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798B1 -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798B1
KR102602798B1 KR1020230085524A KR20230085524A KR102602798B1 KR 102602798 B1 KR102602798 B1 KR 102602798B1 KR 1020230085524 A KR1020230085524 A KR 1020230085524A KR 20230085524 A KR20230085524 A KR 20230085524A KR 102602798 B1 KR102602798 B1 KR 102602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hutter
fishing
open spa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봉진
구명성
최규석
김병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085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3Trawling nets having exclude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05Net structures, e.g. structural arrangements of net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정치망을 구성하는 벽체그물상에 설치되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정치망의 외부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한 탈출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치망 임의 위치의 벽체그물 일부를 개구부 형태로 잘라내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을 위한 개방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개방공간을 벽체그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커버하는 셔터그물을 설치하되, 상기 셔터그물의 상단부는 개방공간 상부측의 벽체그물과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셔터그물의 좌,우 양측단부와 하단부는 벽체그물과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개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드리워지도록 하며, 상기 셔터그물의 하단부에는 소정 무게의 웨이트 수단과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개폐로프를 각각 연결시킴으로서, 정치망의 내부에 갇힌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개폐로프를 이용하여 셔터그물을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림에 따라 벽체그물에 제공된 개방공간을 오픈(Open)시킨 다음,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개방공간측으로 유도하여 정치망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고,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의 외부로 빠져 나간 이후 상기 개폐로프와 웨이트 수단을 이용하여 셔터그물을 원래의 위치로 내려 놓음에 따라 개방공간을 다시 폐쇄시킨 상태로 다음의 조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Shutter type escape guiding device for an ocean creature of non-operation target applied to a fixed shore net}
본 발명은 정치망을 구성하는 벽체그물상에 설치되어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갈 수 있는 공간을 필요시마다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을 빠져 나간 이후에는 해당 공간을 다시 폐쇄시켜 다음의 조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치망은 조업의 대상이 되는 어류가 무리를 지어 이동 및 회유하는 수역(水域)에 함정그물을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놓음으로서 조업대상 어류가 함정그물의 내부에 갇히도록 한 어구를 총칭하는 것이며, 조업대상 어류의 이동 및 회유경로를 차단하는 차단망과, 상기 차단망의 일측단에 깔때기형 입구망을 펼쳐 놓은 상태로 설치되는 유도망과, 상기 유도망의 좁은 깔때기형 출구측에 설치되는 포획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 차단망은 해저면으로부터 해수면에 이르는 높이의 벽체그물을 일정한 길이에 걸쳐 직선 형태로 설치하여 놓은 것이고, 상기 입구망을 포함하는 유도망과 조업대상 어류의 최종 포획망은 해저면상에 놓이는 바닥그물과, 상기 바닥그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된 상태로 해수면에 이르는 높이까지 배치되는 벽체그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벽체그물 상단측과 하단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부자(浮子)와 침자(沈子)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정치망 자체는 부이를 개재시킨 상태로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와 계류로프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정치망을 조업대상 어류가 이동 및 회유하는 수역에 설치하여 놓게 되면, 조업대상 어류의 이동 및 회유 길목을 가로막은 차단망을 따라 조업대상 어류가 입구망을 거쳐 유도망의 내부에 일차적으로 갇힌 다음, 유도망의 내부에서 유영하던 조업대상 어류가 유도망의 출구를 거쳐 포획망의 내부에 최종적으로 갇히게 되는 것이며, 입구망으로부터 유도망과 포획망에 이르기까지 제공된 깔때기형 통로구조에 의하여 포획망에 갇힌 어류가 유도망과 입구망을 거쳐 정치망의 외부로 쉽게 탈출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함정그물의 구조적인 특성상 조업대상 어류 뿐만 아니라 조업대상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보호생물까지 정치망에 의하여 무분별하게 혼획(混獲)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정치망을 이용한 조업작업의 능률성과 경제성 및 그 수익성 뿐만 아니라, 돌고래나 상괭이와 같은 해양생물의 안전한 보호 및 관리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다시 말해서, 조업대상 어류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의 포획망 내부에 함께 갇혀 있는 경우, 해당 포획망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들어올려 조업대상 어류를 어획하는 작업시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포획망으로부터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빼내어 정치망의 그물 영역 외부로 다시 방생하는 번거러운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조업작업의 전체적인 능률성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이고, 해당 작업에 과도한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어 조업작업에 따른 경제성과 수익성 역시 악화된다는 것이다.
특히, 정치망에 갇힌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빼내어 방생시키는 과정에서 해양생물이 스트레스를 받아 폐사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생물을 안전하게 보호 및 관리하는 측면에도 전혀 부합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업과정에서 해양생태계 관리 및 보호를 위한 법률을 의도하지 않게 위반하는 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정치망에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제공되지 못한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4902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치망 임의 위치의 벽체그물 일부를 개구부 형태로 잘라내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을 위한 개방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개방공간을 벽체그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커버하는 셔터그물을 설치하되, 상기 셔터그물의 상단부는 개방공간 상부측의 벽체그물과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셔터그물의 좌,우 양측단부와 하단부는 벽체그물과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개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드리워지도록 하며, 상기 셔터그물의 하단부에는 소정 무게의 웨이트 수단과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개폐로프를 각각 연결시킴으로서, 정치망의 내부에 갇힌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개폐로프를 이용하여 셔터그물을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림에 따라 벽체그물에 제공된 개방공간을 오픈(Open)시킨 다음,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개방공간측으로 유도하여 정치망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고,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의 외부로 빠져 나간 이후 상기 개폐로프와 웨이트 수단을 이용하여 셔터그물을 원래의 위치로 내려 놓음에 따라 개방공간을 다시 폐쇄시킨 상태로 다음의 조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는, 정치망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벽체그물의 일부를 개구부 형태로 잘라내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구를 형성시킨 개방공간과, 상기 개방공간을 벽체그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커버하는 셔터그물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그물은 조업대상 어류가 빠져 나가지 못하는 망목 치수를 가지도록 제작된 것이며, 상기 셔터그물의 상단부가 개방공간 상부측의 벽체그물과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셔터그물의 좌,우 양측단부와 하단부는 벽체그물과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개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드리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셔터그물의 하단부에는 셔터그물을 하방으로 늘어뜨려 벽체그물의 개방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 무게의 웨이트(Weight) 수단과, 상기 셔터그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 놓음에 따라 개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벽체그물의 상단측을 거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개폐로프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개방공간의 내측에는 보강힘줄에 의한 그물망 구조가 제공되고, 상기 보강힘줄에 의한 그물망의 망목 치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이 가능한 치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개방공간의 주변에 해당하는 벽체그물에는 소정 간격으로 마그네트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셔터그물의 가장자리측에도 벽체그물과 대응되는 위치에 맞추어 마그네트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유연한 재질의 패드형 또는 시트형 고무자석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웨이트 수단는 셔터그물의 하단부에서 셔터그물의 폭 방향에 걸쳐 가로지게 연결 설치되는 막대형 또는 파이프형 웨이트로드가 되고, 상기 개폐로프는 소정의 길이만큼 셔터그물의 외부로 연장되는 웨이트로드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1개씩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각각의 개폐로프는 웨이트로드의 양측 끝단부에서 셔터그물의 중앙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다음 셔터그물의 중앙부에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개폐로프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하나의 개폐로프가 벽체그물의 상단측을 거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벽체그물의 상단측 힘줄 또는 정치망용 부자의 설치를 위한 뜸줄에는 개폐로프가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튜브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튜브를 거쳐 해수면의 외부로 연장되는 개폐로프의 상단측에는 걸고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이드튜브는 벽체그물의 상단측 힘줄 또는 정치망용 부자의 설치를 위한 뜸줄상에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튜브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힘줄 또는 뜸줄에는 가이드튜브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치망의 내부에 갇힌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개폐로프를 이용하여 셔터그물을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림에 따라 벽체그물에 제공된 개방공간을 오픈시킨 다음,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개방공간측으로 유도하여 정치망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가도록 할 수 있고,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의 외부로 빠져 나간 이후 상기 개폐로프와 웨이트 수단을 이용하여 셔터그물을 원래의 위치로 내려 놓음에 따라 개방공간을 다시 폐쇄시킨 상태로 다음의 조업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정치망의 포획망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들어올려 조업대상 어류를 어획하는 작업시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포획망으로부터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빼내어 정치망의 그물 영역 외부로 다시 방생하는 번거러운 작업 및 해당 작업의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해양생물의 폐사와 그물 어구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토록 함으로서, 조업작업의 능률성과 경제성 및 그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생물을 안전하게 보호 및 관리하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개방공간의 둘레 부분과 그 내측에 걸쳐 보강힘줄에 의한 그물망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개방공간이 항시 일정한 수준의 탈출통로를 제공토록 함과 동시에, 개방공간을 형성시킨 벽체그물 부분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개방공간의 주변 및 이에 대응하는 셔터그물의 가장자리측에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놓은 상태에서 셔터그물의 하단에 걸친 웨이트로드와 그 양측단에 연결된 개폐로프를 이용하여 셔터그물에 의한 개방공간의 개폐작동 역시 매우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벽체그물의 상단측 힘줄이나 정치망용 부자의 설치를 위한 뜸줄상에 개폐로프가 관통되는 가이드튜브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튜브의 상단부를 거쳐 연장되는 개폐로프의 끝단에 걸고리를 제공함으로서,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용이하게 판단하여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으로부터 셔터그물을 이용한 개방공간의 오픈과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에 이르기까지의 작업과정을 한층 더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가 적용된 정치망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가 적용된 정치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유도장치를 나타내는 도 1 및 도 2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셔터그물을 제거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셔터그물의 정면도.
도 6은 셔터그물의 다른 적용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웨이트로드와 개폐로프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정면도.
도 8은 웨이트로드와 개폐로프간의 다른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출유도장치가 정치망의 벽체그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개폐로프를 이용하여 셔터그물을 들어 올린 탈출유도장치의 개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개폐로프의 가이드튜브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12는 가이드튜브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가이드튜브가 스토퍼와 함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정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가 설치되는 정치망은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조업대상 어류의 이동 및 회유경로를 차단하는 차단망(2)과, 상기 차단망(2)의 일측단(도면상 좌측단)에 깔때기형 입구망(3)을 펼쳐 놓은 상태로 설치되는 유도망(4)과, 상기 유도망(4)의 좁은 깔때기형 출구측에 설치되는 포획망(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1에서는 입구망(3)으로부터 포획망(5)에 이르기까지 유도망(4)이 한 방향을 따라 2단으로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고, 도 2에서는 유도망(4)의 양측 출구에 포획망(5)이 각각 1개씩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앞선 종래기술의 내용에서도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망(2)은 해저면으로부터 해수면에 이르는 높이의 벽체그물(6)을 일정한 길이에 걸쳐 직선 형태로 설치하여 놓은 것이고, 상기 입구망(3)을 포함하는 유도망(4)과 조업대상 어류의 최종 포획망(5)은 해저면상에 놓이는 바닥그물(7)(도면상 망목 구조는 미도시)과, 상기 바닥그물(7)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된 상태로 해수면에 이르는 높이까지 배치되는 벽체그물(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벽체그물(6) 상단측과 하단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부자(8)와 침자(9)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치망(1) 자체는 부이(20)를 개재시킨 상태로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22)와 계류로프(21)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장치(10)는 정치망(1)의 포획망(5)을 제공하는 벽체그물(6)상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상기 포획망(5) 이외에도 유도망(4)을 제공하는 벽체그물(6)상에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될 수도 있고, 그 적용 개수 또한 해당 벽체그물(6)의 크기나 위치 등에 맞추어 2군데 이상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적용되는 정치망(1) 역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정치망(1)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출유도장치(10)는 도 3 내지 도 6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치망(1)을 구성하는 포획망(5) 및/또는 유도망(4)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벽체그물(6)의 일부를 개구부(開口部) 형태로 잘라내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구를 형성시킨 개방공간(16)과, 상기 개방공간(16)을 벽체그물(6)의 내측(정치망 안쪽) 또는 외측(정치망 바깥쪽)에서 커버하는 셔터그물(Shutter net)(11)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면상 상기 개방공간(16)은 소정의 절개면적을 가지는 사각형 개구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셔터그물(11)의 경우에도 개방공간(16)을 덮는 사각형 그물망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각형 개구부 이외에도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다른 형태의 개구부로 개방공간(16)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셔터그물(11)의 경우에도 해당 개방공간(16)을 안전하게 덮어 놓을 수 있는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그물망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개방공간(16) 주변의 벽체그물(6)이 셔터그물(11)의 가장자리 부분과 일정폭만큼 겹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치망(1)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벽체그물(6)의 일부를 단순히 잘라내는 방식으로 개방공간(16)을 형성시킬 경우, 조류(潮流)의 흐름이나 파도 등에 의하여 개방공간(16)이 그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개방공간(16)이 형성된 벽체그물(6) 부분의 강도 역시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개방공간(16)의 내주연부와 그 내측공간에 걸쳐 보강힘줄(15)에 의한 그물망 구조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셔터그물(11)은 정상적인 조업작업시에는 벽체그물(6)의 개방공간(16)을 덮고(커버하고) 있다가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정치망(1)의 외부로 탈출시키는 경우에만 벽체그물(6)의 개방공간(16)을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셔터그물(11)은 그 상단부만이 개방공간(16) 상부측의 벽체그물(6)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셔터그물(11)의 좌,우 양측단부와 하단부는 벽체그물(6)과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개방공간(16)의 가장자리를 따라 드리워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힘줄(15)에 의한 그물망 구조를 개방공간(16)의 내측에 적용시키더라도 해당 그물망의 망목(網目: 그물눈) 치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이 가능한 치수, 예를 들어 가로 및 세로 또는 그 대각선의 길이가 각각 50cm ~1.5m 정도는 되어야 하고, 상기 셔터그물(11)은 조업대상 어류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는 망목 치수, 예를 들어 가로 및 세로 또는 그 대각선의 길이가 2~5cm 정도인 망목 치수를 가지도록 제작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정치망(1)을 이루는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이 동일한 망목 치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셔터그물(11)의 하단부에는 셔터그물(11)을 하방으로 늘어뜨려 펼침으로서, 벽체그물(6)의 개방공간(16)을 안정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 무게의 웨이트(Weight) 수단과,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벽체그물(6)과 연결되는 상단측 연결단부(11b)를 중심으로 하여 셔터그물(11)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 놓음에 따라 개방공간(16)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벽체그물(6)의 상단측을 거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개폐로프(13)가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단부(11b)는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간의 결속부 또는 접착부가 된다.
도면상 상기 웨이트 수단은 셔터그물(11)의 하단부에서 셔터그물(11)의 폭 방향에 걸쳐 가로지게 연결 설치되는 막대형 또는 파이프형 웨이트로드(Weight rod)(12)가 되고, 상기 개폐로프(13)는 소정의 길이만큼 셔터그물(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웨이트로드(12)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1개씩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도 5에서는 각각의 개폐로프(13)가 상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도 6에서는 각각의 개폐로프(13)가 셔터그물(11)의 중앙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다음, 셔터그물(11)의 중앙측에서 일차 연결된 후, 해당 연결부에서 하나의 개폐로프(13)가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셔터그물(11)의 하단측에서 셔터그물(11)의 폭 방향에 걸쳐 가로지게 연결 설치되는 막대형 또는 파이프형 웨이트로드(12) 이외에도 셔터그물(11)을 하부로 당겨 벽체그물(6)의 개방공간(16)을 커튼(Curtain)식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 웨이트 수단은 어떠한 형태로도 설치가 가능하며, 간단한 일례를 들자면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침자나 무게추(블록) 등을 셔터그물(11)의 하단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거나 매달아 놓은 것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셔터그물(1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웨이트 수단의 하중을 셔터그물(11)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셔터그물(11)의 그물망 가장자리를 따라서도 보강용 힘줄(11a)을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개폐로프(13) 또한 웨이트 수단이 아닌 셔터그물(11) 하단부의 힘줄(11a)상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웨이트로드(12)의 적용시에는 각각의 개폐로프(13)를 웨이트로드(12)와 용이하게 결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양측단에 개폐로프(13)용 결속단부(12a)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단부(12a)의 일례로서 도 7에는 웨이트로드(12)의 단부측에 한 쌍의 플랜지부를 돌출 형성시킨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웨이트로드(12)의 단부측에 수직 방향의 결속구멍(12b)을 관통 형성시킨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로프(13)는 각각의 플랜지부 사이에 제공된 결속홈을 따라 웨이트로드(12)와 함께 감기도록 로프매듭(13a) 방식으로 결속되거나, 웨이트로드(12)의 결속구멍(12b)을 하부로 관통한 다음 로프매듭(13a)에 의하여 웨이트로드(12)를 떠받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 이외에도 각각의 개폐로프(13)를 웨이트로드(12)와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이 사용되더라도 무방하며, 상기 개폐로프(13)를 이용하여 셔터그물(11)을 웨이트로드(12)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내려 놓음으로서 벽체그물(6)의 개방공간을 셔터그물(11)로 덮어 두는 조작이 보다 더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공간(16)의 주변에 해당하는 벽체그물(6)상에 소정 간격으로 마그네트(14)를 연결 설치하는 한편, 상기 셔터그물(11)의 가장자리측에도 벽체그물(6)과 대응되는 위치에 맞추어 마그네트(14)를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마그네트(14)의 적용을 통하여 셔터그물(11)을 들어 올린 개방공간(16)의 오픈 상태에서 셔터그물(11)을 다시 내려 놓음에 따라 개방공간(16)을 폐쇄시키고자 할 경우, 개방공간(16) 주변의 벽체그물(6)상에 설치된 마그네트(14)와 셔터그물(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마그네트(14)간의 흡착자력을 이용하여 셔터그물(11)을 원래의 위치대로 정확하게 복원시킬 수 있는 한편, 셔터그물(11)에 의한 개방공간(16)의 폐쇄상태가 마그네트(14)간의 부착력에 의하여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14)는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이 서로 마주보는 표면에서 그물망과 일체로 부착 또는 접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해당 표면의 뒷면에 마그네트(1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자의 경우는 셔터그물(11)에 의한 개방공간(16)의 폐쇄력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유리하고, 후자의 경우는 셔터그물(11)을 이용한 개방공간(16)의 오픈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며, 그물 어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마그네트(14)는 유연한 재질의 패드(Pad)형 또는 시트(Sheet)형 고무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마그네트(14)를 적용시키지 않고 웨이트 수단이나 웨이트로드(12) 자체의 하중만으로도 셔터그물(11)이 개방공간(16)을 일정 수준으로 커버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조류나 파도 등에 의하여 셔터그물(11)이 요동함에 따라 개방공간(16) 주변의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의 가장자리측이 지속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각각의 그물 사이가 순간적으로 벌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벌어진 각 그물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조업대상 어류가 불필요하게 빠져 나갈 우려 또한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개방공간(16) 주변의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그네트(14)를 설치함으로서, 개방공간(16) 주변의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의 가장자리측이 마그네트(14)간의 부착력에 의하여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토록 하되, 셔터그물(11)을 상부로 들어 올려 개방공간(16)을 오픈시키는 작업이 마그네트(14)간의 과도한 부착력에 의하여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적절한 수준의 흡착자력을 가지는 고무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 볼 수 있다.
도면상 상기 개방공간(16)의 좌,우측 각 3군데에 걸쳐 벽체그물(6)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그네트(14)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그물(11)의 경우에도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벽체그물(6)과 동일한 위치에 마그네트(14)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마그네트(14)가 설치되는 위치 및 그 개수는 개방공간(16)의 형태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개방공간(16)의 상,하부측에 해당하는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의 상,하단측에도 마그네트(14)를 추가로 적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마그네트(14)의 적용갯수와 적용범위를 늘릴수록 개방공간(16) 주변의 벽체그물(6)이 셔터그물(11)의 가장자리측과 안정적으로 밀착되게 하는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개폐로프(13)를 이용하여 셔터그물(11)을 상부로 들어 올림으로서 개방공간(16)을 오픈시키는 작업에는 다소의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정치망(1)이 설치된 수역의 조류나 파도 등을 감안하여 개방공간(16) 주변의 벽체그물(6)이 셔터그물(11)의 가장자리측과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최소한의 개수로 마그네트(1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로프(13)를 이용하여 셔터그물(11)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 놓는 작업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를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상에 개폐로프(13)가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튜브(17)를 연결 설치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튜브(17)를 거쳐 해수면의 외부로 연장되는 개폐로프(13)의 상단측에는 걸고리(13b)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개폐로프(13)의 상단부를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상에 임의로 묶어 놓을 경우,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를 신속하게 판단하기가 다소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개폐로프(13)의 상단부를 힘줄(6a)로부터 풀어 내어 셔터그물(11)을 들어 올리기까지의 작업 과정도 까다롭게 됨은 물론이고, 셔터그물(11)을 다시 내려 개방공간(16)을 정확하게 폐쇄시키는 과정 역시 작업자의 감각과 숙련도에만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지만, 상기 가이드튜브(17)와 걸고리(13b)를 적용시킬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튜브(17)는 도 11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로프(13)의 직경보다 큰 내경, 바람직하게는 개폐로프(13) 직경의 1.5~2배 정도의 내경을 가지는 관통구멍(17b)이 튜브몸통의 중심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몸통의 일측(도면상 좌측)에는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연결튜브(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튜브(18)는 해당 힘줄(6a)과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가이드튜브(17)를 연결튜브(18)와 함께 해당 힘줄(6a)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연결튜브(18)의 몸통 일측에 클램퍼(Clamper)(18a)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클램퍼(18a)의 대표적인 일례로서는 연결튜브(18)의 후방측에서 상,하로 돌출되는 한 쌍의 클램핑단부를 들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클램핑단부가 형성된 연결튜브(18) 부분는 절개되어질 것이며, 해당 절개부를 이용하여 각 클램핑단부 사이의 간격을 벌림으로서 연결튜브(18)의 내부로 힘줄(6a)을 삽입시킨 다음, 각각의 클램핑단부를 다시 오므려 밀착시킨 상태에서 클램핑볼트 및 너트로 각각의 클램핑단부를 조임에 따라 연결튜브(18)가 가이드튜브(17)와 함께 힘줄(6a)과 견고하게 맞물려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연결튜브(18)의 일측 몸통을 관통하여 힘줄(6a)측으로 체결되는 클램핑볼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로프(13)의 상단측에 제공되는 걸고리(13b)는 개폐로프(13) 자체를 로프매듭(13a)에 의하여 고리 형태로 만든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을 이용하여 별도 제작된 원형고리를 개폐로프(13)의 상단측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튜브(17)의 경우에도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며, 상기 걸고리(13b)용 로프매듭(13a)의 하부에는 개폐로프(13)가 관통된 상태로 가이드튜브(17)의 상단면에 놓이는 스토퍼(Stopper)(17a)를 제공함으로서, 해당 로프매듭(13a) 부분이 가이드튜브(17)의 관통구멍(17b)으로 박혀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에 가이드튜브(17)를 설치하여 놓은 상태에서, 해당 가이드튜브(17)를 관통하여 해수면의 외부로 연장되는 개폐로프(13) 상단측의 걸고리(13b)를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상부로 당기게 되면, 도 9에서와 같이 개방공간(16)을 덮어 가리고 있던 셔터그물(11)이 도 10에서와 같이 웨이트로드(12)와 함께 상부로 들어 올려짐에 따라 벽체그물(6)의 개방공간(16)이 오픈되며, 이와 같이 오픈된 개방공간(16)을 통하여 정치망(1)에 갇혀 있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1)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가이드튜브(17)를 따라 개폐로프(13)를 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당겨낼 경우, 도 10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에 고정되어 있던 가이드튜브(17)가 개폐로프(13)를 당기는 방향으로 힘줄(6a)과 함께 젖혀지게 됨으로서, 상기 셔터그물(11)이 벽체그물(6)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들려지는 것이 아니라 벽체그물(6)의 일측(도면상 전방측) 상부를 향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들려지게 되며, 이는 각 마그네트(14) 사이의 부착력을 보다 더 손쉽게 극복하면서 셔터그물(11)을 들어 올릴 수 있는 동시에, 셔터그물(11)을 다시 내려 놓을 시에도 각각의 마그네트(14)를 순차적으로 보다 더 정확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튜브(17)가 적용되지 아니한 상태로 개폐로프(13)만을 이용하여 셔터그물(11)을 단순히 수직 방향으로 당겨 올릴 경우에는,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의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며 붙어 있던 각각의 마그네트(14)를 떨어뜨리면서 셔터그물(11)을 들어 올리는 작업이 다소 까다롭게 되는 반면, 상기 가이드튜브(17)를 개폐로프(13)와 함께 이용하여 셔터그물(11)을 경사지게 당겨 올릴 경우에는,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의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며 붙어 있던 각각의 마그네트(14)를 쉽게 떨어뜨리면서 셔터그물(11)을 용이하게 당겨 올릴 수 있다는 것이며, 셔터그물(11)을 다시 내려 놓을 시에도 이와 반대되는 과정을 거쳐 각각의 마그네트(14)를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보다 더 확실하게 발현될 수 있도록,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튜브(17) 자체를 해당 힘줄(6a)상에 비스듬히 경사지게 고정 설치할 수도 있고,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튜브(17)를 해당 힘줄(6a)과의 힌지식 상대회전(각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결튜브(18)의 관통구멍(18b)은 그 내경이 힘줄(6a)의 직경보다 크게 될 것이고, 도 13에서와 같이 해당 가이드튜브(17)의 좌,우측에는 가이드튜브(17)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힘줄(6a)상에 고정 설치될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연결튜브(18)에 있어서도 도 11에서 설명되어진 착탈식 클램퍼(18a)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 13에서는 가이드튜브(17)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클램핑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해당 힘줄(6a)과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되는 클램핑스토퍼(Clamping stopper)(19)를 대표적인 일례로 나타내었으나,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스토퍼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튜브(17)를 힘줄(6a)상에 설치하는 방식 또한 연결튜브(18) 이외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이드튜브(17)는 최소 10cm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힘줄(6a)을 중심으로 하는 힌지식 각운동이 보다 더 확실하고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튜브(17) 및/또는 걸고리(13b)는 주변의 부자(8)와 다른 색상으로 제작하여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를 보다 더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에 도시된 경우는 2개의 가이드튜브(17)가 해당 힘줄(6a) 위치에 적용될 것이고, 도 6에 도시된 경우는 하나의 가이드튜브(17)가 해당 힘줄(6a) 위치에 적용될 것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도 9 및 도 10에서는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에 부자(8)가 설치되어 해당 힘줄(6a)이 뜸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나타내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부자(8)가 설치되는 뜸줄을 별도로 제작한 다음, 해당 뜸줄을 따라 벽체그물(6) 상단측의 힘줄(6a)을 연승(延繩) 방식으로 매달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가이드튜브(17)는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이 아닌 부자(8)용 뜸줄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각각의 그물과 마그네트(14)의 두께를 다소 크게 하여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각각의 그물이 마그네트(14)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얇은 두께의 그물망에 얇은 두께의 마그네트(14)를 적용하여 벽체그물(6)과 셔터그물(11)이 매우 긴밀하게 접촉됨으로서 각각의 그물 사이에 도면에서와 같은 간격이 발생하지 않게 됨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셔터그물(11)이 벽체그물(6)의 내측(도면상 좌측)에 설치된 경우에도 개폐로프(13)의 당김방향만이 상이해질 뿐이고 개방공간(16)의 개폐를 위한 셔터그물(11)의 나머지 조작방식은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짐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정치망(1)의 내부에 갇힌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개폐로프(13)를 이용하여 셔터그물(11)을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림에 따라 벽체그물(6)에 제공된 개방공간(16)을 오픈시킨 다음,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개방공간(16)측으로 유도하여 정치망(1)의 외부로 안전하게 빠져 나가도록 할 수 있으며,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정치망(1)의 외부로 빠져 나간 이후 상기 개폐로프(13)와 웨이트 수단을 이용하여 셔터그물(11)을 원래의 위치로 내려 놓음에 따라 개방공간(16)을 다시 폐쇄시킨 상태로 다음의 조업작업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정치망(1)의 포획망(5) 부분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들어올려 조업대상 어류를 어획하는 작업시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포획망(5)으로부터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빼내어 정치망(1)의 그물 영역 외부로 다시 방생하는 번거러운 작업 및 해당 작업의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해양생물의 폐사와 그물 어구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토록 함으로서, 조업작업의 능률성과 경제성 및 그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고래나 상괭이 등의 해양생물을 안전하게 보호 및 관리하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개방공간(16)의 둘레 부분과 그 내측에 걸쳐 보강힘줄(15)에 의한 그물망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개방공간(16)이 항시 일정한 수준의 탈출통로를 제공토록 함과 동시에, 개방공간(16)을 형성시킨 벽체그물(6) 부분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공간(16)의 주변 및 이에 대응하는 셔터그물(11)의 가장자리측에 마그네트(14)를 설치하여 놓은 상태에서 셔터그물(11)의 하단에 걸친 웨이트로드(12)와 그 양측단에 연결된 개폐로프(13)를 이용하여 셔터그물(11)에 의한 개방공간(16)의 개폐작동 역시 매우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벽체그물(6)의 상단측 힘줄(6a)이나 정치망(1)용 부자(8)의 설치를 위한 뜸줄상에 개폐로프(13)가 관통되는 가이드튜브(17)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튜브(17)의 상단부를 거쳐 연장되는 개폐로프(13)의 끝단에 걸고리(13b)를 제공함으로서,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를 조업선박의 갑판에서 용이하게 판단하여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으로부터 셔터그물(11)을 이용한 개방공간(16)의 오픈과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에 이르기까지의 작업과정을 한층 더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를 해수면의 외부로 노출된 가이드튜브(17)와 걸고리(13b)를 이용하여 일차 확인한 다음,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설치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부터 포획망(5)을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들어 올리면서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을 수행하여 나가다가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유영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만을 남겨둔 상태로 조업대상 어류의 어획작업을 완료시키게 되며, 그 직후에 상기 걸고리(13b)를 이용하여 개폐로프(13)를 조업선박의 갑판측으로 당겨 셔터그물(11)을 들어 올림으로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오픈된 개방공간(16)을 거쳐 정치망(1)의 외부로 빠져 나가게 한다는 것이다.
상기의 내용은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포획망(5)의 벽체그물(6)에 설치되는 한편, 포획망(5)의 내부에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조업대상 어류와 함께 갇힌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유도망(4)의 벽체그물(6)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을 유도할 수도 있고, 조업선박의 갑판으로 유도망(4)을 걷어 들이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공간(16)만을 오픈시킨 다음, 그 개방공간(16)측으로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유도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유도망(4)의 내부에 조업대상 어류가 대량으로 갇혀 있는 상황에 적합하고, 후자의 경우는 대부분의 조업대상 어류가 포획망(5)에 갇혀 있는 한편, 유도망(4)에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이 갇혀 있는 상황에 적합하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를 유도망(4)과 포획망(5)에 모두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탈출유도장치(10)가 포획망(5)에만 적용된 경우에도 유도망(4)에 갇힌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조업대상 어류와 함께 포획망(5)으로 몰아 넣은 다음, 포획망(5)의 탈출유도장치(10)를 이용하여 비조업대상 해양생물만을 탈출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 : 정치망 2 : 차단망 3 : 입구망
4 : 유도망 5 : 포획망 6 : 벽체그물
6a,11a : 힘줄 7 : 바닥그물 8 : 부자
9 : 침자 10 : 탈출유도장치 11 : 셔터그물
11b : 연결단부 12 : 웨이트로드 12a : 결속단부
12b : 결속구멍 13 : 개폐로프 13a : 로프매듭
13b : 걸고리 14 : 마그네트 15 : 보강힘줄
16 : 개방공간 17 : 가이드튜브 17a : 스토퍼
17b,18b : 관통구멍 18 : 연결튜브 18a : 클램퍼
19 : 클램핑스토퍼 20 : 부이 21 : 계류로프
22 : 앵커

Claims (8)

  1. 정치망을 구성하는 벽체그물상에 설치되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을 정치망의 외부로 탈출시킬 수 있도록 한 탈출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출유도장치는 정치망의 임의 위치에 해당하는 벽체그물의 일부를 개구부 형태로 잘라내어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구를 형성시킨 개방공간과, 상기 개방공간을 벽체그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커버하는 셔터그물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셔터그물은 조업대상 어류가 빠져 나가지 못하는 망목 치수를 가지도록 제작된 것이고, 상기 셔터그물의 상단부가 개방공간 상부측의 벽체그물과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셔터그물의 좌,우 양측단부와 하단부는 벽체그물과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로 개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드리워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셔터그물의 하단부에는 셔터그물을 하방으로 늘어뜨려 벽체그물의 개방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 무게의 웨이트(Weight) 수단과, 상기 셔터그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 놓음에 따라 개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벽체그물의 상단측을 거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개폐로프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공간의 내측에는 보강힘줄에 의한 그물망 구조가 제공되고, 상기 보강힘줄에 의한 그물망의 망목 치수는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이 가능한 치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공간의 주변에 해당하는 벽체그물에는 소정 간격으로 마그네트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셔터그물의 가장자리측에도 벽체그물과 대응되는 위치에 맞추어 마그네트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유연한 재질의 패드형 또는 시트형 고무자석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수단은 셔터그물의 하단부에서 셔터그물의 폭 방향에 걸쳐 연결 설치되는 막대형 또는 파이프형 웨이트로드가 되고, 상기 개폐로프는 소정의 길이만큼 셔터그물의 외부로 연장되는 웨이트로드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1개씩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개폐로프는 웨이트로드의 양측 끝단부에서 셔터그물의 중앙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다음 셔터그물의 중앙부에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개폐로프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하나의 개폐로프가 벽체그물의 상단측을 거쳐 해수면의 외부까지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그물의 상단측에 제공된 힘줄 또는 정치망용 부자의 설치를 위한 뜸줄에는 개폐로프가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튜브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튜브를 거쳐 해수면의 외부로 연장되는 개폐로프의 상단측에는 걸고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튜브는 벽체그물의 상단측 힘줄 또는 정치망용 부자의 설치를 위한 뜸줄상에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튜브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힘줄 또는 뜸줄에는 가이드튜브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KR1020230085524A 2023-07-03 2023-07-03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KR102602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524A KR102602798B1 (ko) 2023-07-03 2023-07-03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524A KR102602798B1 (ko) 2023-07-03 2023-07-03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798B1 true KR102602798B1 (ko) 2023-11-17

Family

ID=8896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524A KR102602798B1 (ko) 2023-07-03 2023-07-03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7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453B1 (ko) * 2006-06-02 2006-11-23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KR100868526B1 (ko) * 2008-06-02 2008-11-14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배출망
KR100878839B1 (ko) * 2008-09-04 2009-01-14 대한민국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KR100925880B1 (ko) * 2009-07-01 2009-11-09 대한민국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JP2018076133A (ja) * 2016-11-07 2018-05-17 日油技研工業株式会社 漁具の昇降装置及び漁具の昇降方法
KR20200109120A (ko) * 2019-03-12 2020-09-22 황정향 사각통그물망을 구비한 정치어망
KR102490230B1 (ko) 2022-08-29 2023-01-19 이승엽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453B1 (ko) * 2006-06-02 2006-11-23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KR100868526B1 (ko) * 2008-06-02 2008-11-14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배출망
KR100878839B1 (ko) * 2008-09-04 2009-01-14 대한민국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KR100925880B1 (ko) * 2009-07-01 2009-11-09 대한민국 해파리 피해저감용 어망
JP2018076133A (ja) * 2016-11-07 2018-05-17 日油技研工業株式会社 漁具の昇降装置及び漁具の昇降方法
KR20200109120A (ko) * 2019-03-12 2020-09-22 황정향 사각통그물망을 구비한 정치어망
KR102490230B1 (ko) 2022-08-29 2023-01-19 이승엽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5295A (en) Marine life traps
EP2787806B1 (en) Floating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 buoyancy system
US6267079B1 (en) Fish cage
KR20110001609U (ko) 낙지 포획용 통발
US5943812A (en) Crab trap
KR101100869B1 (ko) 침하방지와 인공어초 겸용 저인망 불법조업 방지시설
KR102602798B1 (ko)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셔터식 탈출유도장치
RU2531434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ыбы
WO2010015013A1 (en) Combination lobster, crayfish and crab trap
DK202270094A1 (en) Device for relocating fish within a receptacle and method for relocating the fish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KR101143149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설치방법
KR20170059372A (ko) 설치와 회수가 용이한 오탁방지막
JP2013236629A (ja) 特に、動物飼育するために水域に設置できる籠又はスリーブのネット
US7607252B1 (en) Method of retrieving fishing gear
KR102602797B1 (ko)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KR101031319B1 (ko) 저인망 불법조업 방지시설
JP3532865B2 (ja) 藻類の育成部材
KR200495291Y1 (ko) 통발형 낚시 수단을 구비한 인공어초
JP2003061513A (ja) 囲い網
KR102511153B1 (ko)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탈출유도망
KR102511154B1 (ko) 어업용 장력유지식 부표시스템
RU2210890C2 (ru) Рыболовная снасть
JP5667458B2 (ja) 中層浮魚礁設備
RU2218761C2 (ru) Рыболовная снаст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