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836A - 어류 포획용 통발 - Google Patents

어류 포획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836A
KR20100000836A KR1020080060476A KR20080060476A KR20100000836A KR 20100000836 A KR20100000836 A KR 20100000836A KR 1020080060476 A KR1020080060476 A KR 1020080060476A KR 20080060476 A KR20080060476 A KR 20080060476A KR 20100000836 A KR20100000836 A KR 20100000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ase
trap
cover member
c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옥순
Original Assignee
임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옥순 filed Critical 임옥순
Priority to KR102008006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836A/ko
Publication of KR20100000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커버부재, 바닥부재 및 인입부재로 분리 구성시켜 일체화시키고, 상기의 구성부를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로 형성시킴으로써, 간편한 설치와 어류의 용이한 유인으로 어류의 어획량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유인되어 잡힌 어류를 커버부재를 열어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가 가능한 케이스, 커버부재, 바닥부재 및 인입부재로 중에서 어느 하나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인 작업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요 비용을 최소화시키게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어류 포획용 통발에는 상하가 개구되며, 테두리에 다수의 인입공들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케이스의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탈착되는 바닥부재와, 상기 인입공들에 배치되며, 어류가 일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밀고 들어올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인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어류, 통발

Description

어류 포획용 통발{A fish trap}
본 발명은 장어, 낙지, 꽃게, 대게 및 새우 등과 같은 어류(이하 '어류'라 한다)를 용이하게 포획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케이스, 커버부재, 바닥부재 및 인입부재로 분리 구성시켜 일체화시키고, 상기의 구성부를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로 형성시킴으로써, 간편한 설치와 어류의 용이한 유인으로 어류의 어획량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유인되어 잡힌 어류를 커버부재를 열어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이로 인해 통발에 대한 전체적인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어촌의 어민들에게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은 바다, 강, 하천 등의 물속에 넣어서 직접 어류 등의 대상물을 포획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통발은 주로 그물망과 지지틀을 이용하여 통형상으로 통발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통발 본체의 양쪽 끝면에는 다시 상기 그물망을 형성시키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 통발은 유입통로가 비교적 길고 그물망으로 사방이 막혀 있으므로 어류 등이 경계심이나 거부반응을 유발시키는 등 유인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많은 통발이 설치되더라도 포획된 어류의 량이 적은 문제가 있다.
또한, 통발 본체 및 유입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그물망이 사용되므로 그물망의 손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문제가 있고, 포구에 쌓아둔 통발이 햇볕을 받게되면 삭아지는 문제로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부분적으로 그물망이 낡거나 손상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그물망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비용이 증가하고 자원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통발에 대해서 포획된 어류를 빼내는 작업이 쉽지 않아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와, 작업자가 많은 양의 통발에서 어류를 빼내는 작업을 하지 못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그물망 통발은 어류를 포획하지 않을 경우 포구와 같은 장소에 적재하게 되는데, 이때 쥐 등이 그물망을 훼손하게 되는 문제와, 상기 쥐 등과 같은 동물들의 접근 방지와 이에 따른 통발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식초 또는 화학물질을 통발에 뿌리게 되는데, 이는 바다 등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동시에 어류의 어획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종래에 실시하는 통발은 그물망으로 이루어져 있어 오히려 어류의 어획량이 감소로 어촌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포 획된 어류의 손상으로 상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또한 종래의 통발은 사용시에 훼손될 경우 교체 및 교환이 번거로워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른 어촌의 어민들에게 전체적으로 만족도 및 신뢰도가 극소화되는 문제점이 항상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케이스, 커버부재, 바닥부재 및 인입부재로 분리 구성시켜 일체화시키고, 상기의 구성부를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로 형성시킴으로써, 간편한 설치와 어류의 용이한 유인으로 어류의 어획량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유인되어 잡힌 어류를 커버부재를 열어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가 가능한 케이스, 커버부재, 바닥부재 및 인입부재로 중에서 어느 하나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인 작업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요 비용을 최소화시키게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발에 대한 전체적인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어촌의 어민들에게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키게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및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인 어류 포획용 통발에는 상하가 개구되며, 테두리에 다수의 인입공들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케이스의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탈착되는 바닥부재와, 상기 인입공들에 배치되며, 어류가 일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밀고 들어올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인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입부재는 인입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사각 형상의 고정몸체와, 그 일단이 상기 고정몸체의 사면 테두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몸체의 중앙부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측면부가 서로 맞닿는 인입판들을 구비하되, 상기 인입공의 내측 테두리에는 다수의 장착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장착돌기들이 끼워지는 장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판들 중 어느 하나는 고정몸체의 중앙부를 따라 다수의 결로 형성되는 분리판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리판들 각각의 상부면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 도록 돌출단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 커버부재 및 바닥부재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보강부재들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일단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전단부는 케이스 상부에 형성된 개구의 타단에서 탈착되되, 상기 커버부재의 전단부에는 상기 개구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탈착되도록 벌어질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대응되는 케이스의 상부에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케이스의 하단 테두리에는 이격된 상태로 다수의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재의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부재를 안내하는 걸림단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는 무게추를 적재할 수 있도록 일정 너비와 폭을 이루는 적재공간부가 형성되고, 미끼함을 장착할 수 있도록 일정 너비와 폭을 이루는 미끼함공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간편한 설치와 어류의 용이한 유인으로 어류의 어획량이 증가되어 생산성이향상되는 효과와, 유인되어 잡힌 어류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가 가능한 케이스, 커버부재, 바닥부재 및 인입부재로 중에서 어느 하나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인 작업이 향상되는 효과와 소요 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발에 대한 전체적인 효율성이 향상되어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어촌의 어민들에게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여러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용 통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어류 포획용 통발의 사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의 평면을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의 측면을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에 대한 결합된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인 어류 포획용 통발(100)은 장어, 낙지, 꽃게, 대게 및 새우 등과 같은 어류를 용이하게 포획하기 위해서 바다 또는 강에 투하시키게 된다.
이때, 바다 또는 강에 투하시킬 경우 수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값이 저렴한 합성수지재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어류 포획용 통발(100)은 크게 케이스(10), 커버부재(20), 바닥부재(30) 및 인입부재(40)로 분리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의 구성부를 결합시켜 일체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는 상하가 개구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는 다수의 인입공들(12)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를 개폐하게 되고, 상기 바닥부재(30)는 케이스(10)의 하부에 탈착되게 되며, 상기 인입부재(40)는 어류가 일방향을 따라 케이스(10)의 내부로 밀고 들어올 수 있는 입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스(10)의 인입공(12)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10), 커버부재(20) 및 바닥부재(30) 각각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관통홀들(11,21,31)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는 바다에 투하시 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게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케이스(10)의 관통홀(11)은 인양줄(미도시)을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입부재(40)는 케이스(10)에 형성된 인입공(12)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의 고정몸체(41)로 이루어져 있고, 이때 본 발명에서의 고정몸체(41)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입부재(40)에는 인입판들(43)이 구비되게 되는데, 이때 그 일단이 상 기 고정몸체(41)의 사면 테두리에 고정되게 되고, 타단이 고정몸체(41)의 중앙부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측면부가 서로 맞닿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입판들(43) 중 어느 하나는 분리판들(44)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고정몸체(41)의 중앙부를 따라 다수의 결로 형성되게 되고, 상기 분리판들(44) 각각의 상부면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도록 돌출단(45)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돌출단(45)은 어류가 유인되어 케이스(10) 내부로 밀고 들어오려고 할 때 분리판(44)이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일측의 인입판(43)과 분리판(44)의 사이는 어류가 밀고 들어올 때 용이하게 벌어질 수가 있는 것이고, 어류가 통발(100)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분리판(44)은 탄성 역할을 하게 되어 다시 입구를 막게 되며, 이때 포획된 어류는 통발(100)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에 인입부재(40)가 장착되어 결합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몸체(41)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장착홈(42)에 인입공(12)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돌기들(12a)이 끼워져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0)의 저면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보강부재(22)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는 커버부재(20)가 외부의 충격이나 장시간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케이스(10)에 장착되어 결합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보 강부재(22)의 일단과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이 힌지 연결되게 되고, 상기 커버부재(20)의 전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3)가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3)에 장착되게 되며, 상기 커버부재(20)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24)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케이스(10)의 다수의 삽입공(14)에 끼워져 안정적으로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23)는 결합돌기(13)에 끼워질 수 있도록 벌어졌다 오므라지는 탄성 역할을 하게 되고, 이는 작업자의 일정한 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0)가 케이스(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커버부재(10)에 형성된 손잡이부(25)를 잡고 들어올리면 결합돌기(13)에서 결합부(23)가 이탈되어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40)가 케이스(10)에 결합되어 일체화되게 되는데, 이는 케이스(10)의 하단 테두리에 다수의 걸림부재(15)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재(15)가 걸리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단(35)이 있으며, 상기 걸림단(35)은 바닥부재(3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어 일체화되는 것으로, 이때 바닥부재(40)가 케이스(10)에 더 안정적인 결합시키기 위해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바닥부재(30)의 상면에는 적재공간부(32)가 구비되게 되는데, 이는 무게추(50)를 적재할 수 있도록 일정 너비와 폭을 이루게 된다.
상기의 무게추(50)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블럭 또는 돌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바다의 수면 아래방향으로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30)의 상면에는 미끼함공간부(33)가 구비되는데, 이는 미끼함(60)을 장착할 수 있도록 일정 너비와 폭을 이루게 된다.
상기의 미끼함(60)에는 어류가 통발 내부로 용이하게 유인될 수 있는 칠게 또는 지렁이 등과 같은 미끼를 넣어두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바닥부재(30)의 상면에 구비된 적재공간부(32)에 장착되는 무게추(50)와, 미끼함공간부(33)에 장착되는 미끼함(60) 각각에 대해서 실리콘 접착재와 같은 접착수단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어 결합된 어류 포획용 통발(100)은 어류를 포획하기 위해 바다에 투하하게 되면, 통발(10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1,21,31)과 무게추(50)에 의해 바다의 하부로 용이하게 낙하하게 되고, 상기 관통공(11)에는 인양줄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바다에 속으로 투하된 통발(100)에는 어류가 유인되게 된다.
이와 같이, 투하된 통발(100)에 어류가 유인되게 되는데, 이때 유인되는 어류는 인입부재(40)를 통해 통발(10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어류의 용이한 유인을 위해 미끼함(60)에 칠게 또는 지렁이와 같은 미끼를 보관하게 되며, 상기의 미끼는 계절에 맞는(일명 재철) 어류의 종류에 따라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유인된 어류가 통발(100)의 내부로 들어오기 위해서는 인입부재(40)의 분리판(43)을 밀고 들오게 되고, 통발(100) 내부로 들어온 어류는 분리판(43)이 움직여 공간이 생긴 다음 다시 원위치 되기 때문에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된다.
한편, 일정한 시간동안 바다 속에 투하된 통발(100)을 인양줄을 이용하여 끌 어 올리게 되고, 이때 올라온 통발(100)에 잡힌 어류를 빼내기 위해 어민 또는 작업자가 커버부재(20)의 손잡이부(25)를 잡고 위로 올리게 되면 커버부재(20)의 결합부(23)가 케이스(10)의 결합돌기(13)에서 이탈되어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어민 또는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통발(100)을 개방시킬 수가 있어 작업성이 우수함을 알 수가 있는 것으로, 이는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그물망의 통발은 어민 또는 작업자가 그물망 통발에 있는 입구에에 손을 집어넣어 빼내는 방식이어서 작업성이 좋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어민 또는 작업자가 종래의 그물망 통발을 이용하여 잡힌 어류를 빼는 작업이 하루에 1500개 정도 실시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한 통발(100)은 3배이상인 5000개 정도를 작업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 어류의 포획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포구 등에 통발을 쌓아 놓고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종래의 그물망 통발은 쥐 또는 고양이 등과 같은 동물들이 그물망을 훼손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식초 또는 화학물질을 통발에 뿌려 상기의 동물의 접근을 막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오히려 환경오염과 바다를 오염시키는 문제와 어류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통발(100)은 상기와 같은 그물망 통발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고, 그물망을 사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그물망이 삭아지는 현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에서 실시하고 있는 본 발명인 통발(100)은 수자원보호령 제6조에서 정 하고 있는 법령에 맞도록 제작되어 있는 것이다.
즉, 수자원보호령 제6조에서 정하는 통발의 규제사항은 붕장어, 낙지, 민꽃게, 새우류 등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은 그물코 22mm 이하, 입구둘레 140mm 이상으로 정하였고, 그 밖의 어종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은 35mm 이하로 정하였다.
이는, 붕장어, 낙지, 민꽃게, 새우류 등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인 경우에는 그물코 22mm 이상, 입구둘레 140mm 이하로 제작되어 하고, 그 밖의 어종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인 경우에는 35mm 이상 제작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통발(100)은 그물코에 해당하는 관통공(11,21,31)이 붕장어, 낙지, 민꽃게, 새우류 등을 포획하는 경우 22mm 이상 제작되게 되고, 입구둘레에 해당하는 인입부재(40)의 분리판(44) 부분이 140mm 이하로 제작되게 되며, 그 밖의 어종을 포획하는 경우에는 관통공(11,21,31)이 35mm 이상 제작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어류 포획용 통발(100)를 이루는 재질은 야간과 같이 어두운 상황에 어류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야광을 발생시키는 형광물질을 포함시킨 합성수지재로 이루도록 하여 어류의 유인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고 있는 어류 포획용 통발(100)의 구성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용 통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어류 포획용 통발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의 평면을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의 측면을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에 대한 결합된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21,31 : 관통홀
12 : 인입공 12a : 장착돌기
13 : 결합돌기 14 : 삽입공
20 : 커버부재 22 : 보강부재
23 : 결합부 24 : 돌기부
25 : 손잡이부 30 : 바닥부재
32 : 적재공간부 33 : 미끼함공간부
40 : 인입부재 41 : 고정몸체
42 : 장착홈 43 : 인입판
44 : 분리판 45 : 돌출단
50 : 무게추 60 : 미끼함
100 : 어류 포획용 통발

Claims (9)

  1. 상하가 개구되며, 테두리에 다수의 인입공들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케이스의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탈착되는 바닥부재; 및
    상기 인입공들에 배치되며, 어류가 일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밀고 들어올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인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재는 인입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사각 형상의 고정몸체와, 그 일단이 상기 고정몸체의 사면 테두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몸체의 중앙부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측면부가 서로 맞닿는 인입판들을 구비하되,
    상기 인입공의 내측 테두리에는 다수의 장착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장착돌기들이 끼워지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판들 중 어느 하나는 고정몸체의 중앙부를 따라 다수의 결로 형성되는 분리판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리판들 각각의 상부면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도록 돌출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부재 및 바닥부재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보강부재들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일단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전단부는 케이스 상부에 형성된 개구의 타단에서 탈착되되,
    상기 커버부재의 전단부에는 상기 개구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탈착되도록 벌어질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대응되는 케이스의 상부에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 테두리에는 이격된 상태로 다수의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재의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부재를 안내하는 걸림단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는 무게추를 적재할 수 있도록 일정 너비와 폭을 이루는 적재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는 미끼함을 장착할 수 있도록 일정 너비와 폭을 이루는 미끼함공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용 통발.
KR1020080060476A 2008-06-25 2008-06-25 어류 포획용 통발 KR20100000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476A KR20100000836A (ko) 2008-06-25 2008-06-25 어류 포획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476A KR20100000836A (ko) 2008-06-25 2008-06-25 어류 포획용 통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836A true KR20100000836A (ko) 2010-01-06

Family

ID=4181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476A KR20100000836A (ko) 2008-06-25 2008-06-25 어류 포획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8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990B1 (ko) * 2014-04-30 2014-10-28 곽철우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US20180303077A1 (en) * 2017-04-20 2018-10-25 Scott Warrren DAUPHINEE Lobster trap
US20210144980A1 (en) * 2019-11-20 2021-05-20 Mørenot Fishery As King crab or fish po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990B1 (ko) * 2014-04-30 2014-10-28 곽철우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US20180303077A1 (en) * 2017-04-20 2018-10-25 Scott Warrren DAUPHINEE Lobster trap
US20210144980A1 (en) * 2019-11-20 2021-05-20 Mørenot Fishery As King crab or fish pot
US11553700B2 (en) * 2019-11-20 2023-01-17 Mørenot Fishery As King crab or fish p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580B1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20110112517A (ko) 어류 포획용 통발
US20050198892A1 (en) Underwater trap structure
CA2951946A1 (en) Crab pot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WO2010015013A1 (en) Combination lobster, crayfish and crab trap
KR20110056603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0972782B1 (ko) 어로용 통발의 유인구
KR200465503Y1 (ko)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KR101830507B1 (ko) 조립식 바다 통발
KR20090013148A (ko) 게잡이용 통발
KR101495008B1 (ko) 낚시용 통발
KR101561298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US20090119976A1 (en) Bait bucket having a funnel for cast netting
KR100424093B1 (ko) 활어 포획용 어구
KR101658105B1 (ko) 착탈식 유인구의 교체가 용이한 터널형 통발
KR100937908B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CN201107986Y (zh) 简易捕虫盒
CN210808873U (zh) 一种小龙虾捕捉装置
KR20110008689U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KR20100001681U (ko) 미끼통이 구비된 어류 포획기의 개선구조
KR20210020287A (ko) 어로용 통발
KR200179793Y1 (ko) 황소개구리 및 올챙이 포획기구
KR101397465B1 (ko) 통발
KR200381291Y1 (ko) 낚시용 두레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