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233B1 - 어류포획기 - Google Patents

어류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233B1
KR100516233B1 KR10-2001-0072662A KR20010072662A KR100516233B1 KR 100516233 B1 KR100516233 B1 KR 100516233B1 KR 20010072662 A KR20010072662 A KR 20010072662A KR 100516233 B1 KR100516233 B1 KR 10051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reflector
trap
diffuse reflector
dif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428A (ko
Inventor
전순호
Original Assignee
전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호 filed Critical 전순호
Publication of KR2002004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포획체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고기를 유인안내하여 포획하도록 된 어류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어류포획기의 포획체 내부에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반사체 또는 난반사판체를 설치하므로써 유인안내구측에 유영중이던 물고기들이 반사체 또는 난반사판체를 통해 자신들의 허상 및 착시 현상으로 무리를 이루기 위하여 떡밥 등과 같은 미끼가 없이도 포획체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유인하여 물고기들을 손쉽고 빠르게 포획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포획된 물고기들이 포획체를 빠져나가려고 하기 전에 다량의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류포획기{TOOL FOR CATCHING FISH}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포획체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고기를 유인안내하여 포획하도록 된 어류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포획체 내부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 또는 난반사판체를 설치하도록 하므로써, 무리지어 유영하는 물고기들의 습성을 이용하여 더욱 빠른 시간내에 많은 양의 물고기를 효율적으로 포획하도록 하기 위한 어류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포획기는 물고기를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포획기 내부로 유인안내하여 포획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어류포획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 내부에 깔대기형의 유인안내구(11)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개구부(12)가 마련되어 한 쌍의 포획체(10a)(10b)가 각각의 개구부(12)에 형성된 암,수체결부(5)(6)를 통하여 결합되므로써,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포획체(10a)(10b)가 결합된 개구부(12)에는 연결끈(4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클립(30)이 결속될 수 있는 결속공(50)이 돌출형성되어 연결클립(30)이 결속공(50)에 결속되므로써, 상기 포획체(10a)(10b)를 원거리로 투척한 후 회수시에도 원거리에 침수된 포획체(10a)(10b)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어류포획기의 사용상태를 도 1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포획체(10a)(10b)에 형성된 유인안내구(11)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사면(20)에는 물고기가 좋아하는 미끼(떡밥 등)를 부착하고 포획체(10a)(10b)내에도 소정량 미끼를 배치시키는 바, 물속에서도 흩어지지 않도록 물에 반죽을 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어류포획기를 흐르는 물이나, 고여있는 물에 투척한다.
이때, 상기 어류포획기는 결속공(50)에 연결클립(30)과 결속끈(40)이 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류포획기가 물에 투척되면 어류포획기의 통수공(7)과 유인안내구(11)로 물이 유입되어 어류포획기가 침수되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물결이 어류포획기를 투척할 때보다 진정되어 평소와 같은 흐름이 유지되면 물고기들이 미끼의 냄새를 맡고 유인안내구(11)측으로 유인된다.
상기와 같이 유인안내구(11)측으로 유인되어 미끼를 먹던 물고기들은 포획체(10a)(10b)내에 배치된 미끼를 먹기 위하여 수용공간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공간내의 미끼에 유인되어 수용공간내로 진입하게 된 물고기중 포획체(10a)(10b)밖으로 빠져나가려 하는 물고기는 깔대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인안내구(11)의 개구부가 매우 좁기 때문에 한 번에 외부로 빠져나가기 매우 힘들게 되어 빠져 나가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즉, 수용공간 내측으로 들어 올때는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20)에 의해 쉽게 들어올 수 있었지만, 나갈 때에는 물의 흐름이 다수개의 통수공(7)과 개구부을 통하여 함께 느껴지기 때문에 방향감감이 둔해지고 개구부가 매우 좁기 때문에 한번에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포획체(10a)(10b)의 수용공간에 머물게 된 물고기는 어류포획기에 의해 포획되어 질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어류포획기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다량으로 포획하기 위해서는 최초에 포획되는 물고기가 얼마만큼 빨리 포획되는냐와 얼마만큼의 물고기가 수용공간내에 머물고 있느냐에 따라 다량의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되는 바, 최초에는 물고기들이 미끼에 대하여 의심을 하여 포획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물고기들은 무리를 지어 유영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물고기가 없는 곳으로는 잘 이동하려 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류포획기내에 소정 수의 물고기가 포획되어 잔류하고 있는 상태가 되면 그 후로부터는 물고기가 쉽게 유인되어 포획되는 반면, 어류포획기내에 물고기가 소정 수 만큼 포획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물고기가 소정 수가 될 때까지의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어류포획기에 포획된 물고기들은 한 곳에 오랫동안 머물어 있지 않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다른 곳으로 이동하려 하기 때문에 이때에는 어류포획기를 회수하여야 하는 바, 물고기들이 어류포획기에 포획된 시간이 각각 다르므로 인해 어느 하나의 물고기가 어류포획기에서 빠져나가게 되면 다량의 물고기들이 쉽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소정 수 이상의 물고기를 포획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고기들이 무리지어 유영하고자 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다량의 물고기들을 빠른시간내에 포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획된 물고기들의 방향감각을 둔화시켜 어류포획기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떡밥 등과 같은 미끼 없이도 다량의 물고기를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어류포획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소정 형상의 포획체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고기를 유인안내하여 포획하도록 된 어류포획기에 있어서, 상기 포획체의 내부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는 일측 포획체의 암체결부 내경면에 형성된 받침턱에 게재되어 타측 포획체의 체결시 숫체결부의 선단에 밀착 고정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는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의 외주연부에 연계형성된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연결형성되어 받침턱에 게재되는 폭을 갖는 원형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의 중앙부에는 수용공간내에서 물과 물고기가 교류할 수 있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소정 형상의 포획체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고기를 유인안내하여 포획하도록 된 어류포획기에 있어서, 상기 포획체의 내부에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해 난반사를 일으키는 반사판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반사판체의 난반사면이 양측 또는 일측에 부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어류포획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및 난반사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및 난반사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및 난반사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포획체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고기를 유인안내하여 포획하도록 된 어류포획기에 있어서, 상기 포획체(103a)(103b)의 내부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를 설치하는 바,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06)는 일측 포획체(103b)의 암체결부(104) 내경면 소정위치에서 형성된 받침턱(109)에 게재되어 도 3과 같이 타측 포획체(103a) 체결시 숫체결부(105)의 선단에 압지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의 외주연부에는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보강프레임(112)을 도 2와 도 5와 같이 연계형성하고, 상기 보강프레임(1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110)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110)의 선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연결형성되는 소정폭의 원형지지프레임(113)을 받침턱에 게재하여 숫체결부(105)의 선단에 의해 밀착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암,수체결부(104)(105)의 체결시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의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16)을 형성하여 일측 포획체(103b)의 수용공간과 타측 포획체(103a)의 수용공간이 관통되도록 하여 물과 물고기가 수용공간 내에서 교류될 수 있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114는 유인안내부(102)의 경사면이고, 111은 한쌍의 포획체(103a)(103b)가 결합되는 개구부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기술을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가 내설된 한쌍의 포획체(103a)(103b)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공(120)에 결속클립(121)을 결속한 후에는 수심이 깊은 곳에 투척하거나, 수심이 얕은 곳에 사용자가 직접 배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물의 흐름이 투척전과 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주위에 유영중이던 물고기들이 유인안내구(102)측을 유영하다가 포획체(103a)(103b)내부의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에 비추어진 자신의 허상과 자신의 주위에 있는 또 다른 물고기들의 허상을 보게 된다.
따라서, 물고기는 무리를 형성하려 하는 습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를 향하여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최초의 물고기가 포획체(103a)(103b)내에서 유영을 하고 있으면, 유인안내구(102)측에 있던 또 다른 물고기는 포획체(103a)(103b)내에서 유영중이던 물고기와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에 비추어진 그 물고기의 허상과 자신의 허상과 자신의 주위(유인안내구(102)의 주위)에 있는 다른 물고기들의 허상을 보게 되고, 이에 따라, 아무런 의심없이 포획체(103a)(103b)내로 무리를 이루기 위하여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포획체(103a)(103b)내에는 자신의 모습과 또 다른 물고기의 실체와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에 비추어진 허상과 유인안내구(102)측에 유영중이던 다른 물고기들의 허상이 합쳐진 모습이 보여지게 됨으로써, 물고기들은 아무런 의심없이 무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포획체(103a)(103b)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인안내구(102)의 경사면(114)과 포획체(103a)(103b)의 내부에 소정량의 미끼를 투여하여 물고기들을 유인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인안내구(102)에서 유영하며 미끼를 먹던 물고기를 더욱 빠른 시간내에 아무런 의심없이 포획체(103a)(103b)의 내부로 유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반사체는 주위가 밝아짐과 동시에 물고기들이 반사체를 통해 자신의 허상 및 착시 현상으로 집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난반사체는 주위가 밝아짐과 동시에 물고기들이 난반사체의 반짝거림이 마치 물고기 비늘과 같은 착시 현상과 아울러 동료 의식을 느끼도록 하여 집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데, 이때 상기 난반사체의 양면에는 집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물고기 비늘 모양을 인쇄 또는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의 중앙부에 소정 크기의 통공(116)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물고기가 일측 포획체(103a)와 타측 포획체(103b)를 왕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 어류포획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어류포획기(201)의 포획체(203)의 둘레에 다수의 유인안내구(202)가 형성되고, 상기 포획체(203)의 내부에 유인안내구(202)와 대응되는 면을 갖는 다각형 기둥의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206)를 형성 또는 설치하는 것도 포함한다.
즉, 상기한 반사체는 물고기가 착시를 일으키도록 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면 되므로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면 어떠한 형상의 반사체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어류포획기(101)에 포획된 물고기들은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외부로 빠져나가려 하는(이동하려하는) 습성에 의에 포획체(103a)(103b)의 외부로 빠져나가려 하지만,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에 비추어진 물고기들의 허상에 의해 방향감각이 둔화되어 한 동안 자신들이 가고자 하는 곳으로 쉽게 이동할 수 없게 되며, 아울러, 물의 흐름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물고기들은 이동하려 하기 때문에 포획체(103a)(103b)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수공(122)으로 느껴지는 물의 흐름과 자신들의 허상에 의해 우왕좌왕하면서 포획체(103a)(103b)를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특히, 물고기들이 현재 유영중이던 위치를 이동하려 하고 여러번의 시도에 의해 포획체(103a)(103b)를 빠져나가는 시간은 대략 1시간에서 1시간 30분정도가 소요되나,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106)에 의해서는 30분정도면 다량의 물고기들을 포획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들 포획된 물고기들이 포획체(103a)(103b)에서 빠져나가려 하기 전에 사용자가 어류포획기(101)를 회수하면 짧은 시간에 다량의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 어류포획기의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망사형으로 된 어류포획기(301)의 포획체(303)의 내부 중앙에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해 반사체 또는 난반사를 일으키는 반사판체(306)를 설치하여 사용하므로써 본 발명의 전술한 제 1,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데, 이때 상기한 반사체 및 반사판체(306)는 상기 포획체(303)의 내부 중앙에 걸고리나, 연결끈 등에 의해 걸어서 설치하거나, 삽입시키는 형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해 난반사를 일으키는 반사체 또는 반사판체(306)의 난반사면을 필요에 따라 양측 또는 일측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반사판체(306)의 형상도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반사판체(306)의 뚜께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은 이해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류포획기의 포획체 내부에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반사체 또는 난반사판체를 설치하므로써 유인안내구측에 유영중이던 물고기들이 반사체 또는 난반사판체를 통해 자신들의 허상 및 착시 현상으로 무리를 이루기 위하여 떡밥 등과 같은 미끼가 없이도 포획체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유인하여 물고기들을 손쉽고 빠르게 포획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포획된 물고기들이 포획체를 빠져나가려고 하기 전에 다량의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으므로 인해 어류포획기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어류포획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어류포획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및 난반사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및 난반사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 및 난반사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어류포획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어류포획기의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201,301; 어류포획기 102,202; 유인안내구
103a,103b,203,303; 포획체 104; 암체결부
105; 수체결부 106,206;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
109; 받침턱 110; 지지부재
112; 보강프레임 113; 원형지지프레임
114: 경사면 116; 통공
120; 결속공 121; 결속클립
122; 통수공 306; 반사판체

Claims (6)

  1. 양측의 유인안내구를 통하여 물고기를 유인하도록 소정 형상의 포획체 내측 수용공간에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가 설치된 어류포획기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의 외주연부에 연계 형성된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에서 돌출 성형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가 상기 유인안내구를 향한 방향으로 사물의 형상을 반사시키도록 상기 포획체의 중단 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원형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 또는 난반사체의 중앙부에는 수용공간내에서 물과 물고기가 교류할 수 있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
  5. 삭제
  6. 삭제
KR10-2001-0072662A 2000-11-30 2001-11-21 어류포획기 KR100516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72009 2000-11-30
KR1020000072009 200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428A KR20020042428A (ko) 2002-06-05
KR100516233B1 true KR100516233B1 (ko) 2005-09-23

Family

ID=2767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662A KR100516233B1 (ko) 2000-11-30 2001-11-21 어류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41B1 (ko) * 2003-07-04 2010-07-20 주식회사 포스코 다단 액체 분사노즐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3707A1 (en) * 1986-10-09 1988-04-13 Brian Anson-Smith Fish lure
KR940004763U (ko) * 1992-08-28 1994-03-16 차판열 물고기 포획망
KR19980068954U (ko) * 1998-09-23 1998-12-05 안홍진 어류 포획망틀
KR200207912Y1 (ko) * 2000-07-28 2000-12-15 서철수 절첩식 어획용 통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3707A1 (en) * 1986-10-09 1988-04-13 Brian Anson-Smith Fish lure
KR940004763U (ko) * 1992-08-28 1994-03-16 차판열 물고기 포획망
KR19980068954U (ko) * 1998-09-23 1998-12-05 안홍진 어류 포획망틀
KR200207912Y1 (ko) * 2000-07-28 2000-12-15 서철수 절첩식 어획용 통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428A (ko) 200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KR200491408Y1 (ko) 말벌 포획장치
US8919033B2 (en) Snagless bladed fishing lure
JP2010501194A (ja) 動物捕獲装置
US20110146134A1 (en) Lobster trap with ring guard assembly
US5207017A (en) Marine life traps
KR100516233B1 (ko) 어류포획기
US9374988B2 (en) Device for timed release of bait
KR100375642B1 (ko) 어류포획기
KR102312757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
KR20150098411A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PT88823B (pt) Armadilha para a captura de mariscos
KR200160364Y1 (ko) 물고기 포획망
KR20070001093U (ko) 낙지잡이용 통발
KR102354382B1 (ko) 통발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통발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US4959922A (en) Aquatic trap funnel
JP2567193Y2 (ja) 魚類捕獲装置
KR102445113B1 (ko) 투척용 어구
KR102317753B1 (ko) 장어통발
KR200197702Y1 (ko) 물고기포획망 입구에 부착된 야광물질을 갖는 입구판
US20030131521A1 (en) Spinnow fishing lure
RU2109445C1 (ru) Однокрючковая колеблющаяся блесна-незацепляйка
KR100720169B1 (ko) 루어용 다기능 싱커
KR19990041137U (ko) 어류 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