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251A - 갯벌 생물 채취기구 - Google Patents

갯벌 생물 채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251A
KR20220037251A KR1020200119959A KR20200119959A KR20220037251A KR 20220037251 A KR20220037251 A KR 20220037251A KR 1020200119959 A KR1020200119959 A KR 1020200119959A KR 20200119959 A KR20200119959 A KR 20200119959A KR 20220037251 A KR20220037251 A KR 20220037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cking material
pipe member
tidal flat
pip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수
Original Assignee
장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수 filed Critical 장병수
Priority to KR102020011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251A/ko
Publication of KR2022003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갯벌 생물 채취기구에 관한 것으로, 중공으로 형성된 파이프본체와, 상기 파이프본체의 상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고정손잡이가 형성된 외측파이프부재; 상기 외측파이프부재의 중공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측파이프부재의 하단에서부터 소정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게 손잡이가 형성된 내측파이프부재; 상기 내측파이프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파이프부재의 상승에 의해 상승되면서 갯벌의 생물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흡입부재;를 마련하여 외측파이프부재 내에 설치된 내측파이프부재를 승강시켜 갯벌의 구멍에 서식하는 생물을 흡입력으로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되고, 수직파이프의 승강 시 흡입부재의 승강으로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생물을 잡을 수 있으며, 흡입부재의 상부패킹재와 하부패킹재에 의해 파이프본체 내부로 갯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갯벌 생물 채취기구{Tidal flat creatur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갯벌 생물 채취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갯벌에 서식하는 어패류 또는 생물 등을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갯벌 생물 채취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갯벌이란 썰물 때 해수면 위로 드러나는 바닷가 또는 강가에 넓고 평평하게 펼쳐진 땅으로 간조와 만조 차이로 드러나는 해안의 공간을 의미하는데, 바닷가의 자갈, 바위해안, 모래해안, 염습지, 갯벌을 모두 포함한다.
밀물 때에는 물 속에 잠기고 썰물 때에는 공기 중에 노출되는 갯벌은 육상과 해양 생태계가 만나는 곳으로 두 생태계를 연결하는 동시에 완충작용을 하는 중요한 곳이다.
특히 갯벌은 육지와 바다를 이어 주는 완충 지대로서 각종 어패류의 서식지와 산란장을 제공하고 전체 어획량의 60% 이상을 생산하며, 하수 처리장은 관리비가 필요한 반면에 갯벌은 어업의 수익을 얻는 동시에 자연 정화사업도 할 수 있다.
또한 자연재해와 기후 조절의 기능을 갖고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가 있어 순간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높은 수위를 낮출 수 있다.
한국 서해안의 조차는 해안선의 출입이 심하고 긴 만(灣)이라는 지형적 특성에 의해 조차가 매우 커 총 갯벌 면적의 83%가 서해안 지역에 분포하며, 캐나다 동부 해안, 미국 동부 해안과 북해 연안, 아마존 강 유역과 더불어 세계의 5대 갯벌로 꼽힌다.
과거에는 어민들에게 경제적 수단으로만 이용되어졌으나, 요즘에는 갯벌 속에 멸종 위기에 처해진 생물 중 3분의 1이 서식하여 연구됨으로써 그 생물의 보존은 물론 이 생물들을 이용해 식량 자원이나 의학 자원으로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특유의 경관 때문에 갯벌 체험 등의 관광 사업과 갯벌의 진흙으로 마사지를 하는 머드팩 관광도 인기가 높아 관광산업으로서의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해루질이란 예로부터 물 빠진 갯벌에서 어패류를 채취하는 행위로 주로 밤에 조명을 밝혀 불빛을 보고 달려드는 물고기를 잡는 전통적인 어로 방식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어업을 주업으로 하는 어부들 외에, 일반인들까지도 취미 생활의 일환으로 즐기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루질에 사용되는 해루질 장비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갯벌에서 수산물 채취작업 및 갯벌 탐사 등을 할 때에 갯벌의 진흙 등과 같은 질퍽한 흙이 있는 장소에서 발이 물에 젖거나 신발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목이 길고 저면에 요철 모양의 바닥창을 구비한 고무 재질로 된 물장화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물장화는 갯벌이나 진흙으로부터 발에 대한 방습성 및 보호성에만 역점을 둘 뿐 갯벌 및 진흙에서의 이동을 고려한 작업에는 맞지 않아 작업 중 발이 진흙이나 갯벌 등과 같은 질퍽한 물질에 빠지게 되면, 물장화의 표면과 진흙이나 갯벌의 내부가 진공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물장화를 착용한 작업자의 발이 진흙이나 갯벌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
한편 고무장갑은 가정에서 설거지나 세탁을 할 때 사용하기도 하고, 작업장에서 근로자들이 손을 보호하거나 작업용으로 착용한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라텍스 고무장갑은 그 재질의 특성상 표면이 미끄러워 작업할 때에 손에 잡는 물건이 미끄러져 빠지기 쉽고 손에 잘 잡히지 않으므로 그의 표면에 미세한 엠보싱 또는 돌기를 형성하여 그에 따른 결점을 보완하는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금형의 표면에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처리를 하므로써 성형되는 고무장갑 표면에 미세한 조면을 형성하는 방법도 개발된 바 있어 미끄럼방지에 대한 문제점은 해결 되었으나, 종래의 고무장갑은 벗을 때 라텍스의 특성에 따른 신축력(伸縮力)으로 인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더욱이 고무장갑 전체를 고무피복으로 형성하고 손가락 부위와 손바닥 부위의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로 형성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시 피부와 고무장갑의 내측 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고무장갑의 내부가 외부의 공기 유통을 전혀 이룰 수 없는 밀폐된 상태가 되므로 자연발생되는 소정의 땀과 습기로 인한 손 표면과 고무장갑 내측면 간의 미끌 거리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갯벌용 공극수 채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갯벌용 공극수 채취장치는 해양이나 하천의 갯벌에 존재하는 공극수를 채취하기 위한 공극수 채취장치로서, 하단에 개구부를 갖는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공극수의 취수공간을 제공하고, 갯벌에 파묻힌 상태로 설치되어 밀물에 의한 수압이 갯벌의 상부에 가해짐에 따라 상기 개구부로 갯벌이 공극수와 함께 유입되는 채취기본체와, 상기 채취기본체를 외부와 소통가능하게 연통시키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한 갯벌의 유입을 허용하는 소통부재 및 상기 채취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로 유입되는 갯벌의 이물질을 여과하면서 여과된 공극수를 채취기본체로 유입시키는 여과부재;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몸통튜브와, 상기 몸통튜브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몸통튜브와 조립 설치되는 깔때기형 트랩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튜브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튜브의 상단측에는 아릿줄의 결속수단이 제공된 통발에 있어서, 상기 통수공은 10~30mm의 길이와 2~4mm의 폭을 가지는 직사각 형태의 슬릿(Slit)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통튜브의 상단에는 원판 형태의 개폐식 뚜껑이 설치된다.
상기 뚜껑의 일측 단부는 몸통튜브의 상단측에 조립된 경첩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뚜껑의 타측 단부에는 탄력밴드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탄력밴드에는 후크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몸통튜브의 중앙측에는 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연결구멍이 형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139703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65503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6-00033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갯벌 속애에 서식하는 어패류 또는 어류 등을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갯벌에 서식하는 낙지, 속, 개불, 맛조개 등의 어류 및 어패류 등을 갯벌 및 물을 함께 빨아들여 갯벌에 생존하는 생물을 간편하게 꺼내어 어로 활동이 가능한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측파이프를 상승시킴에 따라 갯벌 내에 있는 생물을 빨아들여 갯벌에 손을 넣지 않고서도 갯벌에서 생물 채취가 가능한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는 중공으로 형성된 파이프본체(11)와, 상기 파이프본체(11)의 상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고정손잡이(12)가 형성된 외측파이프부재(10);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중공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하단에서부터 소정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게 손잡이(22)가 형성된 내측파이프부재(20);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상승에 의해 상승되면서 갯벌의 생물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흡입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파이프(21);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단에 상기 흡입부재(3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22);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부에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상면을 밀폐시키도록 구비되는 파이프커버(23); 상기 수직파이프(21)의 하단에 상기 흡입부재(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부재(30)는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파이프본체(11)의 내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되는 상부패킹재(32); 상기 내측파이프(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파이프본체(11)의 내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패킹재(3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패킹재(32)는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상승에 의해 갯벌과 함께 생물을 끌어올리는 흡입력을 갖도록 개방된 상부면이 상측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하부패킹재(33)는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하강에 의해 갯벌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개방된 하부면이 하측을 향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부재(30)는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24)에 끼워지는 상부부싱(31); 상기 체결부(24)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상부부싱(31)의 저면 및 상기 파이프본체(11)의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부패킹재(32); 상기 상부패킹재(32)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24)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본체(11)의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하부패킹재(33); 상기 하부패킹재(33)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부싱(37); 상기 하부부싱(37)이 이탈되지 않게 상기 체결부(24)에 체결되는 고정너트(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패킹재(32) 및 상기 하부패킹재(33)는 상기 체결부(24)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중공(34); 상기 파이프본체(1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파이프밀착부(35); 상기 파이프밀착부(35)의 외면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돌기(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에 의하면, 외측파이프부재 내에 설치된 내측파이프부재를 승강시켜 갯벌의 구멍에 서식하는 생물을 흡입력으로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되고, 수직파이프의 승강 시 흡입부재의 승강으로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생물을 잡을 수 있으며, 흡입부재의 상부패킹재와 하부패킹재에 의해 파이프본체 내부로 갯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의 흡입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는 중공으로 형성된 파이프본체(11)와, 상기 파이프본체(11)의 상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고정손잡이(12)가 형성된 외측파이프부재(10)와,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중공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하단에서부터 소정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게 손잡이(22)가 형성된 내측파이프부재(20)와,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상승에 의해 상승되면서 갯벌의 생물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흡입부재(3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의 흡입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는 갯벌에서 서식하는 어패류 또는 낙지 등의 생물을 채취하는 것으로,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이 드나드는 구멍에 채취기구를 위치시켜 흡입력에 의해 생물을 간편하게 채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는 직경이 큰 외측파이프부재(10)와,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측파이프부재(20)와,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승강에 따라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는 파이프본체(11)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본체(11)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본체(11)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고정손잡이(1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손잡이(12)는 외측파이프부재(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에 상기 고정손잡이(12)는 파이프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외측파이프부재(10)를 밑으로 누르면서 잡을 수 있게 파이프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손잡이(12)의 외면에는 고무커버(13)가 설치된다. 상기 고무커버(13)는 손으로 안정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손으로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파이프(21)와,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단에 상기 흡입부재(3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22)와,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부에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상면을 밀폐시키도록 구비되는 파이프커버(23)와, 상기 수직파이프(21)의 하단에 상기 흡입부재(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수직파이프(21)는 외측파이프부재(10)의 파이프본체(11)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파이프(21)는 파이프본체(11) 내에 삽입되게 파이프본체(1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단에는 손잡이(22)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2)는 수직파이프(21)를 필요에 따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수평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파이프(21)에는 중공으로 형성된 파이프본체(11)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파이프커버(23)가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커버(23)는 파이프본체(11)의 상면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파이프(21)의 하단에는 흡입부재(3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24)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재(30)는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24)에 끼워지는 상부부싱(31)와, 상기 체결부(24)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상부부싱(31)의 저면 및 상기 파이프본체(11)의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부패킹재(32)와, 상기 상부패킹재(32)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24)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본체(11)의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하부패킹재(33)와, 상기 하부패킹재(33)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부싱(37)와, 상기 하부부싱(37)이 이탈되지 않게 상기 체결부(24)에 체결되는 고정너트(38)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재(30)는 체결부(24)에 설치되어 내측파이프부재(20)와 함께 승강되게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24)에는 상부패킹재(32)를 지지하는 상부부싱(31)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부싱(31)의 하부에는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패킹재(3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패킹재(32)의 하부에는 하부패킹재(33)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패킹재(33) 또한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하부패킹재(33)의 하부에는 하부부싱(37)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부싱(37)의 하부에는 고정너트(38)가 체결된다.
상기 상부패킹재(32)는 수직파이프(21)에 의해 상승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하부패킹재(33)는 수직파이프(21)에 의해 하강되면서 갯벌이 파이프본체(11)의 내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하게 된다.
이들 상부패킹재(32)와 하부패킹재(33)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패킹재(32) 및 상기 하부패킹재(33)는 상기 체결부(24)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중공(34)과, 상기 파이프본체(1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파이프밀착부(35)와, 상기 파이프밀착부(35)의 외면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돌기(36)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패킹재(32) 및 하부패킹재(33)에는 체결부(24)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중공(34)이 형성되며, 이들 패킹재(32, 33)의 외측에는 파이프본체(11)의 내면에 밀착되는 파이프밀착부(35)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밀착부(35)는 파이프본체(11)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밀착부(35)의 외면에는 파이프본체(11)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원호 형상으로 원형돌기(36)가 돌출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는 파이프본체(11)를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며, 상기 파이프본체(11)는 내측파이프부재(20)를 내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파이프본체(11)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끔 고정손잡이(12)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손잡이(12)에는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고무커버(13)를 덧씌운다.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수직파이프(21)는 파이프본체(1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며,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단에는 수직파이프(2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22)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부에는 중공으로 형성된 파이프본체(11)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파이프커버(23)를 설치한다. 상기 파이프커버(23)는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파이프본체(11)의 상면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중공으로 형성된 파이프본체(11)는 파이프커버(23) 및 흡입부재(30)에 의해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파이프(21)의 하단에는 체결부(24)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24)에는 흡입부재(30)를 설치한다.
상기 체결부(24)에는 상부부싱(31)을 끼워 결합하며, 상기 상부부싱(31)의 하부에는 상부패킹재(32)를 설치하며, 상기 상부패킹재(32)의 하부에는 하부패킹재(33)를 설치한다.
상기 상부패킹재(32)는 상면이 개방된 파이프밀착부(35)를 상측으로 설치하고, 하부패킹재(33)는 하면이 개방된 파이프밀착부(35)를 하측으로 설치한다.
즉, 상기 상부패킹재(32)는 상측으로 설치되고, 하부패킹재(33)는 하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는 상부패킹재(32)는 수직파이프(21)에 의해 상승 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며, 하부패킹재(33)는 수직파이프(21)에 의해 하강 시 갯벌이 내부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24)에는 하부패킹재(33)를 안정되게 받쳐주는 하부부싱(37)을 설치하며, 상기 하부부싱(37)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너트(38)를 체결한다.
다음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는 외측파이프부재(10)의 내측에 내측파이프부재(2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파이프본체(11) 상단에는 파이프본체(11)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파이프커버(23)가 결합되어 있고, 수직파이프(21)의 체결부(24)에는 상부패킹재(32)와 하부패킹재(33)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작업자가 수직파이프(21)의 손잡이(22)를 잡고서 상승시키면 체결부(24)가 상승되고, 체결부(24)에 설치된 상부패킹재(32)와 하부패킹재(33)가 상승된다.
이와 같이 상부패킹재(32)가 상승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파이프본체(11)의 개방된 입구를 갯벌의 생물이 서식하는 입구(구멍)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수직파이프(21)를 상승시키면 상부패킹재(32)가 파이프본체(11)의 내면을 따라 상승되면서 갯벌과 함께 생물이 빨려 들어오게 된다.
상기 수직파이프(21)를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킨 다음 갯벌로부터 채취기구를 분리시켜 파이프본체(11)의 내부로 빨려 들어온 생물을 꺼내게 된다.
상기 채취기구를 갯벌의 구멍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직파이프(21)의 하강 시 하부패킹재(33)가 확장되어 파이프본체(11)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에 상기 수직파이프(21)의 하강 시 갯벌, 물 등이 파이프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패킹재(32)는 흡입부재(30)의 상승 시 구멍 내의 생물 및 갯벌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갖게 되고, 상기 하부패킹재(33)는 흡입부재(30)의 하강 시 파이프본체(11) 내부로 갯벌 등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갯벌 생물 채취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흡입부재(30)의 상부부싱(31) 내지 고정너트(38)가 구비되며,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상부부싱(31), 하부부싱(37) 및 고정너트(38)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패킹재(32)와 하부패킹재(33)는 상하로 맞대어 설치되므로, 이들 상부패킹재(32)와 하부패킹재(33)를 일체로 형성한다.
즉, 상부패킹재(32)와 하부패킹재(33)를 일체로 형성하여 패킹재(32, 33)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외측파이프부재 11: 파이프본체
12: 고정손잡이 13: 고무커버
20: 내측파이프부재 21: 수직파이프
22: 손잡이 23: 파이프커버
24: 체결부
30: 흡입부재 31: 상부부싱
32: 상부패킹재 33: 하부패킹재
34: 중공 35: 파이프밀착부
36: 원형돌기 37: 하부부싱
38: 고정너트

Claims (5)

  1. 중공으로 형성된 파이프본체(11)와, 상기 파이프본체(11)의 상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고정손잡이(12)가 형성된 외측파이프부재(10);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중공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하단에서부터 소정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게 손잡이(22)가 형성된 내측파이프부재(20);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상승에 의해 상승되면서 갯벌의 생물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흡입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생물 채취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파이프(21);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단에 상기 흡입부재(3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22);
    상기 수직파이프(21)의 상부에 상기 외측파이프부재(10)의 상면을 밀폐시키도록 구비되는 파이프커버(23);
    상기 수직파이프(21)의 하단에 상기 흡입부재(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생물 채취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30)는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파이프본체(11)의 내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되는 상부패킹재(32);
    상기 내측파이프(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파이프본체(11)의 내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패킹재(3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패킹재(32)는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상승에 의해 갯벌과 함께 생물을 끌어올리는 흡입력을 갖도록 개방된 상부면이 상측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하부패킹재(33)는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하강에 의해 갯벌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개방된 하부면이 하측을 향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생물 채취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30)는 상기 내측파이프부재(2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24)에 끼워지는 상부부싱(31);
    상기 체결부(24)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상부부싱(31)의 저면 및 상기 파이프본체(11)의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부패킹재(32);
    상기 상부패킹재(32)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24)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본체(11)의 내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하부패킹재(33);
    상기 하부패킹재(33)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부싱(37);
    상기 하부부싱(37)이 이탈되지 않게 상기 체결부(24)에 체결되는 고정너트(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생물 채취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킹재(32) 및 상기 하부패킹재(33)는 상기 체결부(24)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중공(34);
    상기 파이프본체(1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파이프밀착부(35);
    상기 파이프밀착부(35)의 외면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돌기(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생물 채취기구.
KR1020200119959A 2020-09-17 2020-09-17 갯벌 생물 채취기구 KR20220037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959A KR20220037251A (ko) 2020-09-17 2020-09-17 갯벌 생물 채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959A KR20220037251A (ko) 2020-09-17 2020-09-17 갯벌 생물 채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251A true KR20220037251A (ko) 2022-03-24

Family

ID=8093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959A KR20220037251A (ko) 2020-09-17 2020-09-17 갯벌 생물 채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72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033B1 (ko) 2023-02-22 2023-08-18 설재규 갯벌 생물 채취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03Y1 (ko) 2012-10-11 2013-02-26 대한민국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KR20160003318U (ko) 2015-03-18 2016-09-28 유종혁 해루질용 작살 뜰채
KR20160139703A (ko) 2015-05-28 2016-12-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갯벌용 공극수 채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03Y1 (ko) 2012-10-11 2013-02-26 대한민국 튜브형 낙지 어획용 통발
KR20160003318U (ko) 2015-03-18 2016-09-28 유종혁 해루질용 작살 뜰채
KR20160139703A (ko) 2015-05-28 2016-12-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갯벌용 공극수 채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033B1 (ko) 2023-02-22 2023-08-18 설재규 갯벌 생물 채취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7251A (ko) 갯벌 생물 채취기구
CN109006741B (zh) 一种水生昆虫采集悬浮装置
CN109526892A (zh) 高效便捷的实验虾捕捉装置
CN104533260B (zh) 一种改进型窗
CN206078653U (zh) 一种防小鱼的水族箱除油膜器
CN202989892U (zh) 池塘除杂器
KR102568033B1 (ko) 갯벌 생물 채취기구
CN207355030U (zh) 一种晚熟芒果虫害绿色防控装置
CN203327759U (zh) 一种家用水龟养殖箱
CN207329288U (zh) 一种蔬菜保鲜箱
McINTOSH et al. Morphology and taxonomy of the Middle Devonian crinoid Ancyrocrinus bulbosus Hall 1862
CN206260570U (zh) 一种多功能水族箱清洁器
CN206686944U (zh) 一种具有清淤功能的仿生机器鱼
CN210032045U (zh) 一种磁悬浮防臭地漏
CN207612974U (zh) 一种升降渔网的升降装置
KR20180077389A (ko) 인공어초
KR102424198B1 (ko) 해루질용 장갑 겸용 튜브
KR20100130690A (ko) 해양심층수 취수관용 보호 구조물
CN204653911U (zh) 蹼式防陷鞋
CN106259226B (zh) 一种文蛤采集机
CN205913217U (zh) 一种具有吸收雨伞流水功能的塑胶门垫
KR200327405Y1 (ko) 항만의 부유 쓰레기 수거겸용 어소블럭
CN203692265U (zh) 捕蝇器
CN218736625U (zh) 一种立体多层复合式养殖笼
CN212381936U (zh) 一种园林水池人工鱼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