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532B1 -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 Google Patents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532B1
KR102234532B1 KR1020200146759A KR20200146759A KR102234532B1 KR 102234532 B1 KR102234532 B1 KR 102234532B1 KR 1020200146759 A KR1020200146759 A KR 1020200146759A KR 20200146759 A KR20200146759 A KR 20200146759A KR 102234532 B1 KR102234532 B1 KR 10223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exit
support member
opening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호
김현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4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사각 또는 원형의 상부 및 하부틀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틀이 일정간격으로 고정하고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틀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그물감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형성된 그물감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어구입구와 탈출구가 형성되는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를 제공함으로써, 갑장 64mm 이하의 어린 꽃게는 입망하여도 용이하게 탈출이 가능하여 어린 꽃게 보호가 가능함으로 기존의 자원량이 감소하는 원인이었던 무분별한 어획이 어려운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Fishing pot}
본 발명은 통발어구에 관한 것으로 꽃게 자원의 지속적 이용과 통발에서 어획되는 어린 꽃게 보호를 위해 어린 꽃게만 선택적으로 빠져 나갈 수 있는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에 관한 것이다.
통발어구는 다른 어구로는 조업이 어려운 어장에서도 조업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어획된 어획물도 선도가 좋은 활어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동일한 어획량을 생산할 경우에도 선어보다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어 어업인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어구이다.
일반적으로 통발은 근해에서 물고기, 낙지, 문어, 게 및 장어 등의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어구로서, 이는 원통형의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지고, 측면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진행할수록 통로가 좁아지게 형성된 1개 이상의 포획구가 구비되고, 이 포획구를 통해 어류가 통발 내부로 들어오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어류를 포획할 수 있다. 통발 어구는 조업이 간편하고 능률적인 어구이면서 심해의 수산생물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층 끌어구, 저층 연승 등과 같은 조업이 불가능한 해저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게류는 고가의 수족이므로 그것을 어획하기 위한 게 통발은 세계 각처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것 중 중요한 것은 서해와 동중국해에서 꽃게를 주 대상으로 하는 것과 남해에서 민꽃게를 주 대상으로 하는 것 및 동해에서 붉은대게를 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있다.
꽃게는 십각목에 속하는 기수성 갑각류로 갑장이 약 70mm이고, 갑폭은 약 149mm인 대형종이다. 수심 2~20m인 이질 또는 사질에 서식하며 운동성이 무척 강하고 포식성이다. 꽃게는 우리나라 서해 연안에 풍부히 분포하며 이에 대한 어획이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꽃게의 수요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어획에 따른 꽃게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다.
게 통발의 대부분은 철틀에 그물감을 씌워 만드는데, 그 형상은 원추대형과 원통형 및 사각주형이 있다. 원추대형 통발은 게가 그 벽을 기어오르기 쉽기 때문에 잘 기어오르는 개체가 큰 게를 대상으로 할 때 유리하고, 원통형 통발과 사각주형 통발은 게가 그들 벽을 기어오르기 어렵기 때문에 잘 기어오르지 않는 개체가 작은 게를 대상으로 할 때 유리하다.
통발의 구조를 입구의 위치별로 보면 상구식과 측구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구식은 통발에 접촉한 게가 그것의 상면으로 쉽게 기어올라 가야하기 때문에 기어오르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는 원추대형 통발에서 채용하는 것이 좋고 측구식은 통발에 접촉한 게가 상면으로 기어올라 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어오르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는 원통형 통발이나 사각주형 통발에서 채용하는 것이 좋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587801호와 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실1998-042348호에는 꽃게 통발에 관한 선행문헌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꽃게 통발은 어구의 특성상 입구로 들어는 것은 쉽고 나오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수산자원관리법상 보호 대상인 어린 꽃게(갑장 6.4 cm 이하)도 통발에 들어가면 빠져 나오기가 어렵고 상기 선행문헌 또한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한 구조 및 효과에 관하여는 게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꽃게 자원의 지속적 이용과 통발에서 어획되는 어린 꽃게 보호를 위해 어린 꽃게만 선택적으로 빠져 나갈 수 있는 탈출구가 형성된 꽃게 어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587801호에는 꽃게 및 낙지가 포획장치 내부로 유인되면 자체 무게에 의하거나 몸체의 진입 밀착력에 의해 굴곡판스프링으로 지지되는 상부 및 하부 포획디딤판이 하방 및 상방 또는 양방으로 벌어지게 됨에 따라 꽃게 및 낙지가 부담스러움 없이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으며, 또한 통발의 본체 내부에 포획된 꽃게 및 낙지는 굴곡판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상부 및 하부 포획디딤판이 원상태로 닫히게 되어 포획어류(꽃게 및 낙지)의 탈출 기능이 차단되는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4197호에는 원뿔형의 그물 상부에 유인구가 결합되어 그물 내부로 꽃게 등을 유인, 포획하는 통발에 있어서, 상기 유인구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물이 끼움결합되는 결합부와, 유인구의 결속공에 형성되는 보강돌조와, 유인구에 형성되어 유인구의 강도를 강화하는 리브로 구성되고, 그물과 유인구의 결합작업 간편성과 취급용이성 및 작업효율성 등의 여러 잇점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통발의 유인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실1998-042348호에는 기존 원형틀체에 그물로 덮어 씌운 게 통발을 살펴보면 입구부가 분리할 수 없도록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입구부에서 내측으로 향한 그물을 세곳이나 묶어서 내부공간이 좁은 형태로 되어 있는 게 통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6744호에는 지지대를 3등분하여 용접한 원형틀과, 원형틀의 양단에 형성한 걸고리와, 볼트머리부분을 지지대에 용접한 후, 너트로 결합하여 형성한 스프링과, 그물에 있어서 꽃게 및 어류등이 3방향(X,Y,Z)의 입구에 따라 들어간 후 나올 수 없도록 그물내부의 중간부분에 고무밴드를 형성한 접철식 꽃게통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규정된 크기의 절반인 갑장 32mm의 개체는 상업적 가치가 없으므로 통발 양망과 동시에 바다로 투기되었으나, 통상적인 어업인의 입장에서는 통발에 어획된 꽃게 중 갑장 약 50~64mm 인 개체는 규정에는 못 미치는 크기지만 버리기가 아까워서 이용하면서 발생한 갑장 64mm 크기에 조금 못 미치는 꽃게의 포획 및 판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발에서 어획되는 어린 꽃게 보호를 위해 어린 꽃게만 선택적으로 빠져 나갈 수 있는 탈출구가 형성된 꽃게 통발 어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는 사각 또는 원형의 상부 및 하부틀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틀이 일정간격으로 고정하고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틀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그물감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형성된 그물감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어구입구와 탈출구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어구입구의 끝에는 혀그물 또는 깔때기를 설치하여 통발 어구 내부로 입망한 꽃게가 탈출을 저지하고, 상기 탈출구는 직사각 형상으로 탈출구의 형상을 고정하는 출구틀과, 출구틀 내부에는 내부에 입망한 꽃게가 탈출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의 개구부 크기는 폭이 69-70mm이고, 높이는 34-35mm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는 사각 또는 원형의 상부 및 하부틀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틀이 일정간격으로 고정하고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틀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그물감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형성된 그물감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어구입구와 탈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탈출구는 직사각 형상으로 일정 형상으로 고정하는 출구틀과, 상기 출구틀 내부에는 내부에 입망한 꽃게가 탈출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탈출구 개구부에는 상, 하로 대칭하게 개방될 수 있는 덮개가 한쌍으로 설치되며, 덮개는 개구부 바깥 측면에 힌지를 매개로 연결고정되어 통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갑장 64mm 이하의 어린 꽃게는 입망하여도 용이하게 탈출이 가능하여 어린 꽃게 보호가 가능함으로 기존의 자원량이 감소하는 원인이었던 무분별한 어획이 어려운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털출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탈출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탈출구의 덮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탈출구의 덮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실험 꽃게의 갑장과 갑고 관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실험용 통발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꽃게 탈출 실험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어린꽃게 적정 탈출구 높이 결정을 위한 실험용 통발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어린꽃게 적정 탈출구 폭 결정을 위한 실험용 통발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험예 1, 탈출구 높이에 따른 꽃게의 선택 곡선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탈출구 폭에 따른 꽃게의 선택 곡선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와 관련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는 사각 또는 원형의 상부 및 하부틀(100)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틀이 일정간격으로 고정하고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200)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틀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그물감(30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형성된 그물감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어구입구(400)와 탈출구(500)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틀 및 하부틀은 다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 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이격공간에는 상기 상,하부틀을 연결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됨으로써 다각통형상의 구조를 이룬다. 전체적인 장치 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 하부틀은 철재 재질과 같이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감(300)은 통발의 형상과는 관계없이 통발의 최대 폭과 높이에 맞도록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재단하고 그 양끝을 봉합한 뒤에 철틀에 씌우며 그 다음에 그물감의 상단과 하단의 그물코에 가는줄을 끼우고 그것을 죄어서 그물감이 팽팽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어구 입구(400)는 통발 내부로 꽃게가 유입되는 통로구로 크기는 입망시키고자 하는 게의 갑장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입망한 게가 탈출하기 어렵도록 입구의 끝에는 혀그물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혀그물의 재료가 유연하거나 너무 길면 게의 입망이 크게 방해되므로 혀그물의 재료는 게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연도가 낮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혀그물은 그물감으로 원통형의 깔때기 구조를 형성하고 그 바깥쪽은 구멍을 낸 통발 벽에 부착하며, 안쪽 끝은 반으로 접어서 그 양끝을 고무줄로 묶은 다음 다른 쪽 깔때기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탈출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탈출구(500)는 직사각 형상으로 탈출구의 형상을 고정하는 출구틀과, 출구틀 내부에는 내부에 입망한 꽃게가 탈출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폭이 69-70mm, 높이는 34-35mm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고 바람직하게는 폭이 69.1mm, 높이 34.1mm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출구틀에는 통발어망과 결합을 위해 그물사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출구틀 상하좌우측에 복수개 형성된다. 탈출구는 출구틀에 형성된 통공으로 그물사를 항치기하여 통발어망과 결합되도록 하여 설치한다.
상기의 탈출구 크기는 수산자원관리법상 보호 대상인 어린 꽃게로 선정된 갑장 64mm 이하의 꽃게는 탈출구를 통해 탈출 가능하나 갑장 64mm를 초과하는 꽃게는 입망 후 탈출이 불가능한 크기이다. 이에 본 발명은 무분별한 어획으로 인한 자원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통상적인 게류는 시각이 좋아 통발 속에서 들어간 뒤에도 탈출구를 비교적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 꽃게는 용이하게 상기 탈출구를 통해 탈출이 가능하다.
또한, 게는 종류에 관계없이 경계심이 강할 뿐만 아니라 주촉성이 강하여 항상 양쪽 발들이 다른 물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통발의 입구를 통과할 때도 바로 뛰어드는 것이 아니라 한쪽 발들로 입구 끝을 붙잡고 다른 쪽 발들을 아래로 내뻗어서 그 쪽 발이 통발 밑면에 닿을 때에 한해서 입망하기 때문에 입구의 높이는 이러한 행동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의 출구에는 갑장 64mm이하의 꽃게가 출망할 수 있으나, 외부에서도 탈출구를 통해 입망함으로써 통발 내부의 미끼의 소모가 크거나 내부에 입망하는 꽃게 밀도가 커 목적하고자 하는 갑장을 가진 꽃게 입망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통발내부에서 출망은 용이하면서 탈출구를 통해 입망은 불가능한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탈출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탈출구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탈출구 구조로 이루어지고, 탈출구 개구부에 덮개(51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상, 하로 대칭하게 개방될 수 있는 덮개가 한쌍으로 설치되며 개구부 바깥 측면에 힌지를 매개로 연결고정되어 통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만 열리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는 상부 덮개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고 하부 덮개의 하부 측면에 설치됨으로써 덮개는 상,하 대칭하게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어린꽃게(갑장 64mm 이하)가 탈출구를 통해 통발로 입망할 수는 없지만 어구입구를 통해 입망한 어린꽃게는 탈출구를 통해 탈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덮개는 상하로 설치되어 하부에 설치된 덮개는 중력에 의해 항시 개구되어 있다. 이는 눈이 좋은 특성을 지닌 꽃게가 입망한 후 탈출구를 보다 찾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탈출구의 덮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실시예 1내지 2와 동일한 구조의 탈출구 개구부에 좌,우로 대칭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덮개가 한쌍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힌지는 덮개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실시예 2에 동일하게 하부에 힌지가 설치된 덮개는 중력으로 인해 항시 개구되어 진다.
상기 실시예 2 및 3에 따른 출구는 덮개가 탈출구를 완전히 덮는 형태는 아니지만 출입 가능한 꽃게의 크기가 덮개가 없을 때 출입 가능한 크기의 절반으로(갑장은 약 1/2, 중량은 약 1/8)로 줄어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탈출구의 덮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탈출구의 덮개는 좌, 우 대칭하게 개방되도록 덮개 한쌍이 설치되되, 상기 덮개의 측면에는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의 절개선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덮개의 폐쇄 시 요철이 맞물리는 형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때 하부의 덮개는 중력에 따라 개구되는데 이에 출구의 개방되는 개구부 면적은 상기 실시예 2 및 3에 비해 1/4로 줄어들므로 출입 가능한 꽃게의 중량은 약 1/16까지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존의 꽃게 통발 어업에서 어린꽃게 포획과 관련해서 문제가 되는 점은 법적으로 정해놓은 갑장 64mm 크기에 조금 못 미치는 꽃게의 포획 및 판매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규정된 크기의 절반인 갑장 32mm의 개체는 상업적 가치가 없으므로 통발 양망과 동시에 바다로 투기되었으나, 통상적인 어업인의 입장에서는 통발에 어획된 꽃게 중 갑장 약 50~64mm 인 개체는 규정에는 못 미치는 크기지만 버리기가 아까워서 이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갑장 64mm 이하의 어린 꽃게는 입망하여도 용이하게 탈출이 가능하고 상기 실시예 2 내지 3에 따라 탈출구가 절반 정도 개구되어도 크기의 절반인 갑장 32mm의 개체는 탈출구로 입망하고 어획 후 다시 바다에 투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탈출구 부착의 원래 목적인 어린 꽃게 보호가 가능함과 동시에 눈이 좋은 꽃게의 특성을 살려 32이상 64mm이하의 꽃게는 절반 개구된 탈출구를 용이하게 탐색하여 탈출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하기의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탈출구 크기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출구 크기에 대한 효과 확인
꽃게 통발은 어구의 특성상 입구로 들어는 것은 쉽고 나오 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수산자원관리법상 보호 대상인 어린 꽃게(갑장 6.4 cm 이하)도 통발에 들어가면 빠져 나오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통발에서 어획되는 어린 꽃게 보호를 위해 어린 꽃게만 선택적으로 빠져 나갈 수 있는 탈출구 의 크기를 수조실험을 통해 추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르면 탈출구의 모양을 꽃게의 형상과 이동 습성을 고려하여 직사각형으로 정하였다. 탈출구를 결정하는 실험은 다음과 같이 2단계로 진행하였다. 우선 1단계에서는 갑장 6.4 cm 이하의 어린 꽃게가 탈출 가능한 적정 높이를 수조 실험을 통해 구하고 2단계에서는 탈출구의 폭을 결정 하는 실험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적정 탈출구의 폭과 넓이를 도출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꽃게는 2019년 5월 9일부터 6월 5일 사이에 서천군 연안에서 연안개량안강망 어구에 어획된 개체 70마리였다. 어획된 꽃게는 실내수조 (W1000 ×L1000 ×D800)에 5일간 순치한 후 실험에 투입하였다. 순치기간이 및 사육기간 중 삼치 약10.5 g 5~10조각을 매일 오후 5시 30분에 먹이로 공급하였다.
수조 실험에 투입한 꽃게와 탈 출한 꽃게를 구분하기 위해 각 꽃게의 치수 (갑장, 갑폭, 갑 고, 중량, 성별)를 측정한 후 등쪽에 물기를 마른천으로 제거 하고 유성 마커팬을 이용하여 번호를 기입하였다. 하기의 표 1에는 실험에 사용한 꽃게의 갑장 크기 계급별 개체수를 나타냈고, 갑장과 갑고의 관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험용 통발은 도 8과 같이, 기본적으로 기존 꽃게 통발과 유사한 원통 모양으로 제작하였으나 실험에 사용할 다 양한 탈출구 크기를 고려해서 상부 원통부와 하부 탈출부 두 부분으로 각각 제작하여 서로 탈 부착되도록 제작하였다.
실험꽃게의 계급별 개체수
Carapace length rank
(mm)
Number
46-48 1
48-51 1
51-54 6
54-57 8
57-60 11
60-63 16
63-66 7
66-69 6
69-72 4
72-76 6
76-78 2
78-81 3
81-84 1
Total 70
원통부는 꽃게 탈출을 막기 위한 단순한 원통형 구조물 이고 탈출부는 꽃게가 탈출할 수 있는 탈출구가 있는 부분 이다. 어린 꽃게의 탈출구 높이를 결정하는 실험은 도 9와 같이,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용 통발(아크릴,Ø600×H300×T15mm)을 실험 수조(W1000×L1800×D900)에 넣은 후 꽃게를 그 안에 투입하고 비디오 촬영을 통해 탈출하는 개체와 탈출하지 못하는 개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한 탈출구 높이는 32, 35, 38, 41, 44mm이었고 폭은 최대한 넓게 하여 탈출구의 폭이 실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였다. 실험용 통발에 꽃게 5~10마리를 투입하고 탈출한 개체가 있을 때마다 사 육수조에서 새로운 개체를 보충하는 방식으로 총 50마리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각 꽃게가 투입된 시간과 탈출한 시간을 기록하였으며 최대 3시간동안 실험용 통발을 탈출하지 못한 개체는 탈출 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매 실험에 대해서 비디오 분석을 통해 각 높이 조건에 따른 꽃게 탈출 여부와 시간에 따 른 탈출 및 탈출 못한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적정 탈출구 높이는 꽃게 갑장에 대한 탈출구 높이의 선택성 곡선을 구하고 갑장 6.4 cm에 대해 선택률(retain ratio) 이 50%가 되는 높이로 결정하였다. 탈출구 폭을 결정하는 실험도 탈출구 높이를 결정하는 실험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 때 탈출구 높이는 앞의 실험에서 결정된 높이를 적용하였으며 탈출구 폭은 도 11에 나타낸바와 같이 60, 65, 70, 75, 80mm로 제작하고 탈출구의 수는 각각 16개로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은 5월 14일부터 6월 12일까지 국립수산과학원 서 해수산연구소 어군행동실험실에서 수행되었으며, 이 때 실험 수조의 수온은 15.1~19.6도였다.
실험 결과, 탈출구 높이에 대한 꽃게의 크기 선택성 곡선은 도 12와 같이 나타났다. 이 곡선을 이용하여 구한 탈출구 높이 32, 35, 38, 41, 44 mm에 대한 50% 선택 갑장은 각각 60.1, 65.8, 71.4, 77.1, 82.7 mm이었다. 갑장 64 mm 이하인 꽃게가 탈출 가능한 적정 탈출구 높이는 약 34.1 mm로 계산되었다. 탈출구 폭 크기에 대한 꽃게의 크기 선택성 곡선은 도 13과 같이 나타났다. 이 곡선을 이용하여 구한 탈 출구 폭 60, 65, 70, 75, 80 mm에 대한 50% 선택 갑장은 각각 55.6, 60.2, 64.9, 69.5, 74.1 mm이었다. 갑장 64 mm 이하인 꽃게가 탈출 가능한 적정 탈출구 폭은 약 69.6 mm 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어린 꽃게 탈출에 적합한 탈출구 크기는 가로 69.1, 높이 34.1 mm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어획자원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고도의 노동력 및 장비 구입을 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통발 어구를 제공함으로써, 풍부한 어획자원의 증가와 더불어 보다 효율적으로 목적하는 갑장을 가지는 게 어획이 가능하여 관련 어업인의 이익제고에 보탬이 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하부틀 200: 지지부재
300: 그물감 400: 어구입구
500: 탈출구 510: 덮개

Claims (8)

  1. 사각 또는 원형의 상부 및 하부틀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틀이 일정간격으로 고정하고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틀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그물감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형성된 그물감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어구입구와 탈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탈출구는 직사각 형상의 출구틀과, 상기 출구틀 내부에는 내부에 입망한 꽃게가 탈출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탈출구 개구부에는 상, 하로 대칭하게 개방될 수 있는 덮개가 한쌍으로 설치되며, 덮개는 개구부 바깥 측면에 힌지를 매개로 연결고정되어 통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
  2. 사각 또는 원형의 상부 및 하부틀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틀이 일정간격으로 고정하고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틀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그물감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형성된 그물감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어구입구와 탈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탈출구는 직사각 형상의 출구틀과, 상기 출구틀 내부에는 내부에 입망한 꽃게가 탈출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탈출구 개구부에는 좌, 우로 대칭하게 개방될 수 있는 덮개가 한쌍으로 설치되며, 덮개는 개구부 바깥 측면에 힌지를 매개로 연결고정되어 통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
  3. 사각 또는 원형의 상부 및 하부틀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틀이 일정간격으로 고정하고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틀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그물감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며 형성된 그물감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어구입구와 탈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탈출구는 직사각 형상의 출구틀과, 상기 출구틀 내부에는 내부에 입망한 꽃게가 탈출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탈출구 개구부에는 좌, 우 대칭하게 개방되도록 덮개 한 쌍이 설치되되, 측면에는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의 절개선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 바깥 측면에 힌지를 매개로 연결 고정되어 덮개 개구부 통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 개구부 크기는 폭이 69-70mm이고, 높이는 34-35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어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46759A 2020-11-05 2020-11-05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KR102234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59A KR102234532B1 (ko) 2020-11-05 2020-11-05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59A KR102234532B1 (ko) 2020-11-05 2020-11-05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532B1 true KR102234532B1 (ko) 2021-03-31

Family

ID=7523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759A KR102234532B1 (ko) 2020-11-05 2020-11-05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5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985A (ko) 2022-03-10 2023-09-19 장형기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통발용 클립
KR20230132986A (ko) 2022-03-10 2023-09-19 장형기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
KR102671053B1 (ko) 2023-11-22 2024-05-30 주식회사 목일 어류 유입이 용이한 조구 구조체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273U (ja) * 1992-05-29 1993-12-27 モリカワ産業株式会社 毛がに篭
KR950000042U (ko) * 1993-06-04 1995-01-03 이진국 어로용 통발
KR960001741U (ko) * 1994-06-28 1996-01-19 합성섬유제조용 유제공급장치
KR19980042348A (ko) 1996-11-14 1998-08-17 아이다겐지 수지 입자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지입자
KR200166744Y1 (ko) 1999-07-05 2000-02-15 고연주 접철식꽃게통발
KR200174197Y1 (ko) 1999-09-09 2000-03-15 이진국 통발의 유인구
KR200357915Y1 (ko) * 2004-05-13 2004-07-30 임영도 통발의 유도망 고정구조
KR101191278B1 (ko) * 2012-04-30 2012-10-16 서진규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KR101587801B1 (ko) 2015-07-21 2016-01-22 김응환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
KR102094036B1 (ko) * 2019-07-29 2020-03-30 대한민국 어린문어의 탈출기능을 향상시킨 문어단지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273U (ja) * 1992-05-29 1993-12-27 モリカワ産業株式会社 毛がに篭
KR950000042U (ko) * 1993-06-04 1995-01-03 이진국 어로용 통발
KR960001741U (ko) * 1994-06-28 1996-01-19 합성섬유제조용 유제공급장치
KR19980042348A (ko) 1996-11-14 1998-08-17 아이다겐지 수지 입자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지입자
KR200166744Y1 (ko) 1999-07-05 2000-02-15 고연주 접철식꽃게통발
KR200174197Y1 (ko) 1999-09-09 2000-03-15 이진국 통발의 유인구
KR200357915Y1 (ko) * 2004-05-13 2004-07-30 임영도 통발의 유도망 고정구조
KR101191278B1 (ko) * 2012-04-30 2012-10-16 서진규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KR101587801B1 (ko) 2015-07-21 2016-01-22 김응환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
KR102094036B1 (ko) * 2019-07-29 2020-03-30 대한민국 어린문어의 탈출기능을 향상시킨 문어단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985A (ko) 2022-03-10 2023-09-19 장형기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통발용 클립
KR20230132986A (ko) 2022-03-10 2023-09-19 장형기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
KR102671053B1 (ko) 2023-11-22 2024-05-30 주식회사 목일 어류 유입이 용이한 조구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532B1 (ko)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Hubert et al. Passive capture techniques
Boutson et al. Use of escape vents to improve size and species selectivity of collapsible pot for blue swimming crab Portunus pelagicus in Thailand
CA2951946C (en) Crab pot
CA1330163C (en) Entrance gate for fish traps
KR102029761B1 (ko)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Wiley et al. Conservation of the Yellow-shouldered Blackbird Agelaius xanthomus, an endagered West Indian species
CN210538298U (zh) 一种自动分区收集鳅鳝鱼虾蟹的捕捞装置
JP2651899B2 (ja) ボックス型漁具
Grant et al. Reducing the by-catch of platypuses (Ornithorhynchus anatinus) in commercial and recreational fishing gear in New South Wales
JP2012152126A (ja) 植生浮島における水生植物の根茎保護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植生浮島
Shelton et al. A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of the Scottish creel and the inkwell pot in the capture of crabs and lobsters
CN208462754U (zh) 一种外来物种的清除装置
KR101352899B1 (ko) 대게보육어초
Prajith et al. Traditional wisdom of fishing techniques and rituals of Kuruman tribe of Wayanad, Western Ghats
CN105076022A (zh) 诱捕棒花鱼笼具
Ganias et al. How lure prevalence, survival rate and maturity status affect catchability in cuttlefish trap fishery
Thwaites et al.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novel wetland carp harvesting set-up at Lake Bonney, South Australia
İbin et al. Determination of Ghost Fishing Starting Time by Four Different Baited Fish Traps in the Çanakkale Strait (North Aegean Sea)
AU2001100134B4 (en) Enviro-trap
KR102515447B1 (ko) 통발용 유인진입구의 프레임 구조
CN209846010U (zh) 一种鱼虾蟹类网渔具
KR200318300Y1 (ko) 바다생물들의 안식처 겸 양식장이 될 이중 철골 망 어초어구,
Eryasar A preliminary study on whiting (Merlangius merlangus) behaviour to bottom-set pot in the Black Sea
Puspito Design of entrance and escape gaps in collapsible trap for mangrove crabs Scylla s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