와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붕장어 통발이 바다에 유실된 경우에도 통발속으로 지속적으로 물고기가 들어가서 죽는 유령어업을 최소화시키면서 해양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Pot for catching an conger 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물보다 비중이 무거우면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생분해성 수지로 붕장어 통발을 제조하더라도 통발의 상단측이 들려진 상태로 해저면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발의 하단 입구측이 해저면에 파묻히거나 해저면에 있는 모래나 뻘 등의 이물질이 통발속으로 들어감에 따른 어획량의 감소를 방지하는 한편, 통발의 사출 성형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을 최적화시킴으로서, 통발어구에 요구되는 강도와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확보하여 그 사용수명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바다에 통발이 유실되더라도 통발의 자연분해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유령어업을 저감시켜 수산자원의 증강 및 해양생태계 보호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어업의 조업방식은, 모릿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 개의 아릿줄을 연결하고, 각각의 아릿줄 끝단에 파이프 또는 원통 형태를 가지는 통발어구를 1개씩 매달아 놓은 다음, 선박으로부터 모릿줄을 풀어내어 각각의 통발어구가 해저면을 따라 놓여지도록 함으로서, 대상생물이 통발어구의 내부로 들어가서 포획되도록 하는 조업방식이다.
상기와 같이 통발을 이용하는 어업은, 유영력이 크지 않고 일정한 장소에 정착하여 서식하는 한편, 통발어구의 내부에 삽입시킨 미끼에 대한 반응이 민감한 주촉성 수산생물인 붕장어, 낙지, 문어, 주꾸미 등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며, 통발을 바다에 부설한 후 약 1일 내지 7일이 경과한 다음 모릿줄을 감아들이면서 통발속에 들어간 어획물을 빼내는 한편, 새로운 미끼를 통발에 넣어 해저면에 다시 드리우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통발어구 중에서 붕장어 통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수공(11a)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통발몸통(11)을 가지며, 그 하단측에는 붕장어의 유도를 위한 깔대기와 무게추인 금속링이 결합되는 바, 기존의 붕장어 통발(10)은 통발몸통(11)과 깔대기가 비중이 0.94인 폴리에틸렌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붕장어 통발(10)을 바닷속으로 투입시키게 되면, 깔대기가 장착된 통발(10)의 하단측은 금속링의 무게에 의하여 해저면으로 가라앉게 되고, 통발(10)의 상단측은 상부로 비스듬하게 뜨면서 아릿줄(2)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붕장어 통발(10)을 이용하여 붕장어를 어획할 시에는, 장시간 바다에 통발(10)을 투입하였다가 들어올리기 때문에, 해황이 거칠거나 어구를 끌면서 조업하는 타어선에 의하여 모릿줄(1)이나 아릿줄(2)로부터 통발(10)이 떨어져 나와 유실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존의 붕장어 통발(10)은 생물학적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난분해성 방향족 고분자 합성수지로 제조됨에 따라, 유실된 통발(10)에 대상생물이 들어가서 죽는 유령어업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수산자원의 손실이 크게 됨은 물론이고, 유실된 통발(10)이 해저 바닥에 쌓여서 수산생물의 산란장과 서식장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해수중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가능한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하여 각종 통발어구를 제조토록 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0-9646호에 기재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415812호에 기재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어구와 그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로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여 붕장어 통발(10)을 제조할 경우, 해수중에서 자연분해가 가능한 소재를 통발(10)에 적용시킴에 따라, 바다에 버려진 통발(10)에 의한 연안해역의 오염과 유령어업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는 있었으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자체가 물보다 무거운 비중을 가지기 때문에, 붕장어 통발(10)의 정확한 부설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붕장어의 포획을 위하여 해저면을 따라 통발(10)을 설치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발(10)의 상단측이 상부로 비스듬히 들려진 상태가 되어야 하는 데, 해저면이 울퉁불퉁하거나 모릿줄(1)이 해저면에 닿은 상태가 될 경우에는,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소재로 제조된 붕장어 통발(10)이 해저면으로 가라앉아 눕혀진 상태로 설치될 확률이 높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붕장어 통발(10)이 모래나 뻘 등으로 이루어진 해저면의 저질에 눕혀진 상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통발(10)의 하단 입구측이 일정 깊이만큼 파묻히거나, 통발(10)의 내부로 모래나 뻘이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통발(10)에 의한 붕장어의 어획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어획량의 감소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통발(10)을 걷어 올리는 회수작업 또한 매우 힘들게 되고, 이러한 회수작업의 과정에서 통발(10)이 자주 떨어져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로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여 붕장어 통발(10)을 제조할 경우, 수지 자체가 가지는 낮은 유연성 및 내충격성에 의하여 조업의 과정에서 붕장어 통발(10)의 통발몸통(11)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게 됨으로서, 붕장어 통발(10)의 실용적인 가치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다시 말해서, 붕장어 통발(10)은 무게추로서의 금속링을 포함하는 어구의 무게가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통발(10)을 바닷속으로 투척하거나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 아릿줄(2)과 연결된 통발몸통(11) 부분이 쉽게 손상됨은 물론이고, 걷어 올린 통발(10)을 선박의 갑판으로 던지고 적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충격에 의하여 통발몸통(11)이 쉽게 파손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각종 문제점들로 인하여, 붕장어 통발(10)의 취급이 까다롭게 되는 한편, 붕장어 통발(10)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이 단축됨으로서, 붕장어 통발(10)을 이용한 조업의 편의성이나 경제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조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 측면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붕장어 통발(10)의 구조적인 개선방안 뿐만 아니라 통발(10)의 소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보다 비중이 무겁게 되는 생분해성 수지로 붕장어 통발을 제조하더라도 통발의 상단측이 들려진 상태로 해저면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발의 하단측 입구가 해저면에 파묻히거나 통발의 내부로 모래나 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됨에 따른 어획량의 감소와 어구 회수작업의 불편함을 방지토록 하는 한편, 통발의 사출 성형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수지조성을 최적화시킴으로서, 해수중에서 자연분해가 가능한 소재를 통발어구에 적용시킴에 따라 폐어구에 의한 연안해역의 오염과 유령어업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통발어구에 요구되는 강도와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확보하여 그 사용수명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붕장어 통발을 이용한 조업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향상시켜 조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 측면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통발은, 통수공이 관통된 파이프 형상의 통발몸통과, 상기 통발몸통의 하단 입구 내측에 조립 설치되는 깔대기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통발몸통의 상단측에는 아릿줄의 결속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통발몸통의 하측 내주연부에는 무게추용 금속링이 삽입 설치되며, 통발몸통의 상단 내측에는 부력재가 삽입되어 통발몸통과 조립 설치되고, 상기 부력재는 통발몸통의 상단 내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부력공간이 제공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며 장착핀에 의하여 통발몸통과 조립되는 조립단부로 이루어지는 붕장어 통발에 있어서, 상기 통발몸통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수지 50 ~ 60 wt%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 butylene adipate-co- terephthalate) 수지 40 ~ 50 wt%와, 이에 미량의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수지로 사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깔대기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수지 85 ~ 95 wt%와, 활석분말(talc powder) 5 ~ 15 wt%와, 이에 미량의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수지로 사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통발 제조방법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PBS수지 50 ~ 60 wt%와, PBAT수지 40 ~ 50 wt%를 믹서에서 혼합시키는 수지혼합단계; 상기 수지혼합단계를 거쳐 혼합된 수지조성물을 130 ~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지컴파운드를 제조하는 컴파운드화 단계; 상기 컴파운드화 단계를 거쳐 제조된 수지컴파운드를 펠렛 형태로 압출 성형시키는 펠렛성형단계; 상기 펠렛성형단계를 거쳐 제조된 수지펠렛을 안료와 함께 사출성형기로 투입하여, 140 ~ 160℃의 온도 조건하에서 통발몸통을 사출 성형시키는 사출성형단계를 거쳐 붕장어 통발용 통발몸통을 제조하는 한편, PBS수지 85 ~ 95 wt%와, 활석분말 5 ~ 15 wt%를 믹서에서 혼합시키는 수지혼합단계로부터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은 컴파운드화 단계와 펠렛성형단계와 사출성형단계를 거쳐 붕장어 통발용 깔대기를 제조하며, 상기 공정단계를 거쳐 제조된 통발몸통의 상단 내측으로 부력재를 삽입하여 상기 부력재를 통발몸통과 조립시키고, 통발몸통의 하측 내주연부에는 무게추로서의 금속링을 삽입시키며, 상기 공정단계를 거쳐 제조된 깔대기를 통발몸통의 하단 입구 내측에 조립하는 제품화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붕장어 통발의 통발몸통 상단 내측에 부력재를 삽입시킴으로서,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하여 붕장어 통발을 제조하더라도, 통발의 상단측이 부력재에 의하여 상부로 비스듬히 들려진 상태로 해저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해저면이 울퉁불퉁하거나 모릿줄이 해저면에 닿은 상태에서도 붕장어 통발을 모릿줄과 연결하는 아릿줄의 길이 만큼은 통발의 상단측이 상부로 비스듬히 들려지도록 함으로서, 바닷속으로 투입된 붕장어 통발이 붕장어의 포획에 적합한 상태를 항상 유지토록 하는 한편, 통발의 하단 입구측이 해저면을 통하여 파묻히거나 통발의 내부로 모래나 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해수중에서 자연분해가 가능한 소재를 붕장어 통발에 적용시킴에 따라 폐어구에 의한 연안해역의 오염과 유령어업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붕장어 통발에 의한 어획량을 증대시키고, 붕장어 통발을 걷어 들이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붕장어 통발을 걷어 들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발의 유실량 또한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PBS수지와 PBAT수지가 가지는 서로 다른 물적 특성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생분해성 수지성분의 조합을 최적화시킴으로서, 붕장어 통발에 필요한 구조적인 강도는 충분하게 확보하면서도 붕장어 통발 자체에 유연성을 기초로 한 내충격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깔대기의 경우에도 활석을 첨가함에 따라 얇은 두께의 유인스트립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붕장어가 상처없이 통발몸통의 내부로 안전하게 포획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붕장어 통발의 사용시 발생하는 어구의 손상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붕장어 통발의 취급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붕장어 통발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각종 잇점들로 인하여 붕장어 통발을 이용한 조업의 경영수지를 개선시키는 측면에도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붕장어 통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통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통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블록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통발(1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수공(11a)이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통발몸통(11)을 기초로 하여, 그 상단부측에는 아릿줄(2)의 결속을 위한 결속구(17)가 조립 설치되고, 그 하단 입구의 내측에는 유인용 트랩(trap)으로서의 깔대기(12)가 클램퍼(16)에 의하여 조립 설치되어 있다.
상기 깔대기(12)는 원추형의 깔대기몸통(13) 하측부에 통수공(13a)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깔대기몸통(13)의 상측부에는 다수 개의 유인스트립(14)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깔대기(12)가 설치되는 통발몸통(11)의 하측 내주연부에는 무게추의 기능을 수행하는 금속링(15)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발몸통(11)의 내부에 넣어둔 미끼에 현혹되어 깔대기몸통(13)을 따라 붕장어가 들어오게 되면, 각각의 유인스트립(14)이 벌어져 붕장어가 통발몸통(11)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나, 붕장어가 통발몸통(11)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간 다음에는, 상기 유인스트립(14)이 자동적으로 오므라들면서 붕장어가 통발몸통(11)의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면에 도시된 상기 결속구(17)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셔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아릿줄(2)을 결속구(17)를 통하여 밀어 넣게 되면, 셔터가 측방향으로 밀려나면서 결속구(17)의 내측으로 아릿줄(2)이 삽입되고, 아릿줄(2)의 삽입이 완료되는 즉시 셔터가 닫히게 되는 반자동식 결속구이다.
상기와 같은 반자동식 결속구(17)는 붕장어 통발(10)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부품으로서, 붕장어 통발(10)과는 별도로 제조되어 통발몸통(11)의 상단측에 조립 설치되는 것이며, 이와는 달리 통발몸통(11)의 상단측에 아릿줄(2)의 결속을 위한 구멍이나 플랜지 등이 통발몸통(11)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클램퍼(16) 또한 도면상 후크형 고리와 레버식 착탈손잡이를 포함하는 공지의 부품으로서, 깔대기(12)를 통발몸통(11)의 하단부로 삽입시킨 다음, 후크형 고리를 깔대기몸통(13)의 하단 내주연부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레버식 착탈손잡이를 상부 방향으로 젖힘에 따라, 깔대기(12)가 후크형 고리에 의하여 통발몸통(11)과 견고하게 클램핑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클램퍼(16) 또한 붕장어 통발(10)과는 별도로 제조되어 통발몸통(11)의 하단 외측면에 조립 설치되는 것이며, 깔대기(12)를 통발몸통(11)의 하단 입구 내측에 견고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것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의 클램퍼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상기 붕장어 통발(10)의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사출성형물이 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통발몸통(11)의 상단 내측에 부력재(20)를 삽입하여 상기 부력재(20)가 통발몸통(11)과 조립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력재(20)는 PE(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이 물보다 비중이 가볍고 통발몸통(11)의 내측에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한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적용하더라도 무방하며, 생분해성 수지 재질의 통발몸통(11)이 분해가 될 경우, 부력재(20) 자체는 해수면의 상부로 떠올라 수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연안해역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데에는 크게 관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부력재(20) 또한 가급적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연안해역의 오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으며, 부력재(20)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력은 금속링(15)을 포함하는 붕장어 통발(10)의 침강하중을 고려하여 통발몸통(11)의 상단측 부분만이 상부로 들려질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상기와 같이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한 부력재(20)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발몸통(11)의 상단 내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빈 공간으로서의 부력공간(21a)이 제공된 몸통부(21)와, 상기 몸통부(21)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며 장착핀(23)에 의하여 통발몸통(11)과 조립되는 조립단부(2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력재(20)를 통발몸통(11)과 조립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립단부(22)에는 장착핀(23)이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조립구멍(22a)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부력재(20)의 조립단부(22)가 삽입되는 통발몸통(11)의 상단측에도 장착핀(23)의 삽입을 위한 조립구멍(11b)이 대응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통발몸통(11)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수지 50 ~ 60 wt%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 butylene adipate -co-terephthalate) 수지 40 ~ 50 wt%와의 혼합수지로 사출 성형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깔대기(12)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수지 85 ~ 95 wt%와, 활석분말(talc powder) 5 ~ 15 wt%와의 혼합물로 사출 성형된 것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PBS수지와 PBAT수지는 (주)이래화학에서 상품명 엔폴(EnPol)로 하여 생산되고 있는 제품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발몸통(11)의 사출성형을 위한 PBS수지 50 ~ 60 wt%와 PBAT수지 40 ~ 50 wt%와의 혼합수지 및 상기 깔대기(12)의 사출성형을 위한 PBAT수지 85 ~ 95 wt%와 활석분말 5 ~ 15 wt%와의 혼합물을 각각 100중량부로 하여, 이에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와 분산제와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가 2 ~ 7중량부 추가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후의 제조방법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s)과 지방족 글리콜(glycols)의 축중합에 의해 중합되는 것으로서, 원료의 종류 및 함량을 변경함에 따라 다양한 물성과 융점을 가지는 제품을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호모 폴리에스테르인 PBS수지와 PBAT수지의 분자구조 및 특징을 아래의 표에 나타내었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EnPol의 기본구조
Figure 112010029283605-pat00001
상기 PBS수지는, 지방족 글리콜(glycols)로서의 1,4 부탄디올(1,4-butanediol)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s)으로서의 숙신산(succinic acid)을 원료로 하여, 에스테르화반응과 축중합반응을 거쳐 얻어지는 중합물이 되며, 구조적인 강도가 우수한 반면, 결정성이 높아 유연성이 낮은 성질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PBAT수지는, 지방족 글리콜(glycols)로서의 1,4 부탄디올(1,4-butanediol)과,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s)으로서 지방족 성분인 아디프산(adipic acid)과, 방향족 성분인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dimethyl terephthalate)를 원료로 사용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co-polyester)가 된다.
상기 PBAT수지는 다성분의 조합에 따른 공결정화로 인하여, 결정구조에 있어 무정형(無定形: 비결정) 영역이 상당 부분 존재하기 때문에 엘라스토머(elastomer: 탄성중합체)의 성질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유연성이 우수한 특징을 나타내는 동시에, 호모폴리머인 PBS수지에 비해서는 강도가 낮고 고형화 속도가 느린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PBS수지와 PBAT수지가 가지는 서로 다른 물적 특성을 이용함으로서, 붕장어 통발(10)의 통발몸통(11)에 필요한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토록 하는 한편, 통발몸통(11) 자체에 유연성을 기초로 한 내충격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PBS수지의 혼합비율을 50 ~ 60 wt% 범위내로 하는 한편, PBAT수지의 혼합비율을 40 ~ 50 wt% 범위내로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PBS수지와 PBAT수지를 각각 50wt%로 하여 혼합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하되, 통발몸통(11)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PBS수지의 함량을 PBAT수지보다 높게 책정한 것이며, 위에서 설명되어진 혼합비율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 비율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PBS수지의 함량을 최대 70wt%까지 조정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깔대기(12)는 통발몸통(11)의 내부로 삽입되어 보호되는 한편, 붕장어가 유인스트립(14)을 따라 상처없이 안전하게 포획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로 제조되기 때문에, 내충격성에 비중을 두기보다는 구조적 강도 및 사출성형에 따른 작업성에 보다 더 비중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깔대기(12)는 강도가 우수하고 유연성이 낮은 PBS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되, 깔대기(12)의 표면과 유인스트립(14)의 절개부(14a)가 보다 매끈한 표면이 되도록 소정 비율의 활석분말을 첨가한 것이며, 활석분말의 첨가비율이 5% 미만이 되면 활석 성분의 기능이 발현되기 어렵고, 활석분말의 첨가비율이 15%를 초과하게 되면, 수지의 유동성과 사출성형성이 저하된다.
상기 PBS수지와 PBAT수지의 합성에 사용되는 반응기는, 통상 교반장치와 콘덴서 및 냉각기가 장착된 에스테르화 반응장치와, 축중합반응에 필요한 고진공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진공설비가 장착되어 있는 축중합 반응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합실험은 B/T(중합반응기) 및 Lab 규모의 합성설비(3kg)를 사용한 중합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준 상업규모의 치수(semi-commercial 100L P/P)나 상업규모의 치수(commercial 5㎥)로 스케일업 테스트(scale-up test)를 진행함으로서, 중합공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편, 이들 수지에 적합한 중합조건을 선정하게 된다.
상기 PBS수지를 중합하기 위해서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인 숙신산과 지방족 글리콜인 1,4-부탄디올의 몰비를 1:1.5로 하여, 질소기류 중에서 승온을 하고, 200 ~ 220℃의 온도조건하에서 2 ~ 3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함으로서 이론량의 물을 유출시킨 다음, 촉매를 넣고 온도를 240 ~ 250℃ 정도로 상승시키는 한편 1 Torr 이하의 고진공 조건하에서 축중합반응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축중합반응은 해당 조건하에서 개략 3 ~ 4시간 정도를 수행하게 되며, 축중합반응의 종결시점은 반응기에 포함된 교반기의 토크(torque)를 관찰하여 결정하게 되는 바, 이러한 일련의 PBS수지 중합과정을 아래의 반응도표 1에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반응도표 1. PBS수지의 중합과정
Figure 112010029283605-pat00002
한편, 상기 PBAT수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 아디프산과 DMT의 혼합비율을 50:50으로 하고, 전체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인 1,4-부탄디올의 몰비를 1:1.5로 하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숙신산만을 사용하는 PBS수지와는 달리, PBAT수지의 경우는 반응생성물이 물과 메탄올 두 가지인 관계로 2단계 반응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질소기류 중에서 승온을 하여 DMT와 1,4-부탄디올을 원료로 첨가하고, 180℃의 온도조건하에서 약 2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수행함으로서 이론량의 메탄올(CH3OH)을 유출시키게 되며, 메탄올의 유출량이 이론치에 도달하면, 200 ~ 220℃로 승온시킨 후 아디프산을 추가로 투입하여 약 2 ~ 3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시킴으로서, 소중합체(小重合體: oligomer)를 형성시키는 한편 이론량의 물을 유출시키게 된다.
그 다음에, 촉매를 넣고 온도를 240 ~ 250℃ 정도로 상승시키는 한편 1 Torr 이하의 고진공 조건하에서 개략 3 ~ 4시간 정도 축중합반응을 진행하게 되면,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aliphatic/aromatic co-polyester)가 얻어지며, 축중합반응의 종결시점은 PBS 중합공정과 마찬가지로 반응기에 포함된 교반기의 토크(torque)를 관찰하여 결정하게 되는 바, 이러한 일련의 PBAT수지 중합과정을 아래의 반응도표 2에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반응도표 2. PBAT수지의 중합과정
Figure 112010029283605-pat00003
이하, 상기 PBS수지와 PBAT수지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통발(10)의 통발몸통(11) 및 깔대기(12)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통발(10)의 수지중합 및 제조방법은 도 4의 공정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조성물의 혼합을 위한 수지혼합단계(S1)와, 혼합된 수지조성물의 컴파운드화 단계(S2)와, 수지컴파운드를 펠렛(pellet)화시키는 펠렛성형단계(S3)와, 수지펠렛을 이용한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의 사출성형단계(S5) 및 각각의 공정단계를 거쳐 제조된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를 부력재(20)와 함께 조립하는 제품화단계(S6)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공정단계에서는 통발몸통(11)의 제조를 위한 수지와 깔대기(12)의 제조를 위한 수지의 성분 및 혼합비율만이 다를 뿐이고, 각각의 수지를 혼합하여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바, 이로 인하여 도 4의 공정블록도에서는 하나의 플로우챠트만을 도시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는 서로 다른 부품이 되므로, 각각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라인 자체는 분리되지만, 각각의 공정라인을 따라 진행되는 부품의 제조공정은 동일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여, 이에 따라 하기의 설명에서는 수지혼합단계(S1) 이후의 공정단계, 즉 컴파운드화 단계(S2)로부터 사출성형단계(S5)까지의 공정단계는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의 구분없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지혼합단계(S1)는, 통발몸통(11)의 제조를 위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성분으로서,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수지 50 ~ 60 wt%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수지 40 ~ 50 wt% 그리고 미량의 첨가제(산화방지제, UV안정제, 분산제)를 믹서에서 혼합시키는 한편, 깔대기(12)의 제조를 위하여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수지 85 ~ 95 wt%와, 활석분말(talc powder) 5 ~ 15 wt% 그리고 미량의 첨가제(산화방지제, UV안정제, 분산제)를 또 다른 믹서에서 혼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수지혼합단계(S1)에 사용되는 믹서(Mixer)는 혼합탱크의 내부에 교반날개가 설치된 장치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통상 실 형태로 방사된 각각의 수지성분을 짧은 길이로 절단하거나, 각각의 수지성분을 단섬유(短纖維) 형태로 방사하여 제조하거나, 각각의 수지성분을 작은 칩 형태로 제조한 다음, PBS수지와 PBAT수지 및 PBS수지와 활석분말을 해당 믹서의 혼합탱크 내부에서 골고루 혼합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통발몸통(11)용 수지조성물과 깔대기(12)용 수지조성물을 해당 믹서의 혼합탱크 내부에서 골고루 혼합시키는 한편, 각각의 수지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의 물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수지조성물을 100중량부로 하여,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와 분산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탱크의 내부에 1 ~ 5중량부만큼 추가 투입시킴으로서, 각각의 첨가제가 수지조성물과 함께 골고루 혼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물질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공기 중에 있는 산소와 이들 물질이 결합하는 과정인 자동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하는 화합물로서, 보통 방향족 아민류, 페놀류, 아미노페놀류 등의 유기화합물들이 산화방지제로 사용되며, 대표적인 예로는 부틸화된 히드록시톨루엔(BHT)이나 부틸화된 히드록시아니졸(BHA)을 들 수 있다.
상기 UV안정제는, 붕장어 통발(10)의 통발몸통(11) 및 깔대기(12)가 자외선에 의한 기계적 성질의 저하 또는 변색 등에 대한 안정도를 가지도록 하는 한편, 통발몸통(11) 및 깔대기(12)의 제조시 강도와 같은 물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이며, 대표적인 예로는 고분자형 광안정제(high molecular HALS)나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등을 들 수 있다.
주) HALS : Hindered Amino Light Stabilizer
그리고, 상기 분산제는 통상 계면활성제라고도 하며, 수지성분간 또는 수지와 활석분말간의 계면저항을 감소시킴으로서, 수지조성물의 혼합상태 및 이를 기초로 하는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며,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고분자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와 분산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각각의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초로 하여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게 되면, 각각의 첨가제가 가지는 고유한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으며, 첨가제의 혼합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각각의 첨가제에 의한 물성의 향상 측면과 첨가제의 사용량 측면을 동시에 비교할 경우 비경제적이 된다.
또한, 첨가제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할 경우,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와 분산제의 혼합비율은 1:1:1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각각의 수지조성물을 기준으로 보면 그 첨가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일부 첨가제가 1.5 정도의 비율만큼 더 혼합되더라도 무방하며,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첨가제의 함량은 적절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수지혼합단계(S1)를 거친 이후에는, 각각의 수지조성물 또는 이에 첨가제가 포함된 조성물을 130 ~ 150℃의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서, 수지조성물을 덩어리 형태의 수지컴파운드(resin compound)로 제조하는 컴파운드화 단계(S2)를 거치게 된다.
상기 컴파운드화 단계(S2)에 사용되는 장치로서는 버너 또는 전열선과 같은 가열수단이 장착된 용융조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수지조성물의 가열온도는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130℃를 최소 가열온도로 하되, 수지의 물성치 변화 및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최대 가열온도는 150℃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컴파운드화 단계(S2)를 거친 후에는, 수지컴파운드를 압출기로 투입하여 수지컴파운드를 사출 성형용의 펠렛이나 칩(chip)으로 성형시키는 펠렛성형단계(S3)를 거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수지컴파운드를 작은 입자의 펠렛이나 칩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의 사출성형 작업을 한층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수지조성물을 이루는 각각의 성분이 2차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는 결과를 유도하여 붕장어 통발(10)의 품질 향상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펠렛성형단계(S3)에 사용되는 압출기는, 수지컴파운드를 일정한 압력으로 뽑아낼 수 있는 한편, 출구를 통하여 압밀되어져 나오는 수지컴파운드를 회전식 커터 등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장치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수지컴파운드에 의하여 성형되는 펠렛이나 칩의 크기는 작을수록 유리하지만, 5mm 내외 정도의 크기면 충분하다.
상기와 같이 펠렛성형단계(S3)를 거쳐 작은 입자로 성형된 수지펠렛이나 수지칩을 사용하여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를 즉시 제조하는 경우 이외에, 수지펠렛이나 수지칩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일정 기간 보관하였다가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를 제조할 경우에는, 수지펠렛이나 수지칩을 70 ~ 90℃의 온도 조건하에서 제습 및 건조시키는 제습건조단계(S4)를 거치는 것이 필요하며, 수지펠렛이나 수지칩을 수냉방식으로 냉각시키는 경우 제습건조단계(S4)는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제습건조단계(S4)를 거쳐 수지펠렛이나 수지칩의 표면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토록 하게 되면, 사출성형단계(S5)에서의 작업성과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통발몸통(11)이나 깔대기(12)의 표면이나 내부에 기포로 인한 홈이나 구멍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측면에서 보다 더 유리한 잇점을 제공한다.
한편, 제습 및 건조에 필요한 온도는 수지펠렛이나 수지칩의 신속한 건조를 위하여 최소 70℃ 이상이 되도록 하되, 수지펠렛이나 수지칩간의 뭉침 현상과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최대 온도는 90℃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방식으로는 열풍을 이용한 건조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고, 단순히 온도만을 이용한 건조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펠렛성형단계(S3)와 제습건조단계(S4)를 거친 이후에는, 통발몸통(11)용 수지펠렛이나 수지칩은 안료와 함께 통발몸통(11)용 사출성형기로 투입시키고, 깔대기(12)용 수지펠렛이나 수지칩은 안료와 함께 깔대기(12)용 사출성형기로 각각 투입시킴으로서, 140 ~ 160℃의 온도 조건하에서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를 사출 성형시키는 사출성형단계(S5)를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지펠렛이나 수지칩을 이용하여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를 성형하는 사출성형작업은, 실린더 속에서 가열하여 녹인 수지펠렛이나 수지칩 재료를 노즐을 통하여 폐쇄된 거푸집 속으로 밀어 넣은 다음, 이를 거푸집에서 냉각시켜 요구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사출성형과정 및 사출성형기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사출성형에 필요한 온도 조건으로서 140 ~ 160℃의 온도범위를 한정한 이유는, 수지의 유동성을 충분하게 확보하여 사출성형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면서도, 과도한 가열에 따른 수지성분의 산화를 방지하고 경제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범위가 되기 때문이며, 사출성형기마다 압출온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어느 정도의 오차는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출성형단계(S5)에 있어, 수지펠렛이나 수지칩과 함께 투입되는 안료는 무기안료가 가장 바람직하며, 붕장어 통발(10)은 검은색 계통의 안료를 주로 사용하지만, 붕장어 통발(10)에 요구되는 색상에 맞추어 안료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출성형단계(S5)에서 투입되는 안료의 량은 수지펠렛이나 수지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 2중량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안료의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의 색상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최적의 범위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수지혼합단계(S1)로부터 사출성형단계(S5)를 거쳐 붕장어 통발(10)의 제조에 필요한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를 각각 제조한 다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발몸통(11)의 상단 내측으로 부력재(20)를 삽입하여 상기 부력재(20)를 통발몸통(11)과 조립시키는 한편, 통발몸통(11)의 하측 내주연부에는 무게추로서의 금속링(15)을 삽입시키며, 최종적으로 깔대기(12)를 통발몸통(11)의 하단 입구 내측에 조립하는 제품화단계(S6)를 거침으로서 붕장어 통발(10)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붕장어 통발(10)의 제조공정에 있어, 통발몸통(11)의 사출성형단계(S5)를 수행할 시에, 상기 금속링(15)이 통발몸통(11)과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되도록 하는 인서트몰딩(Insert molding) 방식을 적용시킬 수 있는 바, 이러한 인서트몰딩 방식 또한 사출성형 분야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며, 상기 부력재(2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실시예 : PBS수지 55 wt%와, PBAT수지 45 wt%와,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와 분산제가 1:1:1로 혼합된 첨가제 2 wt%를 믹서에서 혼합시킨 다음, 이 혼합수지를 130℃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지컴파운드를 제조하고, 상기 수지컴파운드를 5mm 크기의 수지펠렛으로 성형시키며, 상기 수지펠렛을 80℃의 온도로 제습 및 건조시킨 다음, 수지펠렛 100중량부와 검은색 안료 2중량부를 사출성형기의 내부로 투입시켜 150℃의 온도 조건하에서 붕장어 통발의 통발몸통을 사출 성형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PBS수지 90 wt%와, 활석분말 10 wt%와,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와 분산제가 1:1:1로 혼합된 첨가제 2 wt%를 믹서에서 혼합시킨 다음, 이 혼합수지를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지컴파운드를 제조하고, 상기 수지컴파운드를 3mm 크기의 수지펠렛으로 성형시키며, 상기 수지펠렛을 80℃의 온도로 제습 및 건조시킨 다음, 수지펠렛 100중량부와 검은색 안료 1중량부를 사출성형기의 내부로 투입시켜 140℃의 온도 조건하에서 붕장어 통발의 깔대기를 사출 성형하였다.
1 : 모릿줄 2 : 아릿줄 10 : 붕장어 통발
11 : 통발몸통 11a,13a : 통수공 11b,22a : 조립구멍
12 : 깔대기 13 : 깔대기몸통 14 : 유인스트립
14a : 절개부 15 : 금속링 16 : 클램퍼
17 : 결속구 20 : 부력재 21 : 몸통부
21a : 부력공간 22 : 조립단부 23 : 장착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통수공(11a)이 관통된 파이프 형상의 통발몸통(11)과, 상기 통발몸통(11)의 하단 입구 내측에 조립 설치되는 깔대기(1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통발몸통(11)의 상단측에는 아릿줄(2)의 결속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통발몸통(11)의 하측 내주연부에는 무게추용 금속링(15)이 삽입 설치되며, 통발몸통(11)의 상단 내측에는 부력재(20)가 삽입되어 통발몸통(11)과 조립 설치되고,
    상기 부력재(20)는 통발몸통(11)의 상단 내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부력공간(21a)이 제공된 몸통부(21)와, 상기 몸통부(21)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며 장착핀(23)에 의하여 통발몸통(11)과 조립되는 조립단부(22)로 이루어지는 붕장어 통발(10)에 있어서,
    상기 통발몸통(11)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수지 50 ~ 60 wt%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 butylene adipate-co- terephthalate) 수지 40 ~ 50 wt%와의 혼합수지로 사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통발.
  4. 통수공(11a)이 관통된 파이프 형상의 통발몸통(11)과, 상기 통발몸통(11)의 하단 입구 내측에 조립 설치되는 깔대기(1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통발몸통(11)의 상단측에는 아릿줄(2)의 결속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통발몸통(11)의 하측 내주연부에는 무게추용 금속링(15)이 삽입 설치되며, 통발몸통(11)의 상단 내측에는 부력재(20)가 삽입되어 통발몸통(11)과 조립 설치되고,
    상기 부력재(20)는 통발몸통(11)의 상단 내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부력공간(21a)이 제공된 몸통부(21)와, 상기 몸통부(21)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며 장착핀(23)에 의하여 통발몸통(11)과 조립되는 조립단부(22)로 이루어지는 붕장어 통발(10)에 있어서,
    상기 통발몸통(11)은, PBS수지 50 ~ 60 wt%와, PBAT수지 40 ~ 50 wt%와의 혼합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와 분산제와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 2 ~ 7중량부와의 혼합물로 사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통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12)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수지 85 ~ 95 wt%와, 활석분말(talc powder) 5 ~ 15 wt%와의 혼합물로 사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통발.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12)는, PBS수지 85 ~ 95 wt%와, 활석분말 5 ~ 15 wt%와의 혼합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와 분산제와 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 2 ~ 7중량부와의 혼합물로 사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통발.
  7. 통수공(11a)이 관통된 파이프 형상의 통발몸통(11)과, 상기 통발몸통(11)의 하단 입구 내측에 조립 설치되는 깔대기(1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붕장어 통발(1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수지 50 ~ 60 wt%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수지 40 ~ 50 wt%를 믹서에서 혼합시키는 수지혼합단계(S1); 상기 수지혼합단계(S1)를 거쳐 혼합된 수지조성물을 130 ~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지컴파운드를 제조하는 컴파운드화 단계(S2); 상기 컴파운드화 단계(S2)를 거쳐 제조된 수지컴파운드를 펠렛(pellet) 형태로 압출 성형시키는 펠렛성형단계(S3); 상기 펠렛성형단계(S3)를 거쳐 제조된 수지펠렛을 안료와 함께 사출성형기로 투입하여, 140 ~ 160℃의 온도 조건하에서 통발몸통(11)을 사출 성형시키는 사출성형단계(S5)를 거쳐 통발몸통(11)을 제조하고,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수지 85 ~ 95 wt%와, 활석분말(talc powder) 5 ~ 15 wt%를 믹서에서 혼합시키는 수지혼합단계(S1); 상기 수지혼합단계(S1)를 거쳐 혼합된 수지조성물을 130 ~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지컴파운드를 제조하는 컴파운드화 단계(S2); 상기 컴파운드화 단계(S2)를 거쳐 제조된 수지컴파운드를 펠렛(pellet) 형태로 압출 성형시키는 펠렛성형단계(S3); 상기 펠렛성형단계(S3)를 거쳐 제조된 수지펠렛을 안료와 함께 사출성형기로 투입하여, 140 ~ 160℃의 온도 조건하에서 깔대기(12)를 사출 성형시키는 사출성형단계(S5)를 거쳐 깔대기(12)를 제조하며,
    상기 공정단계를 거쳐 제조된 통발몸통(11)의 상단 내측으로 부력재(20)를 삽입하여 상기 부력재(20)를 통발몸통(11)과 조립시키고, 통발몸통(11)의 하측 내주연부에는 무게추로서의 금속링(15)을 삽입시키며, 상기 공정단계를 거쳐 제조된 깔대기(12)를 통발몸통(11)의 하단 입구 내측에 조립하는 제품화단계(S6)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통발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15)은 통발몸통(11)의 사출성형단계(S5)에서 인서트몰딩 방식에 의하여 통발몸통(1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통발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의 제조를 위한 각각의 펠렛성형단계(S3)와 사출성형단계(S5)의 사이에는 70 ~ 90℃의 온도 조건하에서 수지펠렛을 제습 및 건조시키는 제습건조단계(S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통발 제조방법.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의 제조를 위한 각각의 수지혼합단계(S1)에서는 수지조성물을 100중량부로 하여,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와 분산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1 ~ 5중량부로 추가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통발 제조방법.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몸통(11)과 깔대기(12)의 제조를 위한 각각의 사출성형단계(S5)에서 수지펠렛과 함께 투입되는 안료의 량은, 수지펠렛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 2중량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통발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되는 산화방지제와 UV안정제와 분산제의 혼합비율은 각각 1~1.5 : 1~1.5 : 1~1.5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장어 통발 제조방법.
KR1020100042678A 2010-05-06 2010-05-06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KR100999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678A KR100999928B1 (ko) 2010-05-06 2010-05-06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678A KR100999928B1 (ko) 2010-05-06 2010-05-06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928B1 true KR100999928B1 (ko) 2010-12-13

Family

ID=4351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678A KR100999928B1 (ko) 2010-05-06 2010-05-06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9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34B1 (ko) * 2020-04-29 2021-07-29 조범준 항균탈취기능이 구비되는 친환경 부표의 공기주입식 제조방법
KR20210096465A (ko) * 2020-01-28 2021-08-05 김두혁 장어통발
KR102354382B1 (ko) * 2021-07-01 2022-01-20 허미자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586Y1 (ko) * 2001-06-15 2001-10-17 정용길 통발
KR200272374Y1 (ko) 2001-11-12 2002-04-17 정용길 통발
KR200274659Y1 (ko) 2002-01-25 2002-05-06 조영주 부구 내장형 고리줄 탈착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586Y1 (ko) * 2001-06-15 2001-10-17 정용길 통발
KR200272374Y1 (ko) 2001-11-12 2002-04-17 정용길 통발
KR200274659Y1 (ko) 2002-01-25 2002-05-06 조영주 부구 내장형 고리줄 탈착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465A (ko) * 2020-01-28 2021-08-05 김두혁 장어통발
KR102317753B1 (ko) 2020-01-28 2021-10-27 김두혁 장어통발
KR102283034B1 (ko) * 2020-04-29 2021-07-29 조범준 항균탈취기능이 구비되는 친환경 부표의 공기주입식 제조방법
KR102354382B1 (ko) * 2021-07-01 2022-01-20 허미자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4851B (zh) 用于渔网的生物可降解树脂组合物和制造渔网的方法
KR100999928B1 (ko)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CN103987250B (zh) 漂浮元件以及形成浮力系统的方法
CN101805516B (zh) 利用废渔网制备的尼龙6切片及其制备方法
CN101031472A (zh) 具有防氧渗透配方的抗分层的多层容器、预成型体、制品及方法
WO2013170237A1 (en) Chemical modification of lignin and lignin derivatives
US20170112111A1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fishing net produced from same
WO2013170236A2 (en) Chemical modification of lignin and lignin derivatives
CN108796659A (zh) 一种全生物降解渔网线的制备方法
FR2645163A1 (fr) Procede de stabilisation des polymeres halogenes
KR101802829B1 (ko) 생분해성 인조미끼 조성물 및 그 인공미끼
KR100415812B1 (ko)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어로작업용 어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62960B1 (ko) 두족류 포획용 인공패각
CA2982098C (en) Multifunctional polymer composite yarn
KR102229486B1 (ko) 해조류의 활착성과 성장성이 우수한 적층 가능한 구조의 세라믹 인공어초 제조방법 및 그 세라믹 인공어초
JP2977207B2 (ja) 防汚成形物
JP495224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A2566667A1 (en) Method for treatment of foil to facilitate its subsequent removal
US20020046481A1 (en) Chemoluminescent bait tank and bucket
CN1299392A (zh) 乙酰丙酮锌-水合物作为卤化聚合物的稳定剂的用途及其制备方法
KR102393864B1 (ko) 해조류 비료성분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해조류 양식망 제조용 조성물
CN1491248A (zh) 聚对苯二甲酸1,3-丙二醇酯及其制备方法
JP4341441B2 (ja) 魚網
JP4065419B2 (ja) 良好な色調のポリエステル
KR102395637B1 (ko) 동 화합물계 방오제를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방오도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