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797B1 -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2797B1 KR102602797B1 KR1020230065392A KR20230065392A KR102602797B1 KR 102602797 B1 KR102602797 B1 KR 102602797B1 KR 1020230065392 A KR1020230065392 A KR 1020230065392A KR 20230065392 A KR20230065392 A KR 20230065392A KR 102602797 B1 KR102602797 B1 KR 1026027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
- fishing
- zipper
- open space
-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MQXQVCLAUDMCEF-CWLIKTDRSA-N amoxicillin trihydrate Chemical compound O.O.O.C1([C@@H](N)C(=O)N[C@H]2[C@H]3SC([C@@H](N3C2=O)C(O)=O)(C)C)=CC=C(O)C=C1 MQXQVCLAUDMCEF-CWLIKTDR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41000251730 Chondrichthye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41001125840 Coryphaenida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34699 Vitreous floater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17 mig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669679 Eleot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28 corn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치망을 구성하는 벽체그물상에 설치되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정치망의 외부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한 탈출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치망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벽체그물의 상측부에서 벽체그물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그물망을 절개하여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을 위한 개방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개방공간의 내측에 해당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지퍼식 개폐기구를 설치함으로서, 정치망의 내부에 갇힌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벽체그물에 제공된 개방공간을 오픈(Open)시킨 다음,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개방공간측으로 유도하여 정치망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고,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의 외부로 빠져 나간 이후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로 개방공간을 다시 폐쇄시킴에 따라 다음의 조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정치망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들어 올리면서 조업대상 어류를 어획하는 작업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빼내어 정치망의 그물 영역 외부로 다시 방생하는 번거러운 작업 및 해당 작업의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해양생물의 폐사와 그물 어구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치망을 구성하는 벽체그물상에 설치되어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갈 수 있는 공간을 필요시마다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을 빠져 나간 이후에는 해당 공간을 다시 폐쇄시켜 다음의 조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치망은 조업의 대상이 되는 어류가 무리를 지어 이동 및 회유하는 수역(水域)에 함정그물을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놓음으로서 조업대상 어류가 함정그물의 내부에 갇히도록 한 어구를 총칭하는 것이며, 조업대상 어류의 이동 및 회유경로를 차단하는 차단망과, 상기 차단망의 일측단에 깔때기형 입구망을 펼쳐 놓은 상태로 설치되는 유도망과, 상기 유도망의 좁은 깔때기형 출구측에 설치되는 포획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 차단망은 해저면으로부터 해수면에 이르는 높이의 벽체그물을 일정한 길이에 걸쳐 직선 형태로 설치하여 놓은 것이고, 상기 입구망을 포함하는 유도망과 조업대상 어류의 최종 포획망은 해저면상에 놓이는 바닥그물과, 상기 바닥그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된 상태로 해수면에 이르는 높이까지 배치되는 벽체그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벽체그물 상단측과 하단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부자(浮子)와 침자(沈子)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정치망 자체는 부이를 개재시킨 상태로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와 계류로프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정치망을 조업대상 어류가 이동 및 회유하는 수역에 설치하여 놓게 되면, 조업대상 어류의 이동 및 회유 길목을 가로막은 차단망을 따라 조업대상 어류가 입구망을 거쳐 유도망의 내부에 일차적으로 갇힌 다음, 유도망의 내부에서 유영하던 조업대상 어류가 유도망의 출구를 거쳐 포획망의 내부에 최종적으로 갇히게 되는 것이며, 입구망으로부터 유도망과 포획망에 이르기까지 제공된 깔때기형 통로구조에 의하여 포획망에 갇힌 어류가 유도망과 입구망을 거쳐 정치망의 외부로 쉽게 탈출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함정그물의 구조적인 특성상 조업대상 어류 뿐만 아니라 조업대상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보호생물까지 정치망에 의하여 무분별하게 혼획(混獲)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정치망을 이용한 조업작업의 능률성과 경제성 및 그 수익성 뿐만 아니라, 돌고래나 상괭이와 같은 해양생물의 안전한 보호 및 관리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다시 말해서, 조업대상 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의 포획망 내부에 함께 갇혀 있는 경우, 해당 포획망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들어올려 조업대상 어류를 어획하는 작업시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포획망으로부터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빼내어 정치망의 그물 영역 외부로 다시 방생하는 번거러운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조업작업의 전체적인 능률성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이고, 해당 작업에 과도한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어 조업작업에 따른 경제성과 수익성 역시 악화된다는 것이다.
특히, 정치망에 갇힌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빼내어 방생시키는 과정에서 해양생물이 스트레스를 받아 폐사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생물을 안전하게 보호 및 관리하는 측면에도 전혀 부합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업과정에서 해양생태계 관리 및 보호를 위한 법률을 의도하지 않게 위반하는 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정치망에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제공되지 못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치망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벽체그물의 상측부에서 벽체그물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그물망을 절개하여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을 위한 개방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개방공간의 내측에 해당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지퍼식 개폐기구를 설치함으로서, 정치망의 내부에 갇힌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벽체그물에 제공된 개방공간을 오픈(Open)시킨 다음,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개방공간측으로 유도하여 정치망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고,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의 외부로 빠져 나간 이후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로 개방공간을 다시 폐쇄시킴에 따라 다음의 조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탈출유도장치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자용 뜸줄 또는 벽체그물의 상단측 힘줄상에 인양고리를 설치함으로서, 탈출유도장치의 신속한 위치 판단과 함께 해당 벽체그물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측으로 들어 올려 개방공간의 지퍼식 개폐작업을 보다 더 손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개방공간의 중앙부 상,하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 부분에 부력재와 무게추를 각각 연결시키거나, 그 중앙부 상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 부분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당김줄을 연결시킴으로서, 개방공간의 상,하 방향 개방폭을 최대한으로 확장시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하는 한편, 각기 다른 방향으로 지퍼식 개폐작업이 수행되는 2열의 개방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함으로서,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보다 더 손쉬운 개폐작업이 가능한 방향의 개방공간을 폭넓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는, 정치망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벽체그물의 상측부에서 벽체그물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그물망을 절개하여 형성시킨 개방공간과, 상기 개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개방공간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퍼식 개폐기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은 벽체그물을 따라 상,하 2열(列)로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퍼식 개폐기구는 개방공간의 개폐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는 스커트를 개재시킨 상태로 개방공간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서 벽체그물의 그물망과 각각 연결 설치되는 치차부와, 상기 각각의 치차부가 맞물리게 하여 개방공간을 폐쇄시키거나, 상기 각각의 치차부가 벌어지게 하여 개방공간을 오픈시키는 패스너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패스너는 각각의 치차부와 맞물린 상태로 치차부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개방공간의 양측단에는 스커트가 포함된 각 치차부의 양측단을 벽체그물의 그물망과 한데 묶어 연결시킨 결착단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의 상부에 해당하는 벽체그물의 상단측 힘줄 또는 정치망용 부자의 설치를 위한 뜸줄에는 인양고리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의 중앙부 상측과 중앙부 하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 부분에는 부력재와 무게추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부력재를 대신하여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의 중앙부 상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 부분에는 당김줄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당김줄이 벽체그물의 상단측을 거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벽체그물의 상단측에 제공된 힘줄 또는 정치망용 부자의 설치를 위한 뜸줄에는 당김줄이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튜브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튜브를 거쳐 해수면의 외부로 연장되는 당김줄의 상단측에는 걸고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당김줄이 벽체그물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판상(板狀) 또는 블록 형상의 네트홀더가 개재되고, 상기 네트홀더의 일측에 벽체그물 부분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네트홀더의 타측에 당김줄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치망의 내부에 갇힌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벽체그물에 제공된 개방공간을 오픈시킨 다음,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개방공간측으로 유도하여 정치망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고,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의 외부로 빠져 나간 이후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로 개방공간을 다시 폐쇄시킴에 따라 다음의 조업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정치망의 포획망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들어 올려 조업대상 어류를 어획하는 작업시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포획망으로부터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빼내어 정치망의 그물 영역 외부로 다시 방생하는 번거러운 작업 및 해당 작업의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해양생물의 폐사와 그물 어구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토록 함으로서, 조업작업의 능률성과 경제성 및 그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생물을 안전하게 보호 및 관리하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탈출유도장치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자용 뜸줄 또는 벽체그물의 상단측 힘줄상에 인양고리를 설치함으로서, 탈출유도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신속한 판단과 함께 해당 위치의 벽체그물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측으로 들어 올려 개방공간의 지퍼식 개폐작업을 보다 더 손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각기 다른 방향으로 지퍼식 개폐작업이 수행되는 2열의 개방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함으로서,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보다 더 손쉬운 개폐작업이 가능한 방향의 개방공간을 폭넓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개방공간의 중앙부 상,하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 부분에 부력재와 무게추를 각각 연결시키거나, 상기 부력재를 대신하여 개방공간의 중앙부 상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 부분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당김줄을 연결시킴으로서, 부력재의 부력과 무게추의 침력 또는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당김줄을 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개방공간의 상,하 방향 개방폭을 보다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개방공간을 거쳐 정치망의 외부로 보다 더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부자용 뜸줄이나 벽체그물의 상단측 힘줄상에 당김줄이 관통되는 가이드튜브를 설치하고, 상기 당김줄의 상단측에 걸고리를 제공하는 한편, 당김줄의 하단측이 벽체그물과 연결되는 부분에 인장력 분산을 위한 네트홀더를 개재시킴으로서, 당김줄을 이용한 개방공간의 확장 조작을 한층 더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비교적 강한 힘으로 당김줄을 당기더라도 벽체그물의 그물망 부분이 불필요하게 손상 및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가 적용된 정치망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가 적용된 정치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유도장치를 나타내는 도 1 및 도 2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폭 확장을 위하여 부력재와 무게추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폭 확장을 위하여 당김줄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김줄의 가이드튜브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김줄이 네트홀더에 의하여 벽체그물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13은 도 3의 탈출유도장치가 벽체그물상에 2열(列)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가 적용된 정치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유도장치를 나타내는 도 1 및 도 2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폭 확장을 위하여 부력재와 무게추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폭 확장을 위하여 당김줄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김줄의 가이드튜브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김줄이 네트홀더에 의하여 벽체그물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13은 도 3의 탈출유도장치가 벽체그물상에 2열(列)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탈출유도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가 설치되는 정치망은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조업대상 어류의 이동 및 회유경로를 차단하는 차단망(2)과, 상기 차단망(2)의 일측단(도면상 좌측단)에 깔때기형 입구망(3)을 펼쳐 놓은 상태로 설치되는 유도망(4)과, 상기 유도망(4)의 좁은 깔때기형 출구측에 설치되는 포획망(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1에서는 입구망(3)으로부터 포획망(5)에 이르기까지 유도망(4)이 한 방향을 따라 2단으로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고, 도 2에서는 유도망(4)의 양측 출구에 포획망(5)이 각각 1개씩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앞선 종래기술의 내용에서도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망(2)은 해저면으로부터 해수면에 이르는 높이의 벽체그물(6)을 일정한 길이에 걸쳐 직선 형태로 설치하여 놓은 것이고, 상기 입구망(3)을 포함하는 유도망(4)과 조업대상 어류의 최종 포획망(5)은 해저면상에 놓이는 바닥그물(7)(도면상 망목 구조는 미도시)과, 상기 바닥그물(7)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된 상태로 해수면에 이르는 높이까지 배치되는 벽체그물(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벽체그물(6) 상단측과 하단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부자(8)와 침자(9)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치망(1) 자체는 부이(20)를 개재시킨 상태로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22)와 계류로프(21)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10)는 정치망(1)의 포획망(5)을 제공하는 벽체그물(6)상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상기 포획망(5) 이외에도 유도망(4)을 제공하는 벽체그물(6)상에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될 수도 있고, 그 적용 개수 또한 해당 벽체그물(6)의 크기나 위치 등에 맞추어 2군데 이상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적용되는 정치망(1) 역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정치망(1)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출유도장치(10)는 도 3 내지 도 5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치망(1)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벽체그물(6)의 상측부에서 벽체그물(6)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그물망을 절개하여 형성시킨 개방공간(10a)과, 상기 개방공간(10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개방공간(10a)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퍼식(Zipper type) 개폐기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벽체그물(6)상에 설치되는 높이는 돌고래나 상괭이 등이 포함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주된 유영층과 개방공간(10a)의 개폐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벽체그물(6)의 상단측으로부터 벽체그물(6) 높이의 1/10 내지 1/5에 해당하는 위치, 예를 들어 10m 높이의 벽체그물(6)을 기준으로 하여 벽체그물(6)의 상단측으로부터 1m 내지 2m 정도 아래에 해당하는 위치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공간(10a)의 절개 길이 역시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1)의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충분한 통로, 다시 말해서 상기 개방공간(10a)이 상,하 방향으로 충분하게 벌려질 수 있도록 최소 1.5m에서 최대 2.5m 정도의 길이로 절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는 개방공간(10a)을 따라 패스너(Fastener)(11)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서 개방공간(10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가 적용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의 대표적인 일례로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벽체그물(6)용 그물망과의 연결을 위한 스커트(Skirt)(13)를 개재시킨 상태로 개방공간(10a)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서 벽체그물(6)상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한 쌍의 치차부(齒車部)(12)와, 상기 각각의 치차부(12)가 서로 맞물리게 하여 개방공간(10a)을 폐쇄시키거나, 상기 각각의 치차부(12)가 서로 벌어지게 하여 개방공간(10a)을 오픈시키는 패스너(11)로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패스너(11)는 각각의 치차부(12)와 맞물린 상태로 치차부(12)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1a)와, 상기 슬라이더(11a)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11b)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슬라이더(11a)의 좌,우 왕복 이동에 따라 각각의 치차부(12)가 서로 맞물리거나(개방공간 폐쇄) 벌어지게(개방공간 오픈) 되는 것이며, 상기 개방공간(10a)의 양측단에는 스커트(13)가 포함된 각 치차부(12)의 양측단을 벽체그물(6)의 그물망과 한데 묶어 연결시킴으로서 패스너(11)의 스토퍼(Stopper) 기능을 수행하는 결착단부(14)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출유도장치(10)가 정치망(1)의 벽체그물(6)과 함께 해수중에 배치되므로,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의 치차부(12)는 비교적 큰 이빨(톱니부)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하여 직물 재질의 스커트(13) 및 플라스틱 재질의 패스너(11)와 함께 적용시킴으로서, 해수에 의한 패스너(11)와 치차부(12)의 부식을 방지하고 보다 더 부드러운 지퍼 조작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스너(11)의 손잡이(11b)는 벽체그물(6)의 내측(정치망 안쪽)과 외측(정치망 바깥쪽)에서 지퍼식 개폐작업이 모두 가능하도록 슬라이더(11a)의 양측면에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의 상부에 인양고리(8b)가 제공되어 있는 바, 상기 인양고리(8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를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보다 더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는 동시에, 해당 인양고리(8b)를 조업선박의 크레인에 걸어 놓은 다음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벽체그물(6)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측으로 들어 올려 개방공간(10a)의 지퍼식 개폐작업을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상 상기 인양고리(8b)가 정치망(1)용 부자(8)가 고정된 뜸줄(8a)상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인양고리(8b)를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상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면서도 그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인양고리(8b)를 제작하되, 원형고리의 하단에 상기 뜸줄(8a) 또는 힘줄(6a)과 견고하게 고정되는 연결부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변의 부자(8)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인양고리(8b)를 제작하여 탈출유도장치(10)의 위치 식별이 한층 더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것은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10a)의 중앙부 상측과 중앙부 하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6) 부분에 부력재(15)와 무게추(15a)를 각각 연결 설치하여 탈출유도장치(10)를 구성한 것으로서, 해당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벽체그물(6)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측으로 들어 올린 다음, 지퍼식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개방공간(10a)을 오픈시킨 상태에서 해당 벽체그물(6) 부분을 해수중에 다시 드리울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부력재(15)의 부력(浮力)과 무게추(15a)의 침력(沈力)에 의하여 개방공간(10a)의 상,하 방향 개방폭을 보다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방공간(10a)의 중앙부 상,하측에 부력재(15)와 무게추(15a)를 각각 적용시킴으로서, 지퍼식 개폐기구에 의한 개방공간(10a)의 오픈시 그 상,하 방향의 개방폭을 보다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면,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1)의 외부로 보다 더 용이하고 안전하게 빠져 나갈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 부력재(15)와 무게추(15a)는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지만, 정치망(1)용 부자(8) 및 침자(9)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동일한 부력과 침력을 제공한다는 전제 조건하에서 상기 부력재(15)와 무게추(15a)를 개방공간(10a)의 정중앙부 상,하측에 각각 하나씩 적용시키는 방식보다는 개방공간(10a)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그 1/4 내지 1/3 정도에 해당하는 개방공간(10a)의 중앙부 상,하측을 따라 다수 개(도면상 3개)의 부력재(15)와 무게추(15a)를 일정 간격으로 분산 설치하는 것이 개방폭의 균일한 확장과 함께 그물망의 불필요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보다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은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10a)의 중앙부 상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6) 부분에 당김줄(16)을 연결시킨 탈출유도장치(10)를 나타낸 것으로서, 해당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벽체그물(6)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측으로 들어 올려 지퍼식 개폐기구로 개방공간(10a)을 오픈시키는 한편, 상기 당김줄(16)의 상단측은 조업선박의 갑판에 걸어둔 상태에서 해당 벽체그물(6) 부분을 해수중에 다시 드리워 놓은 다음, 도 9에서와 같이 당김줄(16)을 이용하여 개방공간(10a) 상측의 벽체그물(6) 부분을 상부 방향으로 당겨냄으로서 개방공간(10a)의 상,하 방향 개방폭을 보다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당김줄(16)은 벽체그물(6)의 상단측을 거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것이며, 상기 당김줄(16)의 상단부를 부자(8)용 뜸줄(8a)이나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상에 임의로 연결시켜 놓았다가 개방공간(10a)의 오픈작업시 이를 풀어내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개방공간(10a)의 오픈 작업과 당김줄(16)의 조작을 보다 더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부자(8)용 뜸줄(8a) 또는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상에 당김줄(16)이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튜브(17)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튜브(17)를 거쳐 해수면의 외부로 연장되는 당김줄(16)의 상단측에 걸고리(16a)를 제공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당김줄(16)의 하단측이 벽체그물(6)과 연결되는 부분에도 당김줄(16)을 거쳐 벽체그물(6)의 국소 부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해당 위치의 그물망 부분에 걸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판상(板狀) 또는 블록(Block) 형상의 네트홀더(Net holder)(19)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네트홀더(19)의 일측에 벽체그물(6)의 그물망 부분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네트홀더(19)의 타측에 당김줄(16)이 연결될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기준으로 할 경우, 개방공간(10a)의 중앙부 상측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당김줄(16)이 상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튜브(17)와 네트홀더(19)는 각각의 당김줄(16)마다 하나씩 제공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네트홀더(19)는 커넥팅로드(19a)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당김줄(16)의 적용시에도 개방공간(10a) 중앙부 하측의 벽체그물(6)상에 앞서 설명되어진 무게추(15a)를 추가로 설치함에 따라, 당김줄(16)을 상부로 당기는 힘과 무게추(15a)의 침력을 동시에 활용하여 개방공간(10a)의 확장폭을 최대한으로 늘릴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각각의 당김줄(16)을 서로 마주보게 비스듬히 연장시켜 커넥팅로드(19a)의 중앙측 상부에 해당하는 임의 위치에서 각각의 당김줄(16)을 "∧"자 형태로 일차 연결시킨 다음, 해당 연결부위로부터 하나의 당김줄(16)을 상부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도 있고, 상기 개방공간(10a)의 정중앙부 상측에 하나의 당김줄(16)만을 연결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이드튜브(17)는 당김줄(16)의 개수에 맞추어 부자(8)용 뜸줄(8a)이나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상에 한 개만 설치될 것이다.
상기 가이드튜브(17)의 세부적인 구조는 도 10 및 도 11에 걸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줄(16)의 직경보다 큰 내경, 바람직하게는 당김줄(16) 직경의 1.5~2배 정도의 내경을 가지는 관통구멍(17b)이 튜브몸통의 중심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몸통의 일측(도면상 좌측)에는 부자(8)용 뜸줄(8a) 또는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연결튜브(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튜브(18)는 해당 뜸줄(8a) 또는 힘줄(6a) 부분과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가이드튜브(17)를 연결튜브(18)와 함께 해당 뜸줄(8a) 또는 힘줄(6a)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연결튜브(18)의 몸통 일측에 클램퍼(Clamper)(18a)를 적용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클램퍼(18a)의 대표적인 일례로서는 연결튜브(18)의 후방측에서 상,하로 돌출되는 한 쌍의 클램핑단부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클램핑단부가 형성된 연결튜브(18) 부분는 절개되어질 것이고, 해당 절개부를 이용하여 각 클램핑단부 사이의 간격을 벌림으로서 연결튜브(18)의 관통구멍(18b) 내부로 뜸줄(8a) 또는 힘줄(6a)을 삽입시킨 다음, 각각의 클램핑단부를 다시 오므려 밀착시킨 상태에서 클램핑볼트 및 너트로 각각의 클램핑단부를 조임에 따라 연결튜브(18)가 가이드튜브(17)와 함께 뜸줄(8a) 또는 힘줄(6a)과 견고하게 맞물려 고정될 것이며, 이외에도 연결튜브(18)의 일측 몸통을 관통하여 뜸줄(8a) 또는 힘줄(6a)측으로 체결되는 클램핑볼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당김줄(16)의 상단측에 제공되는 걸고리(16a)는 당김줄(16) 자체를 로프매듭(16b)에 의하여 고리 형태로 만든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을 이용하여 별도 제작된 원형고리를 당김줄(16)의 상단측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튜브(17)의 경우에도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며, 상기 걸고리(16a)용 로프매듭(16b)의 하부에는 당김줄(16)이 관통된 상태로 가이드튜브(17)의 상단면에 놓이는 스토퍼(17a)를 제공함으로서, 해당 로프매듭(16b) 부분이 가이드튜브(17)의 관통구멍(17b)으로 박혀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튜브(17) 및/또는 걸고리(16a)의 경우에도 주변의 부자(8)와 다른 색상으로 제작하여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를 한층 더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앞서 설명되어진 인양고리(8b)는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당김줄(16)의 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네트홀더(19)의 대표적인 일례로서 도 12에서와 같이 사각 블록 형상의 몸통 일측(도면상 좌측)에 벽체그물(6)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그 타측(도면상 우측)에 당김줄(16)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앞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네트홀더(19)는 당김줄(16)을 거쳐 벽체그물(6)의 국소 부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해당 위치의 그물망 부분에 걸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분산시킴으로서, 당김줄(16)과 연결되는 벽체그물(6)의 그물망 부분이 불필요하게 손상 및 파손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므로, 당김줄(16)이 연결되는 몸통 부분 보다는 벽체그물(6)이 연결되는 몸통 부분의 면적(부피)을 다소 크게 하여 벽체그물(6)과 연결되는 네트홀더(19)의 몸통측에 여러 개의 그물코가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네트홀더(19)의 몸통 자체를 벽체그물(6)의 그물망과 일체로 고정시키는 방식보다는 네트홀더(19)의 몸통 일측에 벽체그물(6)의 그물망 부분을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클램핑볼트(19d)에 의하여 해당 몸통측으로 체결되는 가압조립판(19c)을 이용하여 네트홀더(19)와 벽체그물(6)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당김줄(16)의 경우에는 네트홀더(19)의 몸통 타측부에 제공된 수직 방향의 관통구멍(19b)을 따라 삽입시킨 다음, 그 하단측에 로프매듭(16b)을 지어 당김줄(16)이 네트홀더(19)를 떠받치는 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 이외에도 당김줄(16)을 벽체그물(6)의 그물망과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네트홀더(19) 자체의 외관 형상과 벽체그물(6) 및 당김줄(16)을 네트홀더(19)와 연결시키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네트홀더(19)의 경우에도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내부식성 금속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유도장치(10)를 벽체그물(6)의 상측부에 상,하 2열(列)로 배치시키되, 상기 각각의 지퍼식 개폐기구에 의한 개방공간(10a)의 개폐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식의 적용에 따라 해당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벽체그물(6)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측으로 들어 올린 다음, 2개의 탈출유도장치(10)가 제공하는 각각의 개방공간(10a) 중에서 보다 더 손쉬운 개폐작업이 가능한 방향의 개방공간(10a)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벽체그물(6)의 상측부에 2열의 탈출유도장치(10)를 설치한 경우에도 각각의 탈출유도장치(10)마다 앞서 설명되어진 부력재(15)와 무게추(15a) 또는 당김줄(16)과 가이드튜브(17) 및 네트홀더(19)을 추가로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인양고리(8b)의 경우에는 탈출유도장치(10)의 개수에 상관없이 그 상부측에 해당하는 뜸줄(8a)이나 힘줄(6a)상에 하나만 설치해도 무방하며, 그 이외에 지퍼식 개폐기구 등에 관한 나머지 세부적인 기술적 사항은 도 3 내지 도 5를 기초로 하여 설명되어진 내용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는 정치망(1)용 부자(8)가 설치되는 뜸줄(8a)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승줄(6b)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연승줄(6b)에 의하여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이 뜸줄(8a) 아래에 매달려 설치된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하였으나, 상기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 자체에 부자(8)를 설치하여 해당 힘줄(6a)이 뜸줄(8a)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토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양고리(8b)와 가이드튜브(17)는 부자(8)와 함께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상에 모두 설치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정치망(1)의 내부에 갇힌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개방공간(10a)을 오픈시킨 다음,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개방공간(10a)측으로 유도하여 정치망(1)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가도록 할 수 있으며,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1)의 외부로 빠져 나간 이후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로 개방공간(10a)을 다시 폐쇄시킴에 따라 다음의 조업작업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를 해수면의 외부로 노출된 인양고리(8b) 등으로 일차 확인한 다음,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부터 포획망(5)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들어 올리면서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을 수행하여 나가다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유영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만을 남겨둔 상태로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을 일차적으로 완료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조업선박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벽체그물(6) 부분을 갑판측으로 들어 올린 다음, 지퍼식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개방공간(10a)을 오픈시킨 상태에서 해당 벽체그물(6)을 다시 해수중에 드리움에 따라,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오픈된 개방공간(10a)을 거쳐 정치망(1)의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며,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1)의 외부로 빠져 나간 이후에 해당 벽체그물(6)을 크레인으로 다시 들어 올려 지퍼식 개폐기구로 개방공간(10a)을 폐쇄시킴으로서 다음의 조업작업이 가능토록 한다는 것이다.
상기의 내용은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포획망(5)의 벽체그물(6)에 설치되는 한편, 포획망(5)의 내부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조업대상 어류와 함께 갇힌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유도망(4)의 벽체그물(6)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을 유도할 수도 있고, 해당 벽체그물(6)의 일부를 들어 올려 개방공간(10a)만을 오픈시킨 다음, 그 개방공간(10a)측으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유도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유도망(4)의 내부에 조업대상 어류가 대량으로 갇혀 있는 상황에 적합하고, 후자의 경우는 대부분의 조업대상 어류가 포획망(5)에 갇혀 있는 한편, 유도망(4)에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갇혀 있는 상황에 적합하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를 유도망(4)과 포획망(5)에 모두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포획망(5)에만 적용된 경우에도 유도망(4)에 갇힌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조업대상 어류와 함께 포획망(5)으로 몰아 넣은 다음, 포획망(5)의 탈출유도장치(10)를 이용하여 비조업대상 해양생물만을 탈출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정치망(1)의 포획망(5)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들어 올려 조업대상 어류를 어획하는 작업시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포획망(5)으로부터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빼내어 정치망(1)의 그물 영역 외부로 다시 방생하는 번거러운 작업 및 해당 작업의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해양생물의 폐사와 그물 어구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토록 함으로서, 조업작업의 능률성과 경제성 및 그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생물을 안전하게 보호 및 관리하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탈출유도장치(10)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자(8)용 뜸줄(8a) 또는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b)상에 인양고리(8b)를 설치함으로서,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의 신속한 판단과 함께 해당 위치의 벽체그물(6)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측으로 들어 올려 개방공간(10a)의 지퍼식 개폐작업을 보다 더 손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방향으로 지퍼식 개폐작업이 수행되는 2열의 개방공간(10a)을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함으로서,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보다 더 손쉬운 개폐작업이 가능한 방향의 개방공간(10a)을 폭넓게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방공간(10a)의 중앙부 상,하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6) 부분에 부력재(15)와 무게추(15a)를 각각 연결시키거나, 상기 부력재(15)를 대신하여 개방공간(10a)의 중앙부 상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6) 부분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당김줄(16)을 연결시킴으로서, 부력재(15)의 부력과 무게추(15a)의 침력 또는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당김줄(16)을 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개방공간(10a)의 상,하 방향 개방폭을 보다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개방공간(10a)을 거쳐 정치망(1)의 외부로 보다 더 안전하고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부자(8)용 뜸줄(8a)이나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상에 당김줄(16)이 관통되는 가이드튜브(17)를 설치하고, 상기 당김줄(16)의 상단측에 걸고리(16a)를 제공하는 한편, 당김줄(16)의 하단측이 벽체그물(6)과 연결되는 부분에 인장력 분산을 위한 네트홀더(19)를 개재시킴으로서, 당김줄(16)을 이용한 개방공간(10a)의 확장 조작을 한층 더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비교적 강한 힘으로 당김줄(16)을 당기더라도 벽체그물(6)의 그물망 부분이 불필요하게 손상 및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 : 정치망 2 : 차단망 3 : 입구망
4 : 유도망 5 : 포획망 6 : 벽체그물
6a : 힘줄 6b : 연승줄 7 : 바닥그물
8 : 부자 8a : 뜸줄 8b : 인양고리
9 : 침자 10 : 탈출유도장치 10a : 개방공간
11 : 패스너 11a : 슬라이더 11b : 손잡이
12 : 치차부 13 : 스커트 14 : 결착단부
15 : 부력재 15a : 무게추 16 : 당김줄
16a : 걸고리 16b : 로프매듭 17 : 가이드튜브
17a : 스토퍼 17b,18b,19b : 관통구멍 18 : 연결튜브
18a : 클램퍼 19 : 네트홀더 19a : 커넥팅로드
19c : 가압조립판 19d : 클램핑볼트 20 : 부이
21 : 계류로프 22 : 앵커
4 : 유도망 5 : 포획망 6 : 벽체그물
6a : 힘줄 6b : 연승줄 7 : 바닥그물
8 : 부자 8a : 뜸줄 8b : 인양고리
9 : 침자 10 : 탈출유도장치 10a : 개방공간
11 : 패스너 11a : 슬라이더 11b : 손잡이
12 : 치차부 13 : 스커트 14 : 결착단부
15 : 부력재 15a : 무게추 16 : 당김줄
16a : 걸고리 16b : 로프매듭 17 : 가이드튜브
17a : 스토퍼 17b,18b,19b : 관통구멍 18 : 연결튜브
18a : 클램퍼 19 : 네트홀더 19a : 커넥팅로드
19c : 가압조립판 19d : 클램핑볼트 20 : 부이
21 : 계류로프 22 : 앵커
Claims (9)
- 정치망을 구성하는 벽체그물상에 설치되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정치망의 외부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한 탈출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출유도장치는 정치망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벽체그물의 상측부에서 벽체그물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그물망을 절개하여 형성시킨 개방공간과, 상기 개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개방공간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퍼식 개폐기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의 중앙부 상측과 중앙부 하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 부분에는 부력재와 무게추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은 벽체그물을 따라 상,하 2열(列)로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퍼식 개폐기구는 개방공간의 개폐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는 스커트를 개재시킨 상태로 개방공간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서 벽체그물의 그물망과 각각 연결 설치되는 치차부와, 상기 각각의 치차부가 맞물리게 하여 개방공간을 폐쇄시키거나, 상기 각각의 치차부가 벌어지게 하여 개방공간을 오픈시키는 패스너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패스너는 각각의 치차부와 맞물린 상태로 치차부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개방공간의 양측단에는 스커트가 포함된 각 치차부의 양측단을 벽체그물의 그물망과 한데 묶어 연결시킨 결착단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의 상부에 해당하는 벽체그물의 상단측 힘줄 또는 정치망용 부자의 설치를 위한 뜸줄에는 인양고리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삭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의 중앙부 상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 부분에는 당김줄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당김줄이 벽체그물의 상단측을 거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식 개폐기구가 제공된 개방공간의 중앙부 하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 부분에는 무게추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그물의 상단측에 제공된 힘줄 또는 정치망용 부자의 설치를 위한 뜸줄에는 당김줄이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튜브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튜브를 거쳐 해수면의 외부로 연장되는 당김줄의 상단측에는 걸고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이 벽체그물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판상(板狀) 또는 블록 형상의 네트홀더가 개재되고, 상기 네트홀더의 일측에 벽체그물 부분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네트홀더의 타측에 당김줄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5392A KR102602797B1 (ko) | 2023-05-22 | 2023-05-22 |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5392A KR102602797B1 (ko) | 2023-05-22 | 2023-05-22 |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2797B1 true KR102602797B1 (ko) | 2023-11-16 |
Family
ID=8896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5392A KR102602797B1 (ko) | 2023-05-22 | 2023-05-22 |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2797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6453B1 (ko) * | 2006-06-02 | 2006-11-23 | 대한민국 |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
KR100868526B1 (ko) * | 2008-06-02 | 2008-11-14 | 대한민국 | 해파리 분리배출망 |
KR100878839B1 (ko) * | 2008-09-04 | 2009-01-14 | 대한민국 |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
KR100925880B1 (ko) * | 2009-07-01 | 2009-11-09 | 대한민국 |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
JP2018076133A (ja) * | 2016-11-07 | 2018-05-17 | 日油技研工業株式会社 | 漁具の昇降装置及び漁具の昇降方法 |
KR20200109120A (ko) * | 2019-03-12 | 2020-09-22 | 황정향 | 사각통그물망을 구비한 정치어망 |
KR102490230B1 (ko) | 2022-08-29 | 2023-01-19 | 이승엽 |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
-
2023
- 2023-05-22 KR KR1020230065392A patent/KR1026027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6453B1 (ko) * | 2006-06-02 | 2006-11-23 | 대한민국 |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
KR100868526B1 (ko) * | 2008-06-02 | 2008-11-14 | 대한민국 | 해파리 분리배출망 |
KR100878839B1 (ko) * | 2008-09-04 | 2009-01-14 | 대한민국 |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
KR100925880B1 (ko) * | 2009-07-01 | 2009-11-09 | 대한민국 |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
JP2018076133A (ja) * | 2016-11-07 | 2018-05-17 | 日油技研工業株式会社 | 漁具の昇降装置及び漁具の昇降方法 |
KR20200109120A (ko) * | 2019-03-12 | 2020-09-22 | 황정향 | 사각통그물망을 구비한 정치어망 |
KR102490230B1 (ko) | 2022-08-29 | 2023-01-19 | 이승엽 |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526717A (zh) | 用于围网渔业的网组件 | |
KR200459958Y1 (ko) | 낙지 포획용 통발 | |
KR101100869B1 (ko) | 침하방지와 인공어초 겸용 저인망 불법조업 방지시설 | |
KR102602797B1 (ko) |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 |
KR101374175B1 (ko) | 비치용 해파리 차단망 | |
KR101882859B1 (ko) | 그물걸림부가 구비된 테트라포드 | |
CN113615621A (zh) | 一种养殖鱼类分级起捕方法 | |
CN207284842U (zh) | 一种渔业诱捕装置 | |
JP6323966B1 (ja) |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 |
CN203279654U (zh) | 海水养殖用围网 | |
KR102602798B1 (ko) |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 |
KR20160131874A (ko) | 삿갓형 어초 | |
TR201808748T4 (tr) | Hidrobiyolojik türlerin kültürü ve/veya korunmasına yönelik rezervuar-kafes daldırma sistemi. | |
KR102327017B1 (ko) | 괭생이 모자반 방제용 그물펜스 및 이를 이용한 괭생이 모자반 방제방법 | |
KR101031319B1 (ko) | 저인망 불법조업 방지시설 | |
KR20130061159A (ko) | 바다에서 어족자원 보호 위한 저인망 어선 조업 방지용 인공어초 | |
CN211482542U (zh) | 水库、湖泊深水捕鱼大型网阵 | |
JP2003061513A (ja) | 囲い網 | |
RU2249948C2 (ru) | Канатный разноглубинный трал | |
RU2127046C1 (ru) | Способ лова рыбы на реках и сетная ловуш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KR102511154B1 (ko) | 어업용 장력유지식 부표시스템 | |
CN206118862U (zh) | 手动升降捕鱼网 | |
CN219741615U (zh) | 高原深水湖库自动进箱笼网 | |
RU2385000C2 (ru) | Способ лова кефали | |
JP5667458B2 (ja) | 中層浮魚礁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