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008B1 - 낚시용 통발 - Google Patents
낚시용 통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5008B1 KR101495008B1 KR20140156019A KR20140156019A KR101495008B1 KR 101495008 B1 KR101495008 B1 KR 101495008B1 KR 20140156019 A KR20140156019 A KR 20140156019A KR 20140156019 A KR20140156019 A KR 20140156019A KR 101495008 B1 KR101495008 B1 KR 1014950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trance
- fish
- fishing
- point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00298222 Caenorhabditis elegans po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2 po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10—Collapsible tra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의 낚싯줄의 말단에 연결되어 물고기를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낚싯대로부터 이어진 낚싯줄의 말단에 연결하여 물고기를 잡기 위하여 사용되는 낚시용 통발로서, 골격 유지 프레임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물고기의 진입을 위한 입구로서 진입구 개폐줄의 상태에 의하여 열고 닫히도록 구성된 진입구가 형성된 통발 본체, 상기 낚싯줄의 말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통발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진입구 개폐줄로 분기하여 연결되는 제1 지점, 및 상기 통발 본체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지점의 아래에 형성되고 봉돌이 연결되는 제2 지점을 포함하는 견인줄, 및 상기 통발 본체를 물속에 투척하기 위하여 상기 통발 본체로부터 상기 낚싯줄이 당겨진 경우에도 상기 제1 지점을 상기 진입구 부근에 유지하여 상기 진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견인줄의 제1 지점 부근에 형성된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입구를 통하여 물고기가 상기 통발 본체 내로 진입했음을 낚시하는 사람이 확인하여 상기 낚싯대를 들어올릴 때에 상기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상기 진입구가 폐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 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싯대의 낚싯줄의 말단에 연결되어 물고기를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낚싯대에 연결된 낚싯줄의 말단에 낚시 바늘을 연결하여 낚시 바늘에 다양한 종류의 미끼를 장착하여 물속에 두면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달린 미끼를 물게 되고, 낚시하는 사람이 이를 확인하여 낚싯대를 들어올려 미끼를 문 물고기의 아가미가 낚시 바늘에 걸리도록 하여 물고기를 잡는 것이다.
한편, 사람들은 통발에 의하여 물고기를 대량으로 잡기도 하는데, 다양한 미끼를 포함하는 통발을 물속에 설치하여 물고기가 진입한 통발을 들어올려 물고기를 다량으로 쉽게 잡는 방법이다. 통발과 관련된 다수의 특허가 있는데, 등록특허 제10-1261503호, 제20-0463432호 등이 있다.
그런데, 낚시에 의하여 물고기를 잡는 것은 한번에 하나의 물고기만을 잡을 수 있고 미끼를 물었을 때에도 물고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통발에 의한 방법은 통발의 설치나 확인 작업이 일반적인 사람들이 수행하기에는 용이하지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줄의 말단에 낚시 바늘 대신에 통발을 달고, 통발을 물속으로 투척하여 착지하는 동안에 통발의 진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물고기가 통발에 진입하여 견인줄에 달린 미끼를 물었을 때에 낚시하는 사람이 이를 확인하여 낚싯대를 들어올리는 동안에 자동으로 진입구가 폐쇄되어 물고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낚시용 통발은 낚싯대로부터 이어진 낚싯줄의 말단에 연결하여 물고기를 잡기 위하여 사용되는 낚시용 통발로서, 골격 유지 프레임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물고기의 진입을 위한 입구로서 진입구 개폐줄의 상태에 의하여 열고 닫히도록 구성된 진입구가 형성된 통발 본체, 상기 낚싯줄의 말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통발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진입구 개폐줄로 분기하여 연결되는 제1 지점, 및 상기 통발 본체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지점의 아래에 형성되고 봉돌이 연결되는 제2 지점을 포함하는 견인줄, 및 상기 통발 본체를 물속에 투척하기 위하여 상기 통발 본체로부터 상기 낚싯줄이 당겨진 경우에도 상기 제1 지점을 상기 진입구 부근에 유지하여 상기 진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견인줄의 제1 지점 부근에 형성된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입구를 통하여 물고기가 상기 통발 본체 내로 진입했음을 낚시하는 사람이 확인하여 상기 낚싯대를 들어올릴 때에 상기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상기 진입구가 폐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인줄의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통발 본체의 내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은: 상기 통발 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제1 자석부재, 및 상기 견인줄의 상기 제1 지점 부근에서 분기한 끈의 말단에 연결된 제1 금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 부재와 상기 제1 금속 부재가 부착된 경우 상기 제1 지점을 상기 진입구 부근에 유지하여 상기 진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물고기가 상기 통발 본체 내로 진입했음을 낚시하는 사람이 확인하여 상기 낚싯대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제1 자석 부재와 상기 제1 금속 부재가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지점이 상기 진입구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진입구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용 통발은 상기 통발 본체의 내부 하단에 고정된 제2 자석부재, 및 상기 견인줄의 상기 제2 지점 부근에 연결된 제2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견인줄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석부재와 상기 제2 금속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낚싯줄을 당기는 경우 상기 견인줄이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낚시용 통발에 의하면, 낚싯줄의 말단에 매달린 통발이 물속 투척과정에서는 진입구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고 낚싯줄을 당길 때에 자동으로 진입구가 폐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낚시하는 사람이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물고기를 쉽게 포획할 수 있고, 또한, 일반적인 낚시 바늘에는 일정한 양의 미끼만을 설치할 수 있는데 비하여 통발의 내부에는 충분한 미끼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대량의 물고기를 매우 쉽게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통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통발이 낚싯대의 낚시줄에 연결되어 수면 아래에 착지한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3은 도 1의 견인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용 통발을 물속에 투척하는 과정(a) 및 물속에서 들어올리는 과정(b)에서의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통발이 낚싯대의 낚시줄에 연결되어 수면 아래에 착지한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3은 도 1의 견인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용 통발을 물속에 투척하는 과정(a) 및 물속에서 들어올리는 과정(b)에서의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통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통발이 낚싯대의 낚시줄에 연결되어 수면 아래에 착지한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견인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통발은 낚싯대(12)로부터 이어진 낚싯줄(14)의 말단에 연결하여 물고기를 잡기 위하여 사용되는 낚시용 통발(1)로서, 통발 본체(100), 견인줄(200), 및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통발 본체(100)는 골격 유지 프레임(101)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내부 공간으로의 물고기의 진입을 위한 입구로서 진입구 개폐줄(105)의 상태에 의하여 열고 닫히도록 구성된 진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낚시용 통발(1)의 통발 본체(100)는 한쪽 개구부만을 이용하고 반대쪽은 닫혀 있는 구조로서 개구된 진입구(110)가 위로 위치하도록 한쪽 방향으로 세워서 활용할 수 있다. 골격 유지 프레임(101)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타입의 프레임이 이용되는데, 외력이 없을 때에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휴대시 사용자의 손힘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진입구(110)는 골격 유지 프레임(101)을 전체로 감싸도록 덮어서 통발 본체(100)를 형성하는 그물망의 말단부에 체결된 진입구 개폐줄(105)의 상태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되는데, 진입구 개폐줄(105)이 느슨하게 놓여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진입구를 벌리면 진입구(110)가 열려 있는 상태가 되고, 진입구 개폐줄(105)을 통발 본체(100)에 대하여 당기게 되면 진입구(110)가 닫힌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발명의 낚시용 통발(1)에 미끼를 충분히 넣어 낚싯대(12)에 의하여 수면 아래에 투척하는 과정에서 낚시용 통발(1)의 진입구(110)를 그대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하여 낚시용 통발(1)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점(제1 특징)과, 물고기가 통발(1)의 내부에 놓인 미끼를 먹기 위하여 통발(1)의 내부로 진입하면, 사용자가 낚싯대(12)의 말단에 연결된 방울이나 낚싯줄(14)의 일단에 연결된 찌에 의하여 이를 확인하여 즉시 낚싯대(12)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통발(1)의 진입구(110)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함으로써 통발(1)의 상승 과정에서 물고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고기를 매우 쉽게 포획할 수 있다는 점(제2 특징)이다. 상기 제1 및 제2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견인줄(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낚싯줄(12)의 말단에 연결되는 연결부(201), 상기 통발 본체(100)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부(201)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진입구 개폐줄(105)로 분기하여 연결되는 제1 지점(210), 및 상기 통발 본체(1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지점(210)의 아래에 형성되고 봉돌(601)이 연결되는 제2 지점(220)을 포함한다. 연결부(201)는 고리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낚시줄(12)의 말단을 연결부(201)에 삽입하고 묶는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제1 지점(210)은 통발 본체(100)의 진입구 개폐줄(105)을 묶는 위치로서, 통발(1)이 낚싯줄(14)에 매달려 허공에 떠 있는 상태에서도 진입구 개폐줄(105)이 당겨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1 지점(210)을 통발 본체(100)의 진입구(110) 부근에 고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2 지점(220)은 봉돌(601)을 묶는 위치로서, 견인줄(200)의 아래 측에 봉돌(601)과 같은 무게추가 있어야 견인줄(200)의 하부에 연결된 미끼를 통발(1)의 내부 바닥 부근에 유지시켜 물고기를 통발(1)의 내부로 유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통발 본체(100)를 물속에 투척하기 위하여 상기 통발 본체(100)로부터 상기 낚싯줄(14)이 당겨진 경우에도 상기 제1 지점(210)을 상기 진입구(110) 부근에 유지하여 상기 진입구(11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견인줄(200)의 제1 지점(210) 부근에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의 제2 특징은 통발 본체(100)의 상기 진입구(110)를 통하여 물고기가 상기 통발 본체(100) 내로 진입했음을 낚시하는 사람이 확인하여 상기 낚싯대(12)를 들어올릴 때에 상기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상기 진입구(110)가 닫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적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낚시용 통발(1)은 상기 제1 및 제2 특징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이 제1 자석부재(301)와 제1 금속부재(303)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1 자석부재(301)는 통발 본체(100)의 상단에 설치되고, 제1 금속부재(303)는 견인줄(200)의 제1 지점(210) 부근에서 분기한 끈(305)의 말단에 연결될 수 있는데, 반대로 제1 금속부재(303)가 통발 본체(100)의 상단에, 제1 자석부재(301)가 끈(305)의 말단에 설치하는 것도 같은 기능을 수행함을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자석 부재(301)와 상기 제1 금속 부재(303)가 부착된 경우 상기 제1 지점(210)을 상기 진입구(110) 부근에 유지하여 상기 진입구(11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제1 특징), 물고기가 상기 통발 본체(100) 내로 진입했음을 낚시하는 사람이 확인하여 상기 낚싯대(12)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제1 자석 부재(301)와 상기 제1 금속 부재(303)가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지점(210)이 상기 진입구(110)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진입구(110)가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벌어진 상태에서 물고기가 통발 내부에 놓인 미끼를 먹기 위하여 통발 내부로 진입할 수 있고, 통발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진입구(110)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기 때문에 이미 통발 내부에 진입한 물고기가 다시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물고기를 매우 쉽게 포획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낚시용 통발(1)은 상기 통발 본체(100)의 내부 하단에 고정된 제2 자석부재(501), 및 상기 견인줄(200)의 상기 제2 지점(220) 부근에 연결된 제2 금속부재(503)를 포함하는 견인줄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자석부재(501)와 상기 제2 금속부재(503)가 부착된 상태에서 낚싯줄(14)을 당기는 경우 상기 견인줄(200)이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견인줄(200)은 봉돌(601)의 무게에 의해서도 통발의 내부 바닥으로 안착될 수 있을 것이지만, 조류가 세거나 통발(1)이 너무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견인줄(200)의 말단이 통발(1)의 바닥 쪽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중간에 머물거나 심지어는 진입구(110)의 바깥으로 나오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물고기가 견인줄(200)의 제2 지점(220) 부근에 설치된 미끼를 물더라도 낚싯줄(14)을 당기지 못하거나 통발(1)의 외부에서 낚싯줄(14)을 당기게 되어 낚시하는 사람이 물고기가 통발(1) 내부로 진입한 사실을 확인하지 못하거나 물고기가 통발(1)의 바깥에 있을 때에 통발(1)을 당기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견인줄(200)의 말단을 통발 본체(100)의 내측 바닥면 가운데 부근에 고정하기 위한 견인줄 고정수단을 제공한다. 통발(1)을 수면 아래에 설치하여 물고기를 유도하는 상태에서는 제2 자석부재(501)와 제2 금속부재(503)의 자력에 의한 부착력에 의하여 조류의 존재나통발(1)의 상태에 무관하게 견인줄(200)의 말단을 팽팽하게 유지함으로써, 낚시하는 사람이 물고기가 견인줄(200)에 매달린 미끼를 물었을 때에 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견인줄(200)의 상기 제2 지점(220)과 상기 통발 본체(100)의 내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견인줄(200)에 매달린 물고기를 들어올릴 때에 낚싯줄(14)을 당기는 힘에 의하여 견인줄 고정수단이 순간적으로 해제되어 봉돌(601)이 달린 견인줄(200)의 말단 부분이 반작용에 의하여 위로 튀어 올라갈 수가 있고, 또한 견인줄(200)과 통발 본체(100) 사이의 결합이 단지 견인줄(200)과 진입구 개폐줄(105) 사이의 체결만으로는 통발 본체(100)가 견인줄(200)에서 이탈할 수 있는 여지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견인줄(200)의 말단, 즉 제2 지점(220)을 통발 본체(100)의 내부 바닥 부근에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수단의 하나의 예시적 수단으로서 복원력을 갖는 탄성 부재(400)를 이용할 수 있고, 견인줄 고정수단이 체결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400)는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가, 견인줄 고정수단이 해제되어 견인줄(200)이 상승할 때에 탄성 부재(400)가 충분히 늘어나면서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이 해제되어 진입구(110)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용 통발을 물속에 투척하는 과정(a) 및 물속에서 들어올리는 과정(b)에서의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통발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설명하면, 도 4(a)에서와 같이, 낚시줄(14)의 말단에 연결된 본 발명의 통발(1)을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의 제1 자석부재와 제1 금속부재를 부착(A)시키고 견인줄 고정수단의 제2 자석부재와 제2 금속부재를 부착(B)시킨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의 미끼(701, 703)를 통발(1)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물속으로 투척하면 통발(1)은 진입구(110)가 벌어진 상태로 물속으로 틀어가서 물속 바닥에 착지하게 된다. 진입구(110)가 충분히 벌어져 있기 때문에 물고기들은 통발 본체(100)의 내부로 들어가서 미끼를 물게 된다. 물고기가 견인줄(200)에 달린 미끼를 물게 되면, 낚시하는 사람은 견인줄(200) 또는 견인줄(200)에 연결된 낚싯줄(14)의 움직임이나, 여기에 장착된 찌나 방울에 움직임 또는 소리에 의하여 물고기의 진입을 확인하고 낚싯대(12)를 들어올리게 된다. 도 4(b)에서와 같이, 낚싯대(12)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견인줄(200)의 당김에 의하여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의 제1 자석부재와 제1 금속부재가 떨어지게 되고 진입구 개폐줄(105)이 당겨지면서 진입구(110)가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통발 본체(100)에 진입한 물고기들은 내부에 갇히게 됨으로써 아주 쉽게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한 진입구(110)의 '폐쇄'라는 용어는 진입구(110)를 완전히 밀폐하는 의미가 아니고 진입구(110)가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진입구 개폐줄(105)를 당김으로써 진입구(110)가 물고기가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좁게 만들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4)
- 낚싯대로부터 이어진 낚싯줄의 말단에 연결하여 물고기를 잡기 위하여 사용되는 낚시용 통발로서,
골격 유지 프레임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물고기의 진입을 위한 입구로서 진입구 개폐줄의 상태에 의하여 열고 닫히도록 구성된 진입구가 형성된 통발 본체;
상기 낚싯줄의 말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통발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진입구 개폐줄로 분기하여 연결되는 제1 지점, 및 상기 통발 본체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지점의 아래에 형성되고 봉돌이 연결되는 제2 지점을 포함하는 견인줄;
상기 통발 본체를 물속에 투척하기 위하여 상기 통발 본체로부터 상기 낚싯줄이 당겨진 경우에도 상기 제1 지점을 상기 진입구 부근에 유지하여 상기 진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견인줄의 제1 지점 부근에 형성된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진입구를 통하여 물고기가 상기 통발 본체 내로 진입했음을 낚시하는 사람이 확인하여 상기 낚싯대를 들어올릴 때에 상기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상기 진입구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통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줄의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통발 본체의 내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통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 벌어짐 유지수단은:
상기 통발 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제1 자석부재; 및
상기 견인줄의 상기 제1 지점 부근에서 분기한 끈의 말단에 연결된 제1 금속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 부재와 상기 제1 금속 부재가 부착된 경우 상기 제1 지점을 상기 진입구 부근에 유지하여 상기 진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물고기가 상기 통발 본체 내로 진입했음을 낚시하는 사람이 확인하여 상기 낚싯대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제1 자석 부재와 상기 제1 금속 부재가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지점이 상기 진입구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진입구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통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 본체의 내부 하단에 고정된 제2 자석부재; 및
상기 견인줄의 상기 제2 지점 부근에 연결된 제2 금속부재;
를 포함하는 견인줄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석부재와 상기 제2 금속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낚싯줄을 당기는 경우 상기 견인줄이 팽팽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통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56019A KR101495008B1 (ko) | 2014-11-11 | 2014-11-11 | 낚시용 통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56019A KR101495008B1 (ko) | 2014-11-11 | 2014-11-11 | 낚시용 통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5008B1 true KR101495008B1 (ko) | 2015-02-24 |
Family
ID=5259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56019A KR101495008B1 (ko) | 2014-11-11 | 2014-11-11 | 낚시용 통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500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68199A (zh) * | 2020-12-08 | 2021-03-30 | 连云港师范高等专科学校 | 机电一体化捕鱼装置 |
KR20210106692A (ko) * | 2020-02-21 | 2021-08-31 | 주식회사 수산해양과학기술 | 자동 투승을 위한 통발 잠금 및 해제 장치 |
US11452282B2 (en) * | 2019-04-24 | 2022-09-27 | S & K Innovations, Llc | Crawfish trap bait guard system and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6549Y1 (ko) | 2001-03-16 | 2001-10-18 | 이승원 | 그물 닫힘식 고기잡이 형틀 |
KR100846063B1 (ko) | 2007-07-27 | 2008-07-11 | 차광수 | 어류 포획망 |
KR101275434B1 (ko) | 2012-09-17 | 2013-06-17 | 이병주 | 어망 조립체 및 어망을 이용한 어류 포획 방법 |
-
2014
- 2014-11-11 KR KR20140156019A patent/KR10149500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6549Y1 (ko) | 2001-03-16 | 2001-10-18 | 이승원 | 그물 닫힘식 고기잡이 형틀 |
KR100846063B1 (ko) | 2007-07-27 | 2008-07-11 | 차광수 | 어류 포획망 |
KR101275434B1 (ko) | 2012-09-17 | 2013-06-17 | 이병주 | 어망 조립체 및 어망을 이용한 어류 포획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52282B2 (en) * | 2019-04-24 | 2022-09-27 | S & K Innovations, Llc | Crawfish trap bait guard system and method |
KR20210106692A (ko) * | 2020-02-21 | 2021-08-31 | 주식회사 수산해양과학기술 | 자동 투승을 위한 통발 잠금 및 해제 장치 |
KR102351093B1 (ko) | 2020-02-21 | 2022-01-14 | 주식회사 수산해양과학기술 | 자동 투승을 위한 통발 잠금 및 해제 장치 |
CN112568199A (zh) * | 2020-12-08 | 2021-03-30 | 连云港师范高等专科学校 | 机电一体化捕鱼装置 |
CN112568199B (zh) * | 2020-12-08 | 2023-09-08 | 连云港师范高等专科学校 | 机电一体化捕鱼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5434B1 (ko) | 어망 조립체 및 어망을 이용한 어류 포획 방법 | |
KR101495008B1 (ko) | 낚시용 통발 | |
US20190098881A1 (en) | Fish trap with buoy-activated net | |
CN105409894B (zh) | 一种深海底栖生物防逃逸诱捕器 | |
JP5113821B2 (ja) | 鹿の捕獲装置とその使用方法 | |
CN104735979B (zh) | 浣熊捕获用模块及浣熊捕获装置 | |
KR20110112517A (ko) | 어류 포획용 통발 | |
WO2010015013A1 (en) | Combination lobster, crayfish and crab trap | |
CN209201906U (zh) | 一种漂浮式捕鱼装置 | |
JP6055980B1 (ja) | 害獣捕獲装置 | |
KR101502289B1 (ko) | 유인구 자동 차단 통발 | |
KR101830507B1 (ko) | 조립식 바다 통발 | |
KR100846063B1 (ko) | 어류 포획망 | |
KR102331497B1 (ko) | 어구 투척장치 | |
US3911608A (en) | Automatic dip net | |
CN106577560A (zh) | 一种甲鱼诱捕器 | |
KR20110056603A (ko) | 어류 포획용 통발 | |
WO2010115849A2 (en) | An animal trap incorporating a bait container | |
KR20100000836A (ko) | 어류 포획용 통발 | |
KR200426552Y1 (ko) | 집어통을가진 판형낚시추 | |
US10336569B1 (en) | Apparatus for organizing cord attached devices | |
KR20190042976A (ko) | 통발용 진입 유도구 | |
JP5834047B2 (ja) | 小動物捕獲用の罠 | |
CN214961955U (zh) | 一种深海网箱养殖自动捕鱼系统 | |
JP2012187087A (ja) | 有害獣捕獲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