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03Y1 -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 Google Patents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03Y1
KR200465503Y1 KR2020120009145U KR20120009145U KR200465503Y1 KR 200465503 Y1 KR200465503 Y1 KR 200465503Y1 KR 2020120009145 U KR2020120009145 U KR 2020120009145U KR 20120009145 U KR20120009145 U KR 20120009145U KR 200465503 Y1 KR200465503 Y1 KR 200465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octopus
tube
hole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박성욱
이경훈
이동길
양용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20009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지 어획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수공이 형성된 몸통튜브의 하단부 내측으로 깔때기형 트랩이 삽입 설치된 통발에 있어, 상기 통수공을 직사각 형태의 슬릿(Slit) 구멍으로 형성시키는 한편, 몸통튜브의 상단부에는 원판 형태의 개폐식 뚜껑을 설치함으로서, 좁은 틈을 찾아 측면으로 기어 들어가는 게의 습성에 따라 몸통튜브의 내부로 투입된 미끼용 게의 다리 부분이 통수공을 통하여 외부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미끼에 의한 낙지의 유인 및 어획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어획된 낙지의 다리 부분이 몸통튜브의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함에 따라, 어획된 낙지의 어체 회손을 최소화시켜 상품가치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통발로부터 낙지를 빼내는 작업 또한 개폐식 뚜껑을 이용하여 보다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Tube type fish-trap for capturing octopus}
본 고안은 통수공이 형성된 몸통튜브의 하단부 내측으로 깔때기형 트랩이 삽입 설치된 통발에 있어, 상기 통수공을 직사각 형태의 슬릿(Slit) 구멍으로 형성시키는 한편, 몸통튜브의 상단부에는 원판 형태의 개폐식 뚜껑을 설치함으로서, 미끼용 게의 다리 부분이 통수공을 통하여 외부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어획된 낙지의 다리 부분은 몸통튜브의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며, 통발로부터 낙지를 빼내는 작업 또한 개폐식 뚜껑을 이용하여 보다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지는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서해안 지역에서 많이 서식하는 다년생 어종으로 남해안과 서해안의 주낙(연승) 어업인들의 주된 소득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이 매우 즐겨먹는 해산물의 하나로서 주로 주낙이나 통발 또는 갯벌 지역에서의 채집에 의하여 어획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낙지를 어획하는 방법 중에서 통발을 이용한 어획 방법은, 통상 길이가 길게 되는 모릿줄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릿줄을 묶어 놓고, 각각의 아릿줄마다 미끼(게)가 투입된 통발을 매달아 놓은 다음, 어선을 이동시키면서 모릿줄을 바닷물에 드리워 아릿줄마다 매달린 통발이 해저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낙지 어획용 통발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999-014314호(공개일자: 1999년 04월 26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부링과 하부링 및 수직 방향의 보강대를 이용하여 원통 형상의 골조프레임을 형성시킨 다음, 이 골조프레임에 그물망을 덧씌워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되며, 통발의 측면부에는 2개 내지 4개의 낙지 유인통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편, 통발의 상부측 그물망에는 미끼를 투입하거나 어획된 낙지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조임끈이 구비된 입구가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낙지 어획용 통발은, 철사 재질의 상,하부링과 보강대를 용접시켜 골조프레임을 제작함으로서, 상,하부링과 보강대의 용접부위가 해수와의 접촉에 의하여 매우 쉽게 부식 및 손상되고, 통발의 사용 과정에서 측면부 그물망과 바닥부 그물망이 해저면의 암초나 각종 장애물에 의하여 쉽게 쓸려서 훼손되거나 찢겨져 나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낙지 어획용 통발의 사용수명이 크게 단축됨은 물론이고, 훼손되거나 찢겨져 나간 그물망의 넓어진 망목(網目:그물눈)을 통하여 미끼 뿐만 아니라 어획된 낙지 또한 통발의 외부로 쉽게 탈출함으로서, 낙지의 어획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통발의 내부로 투입된 미끼용 게가 집게발가락으로 그물망을 찢어 훼손시키는 경우 또한 자주 발생함으로서, 미끼의 탈출방지와 낙지의 효과적인 어획 측면에 추가적인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특히, 통발의 그물망과 유인통로가 모두 유연한 그물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통발의 제조시 골조프레임과 그물망 및 측면그물과 유인통로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연결시켜야 함으로서 통발의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통발의 사용 과정에서도 그물망을 빈번하게 손질하여야 하는 번거러운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골조프레임과 그물망으로 제조된 통발 이외에도,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999928호(공고일자: 2010년 12월 13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수공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몸통튜브를 기초로 하여, 상기 몸통튜브의 하단부 내측에 깔때기형 트랩을 삽입시킨 튜브형 통발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튜브형 통발은 대부분 장어를 어획하는 용도로 사용되었고, 낙지를 어획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튜브형 통발은 몸통튜브상에 형성되는 통수공이 1cm 내외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구멍이 되므로, 좁은 틈을 찾아 측면으로 기어 들어가는 게의 습성과 통수공의 구조가 전혀 부합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통수공을 거쳐 미끼용 게의 다리 부분이 통발의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낙지의 효과적인 유인 및 어획성능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튜브형 통발을 낙지 어획용으로 사용하게 되면, 몸통튜브의 내부로 어획된 낙지 다리의 대부분이 원형의 통수공을 통하여 몸통튜브의 외부로 쉽게 노출됨으로서, 통발의 외부에서 각종 어류가 낙지의 다리 부분을 물어 뜯어 낙지의 어체를 훼손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어획된 낙지의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몸통튜브의 통수공에 낙지의 다리 부분이 심하게 얽혀 있는 경우에는, 어획된 낙지를 통발로부터 빼내는 작업 또한 매우 까다롭게 됨은 물론이고, 이 과정에서도 낙지의 다리 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등 추가적인 어체 훼손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골조프레임과 그물망으로 제작된 낙지 어획용 통발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은, 통수공이 형성된 몸통튜브의 하단부 내측으로 깔때기형 트랩이 삽입 설치된 통발에 있어, 상기 통수공을 직사각 형태의 슬릿(Slit) 구멍으로 형성시키는 한편, 몸통튜브의 상단부에는 원판 형태의 개폐식 뚜껑을 설치함으로서, 좁은 틈을 찾아 측면으로 기어 들어가는 게의 습성에 따라 몸통튜브의 내부로 투입된 미끼용 게의 다리 부분이 통수공을 통하여 외부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미끼에 의한 낙지의 유인 및 어획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어획된 낙지의 다리 부분이 몸통튜브의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함에 따라, 어획된 낙지의 어체 회손을 최소화시켜 상품가치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통발로부터 낙지를 빼내는 작업 또한 개폐식 뚜껑을 이용하여 보다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고안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몸통튜브와, 상기 몸통튜브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몸통튜브와 조립 설치되는 깔때기형 트랩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튜브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튜브의 상단측에는 아릿줄의 결속수단이 제공된 통발에 있어서, 상기 통수공은 10~30mm의 길이와 2~4mm의 폭을 가지는 직사각 형태의 슬릿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통튜브의 상단에는 원판 형태의 개폐식 뚜껑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뚜껑의 일측 단부는 몸통튜브의 상단측에 조립된 경첩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뚜껑의 타측 단부에는 탄력밴드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탄력밴드에는 후크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몸통튜브의 중앙측에는 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연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통튜브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가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좁은 틈을 찾아 측면으로 기어 들어가는 게의 습성과 부합되도록, 튜브형 통발의 몸통튜브상에 형성되는 통수공의 구조를 사각형 슬릿 구멍으로 최적화시킴으로서, 통수공의 틈새로 미끼용 게가 기어 들어가서 게의 다리 부분이 통발의 외부로 최대한 노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낙지의 효과적인 유인 및 어획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몸통튜브의 내부로 어획된 낙지의 다리 부분이 통수공을 통하여 몸통튜브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통발의 외부에서 각종 어류가 낙지의 다리 부분을 물어 뜯어 낙지의 어체를 훼손시키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어획된 낙지의 상품가치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몸통튜브의 통수공에 낙지의 다리 부분이 얽히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몸통튜브에 걸리는 후크와 탄력밴드로 연결된 원판 형태의 원터치식 개폐 뚜껑을 이용하여 어획된 낙지를 통발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몸통튜브를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하여 미끼의 시인성과 낙지의 유인성능 및 통발 취급의 편의성을 한층 더 극대화시킴으로서, 낙지의 조업효율과 어획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의 사용상태도.
도 4의 (가) 및 (나)는 미끼게의 다리 부분이 통수공의 틈새를 통하여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몸통튜브(2)와, 상기 몸통튜브(2)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몸통튜브(2)와 조립 설치되는 깔때기형 트랩(3)과, 상기 몸통튜브(2)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개폐식 뚜껑(5)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몸통튜브(2)의 전면(全面)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수공(2a)이 형성되고, 몸통튜브(2)의 상측부에는 아릿줄의 결속수단으로서 결속고리(9)가 제공된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구성은 장어 어획용으로 사용되었던 종래의 튜브형 통발에도 적용되는 사항으로서, 상기 몸통튜브(2)와 깔때기형 트랩(3)은 통상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서 제조되지만, 환경친화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해수중에서 분해가 가능한 생분해성 수지, 예를 들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튜브형 통발(1)을 아릿줄(12)에 매달아 해저면에 드리우는 작업시 깔때기형 트랩(3)이 삽입된 통발(1)의 하단부가 해저면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몸통튜브(2)의 하단부 또는 깔때기형 트랩(3)의 트랩몸통(3a)상에 링 형상의 무게추가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결속고리(9)를 대신하여 몸통튜브(2)에 아릿줄(12)의 결속구멍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깔때기형 트랩(3)은 기존의 통발에 널리 적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몸통튜브(2)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트랩몸통(3a)의 상단 주연부를 따라 다수 개의 유인스트립(4)이 역원추 형태로 연결되고, 각각의 유인스트립(4) 사이에는 낙지가 몸통튜브(2)의 내부로 기어 들어올 경우 유인스트립(4)이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4a)가 제공되며, 유인스트립(4)의 하단 둘레에는 보강테(4b)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상 몸통튜브(2)의 하단부와 깔때기형 트랩(3)의 트랩몸통(3a)에 결속구멍(2b)(3b)이 대응 형성됨으로서, 몸통튜브(2)와 깔때기형 트랩(3)이 결속타이(10)에 의하여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몸통튜브(2)와 깔때기형 트랩(3)이 나사체결식이나 끼움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고, 종래기술에서 언급되어진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999928호에서와 같이, 몸통튜브(2)의 하단부에 별도의 클램퍼(Clamper)를 장착하여 몸통튜브(2)와 깔때기형 트랩(3)이 클램퍼에 의하여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 1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몸통튜브(2)에 형성되는 통수공(2a)을 10~30mm의 길이와 2~4mm의 폭을 가지는 직사각 형태의 슬릿(Slit) 구멍으로 형성시킨 것이며, 상기 통수공(2a)의 치수 한정범위는 몸통튜브(2)의 내부로 투입되는 미끼용 게의 탈출을 방지하면서 게의 다리 부분이 최대한 노출될 수 있도록 한 최적의 범위이다.(표 1참조)
통수공의 치수 한정이유
비고 길이 비고
2mm 미만 *미끼용 게의 다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기 어려움
10mm 미만 *미끼용 게의 다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기 어려움
2~4mm 최적 범위 10~30mm 최적 범위
4mm 초과 *미끼용 게가 통수공으로 빠져나갈 우려가 있음
*큰 미끼가 필요함
*몸통튜브의 강도 저하
30mm 초과 *하나의 통수공에 2마리 이상의 게가 들어올 수 있음
*미끼 사용효율 저하
*몸통튜브의 강도 저하
위와 같은 조건을 감안하여 몸통튜브(2)에 통수공(2a)을 형성시키되, 몸통튜브(2)의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에서 최대한 많이 형성시키는 것이 유리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mm의 간격을 두고 통수공(2a)을 형성시키는 것이며, 통수공(2a)의 양측 끝단부는 부드러운 곡면부로 형성시키더라도 무방하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통발(1)의 몸통튜브(2)와 깔때기형 트랩(3)의 직경은 8~9cm, 깔때기형 트랩(3)의 높이는 11~13cm, 몸통튜브(2)의 높이는 깔때기형 트랩(3)의 2배 내지 3배 정도에 해당하는 20~35cm로 하는 것이 낙지의 어획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이보다 크거나 작은 치수로도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각각의 통수공(2a)이 몸통튜브(2)의 주연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각각의 통수공(2a)이 몸통튜브(2)의 주연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비스듬히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통수공(2a)이 불규칙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 2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몸통튜브(2)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뚜껑(5)의 원터치식 개폐구조로서, 상기 뚜껑(5)의 일측 단부는 몸통튜브(2)의 상단측에 조립된 경첩(5a)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뚜껑(5)의 타측 단부에는 탄력밴드(7)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탄력밴드(7)에는 후크(6)가 연결 설치되며, 몸통튜브(2)의 중앙측에는 후크(6)가 삽입되어 걸리는 연결구멍(8)이 형성된다.
상기 탄력밴드(7)는 고무밴드 또는 고무줄이 바람직하고, 탄력밴드(7)의 결속작업을 보다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뚜껑(5)의 상부면과 후크(6)의 후방측에 밴드고리(5b)(6b) 또는 밴드결속용 구멍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통튜브(2)의 연결구멍(8)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부분은 후크(6)의 선단측에 형성된 걸림단부(6a)가 된다.
상기와 같이 후크(6)와 탄력밴드(7)를 이용하게 되면,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뚜껑(5)의 개방상태에서 미끼용 게를 몸통튜브(2)의 내부로 투입시킨 다음, 후크(6)를 손으로 잡고 탄력밴드(7)를 당겨서 후크(6)의 걸림단부(6a)를 몸통튜브(2)의 연결구멍(8)으로 삽입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미끼의 투입작업 및 조업의 준비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발(1)을 걷어 들인 다음 후크(6)를 연결구멍(8)으로부터 빼내기만 하면, 탄력밴드(7)의 복원력에 의하여 뚜껑(5)이 즉시 개방되므로, 어선의 갑판에서 낙지를 통발(1)로부터 빼내는 작업 역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튜브형 통발에 적용되었던 나사식 또는 클램프식 뚜껑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조업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튜브형 통발(1)을 이용하여 낙지를 어획하는 과정 및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게 되는 모릿줄(11)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릿줄(12)을 결속하는 한편, 각각의 아릿줄(12)마다 미끼(게)가 투입된 본 고안의 통발(1)을 부구(浮具:뜸)(13)와 함께 매달아 놓은 다음, 어선을 이동시키면서 모릿줄(11)을 바닷물에 드리우게 되면, 아릿줄(12)마다 매달린 통발(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해저면에 안착된다.
이 경우, 아릿줄(12)에 연결된 부구(13)의 부력과 통발(1)의 무게에 의하여 통발(1)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해저면을 따라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깔때기형 트랩(3)이 삽입된 통발(1)의 바닥부 또한 해저면으로부터 비스듬히 들려진 상태가 되므로, 낙지가 통발(1)의 바닥부를 통하여 기어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본 고안의 통발(1)을 해저면에 설치하게 되면, 도 4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틈을 찾아 측면으로 기어 들어가는 게의 습성에 따라, 몸통튜브(2)상에 형성된 사각형 슬릿 구멍인 통수공(2a)의 틈새로 미끼용 게(14)가 기어 들어가서 미끼용 게(14)의 다리 부분이 통발(1)의 외부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낙지의 효과적인 유인 및 어획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가)에 도시된 것은 통수공(2a) 사이의 간격이 좁아서 미끼용 게(14)가 양측 다리 부분을 통수공(2a)에 모두 걸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나)에 도시된 것은 통수공(2a) 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어 미끼용 게(14)가 일측 다리 부분만을 통수공(2a)에 걸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통수공(2a)의 구조를 게의 습성에 부합시켜 통수공(2a)의 틈새로 게의 다리 부분이 최대한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낙지의 어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몸통튜브(2)의 내부로 낙지가 어획된 경우에는, 통수공(2a)의 좁은 틈으로 말미암아 낙지의 다리 부분이 몸통튜브(2)의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통발(1)의 외부에서 각종 어류가 낙지의 다리 부분을 물어 뜯어 낙지의 어체를 훼손시키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수공(2a)을 통하여 낙지의 다리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몸통튜브(2)의 통수공(2a)에 낙지의 다리 부분이 얽히는 상황 역시 발생하지 않게 되는 바, 이러한 조건하에서 후크(6) 및 탄력밴드(7)와 연계된 원판 형태의 원터치식 개폐 뚜껑(5)을 이용하여 어획된 낙지를 통발(1)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후크(6)와 탄력밴드(7)를 이용한 뚜껑(5)의 설치는 유령어업의 방지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바, 그 이유는 뚜껑(5)이 탄력밴드(7)의 탄성력에 의하여 닫혀 있는 상태가 되므로, 조업 과정에서 통발(1)이 유실될 경우 기존의 나사식 또는 클램프식 뚜껑에 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통발(1)의 뚜껑(5)이 자연적으로 개방될 확률이 훨씬 높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의 통발(1)이 조업 과정에서 유실되어 조류를 따라 해저면을 굴러 다니다가 연결구멍(8)으로부터 후크(6)가 자연스럽게 빠져 나올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의 탄력밴드(7) 자체가 해수에 부식되거나 암초 등에 쓸려 끊어질 수 있으므로, 유실된 통발(1)에 어류 등의 바다생물이 갇혀 폐사하는 유령어업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따른 통발(1)의 몸통튜브(2)를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하게 되면, 통발(1)의 내부로 투입된 미끼의 시인성과 이를 기초로 한 낙지의 유인성능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업자가 미끼의 투입여부나 낙지의 어획유무를 육안으로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통발(1)의 취급 및 사용에 따른 편의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조업효율의 개선과 어획량 증대로 이어지는 것이다.
1 : 통발 2 : 몸통튜브 2a : 통수공
2b,3b : 결속구멍 3 : 깔때기형 트랩 3a : 트랩몸통
4 : 유인스트립 4a : 절개부 4b : 보강테
5 : 뚜껑 5a : 경첩 5b,6b : 밴드고리
6 : 후크 6a : 걸림단부 7 : 탄력밴드
8 : 연결구멍 9 : 결속고리 10 : 결속타이
11 : 모릿줄 12 : 아릿줄 13 : 부구
14 : 미끼용 게

Claims (3)

  1.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몸통튜브(2)와, 상기 몸통튜브(2)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몸통튜브(2)와 조립 설치되는 깔때기형 트랩(3)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튜브(2)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수공(2a)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튜브(2)의 상단측에는 아릿줄(12)의 결속수단이 제공된 통발(1)에 있어서,
    상기 통수공(2a)은 10~30mm의 길이와 2~4mm의 폭을 가지는 직사각 형태의 슬릿(Slit)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통튜브(2)의 상단에는 원판 형태의 개폐식 뚜껑(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5)의 일측 단부는 몸통튜브(2)의 상단측에 조립된 경첩(5a)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뚜껑(5)의 타측 단부에는 탄력밴드(7)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탄력밴드(7)에는 후크(6)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몸통튜브(2)의 중앙측에는 후크(6)가 삽입되어 걸리는 연결구멍(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튜브(2)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KR2020120009145U 2012-10-11 2012-10-11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KR200465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145U KR200465503Y1 (ko) 2012-10-11 2012-10-11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145U KR200465503Y1 (ko) 2012-10-11 2012-10-11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503Y1 true KR200465503Y1 (ko) 2013-02-26

Family

ID=5135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145U KR200465503Y1 (ko) 2012-10-11 2012-10-11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0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4100A (zh) * 2018-12-03 2019-07-09 宁波大学 马口鱼捕捉装置
US20210144980A1 (en) * 2019-11-20 2021-05-20 Mørenot Fishery As King crab or fish pot
KR102361772B1 (ko) * 2021-05-27 2022-02-14 대한민국 성게잡이 어구
KR20220037251A (ko) 2020-09-17 2022-03-24 장병수 갯벌 생물 채취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033U (ko) * 1987-09-13 1989-05-12 조장문 어로용 통발
KR20090050905A (ko) * 2007-11-16 2009-05-20 박하을 유인구의 수축·팽창 장치가 형성된 통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033U (ko) * 1987-09-13 1989-05-12 조장문 어로용 통발
KR20090050905A (ko) * 2007-11-16 2009-05-20 박하을 유인구의 수축·팽창 장치가 형성된 통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4100A (zh) * 2018-12-03 2019-07-09 宁波大学 马口鱼捕捉装置
US20210144980A1 (en) * 2019-11-20 2021-05-20 Mørenot Fishery As King crab or fish pot
US11553700B2 (en) * 2019-11-20 2023-01-17 Mørenot Fishery As King crab or fish pot
KR20220037251A (ko) 2020-09-17 2022-03-24 장병수 갯벌 생물 채취기구
KR102361772B1 (ko) * 2021-05-27 2022-02-14 대한민국 성게잡이 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580B1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102611040B1 (ko) 폐사 물고기 포획 트랩을 가진 가두리 양식 설비
KR200465503Y1 (ko)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KR200459958Y1 (ko) 낙지 포획용 통발
US20100313465A1 (en) Catching device
KR100877074B1 (ko) 지퍼를 형성한 어패류 육성망
KR102374742B1 (ko) 어로용 통발
KR20110112517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1143597B1 (ko)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KR100939101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어로용 통발
CA3097018C (en) Adjustable natural culling of mussel population on mussel-culture ropes
KR20200047263A (ko) 통발용 유인진입구를 구비하는 조립식 통발
KR20110008689U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KR20130019463A (ko) 어로용 통발의 입출구 잠금 및 개폐장치
KR200449587Y1 (ko) 낙지잡이용 통발
KR20110056603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2103475B1 (ko)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KR102624814B1 (ko) 포획장치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CN219500238U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排水吸污装置
KR102515447B1 (ko) 통발용 유인진입구의 프레임 구조
KR101040910B1 (ko) 친환경적인 낚시용 봉돌
AU2012101776A4 (en) An improved crab pot
JP2024090245A (ja) ザリガニ捕獲トラップ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