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475B1 -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 Google Patents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475B1
KR102103475B1 KR1020180048060A KR20180048060A KR102103475B1 KR 102103475 B1 KR102103475 B1 KR 102103475B1 KR 1020180048060 A KR1020180048060 A KR 1020180048060A KR 20180048060 A KR20180048060 A KR 20180048060A KR 102103475 B1 KR102103475 B1 KR 102103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sh
ribs
crustaceans
entr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025A (ko
Inventor
박상우
송동환
Original Assignee
박상우
송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우, 송동환 filed Critical 박상우
Priority to KR102018004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47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통발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를 다수개의 살대가 형성된 구조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여 통발의 측면에 간단히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도부재를 통해 통발의 내측에 설치되는 먹이통의 식별은 용이하도록 하면서 통발의 내부로 유입된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의 이탈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원형테두리(110)와 하부 원형테두리(120)가 다수개의 수직바(130)를 매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골격부재(100)와, 상기 골격부재(10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다수개의 수직바 중 어느 한 쌍의 수직바 사이에 개구공(210)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메쉬형네트(200)와,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개구공(210)에 설치되어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유도부재(300)로 이루어진 통발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300)는,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 및 수직바(130)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개구공(210)에 설치되되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에 걸림되는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진입틀(400)과, 상기 상부원형테두리(11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에 수직된 상태로 연장형성되는 상부살대부(500)와, 상기 하부원형테두리(12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에 수직된 상태로 연장형성되는 하부살대부(600)와, 상기 수직바(13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측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면살대부(650)와, 상기 진입틀(400)의 상,하부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상,하부살대부(500,600)의 경사도보다 작은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방향에서 상기 메쉬형네트(200)방향으로 상호 평행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부로 유입된 갑각류가 상기 유도부재(300)방향으로 접근시 선단이 갑각류의 외피에 간섭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접근방지살대(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TRAP FOR CRUSTACEANS HAVING CHELA}
본 발명은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통발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를 다수개의 살대가 형성된 구조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여 통발의 측면에 간단히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도부재를 통해 통발의 내측에 설치되는 먹이통의 식별은 용이하도록 하면서 통발의 내부로 유입된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의 이탈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통발은 민물용과 바다용으로 구분 제작되어 민물에서는 각종 담수어를 포획하고, 바다에서는 바닷물고기를 포함한 각종 연체류, 갑각류 등을 포획하는데 사용된다.
대체로 많은 개수의 통발을 수중에 내려 앉혀 통발에 마련된 유인진입구(진입통로)를 통해 통발 내부로 들어온 어종들을 포획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어구(漁具)이다.
통상적인 바다 통발의 구조를 살피면, 포획 체적을 갖도록 링 형의 철재 프레임을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두고, 여기에 직선상의 철재 프레임을 등 간격으로 상호 용접하여 포획 틀을 제조한다 이 포획 틀의 외측에는 그물망을 덧씌우는 한편, 철재 프레임으로부터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보조 끈을 이용하여 원형의 철재 프레임과 그물망을 다시 한번 결속하여 철재 프레임에 접하는 그물망이 바닥에 긁혀 쉽게 훼손되지 않게 제작되며, 상기 통발의 둘레부에는 적어도 한 지점 이상의 유입구를 각각 마련하여 어종이 쉽게 통발 내부로 유인되어 들어갈 수 있는 확률을 갖도록 하였으며, 상기 포획 틀을 감싸는 그물망의 일부분은 끈으로 조이는 방식으로 오므려 묶거나그 반대로 풀어 그물망을 개방하여 통발의 내부에 어종에 관계된 먹이감을 집어넣거나 포획된 어종들을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바다 통발은 등간격지게 로프에 연결되어 배에 실어 해상을 이동하면서 포인트 예상지점의 해저에 순차적으로 주낙과 같은 형태로 통발을 내려 앉히는데, 이때 심도가 있는 해저에 통발을 쉽게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상기 철재 프레임의 무게를 3~5kg의 무게로 제작되어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따라서 철재 프레임을 두껍게 제작하고, 통발의 여러 횟수 사용중 그물망이 훼손된 상태에서는 직접 그물망을 수선하거나 혹은 그 훼손된 정도가 크면 상기 포획 틀을 남겨두고 그물망과 유인진입구를 제거한 다음, 새로운 그물망과 유인진입구를 재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발은 본체 및 유인진입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그물망이 사용되므로 그물망의 손질이 어렵고 번거러운 문제가 있으며, 부분적으로 그물망이 낡거나 손상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그물망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비용이 증가하고 자원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1465호의 보호부재가 구비된 통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통발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를 다수개의 살대가 형성된 구조로 개선하여 통발의 측면에 간단히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통발의 내측에 설치되는 먹이통의 식별을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의 유인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유도부재에 접근방지살대를 형성하여 포획된 갑각류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원형테두리(110)와 하부 원형테두리(120)가 다수개의 수직바(130)를 매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골격부재(100)와, 상기 골격부재(10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다수개의 수직바 중 어느 한 쌍의 수직바 사이에 개구공(210)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메쉬형네트(200)와,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개구공(210)에 설치되어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유도부재(300)로 이루어진 통발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300)는,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 및 수직바(130)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개구공(210)에 설치되되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에 걸림되는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진입틀(400)과, 상기 상부원형테두리(11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에 수직된 상태로 연장형성되는 상부살대부(500)와, 상기 하부원형테두리(12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에 수직된 상태로 연장형성되는 하부살대부(600)와, 상기 수직바(13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측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면살대부(650)와, 상기 진입틀(400)의 상,하부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상,하부살대부(500,600)의 경사도보다 작은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방향에서 상기 메쉬형네트(200)방향으로 상호 평행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부로 유입된 갑각류가 상기 유도부재(300)방향으로 접근시 선단이 갑각류의 외피에 간섭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접근방지살대(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살대부(500)는,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부메인살대(510)와, 상기 상부메인살대(510)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메인살대(510)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부탄성살대(52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살대부(600)는,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의 설치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선단이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의 선단에 맞닿는 다수개의 하부메인살대(610)와, 상기 하부메인살대(610)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부메인살대(610)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탄성살대(520)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하부탄성살대(620)로 구성되어, 상호 인접된 상,하부메인살대의 선단이 맞닿는 지점 사이 및 상호 인접된 상,하부메인살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상,하부탄성살대(520,620)의 선단 사이의 개방부(550)를 통해 갑각류가 통발의 내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진입틀(400)을 통한 갑각류의 진입시에는 상기 하부메인살대(610)와 하부탄성살대(620)가 갑각류의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쳐져 상기 메쉬형네트(200)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의 맞닿는 선단에 의해 상기 메쉬형네트(200) 내부로 유입된 갑각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근방지살대(700)의 하측 및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는 평면상 상기 접근방지살대(700)와 중첩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에는 보강리브(8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에는, 상측방향으로 호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인서트돌출구(45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원형테두리(110)에는 상기 인서트돌출구(4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1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살대가 형성된 구조의 유도부재를 통발의 측면에 간단히 착탈할 수 있어 사용상의 이점 뿐 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통발의 내측에 설치되는 먹이통의 식별이 가능하여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의 유인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면서 포획된 갑각류의 이탈은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갑각류의 획득량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의 정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재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돌출구가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의 사출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의 정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재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돌출구가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의 사출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은 상부 원형테두리(110)와 하부 원형테두리(120)가 다수개의 수직바(130)를 매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골격부재(100)와, 상기 골격부재(10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다수개의 수직바 중 어느 한 쌍의 수직바 사이에 개구공(210)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메쉬형네트(200)와,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개구공(210)에 설치되어 꽃게나 대게, 털게와 같은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유도부재(300)로 이루어진 통발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300)는 진입틀(400)과,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살대부(500)와,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살대부(600)와, 상기 진입틀(4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살대부(650)와, 상기 진입틀(40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접근방지살대(70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은 상기 상부살대부(500)와 하부살대부(600)에 의해 통발의 내측으로 갑각류의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유입된 갑각류의 외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접근방지살대(700)의 단부가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의 다리 마디나 외피에 간섭되어 갑각류가 상기 유도부재(300)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유도부재(300)를 통한 갑각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골격부재(100)는 원형 띠 형상의 상기 상,하부 원형테두리(110,120)가 다수개의 상기 수직바(130)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통발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룬다.
또한, 상기 메쉬형네트(200)는 상기 골격부재(100)을 감싸 통발의 벽체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메쉬형네트(200)에는 후술되는 상기 유도부재(300)의 설치를 위한 일정개수의 개구공(210)이 형성된다. 즉, 다수개의 수직바중 인접하는 어느 한 쌍의 수직바사이에 상기 개구공(210)이 형성되어 상기 유도부재(30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측에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를 유인할 수 있는 먹이가 담겨진 먹이통(미도시)이 설치되되 상기 먹이통은 상기 상부살대부(500)와 하부살대부(600) 선단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나 후술되는 개방부(550)를 통해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유도부재(300)는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에 걸림되느 진입틀(400)과,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살대부(500)와,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살대부(600) 및 상기 진입틀(400)의 측부에 형성되는 측면살대부(650)와, 상기 진입틀(40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접근방지살대(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입틀(400)은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 및 수직바(130)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개구공(210)에 설치되되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에 걸림되는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진입틀(400)은 상기 개구공(210)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바에 걸림결합되는 측부장착프레임(410)과, 상기 측부장착프레임(410)의 길이방향 상측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상부원형테두리(110)에 걸림되는 상부걸림턱(421)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상부원형테두리(1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상부장착프레임(420)과, 상기 측부장착프레임(410)의 길이방향 하측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하부원형테두리(120)에 걸림되는 하부걸림턱(431)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하부원형테두리(1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하부장착프레임(4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장착프레임(420)과 하부장착프레임(430)에는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를 감싸면서 상기 진입틀(400)을 상기 개구공(210)에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나선형 끈(140)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440)이 형성되고, 상기 측부장착프레임(410)에는 상기 수직바(130)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끼움구(4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장착프레임(430)에도 상기 측부장착프레임(410)에 형성된 끼움구와 동일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상부살대부(500)는 상기 상부원형테두리(11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에 수직된 상태로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유도부재(3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상부살대부(500)를 이루는 각각의 살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장착프레임(420)에 수직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메쉬형네트(200)방향으로 하향경사져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살대부(500)는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 즉 상기 상부장착프레임(42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부메인살대(510)와, 상기 상부메인살대(510)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메인살대(510)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부탄성살대(5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메인살대(51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장착프레임(420)에 수직된 상태로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통발의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메인살대(510)는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탄성살대(520)는 상기 상부메인살대(510)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메인살대(510)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탄성살대(5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장착프레임(420)에 수직된 상태로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통발의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탄성살대(520) 간 이격거리와 상기 상부메인살대(510) 및 상부탄성살대(520)간 이격거리는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와 상부탄성살대(520)의 두께 또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탄성살대(520)는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일정한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하부살대부(600)는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하부메인살대(610)와, 상기 하부메인살대(610)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하부탄성살대(6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메인살대(610)는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 즉 상기 하부장착프레임(43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의 설치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선단이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의 선단에 맞닿게 된다.
즉, 상기 하부메인살대(61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하부장착프레임(430)에 수직된 상태로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통발의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메인살대(610)의 폭이나 두께는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통발의 상하가 뒤집어지더라도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여 갑각류의 통발 내부로의 유인은 용이하게 이루면서 통발 내부에 포획된 갑각류의 이탈은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탄성살대(620)는 상기 하부메인살대(610)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부메인살대(610)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탄성살대(520)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하부탄성살대(6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하부장착프레임(430)에 수직된 상태로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통발의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진입틀(400)에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와 상,하부탄성살대(520,620)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상호 인접된 상,하부메인살대의 선단이 맞닿는 지점 사이 및 상호 인접된 상,하부메인살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상,하부탄성살대(520,620)의 선단 사이의 개방부(550)를 통해 통발 방향으로 접근한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통발의 내부를 식별할 수 있어 통발 내부로의 유인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발 내부에 포획된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상기 유도부재(300)를 통해 이탈하려고 접근하게 되면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의 맞닿는 선단에 외피가 간섭되어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거나(꽃게와 같은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는 다리의 마디나 외피에 딱딱한 간섭물이 간섭되면 간섭물로부터 멀리 도망가려는 습성이 있다)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의 맞닿은 선단이 창살역할을 하여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입틀(400)을 통한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의 진입시에는 상기 하부메인살대(610)와 하부탄성살대(620)가 갑각류의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메인살대(610)와 하부탄성살대(620)의 선단이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와 상부탄성살대(520)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하부메인살대(610)와 하부탄성살대(620)는 탄성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의 상측면 및 하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통발의 상측면 및 하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통발을 물 속에 잠기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수류에 의한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포획된 갑각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살대부(650)는 다수개의 살대가 상기 수직바(13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측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살대부(650)의 각 살대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측부장착프레임(410)에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통발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살대부(650)의 살대간 간격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측면살대부(650)를 이루는 각각의 살대 두께는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나 상,하부탄성살대(520,62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며, 상기 측면살대부(650)를 이루는 각 살대의 상측면 및 하측면은 통발의 상측이나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측면살대부(650)를 이루는 각 살대의 상측면 및 하측면이 상기 유도부재(300)의 내측방향이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통발을 물 속에 잠기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수류에 의해 상기 측면살대부(650)를 이루는 각 살대가 상기 유도부재(300)의 내측이나 외측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면서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공간부를 통해 통발의 내부에 포획된 갑각류가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류에 의한 상기 측면살대부(650)의 흔들임을 최소화하여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발 내부에 포획된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살대부(650)를 이루는 각 살대는 긴살대와 짧은 살대가 번가아가며 형성되거나 동일한 길이를 갖는 살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진입틀(400)에는 갑각류의 외피에 간섭되는 다수개의 접근방지살대(7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접근방지살대(700)는 상기 진입틀(400)의 상,하부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상,하부살대부(500,600)의 경사도보다 작은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방향에서 상기 메쉬형네트(200)방향으로 상호 평행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부로 유입된 갑각류가 상기 유도부재(300)방향으로 접근시 선단이 갑각류의 외피에 간섭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접근방지살대(70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하부장착프레임(420,430)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의 경사도보다 작은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연장형성되고, 길이는 상기 상,하부탄성살대(520,620)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통발의 내측에 포획된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통발의 내부 하측면에서 상기 유도부재(300)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하부살대부(600)와 통발의 내부 하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접근방지살대(700)가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의 다리 마디나 외피에 간섭되어 갑각류가 상기 유도부재(300)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도부재(300)를 통한 갑각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접근방지살대(700)가 상기 상부살대부(500) 및 하부살대부(600)의 상측이나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상부살대부(500)를 유도부재의 상측에서 평면상으로 바라보거나 상기 하부살대부(600)를 유도부재의 하측에서 평면상으로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접근방지살대(700)와 상기 상,하부살대부(500,600)가 상호 엇갈리게 겹쳐지거나 중첩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300)의 제조시 상기 접근방지살대(700)를 제외한 부분의 사출에 의해 성형 후, 상기 접근방지살대(700)를 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결합하여야 하는 이중 작업이 이루어져 제조상 불편함이나 공정수의 증가로 인한 생산량 감소, 불량품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근방지살대(700)의 하측 및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상기 접근방지살대(700)와 중첩되지 않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한번의 사출공정으로 상기 접근방지살대(700)를 포함한 상기 유도부재(300)의 제조를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장착프레임(420)에 3개의 상기 접근방지살대(700)가 형성된 일 예를 통해 그 접근방지살대와 상부살대부(500) 간 중첩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상부살대부(500)를 유도부재의 평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상기 상부장착프레임(4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접근방지살대는 그 하측에 위치하는 상부탄성살대(5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탄성살대(520) 사이에 접근방지살대를 위치시키게 되면 평면상 상호 중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장착프레임(420)의 좌측방향에 형성되는 접근방지살대가 그 하측에 위치하는 살대들과 상호 중첩되지 않는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좌측의 접근방지살대의 하측에는 상부탄성살대(520)와 상부메인살대(510)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탄성살대(520)는 평면상 상기 접근방지살대(7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접근방지살대(700)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경사구(521)와, 상기 경사구(521)의 선단에 수직된 상태로 상부메인살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구(522)와, 상기 수직구(522)의 선단에서 통발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구(5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메인살대(510)는 평면상 상기 접근방지살대(7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구(511)와, 상기 평행구(511)의 선단에서 통발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틱구(512)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구(521)와 평행구(511) 사이에 상기 접근방지살대(700)의 길이와 폭 보다 큰 공간부(56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접근방지살대와 그 접근방지살대의 하측에 위치하는 살대 간 상호 중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한번의 사출공정으로 상기 접근방지살대(700)를 포함한 상기 유도부재(300)가 제조되는 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형(10)에 상기 접근방지살대(700)의 형성을 위한 돌출부(11)를 마련하고, 하형(20)에 상기 돌출부(11)에 대응되는 홈부(12)를 형성한 상태로 상형(10)과 하형(20)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300)를 성형한 후, 상기 상형()을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돌출부(11)가 상기 경사구(521)와 평행구(5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560)에서 용이하게 이탈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재(300)를 한번의 사출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에는 보강리브(800)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리브(800)는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의 과도한 처짐이나 수류에 의한 과도한 흔들림을 방지하여 포획된 갑각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리브(800)는 상기 유도부재(300)의 외측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에 형성되는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800)가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와 상,하부탄성살대(520,620) 중 어느 하나나 상기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중 어느 하나, 상,하부탄성살대(520,6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에는 상기 진입틀(400)의 상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호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인서트돌출구(45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원형테두리(110)에는 상기 인서트돌출구(4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111)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유도부재(300)를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개구공(210)에 설치시, 상기 유도부재(300)의 상측을 통발의 내측방향으로 기울려 상기 인서트돌출구(450)가 상기 삽입공(11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유도부재(300)의 하부장착프레임(430)을 상기 하부 원형테두리(120)에 끼워밀착고정하게 되면 상기 유도부재(300)의 상,하부장착프레임(420,430)과 측부장착프레임(410)이 상기 상,하부 원형테두리(110,120) 및 수직바(130)에 끼워밀착고정됨에 따라 상기 유도부재(300)의 설치를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300)의 분리시에는 먼저 상기 유도부재(300)의 하부장착프레임(430)을 상기 하부 원형테두리(12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유도부재(300)의 상부장착프레임(420)에 설치된 상기 인서트돌출구(450)를 상기 삽입공(111)에서 이탈시켜 상기 유도부재(300)의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도부재(300)의 착탈을 누구나 신속하고 손쉽게 이룰 수 있어 통발의 유지보수 작업성이 향상되며, 사출공정에 의해 제조된 상기 유도부재로 인해 기존의 그물망 타입의 유도부재에 비해 제작 생산성을 높임은 물론 장기간 통발 사용이 가능하여 보다 경제적인 어획활동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골격부재 110: 상부원형테두리
120: 하부원형테두리 130: 수직바
140: 나선형 끈 200: 메쉬형네트
210: 개구공 300: 유도부재
400: 진입틀 500: 상부살대부
600: 하부살대부 650: 측면살대부
700: 접근방지살대 800: 보강리브

Claims (5)

  1. 상부 원형테두리(110)와 하부 원형테두리(120)가 다수개의 수직바(130)를 매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골격부재(100)와, 상기 골격부재(10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다수개의 수직바 중 어느 한 쌍의 수직바 사이에 개구공(210)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메쉬형네트(200)와,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개구공(210)에 설치되어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가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유도부재(300)로 이루어진 통발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300)는,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 및 수직바(130)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개구공(210)에 설치되되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에 걸림되는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원형테두리(110,1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진입틀(400)과, 상기 상부원형테두리(11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에 수직된 상태로 연장형성되는 상부살대부(500)와, 상기 하부원형테두리(12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에 수직된 상태로 연장형성되는 하부살대부(600)와, 상기 수직바(130)에 걸림되는 상기 진입틀(400)의 측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면살대부(650)와, 상기 진입틀(400)의 상,하부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상,하부살대부(500,600)의 경사도보다 작은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평면상 상기 진입틀(400)방향에서 상기 메쉬형네트(200)방향으로 상호 평행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쉬형네트(200)의 내부로 유입된 갑각류가 상기 유도부재(300)방향으로 접근시 선단이 갑각류의 외피에 간섭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접근방지살대(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살대부(500)는,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부메인살대(510)와, 상기 상부메인살대(510)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메인살대(510)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부탄성살대(52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살대부(600)는, 상기 진입틀(400)의 하부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의 설치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선단이 상기 상부메인살대(510)의 선단에 맞닿는 다수개의 하부메인살대(610)와, 상기 하부메인살대(610)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부메인살대(610)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탄성살대(520)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하부탄성살대(620)로 구성되어,
    상호 인접된 상,하부메인살대의 선단이 맞닿는 지점 사이 및 상호 인접된 상,하부메인살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상,하부탄성살대(520,620)의 선단 사이의 개방부(550)를 통해 갑각류가 통발의 내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진입틀(400)을 통한 갑각류의 진입시에는 상기 하부메인살대(610)와 하부탄성살대(620)가 갑각류의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쳐져 상기 메쉬형네트(200)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의 맞닿는 선단에 의해 상기 메쉬형네트(200) 내부로 유입된 갑각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방지살대(700)의 하측 및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는 평면상 상기 접근방지살대(700)와 중첩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메인살대(510,610) 및 상,하부탄성살대(520,620)에는 보강리브(8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틀(400)의 상부에는, 상측방향으로 호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인서트돌출구(45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원형테두리(110)에는 상기 인서트돌출구(4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KR1020180048060A 2018-04-25 2018-04-25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KR102103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060A KR102103475B1 (ko) 2018-04-25 2018-04-25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060A KR102103475B1 (ko) 2018-04-25 2018-04-25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025A KR20190124025A (ko) 2019-11-04
KR102103475B1 true KR102103475B1 (ko) 2020-04-22

Family

ID=6857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060A KR102103475B1 (ko) 2018-04-25 2018-04-25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4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486Y1 (ko) 2002-12-04 2003-02-26 임영도 이중포획부를 가진 통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314U (ko) * 1998-12-29 1999-04-26 김광섭 낙지잡이통발
KR101041580B1 (ko) * 2008-09-22 2011-06-15 황정용 낙지 포획용 통발
KR101615019B1 (ko) * 2014-08-21 2016-04-22 박춘선 통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486Y1 (ko) 2002-12-04 2003-02-26 임영도 이중포획부를 가진 통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025A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801B1 (ko)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
KR101041580B1 (ko) 낙지 포획용 통발
CA2906797C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KR20110112517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1384136B1 (ko) 접이식 어패류 포획용 통발
CA2951946A1 (en) Crab pot
KR102103475B1 (ko) 집게발을 갖는 갑각류용 통발
KR200465503Y1 (ko)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KR100925880B1 (ko)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CN209201906U (zh) 一种漂浮式捕鱼装置
KR101830507B1 (ko) 조립식 바다 통발
JP2011115081A (ja) 魚卵及び稚魚の保護装置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KR101561298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KR101261503B1 (ko) 통발
KR101143597B1 (ko)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
RU13523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ова креветок и брюхоногих моллюсков (варианты)
KR20110008689U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KR20110056603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2085889B1 (ko) 통발용 유도구
KR20150004992A (ko) 어로용 통발의 입출구 개폐장치
KR200449587Y1 (ko) 낙지잡이용 통발
KR102510386B1 (ko)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070001093U (ko) 낙지잡이용 통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