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880B1 -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 Google Patents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880B1
KR100925880B1 KR1020090059898A KR20090059898A KR100925880B1 KR 100925880 B1 KR100925880 B1 KR 100925880B1 KR 1020090059898 A KR1020090059898 A KR 1020090059898A KR 20090059898 A KR20090059898 A KR 20090059898A KR 100925880 B1 KR100925880 B1 KR 10092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net
fish
separ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옥
이경훈
차봉진
손병규
안희춘
신종근
박성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05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루형 그물과 같은 어구를 사용하는 조업 과정에서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어구의 내부에서 어류와 분리시키도록 하는 한편, 어류와 분리된 해파리를 어구의 외부로 절단 배출시키도록 한 어망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망의 입구측에 해파리 분리망을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해파리 분리망의 양측에 측면분리망을 설치하는 한편, 해파리 분리망의 하부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입구용 유도망의 후방측을 수평 방향으로 연장시켜 해당 부분이 어류차단망을 제공토록 하며, 상기 어류차단망의 후단부와 해파리 분리망의 사이에 해파리 유입구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자루형 그물의 예망시 좁은 그물코를 가지는 유도망에 의한 수력저항을 최소화시켜 자루형 그물의 예망력 및 이를 기초로 하는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 성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어류와 해파리의 유입을 위한 입구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하여 어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어류와 해파리의 초기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한편, 자루형 그물의 예망력에 의하여 어류차단망의 후단부가 해파리 분리망까지 도달되도록 함에 따라, 어류 손실은 극소화시키고 해파리 배출은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등판(11)과 밑판(14)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12)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13)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10)에 있어서, 상기 끝자루(13)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는 등 판(11)으로부터 옆판(12)을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해파리 분리망(21)과 측면분리망(22)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해파리 분리망(21)의 후단부에서 끝자루(13)의 입구까지는 분리망 연장부(23)와 해파리 유입방지망(24)이 옆판(12)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분리망 연장부(23)와 해파리 유입방지망(24)은 밑판(1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해파리 배출통로(28)를 제공하며, 상기 해파리 분리망(21)과 밑판(14)의 사이에는 밑판(14)으로부터 옆판(12)을 따라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유도망(25)과, 상기 유도망(25)으로부터 해파리 분리망(21)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류차단망(26)이 설치되며, 상기 어류차단망(26)의 후단부와 해파리 분리망(21)의 사이에 해파리 유입구(26a)가 제공되고, 상기 해파리 배출통로(28)의 후단 출구에는 해파리 절단망(2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59898
해파리, 절단망, 유도망, 분리망, 차단망, 트롤, 저인망, 안강망

Description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Jellyfish separation net for reducing fisheries damage}
본 발명은 자루형 그물과 같은 어구를 사용하는 조업 과정에서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어구의 내부에서 어류와 분리시키도록 하는 한편, 어류와 분리된 해파리를 어구의 외부로 절단 배출시키도록 한 어망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루형 그물의 예망시 좁은 그물코를 가지는 유도망에 의한 수력저항을 최소화시켜 자루형 그물의 예망력 및 이를 기초로 하는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 성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어류와 해파리의 유입을 위한 입구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하여 어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어류와 해파리의 초기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한편, 자루형 그물의 예망력에 의하여 어류차단망의 후단부가 해파리 분리망까지 도달되도록 함에 따라, 어류 손실은 극소화시키고 해파리 배출은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롤어업이나 저인망어업과 같이 자루형 그물을 사용하는 조업방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판(11)과 밑판 및 옆판(12)이 일체로 형성된 자루형 그물(10)을 각종 어군이 형성된 곳에 풀어낸 다음, 이와 같이 풀려나 간 자루형 그물(10)을 선박(1)을 이용하여 어군측으로 예망(曳網)함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어군이 들어가도록 하여 그 후단부의 끝자루(13)에 갇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는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온이 높은 하절기에 해파리가 연안해역에 대량으로 출현하여 어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 데, 해파리로 인한 어업 피해의 유형은 자루형 그물(10)을 사용하는 트롤, 저인망, 안강망, 권현망, 낭장망, 주목망과 같은 조업방식 뿐만 아니라 함정어구인 정치망, 걸어구인 자망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어업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나, 자루형 그물(10)을 이용한 조업방식에 있어서는 해파리가 어류와 함께 매우 쉽게 혼획됨으로 인하여 특히 많은 피해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서, 자루형 그물(10)을 사용한 조업시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어류와 함께 해파리가 혼획될 경우, 선박(1)으로 자루형 그물(10)을 예망하는 과정에서 어구의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자루형 그물(10)을 포함하는 각종 어구가 쉽게 파손되거나, 다량의 해파리가 끝자루(13)의 그물눈 즉, 그물의 구멍을 막아 해수 유통을 저해하여 어획량을 감소시키거나, 해파리의 혼획에 의한 어류의 사망 및 해파리에 의한 어체 훼손으로 그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되었다.
또한, 자루형 그물(10)에 의하여 어획된 어획물로부터 해파리를 일일이 인력으로 분리 및 처리하여야 함에 따라 어획물과 해파리의 분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으로서 어업환경을 더욱 열악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해파리의 분리작업 도 중에 작업자의 피부가 해파리의 독에 노출됨에 따라 작업자의 인체에 손상을 입히는 것과 같은 부차적인 문제점을 야기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각종 요인들로 인하여 출몰되는 해파리의 량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조업자체를 포기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을 이용한 조업과정에서 해파리의 혼획으로 야기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루형 그물(10)의 끝자루(13) 전방측에 해파리의 분리배출을 위한 어구(20)를 설치함으로서,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파리와 함께 배출되는 어류의 량은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해파리의 혼획에 따른 어업피해를 감소시키고 조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 선출원은, 2005년 특허출원 제 40786호(출원일자: 2005년 5월 16일) 및 특허등록 제 518361호(등록일자: 2005년 9월 23일)와, 2006년 특허출원 제 50024호(출원일자: 2006년 6월 2일) 및 특허등록 제 646453호(등록일자: 2006년 11월 8일)와, 2007년 특허출원 제 73922호(출원일자: 2007년 7월 24일) 및 특허등록 제 779591호(등록일자: 2007년 11월 20일)와, 2008년 특허출원 제 51671호(출원일자: 2008년 6월 2일) 및 특허등록 제 868526호(등록일자: 2008년 11월 6일)가 된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해파리 분리 및 배출장치에 있어서도, 해파리 유도망과 해파리 분리망의 사이에 어류의 이동 및 배출통로가 되는 제 1, 제 2어류유도통로를 자루형 그물(10)의 양측 내부에 별도의 그물통로로 형성시킴에 따라 그 구조가 다소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과, 해파리 배출구가 자루형 그물(10)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설치되어 자루형 그물(10) 내부의 해수 흐름을 전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분력을 이용해야 한다는 문제점과, 해파리 분리망이 유연체인 그물실로 형성되어 해수의 흐름에 따른 저항을 받을 경우 곡선형태로 휘어지게 됨으로서 그 원호 부분에 해파리가 쌓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장 최근에 출원 및 등록된 선출원 즉, 2008년 특허출원 제 51671호 및 특허등록 제 868526호에 있어서도, 위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한 것이기는 하지만, 좁은 그물코를 가지는 제 1유도망과 제 2유도망이 "∧"자의 형태를 가지면서 그물통로를 막고 있는 형태가 되므로, 자루형 그물의 예망시 유도망에 의한 수력저항이 다소 크게 된다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의 예망력에 의한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작업에 다소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도망의 상단부와 자루형 그물(10)의 등판(11) 사이에 형성된 통합유입구의 간격 및 제 2유도망과 해파리 분리망이 제공하는 해파리 배출통로의 간격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어류와 해파리가 통합유입구를 따라 밀집된 형태로 유입됨으로서, 어류와 해파리의 유입 초기시점, 즉 그물통로의 입구측에서 어류와 해파리가 1차적으로 분리되지 못하고 배출구측에서만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를 강구하고 있다는 문제점과, 어류와 해파리의 밀집식 유입에 따른 어류의 어체손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타, 이와 유사한 선행기술로서 국내에 특허출원된 것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0470호(2003. 10. 7 등록)에 기재된 "저인망의 해파리 제거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255012호(2006. 9. 11 등록)에 기재된 "해파리 자동배출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78680호(2009. 1. 7 등록)에 기재된 "해파리 배제형 어망"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파리 제거장치에 있어서도, 그물망의 그물코 크기를 이용하여 어류와 해파리를 분리하여 제거하도록 하면서도 그물망의 그물코 크기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고, 해파리 배출구의 경우에도 자루그물의 밑판에 설치되어 자루형 그물 내부의 해수흐름을 전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그 분력만을 이용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각각의 선출원 및 선행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은 그물통로의 입구측에 해파리 분리망을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해파리 분리망의 양측에 측면분리망을 설치하는 한편, 해파리 분리망의 하부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입구용 유도망의 후방측을 수평 방향으로 연장시켜 해당 부분이 어류차단망을 제공토록 하며, 상기 어류차단망의 후단부와 해파리 분리망의 사이에 해파리 유입구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자루형 그물의 예망시 좁은 그물코를 가지는 유도망에 의한 수력저항을 최소화시켜 자루형 그물의 예망력 및 이를 기초로 하는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 성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어류와 해파리의 유입을 위한 입구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하여 어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어류와 해파리의 초기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한편, 자루형 그물의 예망력에 의하여 어류차단망의 후단부가 해파리 분리망까지 도달되도록 함에 따라, 어류 손실은 극소화시키고 해파리 배출은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파리 분리망의 양측부에 측면분리망을 형성시켜 상기 측면분리망이 자루형 그물의 옆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측면분리망과 자루형 그물의 옆판 사이에 추가적인 어류통로를 제공하여 어류와 해파리의 초기 분리작업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며, 해파리 분리망의 분리망 연장부와 자루형 그물의 밑판이 제공하는 해파리 배출통로의 내부에는 해당 통로의 개폐수단으로서 부자(浮子: 뜸)가 연결된 그물감 형태의 어획손실 방지망을 설치하는 한편, 해파리 절단망의 직전방에 해당하는 분리망 연장부측은 좁은 그물코를 가지는 해파리 유입방지망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작업이 어망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걸쳐 보다 더 확실하고 세부적으로 나뉘어 수행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가 해파리를 따라 배출되는 량과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의 량을 거의 제로(Zero)화시킴으로서, 조업능률의 향상과 어획량 증대의 측면에 한층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등판과 밑판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에 있어서, 상기 끝자루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의 내부 에는 등판으로부터 옆판을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해파리 분리망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해파리 분리망의 후단부에서 끝자루의 입구까지는 분리망 연장부와 해파리 유입방지망이 옆판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분리망 연장부와 해파리 유입방지망은 밑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해파리 배출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해파리 분리망과 밑판의 사이에는 밑판으로부터 옆판을 따라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유도망과, 상기 유도망으로부터 해파리 분리망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류차단망이 설치되며, 상기 어류차단망의 후단부와 해파리 분리망의 사이에 해파리 유입구가 제공되고, 상기 해파리 배출통로의 후단 출구에는 해파리 절단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파리 분리망의 양측에 자루형 그물의 옆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어류통로를 제공하는 측면분리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리망 연장부와 자루형 그물의 밑판이 형성하는 해파리 배출통로에는 해당 통로를 개폐시키는 어획손실 방지망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어획손실 방지망의 선단부는 자루형 그물의 밑판과 연결 설치되고, 어획손실 방지망의 후단부에는 그물용 부자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선출원이 가지는 작용효과와 마찬가지로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각종 조업과정에서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어류와 자동적으로 분리시켜 자루형 그물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해파리의 배출시 해파리가 일정 크기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하여 해파리의 퇴치기능 또한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의 혼획에 따른 어구의 손상이나 파손, 어획량 감소, 어류의 폐사나 어체 훼손 등과 같은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획물로부터 해파리를 일일이 분리함에 따른 인력과 시간 낭비를 방지함으로서, 조업효율을 극대화시켜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고, 해파리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시기에는 해파리 분리배출망을 자루형 그물에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해파리가 없는 시기에는 철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해파리의 출몰여부에 관계없이 지속적인 조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해파리 분리배출망을 이루는 모든 소재가 유연체인 망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형체 소재를 설치한 경우보다 어구의 사용 및 유지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루형 그물의 예망력 및 이로 인한 해파리의 인입력에 의하여 해파리 분리망의 후단부가 밀려나게 되더라도 해파리 분리망이 분리망 연장부와 함께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토록 함에 따라, 해파리 분리망의 후방측 내부 공간에 해파리가 적체되지 아니하고, 자루형 그물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배출통로 및 절단기를 거쳐 해파리가 신속하게 절단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해파리 분리망으로부터 적체된 해파리가 수력 저항으로 잘려 나가서 끝자루의 내부로 유입되는 량을 극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에서는, 해파리 분리망과 유도망의 사이에 보다 넓은 입구가 제공되도록 하는 한편, 유도망의 후단부측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해파리 분리망까지 도달하는 어류차단망을 제공토록 함으로서, 좁은 그물코를 가지는 유도망에 의한 그물통로의 폐쇄 및 이로 인한 수력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넓은 입구측과 수평 방향의 어류차단망에 의하여 어류와 해파리의 초기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해파리 분리망의 양측부에 측면분리망을 형성시켜 자루형 그물의 옆판과 측면분리망의 사이에 추가적인 어류통로를 제공토록 한 경우에는, 자루형 그물의 예망력에 의한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작업이 어구의 입구측에서부터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어류와 해파리가 밀집식으로 유입됨에 따른 어체 손상을 방지하여 어류의 상품가치를 보다 더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어망의 입구측에 제공된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수단으로서 어류차단망 및 측면분리망과 함께, 해파리 배출통로와 그 출구측에 제공된 어획손실 방지망 및 해파리 유입방지망에 의하여,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작업이 어망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걸쳐 선출원의 경우보다 한층 더 광범위하고 합리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가 해파리를 따라 배출되는 량과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의 량을 선출원의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더 극소화시킴으로서, 조업능률의 향상과 어획량 증대의 측면에 한층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20)은 선출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등판(11)과 밑판(14)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12)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13)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10)에 있어, 끝자루(13)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자루형 그물(10)을 이루는 그물 즉, 등판(11)과 밑판(14) 및 옆판(12) 자체는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20) 역시 마찬가지로, 그물이 가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어떠한 고정된 형상을 이루기는 어려우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20) 및 이를 포함하는 자루형 그물(10)의 일부분이 고정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20)은,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끝자루(13)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그물통로 입구측에서 밑판(14)으로부터 옆판(12)을 따라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유도망(25)과, 상기 유도망(25)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류차단망(26)과, 상기 어류차단망(26)의 상부측에서 자루형 그물(10)의 등판(11)으로부터 옆판(12)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해파리 분리망(21)으로서 입구측의 그물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유도망(25)과 어류차단망(26)은 자루형 그물(10)을 이루는 등판(11)과 밑판(14) 및 옆판(12)과 마찬가지로 촘촘한 그물코로 형성됨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와 해파리를 해파리 분리망(21) 및 어류차단망(26)이 형성하는 통로측으로 동시 유도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며, 상기 어류차단망(26)의 후단부는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에 의하여 해파리 분리망(21)까지 도달되도록 설치됨으로서, 어류차단망(26)과 해파리 분리망(21)의 사이에 해파리 유입구(26a)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해파리 분리망(21)의 후단부에서 끝자루(13)의 입구까지는 분리망 연장부(23)와 해파리 유입방지망(24)이 옆판(12)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분리망 연장부(23)와 해파리 유입방지망(24)은 밑판(1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해파리 배출통로(28)를 제공하게 되며, 상기 해파리 배출통로(28)의 후단 출구에 해파리 절단망(29)이 설치되어 배출구측의 그물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해파리 분리망(21) 및 분리망 연장부(23)는, 해당 망지(網紙)를 통하여 어류보다 큰 개체가 되는 해파리는 통과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망지를 통하여 어류는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어류통로 및 해파리 분리막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물눈 즉, 그물구멍의 크기(가로 및 세로변의 길이)가 20 ~ 40cm의 범위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획하고자 하는 대상 어종의 종류에 따라 해파리 분리망(21)과 분리망 연장부(23)를 이루는 망지의 그물눈 크기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해파리 유입방지망(24)은 해파리 배출통로(28)를 따라 해파리 절 단망(29)측으로 배출되는 해파리가 끝자루(13)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유도망(25)이나 어류차단망(26)과 같이 촘촘한 그물코를 가지는 그물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어류의 경우는 어류차단망(26)을 회피하여 해파리 분리망(21)을 거친 다음, 자루형 그물(10)의 그물통로를 따라 끝자루(13)의 내부로 유도되는 한편, 해파리 분리망(21)을 통과하지 못하는 해파리의 경우는, 해파리 분리망(21)을 따라 해파리 유입구(26a)를 거쳐 해파리 배출통로(28)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분리망 연장부(23)와 해파리 유입방지망(24)의 하측면을 따라 해파리 절단망(29)을 거쳐 자루형 그물(10)의 외부로 절단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해파리 분리망(21)은 선출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과 약 20ㅁ 5ㅀ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 및 이로 인한 해파리의 인입력에 의하여 해파리 분리망(21)의 후단부가 밀려나게 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파리 분리망(21)이 분리망 연장부(23)와 함께 해파리 유입구(26a)의 개방에 필요한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토록 함에 따라, 해파리 유입구(26a)로부터 해파리 배출통로(28)를 따라 해파리가 원활하게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해파리 절단망(29)의 경우에도 선출원과 마찬가지로,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에 따른 저항에 의하여 해파리 배출통로(28)의 출구측으로 빠져 나온 해파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배출시키도록 하는 고강도의 얇은 절단실이나 금속 재질의 절단날 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해파리 절단망(29)은 해파리 유입방지망(24) 및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 후단부와 각각 연결 설치된 다음, 끝자루(13)의 직하부측에서 후방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요부는, 상기 유도망(25)이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으로부터 등판(11)에 이르기까지 그물통로의 전체를 커버하는 식으로 설치되지 아니하고, 어류와 해파리의 유도에 필요한 최소 높이, 예를 들어, 자루형 그물(10)의 그물통로 전체 높이 중 약 1/3 내지 1/5 정도에 해당하는 높이, 만큼만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유도망(25)과 해파리 분리망(21)의 사이에 보다 넓은 입구를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유도망(25)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어류차단망(26)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좁은 그물코를 가지는 유도망(25)과 어류차단망(26)에 의한 수력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어류차단망(26)에 의하여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가 해파리 분리망(21)을 통과하게 하고, 해파리 배출통로(28)쪽으로 유도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어류차단망(2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단부가 해파리 분리망(21)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이가 되도록 함은 물론, 자루형 그물(10) 내부의 해수흐름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펄럭이도록 함으로서, 어류는 해파리 분리망(21)을 통과하게 하고, 해파리는 해파리 분리망(21)을 따라 해파리 유입구(26a)를 통해 해파리 배출통로(28)쪽으로 유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어류차단망(26)을 설치하게 되면, 어류의 경우에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행동하므로 어류차단망(26)의 펄럭거림이 어류로 하여금 해파리 분리망(21)을 통과하게 하는 자극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해파리 분리망(21)까지 도달하는 어류차단망(26)의 후단부가 해파리 유입구(26a)를 통해 어류가 해파리 배출통로(28)쪽으로 유도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해파리의 경우에는 자루형 그물(10) 내부의 해수흐름에 의하여 해파리 분리망(21)의 경사를 따라 해파리 유입구(26a)를 통해 해파리 배출통로(28)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어류차단망(26)의 측면부는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과 결속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해파리 유입구(26a)의 개방작동을 위한 신축성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어류차단망(26)의 양측부와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 사이를 통해서도 해파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유도망(25)과 그 후방측으로 절곡되는 어류차단망(26)의 견고한 설치 및 지지를 위하여 직경이 굵은 로프 형태의 유도망 지지테(25a)를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 사이에 가로지게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어류차단망(26)이 평평한 형태를 가지면서 유도망(25)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어류차단망(26)의 측면부를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과 결속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그물 자체가 가지는 가변성과 신축성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되어진 기능이 어느 정도까지는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해파리 분리망(21)의 측면부에 측면분리망(22)을 설치하되, 상기 측면분리망(22)이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발생하는 수력저항에 의하여 측면분리망(22)과 옆판(12)의 사이에 추가적인 어류통로가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상 상기 측면분리망(22)은 해파리 분리망(21)의 설치상태에 맞추어 개략 삼각 형태의 망지를 형성하게 되는 바, 측면분리망(22)과 옆판(12)의 사이에 추가적인 어류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측면분리망(22)의 상단측은 해파리 분리망(21)과 결속되도록 하고, 측면분리망(22)의 하단측은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과 결속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측면분리망(22)을 적용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어류차단망(26)은 파형의 형태를 가지면서 측면분리망(22)과 결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어류차단망(26)이 측면분리망(22)과 결속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유도망 지지테(25a)는 측면분리망(22)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로프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상기 분리망 연장부(23)와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이 형성하는 해파리 배출통로(28)에는 해당 통로(28)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어획량의 손실을 방지하는 어획손실 방지망(27)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어획손실 방지망(27)은 그 선단부가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과 연결 설치되고, 그 후단부에는 그물용 부자(浮子)(27a)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면상 해파리 배출통로(28)를 따라 2개의 어획손실 방지망(27)이 설치된 것 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통로(28)의 길이에 맞추어 어획손실 방지망(27)은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도 설치가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어획손실 방지망(27) 또한 유도망(25) 및 어류차단망(26)과 마찬가지로 어류의 유입을 방지하는 촘촘한 그물코를 가지는 그물감이 된다.
상기 어획손실 방지망(27)은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부자(27a)의 부력에 의하여 그 후단부가 분리망 연장부(23)와 밀착됨으로서, 분리망 연장부(23) 및 밑판(14) 사이에 형성된 해파리 배출통로(28)를 폐쇄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 배출통로(28)를 따라 어류가 유입되지 못하고 분리망 연장부(23)의 그물눈을 통하여 끝자루(13)로 유도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해파리 배출통로(28)를 따라 해파리가 밀려 들어올 경우에는,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해파리가 받는 수력저항에 의하여 어획손실 방지망(27)이 부자(27a)와 함께 해파리에 밀려서 밑판(14)측으로 밀착되며, 이로 인하여 해당 배출통로(28)를 통한 해파리의 배출작동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선출원에 적용된 바와 같이, 분리망 연장부(23)의 하측에 위치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에 로프를 연결하여, 해당 로프가 자루형 그물(10)의 등판(11) 상부측까지 연장되도록 한 다음, 해당 로프의 상단에 로프용 부자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로프와 로프용 부자에 의하여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이 분리망 연장부(23)와 밀착되도록 하는 추가적인 개폐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20)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에서는 선출원에 언급되어진 내용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20)이 설치된 자루형 그물(10)을 선박(1)의 양망기에 감아두었다가 각종 어군탐지기 등을 사용하여 포획하고자 하는 어군의 위치를 파악한 다음,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20)이 설치된 자루형 그물(10)을 풀어낸 후, 이와 같이 풀려나간 자루형 그물(10)을 선박(1)을 이용하여 어군측으로 예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20)이 설치된 자루형 그물(10)을 어군측으로 예망하게 되면, 하절기와 같이 해파리의 개체수가 많을 경우에는 어류와 함께 다량의 해파리가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어류 및 해파리는 유도망(25)과 해파리 분리망(21)의 사이에 해당하는 넓은 입구를 통하여 1차 유도된다.
상기와 같이 넓은 입구를 통하여 1차 유도된 어류 및 해파리 중에서, 어류의 경우는 유도망(25)과 어류차단망(26)을 회피하여 상부측의 넓은 공간으로 유영한 다음, 해파리 분리망(21)을 신속하게 통과하여 끝자루(13)의 내부로 유도되고, 해파리의 경우는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에 의하여 해파리 분리망(21)을 따라 하부측의 좁은 공간으로 유도된 다음, 해파리 유입구(26a)로부터 해파리 배출통로(28) 및 해파리 절단망(29)을 거쳐 자루형 그물(10)의 외부로 절단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어망(20)의 넓은 입구측에서 어류와 해파리의 1차적인 초기 분 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어망(20)의 입구측에 상기 유도망(25)이 비교적 낮은 높이로 설치됨은 물론, 어류차단망(26)이 후방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좁은 그물코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력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어류와 해파리의 초기 분리작업이 보다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어망(20)의 입구에서 어류와 해파리가 밀집된 상태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어류와 해파리가 1차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해파리만이 분리망(21)의 해파리 유입구(26a)를 통하여 유입되기 때문에, 어류와 해파리의 밀집현상으로 인하여 어류가 해파리의 촉수와 접촉하여 발생하는 어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어류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해파리 분리망(21)의 양측부에 측면분리망(22)을 형성시킴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과 측면분리망(22)의 사이에 추가적인 어류통로를 제공토록 한 경우에는,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에 의한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작업이 어망(20)의 입구측에서부터 보다 더 세부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어망(20)의 입구측에 제공된 어류차단망(26) 및 측면분리망(22)과 함께, 해파리 배출통로(28)와 그 출구측에 제공된 어획손실 방지망(27) 및 해파리 유입방지망(24)에 의하여,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작업이 어망(2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걸쳐 보다 광범위하고 합리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선출원의 경우보다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기능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가 해파리를 따라 배출되는 량과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의 량을 선출원의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더 극소화시킴으로서, 조업능률의 향상과 어획량의 증대 및 어업인들의 소득증대 측면과 더불어, 해파리의 절단 배출에 의한 해파리 구제기능의 측면에 한층 더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조업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루형 그물 11 : 등판 12 : 옆판
13 : 끝자루 14 : 밑판 20 : 어망
21 : 해파리 분리망 22 : 측면분리망 23 : 분리망 연장부
24 : 해파리 유입방지망 25 : 유도망 25a : 유도망 지지테
26 : 어류차단망 26a : 해파리 유입구 27 : 어획손실 방지망
27a : 부자 28 : 해파리 배출통로 29 : 해파리 절단망

Claims (3)

  1. 등판(11)과 밑판(14)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12)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13)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10)에 있어서,
    상기 끝자루(13)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는 등판(11)으로부터 옆판(12)을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해파리 분리망(21)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해파리 분리망(21)의 후단부에서 끝자루(13)의 입구까지는 분리망 연장부(23)와 해파리 유입방지망(24)이 옆판(12)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분리망 연장부(23)와 해파리 유입방지망(24)은 밑판(1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해파리 배출통로(28)를 제공하며,
    상기 해파리 분리망(21)과 밑판(14)의 사이에는 밑판(14)으로부터 옆판(12)을 따라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유도망(25)과, 상기 유도망(25)으로부터 해파리 분리망(21)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류차단망(26)이 설치되며,
    상기 어류차단망(26)의 후단부와 해파리 분리망(21)의 사이에 해파리 유입구(26a)가 제공되고, 상기 해파리 배출통로(28)의 후단 출구에는 해파리 절단망(2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분리망(21)의 양측에는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어류통로를 제공하는 측면분리망(22)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망 연장부(23)와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이 형성하는 해파리 배출통로(28)에는 해당 통로(28)를 개폐시키는 어획손실 방지망(27)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어획손실 방지망(27)의 선단부는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과 연결 설치되고, 어획손실 방지망(27)의 후단부에는 그물용 부자(浮子)(27a)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KR1020090059898A 2009-07-01 2009-07-01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KR10092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98A KR100925880B1 (ko) 2009-07-01 2009-07-01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98A KR100925880B1 (ko) 2009-07-01 2009-07-01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880B1 true KR100925880B1 (ko) 2009-11-09

Family

ID=4156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898A KR100925880B1 (ko) 2009-07-01 2009-07-01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8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278B1 (ko) 2010-12-14 2011-09-14 대한민국 소형어선용 해파리제거계수장치
KR101298310B1 (ko) 2011-07-11 2013-08-20 이종호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CN106070100A (zh) * 2016-06-21 2016-11-09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用于拖网的水母排除装置
KR102511153B1 (ko) * 2022-12-05 2023-03-17 대한민국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KR102602797B1 (ko) * 2023-05-22 2023-11-16 대한민국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KR102602798B1 (ko) * 2023-07-03 2023-11-17 대한민국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126A (ja) * 2003-03-31 2004-10-28 Nichimo Co Ltd コッド網
KR20050053576A (ko) * 2005-05-16 2005-06-0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 분리배출장치
KR100868526B1 (ko) 2008-06-02 2008-11-14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배출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126A (ja) * 2003-03-31 2004-10-28 Nichimo Co Ltd コッド網
KR20050053576A (ko) * 2005-05-16 2005-06-0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 분리배출장치
KR100868526B1 (ko) 2008-06-02 2008-11-14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배출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278B1 (ko) 2010-12-14 2011-09-14 대한민국 소형어선용 해파리제거계수장치
KR101298310B1 (ko) 2011-07-11 2013-08-20 이종호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CN106070100A (zh) * 2016-06-21 2016-11-09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用于拖网的水母排除装置
KR102511153B1 (ko) * 2022-12-05 2023-03-17 대한민국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KR102602797B1 (ko) * 2023-05-22 2023-11-16 대한민국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KR102602798B1 (ko) * 2023-07-03 2023-11-17 대한민국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880B1 (ko)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KR100646453B1 (ko)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KR100878839B1 (ko)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KR100868526B1 (ko) 해파리 분리배출망
KR101041580B1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100518361B1 (ko) 해파리 분리배출장치
KR20180124035A (ko) 폐사 물고기 포획 트랩을 가진 가두리 양식 설비
US20110146134A1 (en) Lobster trap with ring guard assembly
KR100779591B1 (ko) 해파리 분리배출 및 절단망
US7685762B2 (en) Device for reducing the catch of unwanted species in fishing trawls
KR101096750B1 (ko)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100878680B1 (ko) 해파리 배제형 어망
KR101039552B1 (ko) 해파리 피해저감용 분리배출 및 제거망
KR200436112Y1 (ko)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
KR102234532B1 (ko)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CN109924171B (zh) 一种诱捕野杂鱼的生态净化浮床系统
KR200449587Y1 (ko) 낙지잡이용 통발
KR100625012B1 (ko) 해파리 자동배출장치
KR102511153B1 (ko)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KR20110008689U (ko) 통발용 진입 유도구
CN205658220U (zh) 一种可折叠的长槽式捕虾笼具
RU2171573C2 (ru) Сорт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ла
AU2001100134B4 (en) Enviro-trap
KR960001741Y1 (ko) 어로용 통발
RU2311025C1 (ru) Ставной не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