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680B1 - 해파리 배제형 어망 - Google Patents

해파리 배제형 어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680B1
KR100878680B1 KR1020070110840A KR20070110840A KR100878680B1 KR 100878680 B1 KR100878680 B1 KR 100878680B1 KR 1020070110840 A KR1020070110840 A KR 1020070110840A KR 20070110840 A KR20070110840 A KR 20070110840A KR 100878680 B1 KR100878680 B1 KR 10087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net
fish
exclusion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연
Original Assignee
김홍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연 filed Critical 김홍연
Priority to KR1020070110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6Sink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파리 배제형 어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류와 해파리가 어망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어망의 중간에 설치된 해파리배제망의 작용에 의해 어류는 어망의 내부에 그대로 존재하게 되고 해파리만 어망의 외부로 배출하게 됨으로써, 해파리와 어류의 동시 포획으로 인한 어류의 손상 및 패사를 막아 어획량 감소를 막을 수 있고, 어망의 훼손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해파리 배제형 어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구가 넓게 확대되어 다량의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부와; 입구가 축소되어 유인부에서 유인한 어류를 모으는 포집부와; 유인부에서 포집된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로; 구성되어 저인망이나 정치망 형태로 어류를 대량 포획하기 위한 어망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의 중간에, 어류의 통과는 가능하나 해파리의 통과가 불가능한 크기의 그물코를 갖는 상부망과 어류와 해파리의 통과가 모두 불가능한 크기의 그물코를 갖는 하부망이 상하로 봉착되되, 중앙이 뚫리도록 상부망의 중간부 양측 테두리단과 하부망의 중간부에서 끝단부까지의 양측 테두리단이 상하로 봉착되고, 상기 상부망의 전단부는 포집부의 전단 상면에 고정되며, 상부망의 끝단부는 포집부의 끝단 하면 밖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망의 전단부는 포집부의 전단 하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해파리배제망과; 상기 해파리배제망의 상부망의 끝단부가 유속에 의해 포집부의 전단 측으로 회귀되어 포집부의 하면과 닿을 수 있도록 하부망의 후단부 저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단속줄이 하부망의 후단부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연결고리와 상부망의 끝단부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타단이 무게추에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진 해파리배제망개폐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해파리 배제형 어망이 제공된다.
어망, 해파리, 배제, 해파리배제망, 해파리배제망개폐구

Description

해파리 배제형 어망{fishing net for exclusion of jellyfish }
본 발명은 해파리 배제형 어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류와 해파리가 어망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어망의 끝단부 전방에 설치된 해파리배제망의 작용에 의해 어류는 어망의 내부에 그대로 존재하게 되고 해파리만 어망의 외부로 배출하게 됨으로써, 해파리와 어류의 동시 포획으로 인한 어류의 손상 및 패사를 막아 어획량 감소를 막을 수 있고, 어망의 훼손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해파리 배제형 어망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발명특허 제10-0683571호, 2007.02.09.
오늘날 환경의 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변화로 인하여 수온이 높은 하절기 연안해역에는 대량의 해파리가 출현함에 따라 정치망 어업이나 저인망 어업 등에 사용되는 어망에 해파리가 어획물과 함께 혼획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해파리의 촉수에 의한 어획물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어획물의 신선도를 최대한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어망에 포획된 해파리를 어획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시켜 어망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어망에서 어획물과 함께 밀집되는 해파리를 어획물과 분리시키는 작업은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어획물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며 작업자가 해파리의 촉수에 의해 상해를 입게 되는 폐단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어망에 대량의 해파리가 혼획된 경우에는 해파리의 중량에 의해 예망작업 중에 예망장치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어망의 일부가 훼손되어 다잡은 어획물도 함께 어망 밖으로 배출되는 폐단도 초래하였다. 이러한 각종 폐단들로 인하여 연안해역에 엄청난 수의 해파리가 출현하였을 경우에는 어업자체를 포기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어획물과 혼획된 해파리를 어망 밖으로 분리 및 분쇄 배출시키도록 한 문헌 1인 해파리 분쇄배출기가 발명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해파리 분쇄배출기는 터빈펌프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어획물에 혼획된 해파리를 해수와 함께 흡입 및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흡입호퍼에 형성된 절단수단과 터빈펌프측에 형성된 분쇄수단에 의하여 해파리를 어망 밖으로 분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어획물과 함께 혼획된 해파리를 신속 간편하게 분리시켜 해파리의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 및 해파리에 의한 어류의 신선도저하와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시키고,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며, 해파리의 분리 배출시 해파리가 일정한 크기로 절단 및 분쇄되도록 함으로서 해파리의 구제기능도 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파리 분쇄배출기는 어획물과 혼획된 해파리를 분리시키는 기능이 주가 됨으로써 해파리가 어획물과 함께 어망으로 유인되어 포획되는 근본 원인을 제거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해파리의 중량에 의해 어망이 훼손되고, 해파리가 차지하는 비율에 의해 어획물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해소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연약해역에 대량으로 출현하는 해파리로 인한 어망의 훼손과 어획량의 감소를 막아 어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망의 중간에 해파리를 포집하여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해파리배제망이 설치되고, 해파리배제망의 끝단부를 해파리의 배출 량을 통해 개폐 혹은 개방시키는 해파리배제망개폐구가 설치되어, 어류만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한 해파리 배제용 어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파리 배제용 어망은 어망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해파리의 수에 따라 능동적으로 끝단부를 폐쇄 혹은 개방시켜 해파리만을 어망 밖으로 배출되게 하는 해파리배제망이 설치됨에 따라, 예망시에 다량의 해파리로 인한 예망장치의 고장과 어망의 훼손 및 어획량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연안해역에 다량의 해파리가 출현하더라도 어업활동을 전혀 지장없이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파리 배제용 어망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해파리 배제용 어망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해파리 배제용 어망의 해파리배제망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해파리배제망의 작용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해파리 배제용 어망(100)은 입구가 넓게 확대되어 다량의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부(1)와; 입구가 축소되어 유인부(1)에서 유인한 어류를 모으는 포집부(2)와; 유인부(1)에서 포집된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3)로; 구성되어 저인망이나 정치망 형태로 어류를 대량 포획하기 위한 어망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2)의 중간에, 어류의 통과는 가능하나 해파리의 통과가 불가능한 크기의 그물코(4')를 갖는 상부망(5)과 어류와 해파리의 통과가 모두 불가능한 크기의 그물코(4")를 갖는 하부망(6)이 상하로 봉착되되, 상부망(5)의 중간부 양측 테두리단과 하부망(6)의 중간부에서 끝단부까지의 양측 테두리단이 상하로 봉착되고, 상기 상부망(5)의 전단부는 포집부(2)의 전단 상면에 고정되며, 상부망(5)의 끝단부는 포집부(2)의 끝단 하면 밖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망(6)의 전단부는 포집부(2)의 전단 하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해파리배제망(7)과; 상기 해파리배제망(7)의 상부망(5)의 끝단부가 유속에 의해 포집부(2)의 전단 측으로 회귀되어 포집부(2)의 하면과 닿을 수 있도록 하부망(6)의 후단부 저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단속줄(8)이 하부망(6)의 후단부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연결고리(9)와 상부망(5)의 끝단부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타단이 무게추(10)에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진 해파리배제망개폐구(1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파리 배제형 어망(100)은 정치망이나 저인망 어업 형태 등으로 사용하여 한 번에 많은 양의 어류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만든 어업도구이다.
특히, 본 발명의 해파리 배제형 어망(100)은 해양환경의 변화로 인해 연안해역에 다량으로 출현하는 해파리가 어획물과 함께 대량으로 포획되어 발생되는 어망(100)의 훼손과 어획량의 감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에 큰 특징 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부(2)의 중간에 어류와 해파리를 분리하여 어류는 포획부(3)의 내부로 계속 유인하고 해파리는 포집부(2)의 외부로 배출하는 해파리배제망(7)과, 상기 해파리배제망(7)의 끝단부를 해파리의 배출량을 통해 자연스럽게 개폐하는 해파리배제망개폐구(11)가 설치됨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어망(100)의 유인부(1)를 통해 어류와 함께 해파리가 유인되어 유입되더라도 포획부(3)의 해파리배제망(7)의 작용에 의해 해파리는 해파리배제망(7)에 걸려 포집부(2)의 밖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고, 어류는 해파리배제망(7)을 그대로 통과하여 포집부(2)를 거쳐 포획부(3)로 유입됨으로써, 해파리로 인한 어망(100)의 훼손과 어획량의 감소를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인데, 이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해파리 무리가 어류와 함께 어망(100)의 유인부(1)를 통해 포집부(2)로 유입되면, 해파리는 해파리배제망(7)에 걸려 하부망(6)의 끝단부로 유인되고, 어류는 해파리배제망(7)을 그대로 통과한 후 포집부(2)를 거쳐 포획부(3)로 자연스럽게 유인되게 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파리배제망(7)을 구성하는 상부망(5)은 어류의 통과가 가능한 반면에 해파리의 통과가 불가능한 크기의 그물코(4')를 가지고, 하부망(6)은 어류와 해파리의 통과가 불가능한 크기의 그물코(4")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류는 상부망(5)을 통과하여 해파리배제망(7)을 그대로 통과하게 되 고, 해파리는 상부망(5)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해파리배제망(7)의 하부망(6)의 끝단부로 유인되게 된다.
여기서 하부망(6)의 끝단부로 유인된 해파리는 상부망(5)의 끝단부까지 유입되면서 상기 상부망(5)의 끝단부가 갖는 유인부(1) 측으로 회귀되는 형상에 의해 포집부(2)의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부망(5)의 끝단부까지 유입된 해파리의 수가 상부망(5)의 회귀되는 부분에 가득차지 않는 이상은 해파리배제망개폐구(11)에 의해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망(6)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간은 연결고리(9)를 따라 상부망(5)을 통과한 단속줄(8)을 당기는 무게추(10)의 힘이 해파리의 하중 보다는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파리의 수가 작을 때는 해파리배제망개폐구(11)가 해파리배제망(7)의 끝단부를 폐쇄시킴으로써, 해파리배제망(7)을 통과하지 않고 해파리배제망(7)으로 그대로 유입된 어류가 해파리와 함께 해파리배제망(7)의 끝단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해파리배제망(7)의 끝단부로 다량의 해파리가 유입된 경우에는 해파리의 하중이 단속줄(8)을 당기는 무게추(10)의 힘도 크게 작용하므로 해파리배제망(7)의 끝단부가 자연스럽게 개방되어 해파리가 포집부(2)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는 다량의 해파리가 해파리배제망(7)의 끝단부를 모두 차지하고 있으므로 어류는 자연스럽게 해파리배제망(7)을 통과하여 포집부(2)를 거쳐 포획부(3)로 유인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해파리의 수에 따라 해파리배제망(7)을 폐쇄 혹은 개방시킴으로써 어류만을 포획부(3)로 유인하고, 해파리는 어망(100) 밖으로 배출하게 됨으로써, 해파리로 인한 어망(100)의 훼손이나 어획량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파리 배제용 어망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해파리 배제용 어망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해파리 배제용 어망의 해파리배제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해파리배제망의 작용에 대한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인부 2: 포집부
3: 포획부 4', 4": 그물코
5: 상부망 6: 하부망
7: 해파리배제망 8: 단속줄
9: 연결고리 10: 무게추
11: 해파리배제망개폐구 100: 어망

Claims (1)

  1. 입구가 넓게 확대되어 다량의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부(1)와; 입구가 축소되어 유인부(1)에서 유인한 어류를 모으는 포집부(2)와; 유인부(1)에서 포집된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3)로; 구성되어 저인망이나 정치망 형태로 어류를 대량 포획하기 위한 어망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2)의 중간에, 어류의 통과는 가능하나 해파리의 통과가 불가능한 크기의 그물코(4')를 갖는 상부망(5)과 어류와 해파리의 통과가 모두 불가능한 크기의 그물코(4")를 갖는 하부망(6)이 상하로 봉착되되, 중앙이 뚫리도록 상부망(5)의 중간부 양측 테두리단과 하부망(6)의 중간부에서 끝단부까지의 양측 테두리단이 상하로 봉착되고, 상기 상부망(5)의 전단부는 포집부(2)의 전단 상면에 고정되며, 상부망(5)의 끝단부는 포집부(2)의 끝단 하면 밖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망(6)의 전단부는 포집부(2)의 전단 하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해파리배제망(7)과; 상기 해파리배제망(7)의 상부망(5)의 끝단부가 유속에 의해 포집부(2)의 전단 측으로 회귀되어 포집부(2)의 하면과 닿을 수 있도록 하부망(6)의 후단부 저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단속줄(8)이 하부망(6)의 후단부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연결고리(9)와 상부망(5)의 끝단부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타단이 무게추(10)에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진 해파리배제망개폐구(1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해파리 배제형 어망.
KR1020070110840A 2007-11-01 2007-11-01 해파리 배제형 어망 KR10087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840A KR100878680B1 (ko) 2007-11-01 2007-11-01 해파리 배제형 어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840A KR100878680B1 (ko) 2007-11-01 2007-11-01 해파리 배제형 어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680B1 true KR100878680B1 (ko) 2009-01-13

Family

ID=4048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840A KR100878680B1 (ko) 2007-11-01 2007-11-01 해파리 배제형 어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6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5940A (zh) * 2010-02-11 2011-08-31 车慧真 帆布式捕鱼用鱼网
CN102845375A (zh) * 2012-09-07 2013-01-02 怀远县渔业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泥鳅捕捞网
CN106070100A (zh) * 2016-06-21 2016-11-09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用于拖网的水母排除装置
KR101924376B1 (ko) 2018-08-28 2018-12-04 대한민국 해파리 절단장치
CN117775202A (zh) * 2024-01-11 2024-03-29 山东省淡水渔业研究院(山东省淡水渔业监测中心) 一种用于渔业资源调查的遥控作业渔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112Y1 (ko) * 2007-02-01 2007-05-28 (주)신한디엠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
KR100779591B1 (ko) 2007-07-24 2007-11-30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배출 및 절단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112Y1 (ko) * 2007-02-01 2007-05-28 (주)신한디엠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
KR100779591B1 (ko) 2007-07-24 2007-11-30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배출 및 절단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5940A (zh) * 2010-02-11 2011-08-31 车慧真 帆布式捕鱼用鱼网
CN102845375A (zh) * 2012-09-07 2013-01-02 怀远县渔业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泥鳅捕捞网
CN106070100A (zh) * 2016-06-21 2016-11-09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用于拖网的水母排除装置
KR101924376B1 (ko) 2018-08-28 2018-12-04 대한민국 해파리 절단장치
CN117775202A (zh) * 2024-01-11 2024-03-29 山东省淡水渔业研究院(山东省淡水渔业监测中心) 一种用于渔业资源调查的遥控作业渔船
CN117775202B (zh) * 2024-01-11 2024-05-17 山东省淡水渔业研究院(山东省淡水渔业监测中心) 一种用于渔业资源调查的遥控作业渔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453B1 (ko)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Chong et al. The fish and prawn communities of a Malaysian coastal mangrove system, with comparisons to adjacent mud flats and inshore waters
KR100878680B1 (ko) 해파리 배제형 어망
Moser et al. Behavior and potential threats to survival of migrating lamprey ammocoetes and macrophthalmia
US5325619A (en) Selective excluding fishing trawl device
Erman et al. The quantitative importance of an intermittent stream in the spawning of rainbow trout
KR100878839B1 (ko)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US51231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targeted species of aquatic life
KR100518361B1 (ko) 해파리 분리배출장치
Maitland et al. The ecology of lampreys (Petromyzonidae) in the Loch Lomond area
KR100925880B1 (ko)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KR100779591B1 (ko) 해파리 분리배출 및 절단망
Bartel et al. Impact of the Włocławek dam on migratory fish in the Vistula River
KR101039552B1 (ko) 해파리 피해저감용 분리배출 및 제거망
CN107593633A (zh) 一种用于拖网的垃圾释放装置及方法
Horne et al. Distribution of river shrimp in the Guadalupe and San Marcos Rivers of central Texas, USA (Decapoda, Caridea)
KR100891865B1 (ko) 연안안강망(낭장망)에 사용되는 수산동물 여과·포획용 어망
Boopendranath et al. Technologies for responsible fishing-BRDs and TEDs
US1640990A (en) Method of removing and catching the scales of fish at traps
Benavides The negative impacts of gillnet fishing on marine ecosystems: a scientific review
Wade et al. Passive Trapping of Western Brook Lamprey (Lampetra Richardson), Morrison Creek Population in 2021
Tokai Trawl with separator-panel for by-catch reduction and evaluation methodology of their selective performance
RU2171573C2 (ru) Сорт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ла
JP3822878B2 (ja) 魚類の捕獲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定置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