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526B1 - 해파리 분리배출망 - Google Patents

해파리 분리배출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526B1
KR100868526B1 KR1020080051671A KR20080051671A KR100868526B1 KR 100868526 B1 KR100868526 B1 KR 100868526B1 KR 1020080051671 A KR1020080051671 A KR 1020080051671A KR 20080051671 A KR20080051671 A KR 20080051671A KR 100868526 B1 KR100868526 B1 KR 100868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net
bag
network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옥
이경훈
차봉진
손병규
안희춘
신종근
박성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8005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루형 그물과 같은 어구를 사용하는 조업 과정에서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어구의 내부에서 어류와 분리시키도록 하는 한편, 어류와 분리된 해파리를 어구의 외부로 절단 배출시키도록 한 해파리 분리배출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류의 이동경로와 해파리의 배출경로를 기준으로 어구 내부의 그물망 배치를 보다 더 최적화시킴으로서, 어류의 어획기능과 해파리의 분리 및 퇴치기능이 어구의 내부에서 보다 더 확실하고 세부적으로 나뉘어 수행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가 해파리를 따라 배출되는 량과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의 량을 거의 제로(Zero)화시킴으로서, 조업능률의 향상과 어획량 증대의 측면에 한층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해파리 분리배출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등판(11)과 밑판(14)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12)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13)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10)에 있어서, 상기 끝자루(13)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는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1유도망(41)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2유도망(42)이 자루형 그물(10)을 따라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유도망(41)과 제 2유도망(42)의 상단측 연결부는 자루형 그물(10)의 등판(1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어류와 해파리의 통합유입구(43)를 형성하며, 상기 제 2유도망(42)의 상부에는 제 2유도망(4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해파리 배출통로(44)를 형성하는 해파리 차단망(33)이 자루형 그물(10)의 등판(11)과 옆판(12)을 따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 2유도망(42)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밑판(14)의 상부에는 밑판(14)과 이격되어 해파리 배출통로(44)를 형성하는 차단망 연장부(39)가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과 끝자루(13)의 하단부를 따라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해파리 배출통로(44)의 출구가 되는 끝자루(13)의 하부측에는 해파리의 절단기(38)가 차단망 연장부(39)와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유도망(42)과 배출통로(44)의 밑판(14)에는 자루형 그물(10)의 예망(曳網)시 해파리 배출통로(44)를 커버하는 어류 유인용 그물실(45)과 그물감(46)이 결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파리, 절단기, 유도망, 분리망, 차단망, 트롤, 저인망, 안강망

Description

해파리 분리배출망{Jellyfish separation net}
본 발명은 자루형 그물과 같은 어구의 내부로 유입된 해파리를 어류와 분리시키도록 하는 한편, 어류와 분리된 해파리를 어구의 외부로 절단 배출시키도록 하되, 어류의 이동경로와 해파리의 배출경로를 기준으로 어구 내부의 그물망 배치를 보다 더 최적화시키도록 하고, 해파리의 배출통로로 어류의 유입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그물실과 그물감 및 끝자루측으로 해파리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지망을 해파리 배출통로를 따라 설치하는 동시에, 해파리 배출통로의 개폐수단으로서 부자(浮子: 뜸)가 연결된 개폐로프를 차단망 연장부에 의한 해파리 배출통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설치함으로서, 어류의 어획기능과 해파리의 분리 및 퇴치기능이 어구의 내부에서 보다 더 확실하고 세부적으로 나뉘어 수행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가 해파리를 따라 배출되는 량과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의 량을 거의 제로(Zero)화시킴으로서, 조업능률의 향상과 어획량 증대의 측면에 한층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해파리 분리배출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롤어업이나 저인망어업과 같이 자루형 그물을 사용하는 조업방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판(11)과 밑판 및 옆판(12)이 일체로 형 성된 자루형 그물(10)을 각종 어군이 형성된 곳에 풀어낸 다음, 이와 같이 풀려나간 자루형 그물(10)을 선박(1)을 이용하여 어군측으로 예망(曳網)함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어군이 들어가도록 하여 그 후단부의 끝자루(13)에 갇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는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온이 높은 하절기에 해파리가 연안해역에 대량으로 출현하여 어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 데, 해파리로 인한 어업 피해의 유형은 자루형 그물(10)을 사용하는 트롤, 저인망, 안강망, 권현망, 낭장망, 주목망과 같은 조업방식 뿐만 아니라 함정어구인 정치망, 걸어구인 자망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어업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나, 자루형 그물(10)을 이용한 조업방식에 있어서는 해파리가 어류와 함께 매우 쉽게 혼획됨으로 인하여 특히 많은 피해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서, 자루형 그물(10)을 사용한 조업시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어류와 함께 해파리가 혼획될 경우, 선박(1)으로 자루형 그물(10)을 예망하는 과정에서 어구의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자루형 그물(10)을 포함하는 각종 어구가 쉽게 파손되거나, 다량의 해파리가 끝자루(13)의 그물눈 즉, 그물의 구멍을 막아 해수 유통을 저해하여 어획량을 감소시키거나, 해파리의 혼획에 의한 어류의 사망 및 해파리에 의한 어체 훼손으로 그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되었다.
또한, 자루형 그물(10)에 의하여 어획된 어획물로부터 해파리를 일일이 인력으로 분리 및 처리하여야 함에 따라 어획물과 해파리의 분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 됨으로서 어업환경을 더욱 열악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해파리의 분리작업 도중에 작업자의 피부가 해파리의 독에 노출됨에 따라 작업자의 인체에 손상을 입히는 것과 같은 부차적인 문제점을 야기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각종 요인들로 인하여 출몰되는 해파리의 량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조업자체를 포기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을 이용한 조업과정에서 해파리의 혼획으로 야기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루형 그물(10)의 끝자루(13) 전방측에 해파리 분리배출장치(20)를 설치함으로서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파리와 함께 배출되는 어류의 량은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해파리의 혼획에 따른 어업피해를 감소시키고 조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5년 특허출원 제 40786호로 선출원(출원일자: 2005년 5월 16일) 및 특허등록(등록번호 제 518361호, 등록일자: 2005년 9월 23일)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일차로 선출원된 해파리 분리배출장치(2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의 끝자루(13) 직전방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는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해파리 유도망(21)과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해파리 배출망(26)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자루형 그물(10)을 따라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해파리 유도망(21)의 하단부는 자루형 그물(1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해파리 유입구(22)를 형성하고, 상기 해파리 배출망(26)은 그 상단부가 자루형 그물(10)을 절개하여 형성된 해파리 배출구(27)의 후 방측과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해파리 유도망(21)의 후방측에는 그물통로인 제 1어류유도통로(23)와 제 2어류유도통로(24)가 연결되어 자루형 그물(10)의 내부공간을 따라 양측으로 분기되도록 연장 설치되며, 상기 제 1, 제 2어류유도통로(23)(24)의 후단부는 해파리 배출망(26)의 양측단과 연결되어 자루형 그물(10) 옆판(12)과의 사이에 어류배출구(25)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해파리 배출구(27)에는 절단실이나 절단날과 같은 해파리의 절단기(29)가 설치되고, 해파리 절단기(29)의 상부측에는 해파리 배출구(27)의 개폐를 위한 덮개그물(28)이 자루형 그물(10)과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차로 선출원된 해파리 분리배출장치(20)는, 해파리 유도망(21)과 해파리 배출망(26)의 사이에 어류의 이동 및 배출통로가 되는 제 1, 제 2어류유도통로(23)(24)를 자루형 그물(10)의 양측 내부에 별도의 그물통로로 형성시킴에 따라, 해파리 분리배출장치(20)를 포함하는 자루형 그물(10)의 전체적인 구조가 다소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해파리 분리배출장치(20)를 포함하는 자루형 그물(10)의 제조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류와 분리된 해파리의 배출경로가 자루형 그물(10)의 바닥부측을 거쳐 자루형 그물(10)의 상부측을 향하게 되는 데,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상부측으로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분력에 의하여 해파리가 해파리 배출구(27)측으로 유도될 수는 있었으나,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작용하는 수직분력의 크기가 수평분 력보다 비교적 작게 될 뿐만 아니라, 해파리 유입구(22)를 통하여 유입된 해파리가 해파리 배출망(26)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넓은 공간으로 쉽게 부유(浮游)하게 됨으로서, 해파리가 해파리 배출망(26)을 따라 해파리 배출구(27)측으로 신속하게 유도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를 해파리 배출구(27)측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신속하게 절단 배출시키도록 하는 기능이 다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 1선출원이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를 위한 어구의 구조는 단순화시키면서도 해파리의 배출통로가 자루형 그물(10)의 바닥부를 향하도록 함에 따라,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어류와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해파리와 함께 배출되는 어류의 량은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어구의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 절감 및 해파리 배출성능의 극대화를 함께 달성할 수 있도록 한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6년 특허출원 제 50024호로 선출원(출원일자: 2006년 06월 02일) 및 특허등록(등록번호 제 646453호, 등록일자: 2006년 11월 08일)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한 제 2선출원으로서의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3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끝자루(13)의 직전방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는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해파리 유도망(31)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해파리 차단망(3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자루형 그물(10)을 따라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해파리 유도망(31)의 상단부는 자루형 그물(10)의 상단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해파리 유입구(32)를 형성하고, 상기 해파리 차단망(33)의 하부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바닥면은 해파리의 배출이 가능한 정도의 그물눈(그물구멍)을 가지는 그물망 형태의 해파리 배출구(34)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해파리 배출구(34)를 형성하는 각각의 그물눈에는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에 해당 그물눈을 커버하도록 여러 가닥의 끈으로 이루어지는 발 형태의 배출구커버(35)가 설치되고, 상기 해파리 배출구(34)의 직하방에는 해파리의 절단기(38)가 후단부에 구비되는 해파리 수집망(36)이 자루형 그물(10)과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해파리 수집망(36)의 바닥면에는 해파리 수집망(36)을 하측 방향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침자(沈子)(37)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 2선출원의 경우 또한,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해파리 차단망(33)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유연한 그물의 특성상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에 따른 저항에 의하여 해파리 차단망(33)의 후방측이 불룩하게 배가 튀어 나오는 형태 즉, 개략 "つ"형태의 곡선으로 휘어지게 되는 바, 이로 인하여 해파리 유도망(31)과 해파리 유입구(32)를 거쳐 해파리 차단망(33)측으로 유도된 해파리가 해파리 차단망(33)을 따라 하부측에 위치하는 해파리 배출구(34)로 이동하지 못하고, 곡선의 형태로 휘어진 해파리 차단망(33)의 후방측 내부 공간에 지속적으로 모이면서 적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어류의 실질적인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해파리 차단망(33)의 전체 면적 중 많은 부분이 해파리에 의하여 점유됨으로서, 어류의 실질적인 배출통로가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일부 어류들은 자루형 그 물(10)의 바닥측에 형성된 해파리 배출구(34)를 통하여 자루형 그물(10)의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어류의 어획성능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함은 물론, 해파리 차단망(33)의 후방측 내부 공간에 적체된 해파리가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에 의한 저항으로 해파리 차단망(33)을 뚫고 잘려나가 어류와 함께 끝자루(13)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제 1선출원 및 제 2선출원이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를 위한 어구의 구조를 보다 더 단순화시키면서도 자루형 그물의 예망시 해파리 차단망의 후방측이 곡선 형태로 휘어져 해당 부위에 해파리가 적체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해파리의 배출통로가 자루형 그물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그물통로가 되도록 함에 따라, 어구의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절감에 보다 더 크게 기여토록 하는 동시에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성능 및 해파리의 절단배출 성능은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해파리 분리배출 및 절단망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7년 특허출원 제 73922호로 선출원(출원일자: 2007년 7월 24일) 및 특허등록(등록번호 제 10-779591호, 등록일자: 2007년 11월 20일)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한 제 3선출원으로서의 해파리 분리배출 및 절단망(301)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선출원에 의한 해파리 유도망(31)과 해파리 차단망(33)과 해파리 유입구(32)를 적용시키되, 상기 해파리 차단망(33)의 후방측이 자루형 그물(10)의 밑판과 밀착된 상태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망 연장부(39)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차단망 연장부(39)와 자 루형 그물(10)의 밑판 사이에 유입구(39a)와 배출구(39b)에 의한 해파리의 배출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구(39b)측에 해파리의 절단배출을 위한 절단배출기(38)가 설치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 3선출원의 경우에도 해파리 유도망(31)의 하측부을 통과하여 유입된 어류가 자루형 그물(10)의 밑판을 따라 직진 방향으로 유영할 경우, 차단망 연장부(39)의 선단에 형성된 유입구(39a)로부터 해파리의 배출통로를 따라 배출구(39b)측으로 빠져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자루형 그물(10)의 끝자루(13) 내부에 유입된 어류 중의 일부가 차단망 연장부(39)를 거쳐 배출구(39b)측으로 빠져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자루형 그물(10)을 이용한 조업시 많은 개체수의 해파리가 해파리 차단망(33)을 따라 유입구(39a)측으로 유입될 경우, 그물망의 특성상 해당 유입구(39a) 및 해파리 배출통로의 배출구(39b)가 해파리의 통과시 넓은 면적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해파리 유도망(31)의 하측부를 거쳐 유입된 어류가 직진 방향으로 유영할 경우, 넓어진 유입구(39a) 및 배출구(39b)를 따라 해파리와 함께 빠져 나갈 가능성이 존재함은 물론이고, 끝자루(13)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의 일부 또한 다소 넓은 그물코로 형성되는 차단망 연장부(39)를 통과하여 넓어진 배출구(39b)측으로 빠져 나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능성이 실질적인 상황으로 발생하게 되면, 다소 많은 량의 어류가 자루형 그물(10)의 끝자루(13) 내부로 포획되지 못하고 배출구(39b)를 거쳐 자루형 그물(10)의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됨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을 이용한 조업능률 및 이에 따른 어획량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해파리 배출통로를 따라 배출되는 해파리가 차단망 연장부(39)의 끝단에서 일부 잘려 나가게 되면, 잘려나간 해파리가 끝자루(13)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어류와 해파리의 혼획에 의한 문제 또한 보다 더 완벽하게 방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기타, 이와 유사한 선행기술로서 국내에 특허출원된 문헌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0470호(2003. 10. 7 등록)의 "저인망의 해파리 제거장치"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25012호(2006. 9. 11 등록)의 "해파리 자동배출장치"가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마찬가지로 그물망의 그물코 크기를 이용하여 어류와 해파리를 분리하여 제거토록 하였으나, 그물망의 그물코 크기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를 가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해파리의 배출구 또한 자루형 그물의 밑판에 설치됨에 따라, 자루형 그물 내부의 해수 흐름을 전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그 분력만을 이용하여 해파리를 배출시키도록 한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각각의 선출원 및 선행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은 자루형 그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어류와 해파리가 모두 자루형 그물의 내측 상부로 유도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유도된 어류는 자루형 그물의 내측 상부 공간을 따라 끝자루의 내부 로 용이하게 포획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해파리의 경우는 해파리 차단망을 따라 자루형 그물의 하부측으로 유도된 다음, 밑판과 차단망 연장부에 의한 해파리 배출통로 및 절단기를 거쳐 자루형 그물의 외부로 절단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끝자루를 향한 어류의 이동경로와 절단기를 향한 해파리의 배출경로를 보다 합리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그물코의 크기를 이용한 어구 내부의 그물망 배치를 최적화시키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그물망의 최적 배치와 함께 해파리 배출통로의 내부로 어류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더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해파리 배출통로를 따라 그물실과 그물감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한편, 절단기의 직전방에 해당하는 차단망 연장부의 끝단에는 해파리 유입방지망을 형성시키고, 해파리 배출통로의 개폐수단으로서 부자(浮子: 뜸)가 연결된 개폐로프를 차단망 연장부에 의한 해파리 배출통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설치함으로서, 어류의 어획기능과 해파리의 분리 및 퇴치기능이 자루형 그물의 내부에서 보다 더 확실하고 세부적으로 나뉘어 수행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가 해파리를 따라 배출되는 량과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의 량을 거의 제로(Zero)화시킴으로서, 조업능률의 향상과 어획량 증대의 측면에 한층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등판과 밑판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를 형성 하는 자루형 그물에 있어서, 상기 끝자루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의 내부에는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1유도망과, 상기 제 1유도망과 연결되어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2유도망이 자루형 그물을 따라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유도망과 제 2유도망의 상단측 연결부는 자루형 그물의 등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어류와 해파리의 통합유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 2유도망의 상부에는 제 2유도망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해파리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해파리 차단망이 자루형 그물의 등판과 옆판을 따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 2유도망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밑판의 상부에는 밑판과 이격되어 해파리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차단망 연장부가 자루형 그물의 옆판과 끝자루의 하단부를 따라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해파리 배출통로의 출구가 되는 끝자루의 하부측에는 해파리의 절단가 차단망 연장부와 자루형 그물의 밑판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유도망에는 자루형 그물의 예망시 해파리 배출통로를 커버하는 어류 유인용 그물실이 결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차단망 연장부와 밑판이 형성하는 해파리 배출통로에는 해파리 배출통로를 개폐시켜 어획량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감이 1개 또는 그 이상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그물감의 선단부는 자루형 그물의 밑판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그물감의 후단부에는 그물용 부자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차단망 연장부의 후방측은 해파리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지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방지망의 후단부가 자루형 그물의 끝자루 하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차단망 연장부의 선단 하측에 위치하는 자루형 그물의 밑판 및 상기 방지망의 후단부 하측 에 위치하는 자루형 그물의 밑판에는 개폐로프의 하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로프의 상단부에는 로프용 부자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선출원이 가지는 작용효과와 마찬가지로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각종 조업과정에서 어류와 함께 혼획되는 해파리를 어류와 자동적으로 분리시켜 자루형 그물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해파리의 배출시 해파리가 일정 크기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하여 해파리의 퇴치기능 또한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의 혼획에 따른 어구의 손상이나 파손, 어획량 감소, 어류의 폐사나 어체 훼손 등과 같은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획물로부터 해파리를 일일이 분리함에 따른 인력과 시간 낭비를 방지함으로서, 조업효율을 극대화시켜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고, 해파리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시기에는 해파리 분리배출망을 자루형 그물에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해파리가 없는 시기에는 철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해파리의 출몰여부에 관계없이 지속적인 조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해파리 분리배출망을 이루는 모든 소재가 유연체인 망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형체 소재를 설치한 경우보다 어구의 사용 및 유지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루형 그물의 예망력 및 이로 인한 해파리의 인입력에 의하여 해파리 차단망의 후단부가 밀려나게 되더라도 해파리 차단망이 차단망 연장부와 함께 일정 한 경사각도를 유지토록 함에 따라, 해파리 차단망의 후방측 내부 공간에 해파리가 적체되지 아니하고, 자루형 그물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배출통로 및 절단기를 거쳐 해파리가 신속하게 절단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해파리 차단망으로부터 적체된 해파리가 수력 저항으로 잘려 나가서 끝자루의 내부로 유입되는 량을 극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에서는 어류의 이동경로와 해파리의 배출경로가 보다 합리적으로 분산되도록 그물코의 크기를 이용한 어구의 그물망 배치를 최적화시키는 한편, 이를 기초로 하여 해파리 배출통로의 내부로 어류가 유입되는 현상 및 끝자루의 내부로 해파리가 유입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는 수단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에 따라, 어류의 어획기능과 해파리의 분리 및 퇴치기능이 자루형 그물의 내부에서 보다 더 확실하고 세부적으로 나뉘어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가 해파리를 따라 자루형 그물의 외부로 배출되는 량과, 어류와 함께 끝자루의 내부로 혼획되는 해파리의 량을 거의 제로(Zero)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조업능률과 어획량을 선출원된 경우와 비교하여 한층 더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과 어업인의 소득증대 측면에도 보다 더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제 5도 및 제 6 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40)은 선출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등판(11)과 밑판(14)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12)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13)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10)에 있어, 끝자루(13)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자루형 그물(10)을 이루는 그물 즉, 등판(11)과 밑판(14) 및 옆판(12) 자체는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40) 역시 마찬가지로, 그물이 가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어떠한 고정된 형상을 이루기는 어려우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40) 및 이를 포함하는 자루형 그물(10)의 일부분이 고정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40)으로서, 상기 끝자루(13)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는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1유도망(41)과, 상기 제 1유도망(41)과 연결되어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2유도망(42)이 자루형 그물(10)을 따라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유도망(41)과 제 2유도망(42)의 상단측 연결부는 자루형 그물(10)의 등판(1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어류와 해파리의 통합유입구(43)를 형성토록 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유도망(41)(42)은 그 하단부측이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그 양측부는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과 일체로 연결 설 치된 상태에서, 통합유입구(43)를 형성하는 유도망(41)(42)의 상단부는 자루형 그물(10)의 등판(11)과 소정의 간격, 바람직하게는 20cm ~ 40c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서 개략 "∧"자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각각의 유도망(41)(42)은 자루형 그물(10)을 이루는 등판(11)과 밑판(14) 및 옆판(12)과 마찬가지로 촘촘한 그물코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유도망(41)(42)은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와 해파리를 통합유입구(43)측으로 동시 유도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한편, 통합유입구(43)를 통과한 어류는 제 2유도망(42)에 의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가 형성된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측으로 유영하지 않도록 하고, 통합유입구(43)를 통과한 해파리만이 제 2유도망(42)과 해파리 차단망(33) 사이에 형성된 해파리 배출통로(44)를 따라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파리 차단망(33)은 제 2유도망(42)의 상부측에서 자루형 그물(10)의 등판(11)과 연결되어 통합유입구(43)를 형성하는 한편, 제 2유도망(42)과 일정한 간격, 즉 통합유입구(43)의 간격에 해당하는 20cm ~ 40cm 정도로 이격된 상태에서,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을 따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밑판(14)측까지 연장되며, 해파리 차단망(33)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차단망 연장부(39)는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과 이격된 상태에서 옆판(12)을 따라 끝자루(13)측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해파리 차단망(33)과 차단망 연장부(39)는 제 3선출원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을 따라 개략 "\_"자 형태로 자루형 그물(10)과 연결 설치됨으로서, 해파리 차단망(33)과 차단망 연장부(39) 및 제 2유도망(42)과 밑판(14) 사이의 공간을 따라 통합유입구(43)와 연계된 해파리 배출통로(44)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유도망(41)과 제 2유도망(42){해파리 차단망(33)을 포함}이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과 이루는 각도는 각각 30±5°와 20±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각각의 유도망(41)(42)과 해파리 차단망(33)에 의한 어류와 해파리의 신속한 유도를 이루어내도록 함과 동시에,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 및 이로 인한 해파리의 인입력에 의하여 해파리 차단망(33)의 후단부가 밀려나게 되더라도, 제 3선출원에서와 같이 해파리 차단망(33)이 차단망 연장부(39)와 함께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토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해파리 차단망(33)과 차단망 연장부(39)는 해당 망지(網紙)를 통하여 어류보다 큰 개체가 되는 해파리는 통과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망지를 통하여 어류는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어류통로 및 해파리 분리막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물눈 즉, 그물구멍의 크기(가로 및 세로변의 길이)가 20 ~ 40cm의 범위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획하고자 하는 대상 어종의 종류에 따라 해파리 차단망(33)과 차단망 연장부(39)를 이루는 망지의 그물눈 크기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통합유입구(43) 및 해파리 배출통로(44)의 간격 또한 그물 자체가 신축성 있게 변형되기 쉬운 구조물이므로, 위에서 설명되어진 간격보다 좁게 또는 넓게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해파리 차단망(33)과 차단망 연장부(39)가 개략 "\_"자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차단망 연장부(39)의 선단이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과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제 3선출원에서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해파리가 적체되어 해당 부분이 불룩하게 튀어 나오더라도, 해파리 차단망(33)의 선단으로부터 차단망 연장부(39)의 후단부에 이르기까지 어느 정도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해파리의 적체에 따른 배출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에 의한 저항으로 해파리가 차단망(33)(39) 부분을 뚫고 잘려나가 어류와 함께 끝자루(13)로 유입되는 량 또한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자루형 그물(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해파리 배출통로(44) 및 절단기(38)를 거쳐 해파리가 신속하게 절단 배출된다.
이와 더불어, 제 1유도망(41) 및 제 2유도망(42)에 의하여 어류의 주된 유영경로가 자루형 그물(10)의 내측 상부가 되도록 함으로서, 어류의 유입경로 및 해파리의 배출경로가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서 보다 더 합리적으로 분산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해파리 차단망(33)의 전체 면적 중 해파리에 의하여 점유되는 하부측 공간이 아닌 해파리에 의하여 점유되지 아니하는 상부측 공간을 따라 어류가 끝자루(13)측으로 보다 더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단기(38) 또한 선출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에 따른 저항에 의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의 출구측으로 빠져 나온 해파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배출시키도록 하는 고강도의 얇은 절단실이나 금속 재질의 절단날 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절단기(38)는 차단망 연장부(39) 및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 후단부와 각각 연결 설치된 다음, 끝자루(13)의 직하부측에서 후방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2유도망(42)에는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해파리 배출통로(44)를 커버하는 어류 유인용 그물실(45)이 결속 설치되는 바, 상기 그물실(45)은 그 일단이 제 2유도망(42)에 결속되고, 그 타단은 다른 그물에 결속되지 아니하는 자유단부가 됨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에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늘어 트려지게 된다.
상기 그물실(45)은 제 2유도망(42)의 요구하는 부위에 여러 가닥의 실을 하나의 다발로 묶어 결속시킨 것으로서, 제 2유도망(42)과 해파리 차단망(33) 사이에 해당하는 해파리 배출통로(44)의 내부로 어류가 유입될 경우, 그물 등을 회피하는 어류의 회피본능에 의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로부터 어류가 빠져 나가도록 한 것이며, 도면상 제 2유도망(42)을 따라 3개 열(列)에 해당하는 그물실(45) 다발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물실(45)이 설치되는 개수나 위치는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사항이다.
그리고, 상기 그물실(45)의 길이는 제 2유도망(42)과 해파리 차단망(33)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거리 만큼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그물실(45)이 제 2유도망(42)을 따라 지그재그식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제 2유도망(42)의 최하부에 설치되는 그물실(45)은 인접한 해파 리 차단망(33) 부분이 해파리의 인입력이나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날리는 것을 고려하여, 제 2유도망(42)의 상부측과 중간측에 설치되는 그물실(45)의 길이보다 길게 하여 설치하는 것이, 어류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차단망 연장부(39)와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이 형성하는 해파리 배출통로(44)에는 해당 통로(44)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어획량의 손실을 방지하는 그물감(46)이 도면상 1개 또는 해당 통로(44)의 길이를 감안하여 2개 이상으로 삽입 설치되는 바, 상기 그물감(46)의 선단부는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과 연결 설치되고, 그물감(46)의 후단부에는 다수 개의 그물용 부자(浮子)(46a)가 그물감(46)의 폭 방향에 걸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그물감(46)은 각각의 유도망(41)(42)과 마찬가지로 촘촘한 그물코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그물감(46)은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그물용 부자(46a)의 부력에 의하여 그 후단부가 차단망 연장부(39)와 밀착됨으로서, 차단망 연장부(39) 및 밑판(14) 사이에 형성된 해파리 배출통로(44)를 폐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내의 어류를 차단망 연장부(39)의 그물눈을 통하여 끝자루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단망 연장부(39)의 그물코를 통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의 내부로 어류가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차단시킴은 물론, 해파리가 배출통로(44)를 따라 밀려나갈 경우에만 해파리가 받는 수력저항에 의하여 그물덮개(46)의 후방측이 부자(46a)와 함께 밑판(14)측으로 밀려 내려감에 따라 해당 배 출통로(44)가 개방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차단망 연장부(39)의 후방측은 끝자루(13)를 통한 해파리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촘촘한 그물눈을 가지는 해파리 유입방지망(47)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방지망(47)의 후단부가 끝자루(13)의 하단부 및 절단기(38)와 각각 연결 설치되도록 함에 따라, 끝자루(13)까지 유도된 어류 중의 일부가 절단기(38)를 따라 자루형 그물(10)의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절단기(38)의 직전방에 걸려서 잘려나간 해파리 또한 끝자루(13)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차단망 연장부(39)의 선단부측과 해파리 유입방지망(47)의 후단부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에는 개폐로프(48)의 하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로프(48)의 상단부에는 로프용 부자(浮子)(48a)가 연결 설치됨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해파리가 배출되지 아니하는 상황에서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이 로프용 부자(48a)의 부력에 의하여 차단망 연장부(39)와 밀착되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를 따라 어류가 유동하는 것을 보다 더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해파리 배출통로(44)를 따라 해파리가 배출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로프용 부자(48a)의 부력에 의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 및 절단기(38)의 입구가 폐쇄됨으로서, 상기 그물실(45)과 그물감(46) 및 해파리 유입방지망(47)과 함께 해파리 배출통로(44)를 따라 어류가 유동하는 것을 보다 더 완벽하게 차단시키게 되고, 해파리가 배출통로(44)를 따라 밑판(14)을 밀고 나갈 경우에만 해파리가 받는 수력저항에 의하여 해당 통로 및 입구가 자동 개방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기능을 보다 더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폐로프(48)와 연결되는 상기 로프용 부자(48a)는,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서 개폐로프(48)와 연결되어 밑판(14)과 등판(11)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한 1차 부자(48a)와, 자루형 그물(10)의 외부로 연장되는 개폐로프(48)와 연결 설치되어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을 인가받아 밑판(14)을 당기는 2차 부자(48a)로 분할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개폐로프(48)의 개수는 해파리의 배출경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최소 1개에서 최대 3개 정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40)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도 6에서 진하게 도시된 화살표는 어류의 이동경로이고,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는 해파리의 배출경로로서, 본 발명의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에서는 선출원에 언급되어진 내용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40)이 설치된 자루형 그물(10)을 선박(1)의 양망기에 감아두었다가 각종 어군탐지기 등을 사용하여 포획하고자 하는 어군의 위치를 파악한 다음,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40)이 설치된 자루형 그물(10)을 풀어낸 후, 이와 같이 풀려나간 자루형 그물(10)을 선박(1)을 이용하여 어군측으로 예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40)이 설치된 자루형 그물(10)을 어군측으로 예망하게 되면, 하절기와 같이 해파리의 개체수가 많을 경우 에는 어류와 함께 다량의 해파리가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어류 및 해파리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에 의하여 제 1유도망(41)을 따라 자루형 그물(10)의 내측 상부까지 유도된다.
상기와 같이 제 1유도망(41)을 따라 자루형 그물(10)의 내측 상부까지 유도된 어류 및 해파리는 통합유입구(43)를 통과한 다음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분산 유인되는 데, 어류의 경우는 촘촘한 그물코로 형성된 제 2유도망(42)을 회피하여 자루형 그물(10)의 상부측 공간을 따라 끝자루(13)측으로 유영하게 되고, 해파리의 경우는 제 2유도망(42)과 해파리 차단망(33)이 형성하는 해파리 배출통로(44)를 따라 자루형 그물(10)의 하부측으로 유도된다.
상기와 같이 통합유입구(43)를 거쳐 어류와 해파리가 유입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어류와 해파리의 이동 및 배출경로가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서 합리적으로 1차 조정 및 분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최적의 그물 배치로 인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의 내부공간을 따라 어류가 해파리와 함께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통합유입구(43)측에서 1차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제 2유도망(42)과 해파리 차단망(33) 사이에 형성된 해파리 배출통로(44)를 따라 어류의 일부가 유동하게 되더라도, 제 2유도망(42)에 설치되어 해파리 차단망(33)측으로 흩날리는 그물실(45)이 해당 배출통로(44)를 커버하고 있으므로, 통합유입구(43)로부터 해당 배출통로(44)를 따라 유입된 모든 어류가 그물실(45)을 회피하는 한편, 해파리 차단망(33)의 그물눈을 통과하여 자루형 그물(10) 의 내부공간을 따라 끝자루(13)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실(45)의 경우 그 일단이 제 2유도망(42)에만 결속되어 있고 그 타단은 그물에 결속되지 아니한 자유단부를 이루는 상태에서 자루형 그물(10)의 예망력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흩날리고 있으므로, 해당 배출통로(44)를 따라 해파리가 유도되어 자루형 그물(10)의 하부측으로 밀려 내려가는 데에는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의 내부공간을 따라 끝자루(13)로 유도되는 어류 중의 일부와, 끝자루(13)의 내부로 유입되어 회유하는 어류 중의 일부가 넓은 그물코를 가지는 차단망 연장부(39)를 통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 및 절단기(38)측으로 유영할 수도 있으나, 2차 및 3차적인 차단수단으로서 그물부자(46a)에 의하여 배출통로(44)를 폐쇄하고 있는 그물감(46) 및 촘촘한 그물코를 가지는 해파리 유입방지망(47)에 의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 및 절단기(38)를 따라 어류가 전혀 들어갈 수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해파리 배출통로(44)를 따라 해파리가 배출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개폐로프(48) 및 로프용 부자(48a)에 의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 및 절단기(38)의 입구측이 밀착 폐쇄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해파리 배출통로(44) 및 절단기(38)의 내부로 어류가 유입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 배출통로(44) 및 절단기(38)를 따라 자루형 그물(10)의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는 어류의 개체수를 거의 제로(Zero)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차단망 연장부(39)의 후단부가 촘촘한 그물코를 가지는 해파리 유입방지망(47)으로 형성되어 차단망 연장부(39)보다 부드러운 통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기(38)의 직전방에 해파리가 걸려서 절단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단기(38)의 직전방에 해파리가 걸려 절단되더라도 절단된 해파리가 방지망(47)에 의하여 끝자루(1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으므로, 어류와 함께 끝자루(13)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파리의 량 또한 거의 제로(Zero)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을 이용한 조업과정에서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유입된 어류가 해파리를 따라 자루형 그물(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량과, 어류와 함께 끝자루(13)의 내부로 혼획되는 해파리의 량을 거의 제로(Zero)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을 이용한 조업능률과 어획량을 선출원된 경우와 비교하여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과 어업인의 소득증대 측면에도 보다 더 크게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40) 역시 제 3선출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파리 분리배출망(40)이 설치된 자루형 그물(10)을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경우 그물용 부자(46a) 및 로프용 부자(48a) 대신에 침력을 발생시키는 침자(沈子:무게추)를 적용시키게 되면, 그물감(46) 및 개폐로프(48)가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조업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제 1선출원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제 2선출원에 의한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제 3선출원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 및 절단망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리배출망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루형 그물 11 : 등판 12 : 옆판
13 : 끝자루 14 : 밑판 33 : 해파리 차단망
38 : 절단기 39 : 차단망 연장부 40 : 해파리 분리배출망
41 : 제 1유도망 42 : 제 2유도망 43 : 통합유입구
44 : 해파리 배출통로 45 : 그물실 46 : 그물감
46a : 그물용 부자 47 : 해파리 유입방지망 48 : 개폐로프
48a : 로프용 부자

Claims (10)

  1. 등판(11)과 밑판(14)이 상,하로 구비되고 양측으로 옆판(12)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단부에서 끝자루(13)를 형성하는 자루형 그물(10)에 있어서,
    상기 끝자루(13)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내부에는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1유도망(41)과, 상기 제 1유도망(41)과 연결되어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2유도망(42)이 자루형 그물(10)을 따라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1유도망(41)과 제 2유도망(42)의 상단측 연결부는 자루형 그물(10)의 등판(1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어류와 해파리의 통합유입구(43)를 형성하며,
    상기 제 2유도망(42)의 상부에는 제 2유도망(4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해파리 배출통로(44)를 형성하는 해파리 차단망(33)이 자루형 그물(10)의 등판(11)과 옆판(12)을 따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 2유도망(42)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밑판(14)의 상부에는 밑판(14)과 이격되어 해파리 배출통로(44)를 형성하는 차단망 연장부(39)가 자루형 그물(10)의 옆판(12)과 끝자루(13)의 하단부를 따라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해파리 배출통로(44)의 출구가 되는 끝자루(13)의 하부측에는 해파리의 절단기(38)가 차단망 연장부(39)와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도망(42)에는 자루형 그물(10)의 예망(曳網)시 해파리 배출통로(44)를 커버하는 어류 유인용 그물실(45)이 결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 연장부(39)와 밑판(14)이 형성하는 해파리 배출통로(44)에는 해파리 배출통로(44)를 개폐시키는 그물감(46)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그물감(46)의 선단부는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그물감(46)의 후단부에는 그물용 부자(浮子)(46a)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 연장부(39)의 선단 하측에 해당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에는 개폐로프(48)의 하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로프(48)의 상단부에는 로프용 부자(浮子)(48a)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망.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 연장부(39)의 후방측은 해파리의 유입을 방지하는 해파리 유입방지망(47)으로 형성되어, 상기 해파리 유입방지망(47)의 후단부가 자루형 그물(10)의 끝자루(13) 하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망.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 연장부(39)의 후방측은 해파리의 유입을 방지하는 해파리 유입방지망(47)으로 형성되어, 상기 해파리 유입방지망(47)의 후단부가 자루형 그물(10)의 끝자루(13) 하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망.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 연장부(39)의 후방측은 해파리의 유입을 방지하는 해파리 유입방지망(47)으로 형성되어, 상기 해파리 유입방지망(47)의 후단부가 자루형 그물(10)의 끝자루(13) 하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망.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유입방지망(47)의 후단부 하측에 위치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에는 개폐로프(48)의 하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로프(48)의 상단부에는 로프용 부자(浮子)(48a)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망.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유입방지망(47)의 후단부 하측에 위치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에는 개폐로프(48)의 하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로프(48)의 상단부에는 로프용 부자(浮子)(48a)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망.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유입방지망(47)의 후단부 하측에 위치하는 자루형 그물(10)의 밑판(14)에는 개폐로프(48)의 하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로프(48)의 상단부에는 로프용 부자(浮子)(48a)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분리배출망.
KR1020080051671A 2008-06-02 2008-06-02 해파리 분리배출망 KR10086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671A KR100868526B1 (ko) 2008-06-02 2008-06-02 해파리 분리배출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671A KR100868526B1 (ko) 2008-06-02 2008-06-02 해파리 분리배출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526B1 true KR100868526B1 (ko) 2008-11-14

Family

ID=4028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671A KR100868526B1 (ko) 2008-06-02 2008-06-02 해파리 분리배출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52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880B1 (ko) 2009-07-01 2009-11-09 대한민국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KR101062278B1 (ko) 2010-12-14 2011-09-14 대한민국 소형어선용 해파리제거계수장치
KR101121109B1 (ko) * 2010-01-27 2012-03-20 남다겸 신축되는 치어 보호용 분리막 장치
KR102490230B1 (ko) * 2022-08-29 2023-01-19 이승엽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KR102511153B1 (ko) * 2022-12-05 2023-03-17 대한민국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KR102602797B1 (ko) * 2023-05-22 2023-11-16 대한민국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KR102602798B1 (ko) * 2023-07-03 2023-11-17 대한민국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361B1 (ko) 2005-05-16 2005-09-30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배출장치
KR20060071382A (ko) * 2006-06-02 2006-06-2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361B1 (ko) 2005-05-16 2005-09-30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배출장치
KR20060071382A (ko) * 2006-06-02 2006-06-2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880B1 (ko) 2009-07-01 2009-11-09 대한민국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KR101121109B1 (ko) * 2010-01-27 2012-03-20 남다겸 신축되는 치어 보호용 분리막 장치
KR101062278B1 (ko) 2010-12-14 2011-09-14 대한민국 소형어선용 해파리제거계수장치
KR102490230B1 (ko) * 2022-08-29 2023-01-19 이승엽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KR102511153B1 (ko) * 2022-12-05 2023-03-17 대한민국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KR102602797B1 (ko) * 2023-05-22 2023-11-16 대한민국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KR102602798B1 (ko) * 2023-07-03 2023-11-17 대한민국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526B1 (ko) 해파리 분리배출망
KR100646453B1 (ko)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KR100878839B1 (ko)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KR100518361B1 (ko) 해파리 분리배출장치
KR20160023097A (ko) 통발
KR20180124035A (ko) 폐사 물고기 포획 트랩을 가진 가두리 양식 설비
KR100925880B1 (ko)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US5325619A (en) Selective excluding fishing trawl device
KR101728120B1 (ko) 해파리 포획장치
KR20100033640A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100779591B1 (ko) 해파리 분리배출 및 절단망
US7874097B2 (en) Lobster trap with ring guard assembly
Karnofsky et al. Behavioural response of the lobster Homarus americanus to traps
JP4481251B2 (ja) クラゲ捕捉防止方法及びクラゲ捕捉防止魚網
KR101096750B1 (ko)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101039552B1 (ko) 해파리 피해저감용 분리배출 및 제거망
CN108029609B (zh) 一种围网养殖的分离式捕捞方法
JP2011055772A (ja) 鱗翅目昆虫防除器
KR102234532B1 (ko)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
McGilvray et al. The AusTED II, an improved trawl efficiency device 1. Design theories
KR102511153B1 (ko)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KR101298310B1 (ko) 해파리 분리배출형 어망
KR102312757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
KR102367609B1 (ko) 토종벌 보호를 위한 양봉 포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