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169B1 - 루어용 다기능 싱커 - Google Patents

루어용 다기능 싱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169B1
KR100720169B1 KR1020050077980A KR20050077980A KR100720169B1 KR 100720169 B1 KR100720169 B1 KR 100720169B1 KR 1020050077980 A KR1020050077980 A KR 1020050077980A KR 20050077980 A KR20050077980 A KR 20050077980A KR 100720169 B1 KR100720169 B1 KR 100720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groove
sinker
insertion groove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421A (ko
Inventor
손황
Original Assignee
손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황 filed Critical 손황
Priority to KR102005007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16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밑 걸림이 방지되고, 대상어의 유인효과가 우수하며, 걸림이 확실하여 바늘 털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루어용 싱커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추 작용을 하는 몸통 후방에 바늘을 끼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바늘탈부착구를 형성하고, 몸통전방에 줄을 묶어 고정하기 위한 줄묶음구를 형성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루어, 웜, 지그헤드, 루어 바늘, 싱커

Description

루어용 다기능 싱커{ Multi Function Sinker For Lure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싱커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싱커의 바늘탈부착 상태도
도 3은 탄성밴드에 의해 충격흡수능력을 향상시킨 본 발명의 실시 예도
도 4는 스프링에 의해 충격흡수능력을 향상시킨 본 발명의 실시 예도
도 5는 바늘탈착구를 클립구조로 구성한 실시 예도
도 6a 내지 도 6c는 탄성줄을 사용하여 고리구조로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도
도 7은 줄묶음구를 회전구조로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도
도 8은 유동 헤드를 결합한 본 발명의 실시 예도
도 9는 종래 루어용 지그헤드의 구조도
*. 주요부호의 설명
10. 몸통 11. 후반부 12. 전반부
20. 바늘탈부착구 21. 바늘삽입홈 22. 바늘배출홈
23. 클립구조 30. 줄묶음구 31. 구멍
32. 고리 33. 관통공 34. 축
40. 도레구조 41. 관통홈 42. 측구
43. 관통홈 44. 탄성줄 45. 스프링
46. 탄성밴드 50. 유동헤드
100. 바늘 200. 웜 300. 줄
본 발명은 강이나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루어낚시 분야에서 사용하는 루어용 싱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웜이나 그럽의 원거리 캐스팅이 가능하도록 종래 사용하는 지그헤드 또는 싱커를 개량하여 바늘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유인효과를 향상하며, 더 나아가 대상어의 공격 초기 충격흡수능력을 향상하고 밑 걸림을 방지하며, 밑 걸림 시에도 탈출이 용이한 구조의 다기능 싱커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루어낚시는 루어 전용 낚싯대에 릴을 장착하여 릴의 스풀에 감긴 원줄을 낚싯대의 각 가이드를 통하여 인출한 후 원 줄에 루어(Lure, 인조 미끼)를 달아 예상 포인트에 던져 넣고, 릴을 감아 들이거나(retrieve), 낚싯대를 강하고 짧게 끌어당기고 멈추는 동작을 반복(jerking)하는 액션을 가하여 루어에 살아있는 미끼와 같은 움직임을 연출 대상어를 유혹하여 미끼를 물도록 하는 낚시방법이다.
이와 같은 루어낚시의 미끼로 사용하는 루어는 스푼에 바늘을 단 형태의 스 푼루어, 나무나 플라스틱을 작은 물고기나 곤충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플러그나 미노우, 지그 헤드에 웜이나 그럽을 끼운 형태의 루어, 이들 루어 구조에 회전하는 소형 스푼을 단 스피너, 또는 이들을 혼합 구성한 컴비네이션루어(combination lure)등 다양한 형태가 각기 대상어나 목적에 맞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 웜이나 그럽을 사용한 루어는 바늘에 납을 둥글게 부어 성형한 지그헤드에 벌레나 번데기 형상의 소프트플라스틱(soft plastic) 소재의 인조미끼(이를 웜과 그럽이라 하며 이하 이를 통칭하여 웜으로 표시함)를 끼운 구조이거나 웜을 바늘에 직접 꿰고 목줄(leader)를 사용하여 총알형태의 추(sinker)에 연결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지그헤드(Jig head)를 사용하는 루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추(sinker)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중층 이하의 바닥층을 공략할 수 있도록 바늘의 전단부에 무거운 납을 형성한 구조로서 바늘에 각종 이미테이션 웜(imitation worm)을 끼울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미노우나 플러그에 비해 소재의 비용이 저렴하여 매우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지그헤드와 웜 꼬리의 작용에 의해 연출되는 현란한 움직임에 의해 대상어를 쉽게 유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지그헤드는 납으로 된 헤드와 바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웜의 중심을 바늘에 관통시킨 후 바늘 코만 웜의 끝에 노출하는 방법으로 사용함으로써 웜의 움직임이 고정된 바늘에 구속되며, 그에 의해 소프트한 소재로 이루어져 유연한 움직임을 연출하는 웜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후킹(hooking)을 위하여 바늘코를 노출하기 때문에 루어에 액션을 가하여 두들링(Doodling, 웜이 바닥을 기어가는 듯이 움직이도록 연출하는 액션)하거나 또는 저킹(Jerking) 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바닥 밑 걸림이 발생하여 채비가 터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헤드를 통하여 줄을 당기는 힘이 동일한 방향으로 바늘에 직접 작용하여 걸림 후에도 바늘털이 또는 고기의 저항에 의해 바늘이 빠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도 지그헤드는 싱킹루어로서 상처 입은 미끼가 상승과 처짐을 반복하는 동작의 연출을 통하여 대상어를 유혹하도록 고안되었기 때문에 헤드 상부에 줄 묶음 고리가 형성된다. 지그헤드 상부 고리는 밑 걸림 발생시 헤드를 축으로 바늘이 더욱 강하게 박히게 하거나 고리 자체가 고정된 돌기로서 바위틈에 걸린 상태가 되어 밑 걸림 시 탈출이 매우 어렵게 하며, 그에 의해 터져나간 납이 수중에 쌓임으로써 납에 의한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지그헤드와 웜이 결합되는 형태의 루어에 사용하는 지그헤드 또는 싱커를 개량하여 바늘과 싱커의 결합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웜의 몸통부가 바늘에 의해 구속되지 않도록 하여 몸통과 꼬리의 움직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대상어를 유혹할 수 있도록 하며, 줄을 통하여 잡아끄는 힘과 고기의 움직임에 따라 바늘이 회전하여 더욱 깊게 박히도록 함으로서 걸림(heat) 후 바늘 빠짐을 방지하며, 바늘의 몸통부를 노출하 고 바늘코 만 웜에 묻히는 형태로 사용하여 바닥층 공략시 밑 걸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밑 걸림 시에는 쉽게 탈출할 수 있는 구조의 다기능 싱커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싱커에 도레 기능을 부여하여 유연한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게 하고, 대물을 걸었을 때 순간적인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싱커에 신축기능을 부여한 다기능 싱커를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무게추 작용을 하는 몸통 후방에 바늘을 끼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바늘탈부착구가 형성되고, 몸통 전방에 줄묶음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바늘탈부착구에 바늘을 유동구조로 결합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용 다기능 싱커를 제시한다.
상기한 싱커의 바늘탈부착구는 몸통 후부에 양측으로 관통되는 바늘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바늘삽입홈의 중심에서 몸통의 후방으로 바늘배출홈을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바늘삽입홈에 바늘코를 끼운 후 바늘배출홈으로 빼면 바늘귀가 바늘삽입홈 내부 공간에 걸리는 형태로 바늘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늘탈부착구의 다른 구조로 몸통 후미에 바늘귀를 끼워 고정하는 클립구조의 바늘탈부착구를 아울러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몸통을 바늘탈부착부와 줄부착부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바늘탈부착부와 줄 부착부는 탄성줄로 연결하여 도레구조로 구성한 다기능 싱커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몸통의 전방에 형성되는 줄묶음구를 몸통에 대하여 회전구조로 결합하고 선단에 줄묶음고리를 축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축 상에 유동 구조로 유동헤드를 결합하고, 상기 유동헤드는 선단부에 상기 장축의 줄묶음고리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한 구조의 다기능 싱커를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무게 추 작용을 하는 몸통(10)과, 상기 몸통의 후방에 바늘을 끼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바늘탈부착구(20)와, 상기 몸통의 전방에 형성되어 낚싯줄을 묶을 수 있도록 된 줄묶음구(30)로 이루어진다.
몸통(10)은 납이나 세라믹 또는 황동 등과 같은 고 비중 소재로 구성하거나 고탄성소재의 고무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경우 무게추의 기능을 위하여 외표면 또는 전방부에 일체형 무게추를 결합한 구조로 실시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양단이 둥글거나 원추형태를 갖는 원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늘탈부착구(20)은 상기 몸통에 적절한 규격의 웜 바늘(100)을 끼워 결합하고, 필요시에는 이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몸통 후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바늘삽입홈(21)을 형성하고, 상기 바늘삽입홈의 중심에서 몸통의 후방으로 바늘배출홈(22)을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바늘삽입홈(21)은 바늘을 끼워 비틀거나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여유있는 공간을 갖도록 일 측 또는 양측 개방구조로 형성하며, 바늘배출홈(22)은 바늘이 약간의 유격을 갖고 통과하고, 바늘삽입홈 내에 형성된 입구에서 바늘귀가 걸리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에 의해 웜 바늘(100)의 코를 바늘삽입홈(21)에 끼우고 바늘배출홈(22)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바늘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비틀거나 회전시켜 바늘의 목, 허리 순서대로 삽입하여 줌으로써 바늘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그 반대로 바늘을 비틀어 빼 줌으로써 바늘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에서 결합된 바늘은 바늘귀를 축으로 하여 360 °회전이 가능하고, 그 상태에서 상하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웜(200)의 선단부를 몸통에 접하도록 끼우거나 몸통이 속으로 들어가도록 끼우면 웜이 몸통 또는 바늘에 고정된 상태에서 웜의 몸통 부분에 바늘코가 걸리는 형태로 웜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그에 의해 웜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몸통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바늘에 웜(200)을 결합하여 낚싯대에 액션을 가하면 다양한 움직임이 발생하고, 바늘은 상기한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께 움직여 줌으로서 대상어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조는 웜의 선단을 몸통에 강제로 밀어 넣고 바늘코에 웜몸통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웜의 이상적인 부착상태인 바늘축(귀)과 바늘코가 일 직선 상을 유지하는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고, 바늘코는 감추어져 밑 걸림은 방지되고 바늘 허리는 노출되어 입질 시에 확실한 걸림이 이루어진다.
즉, 대상어가 루어에 현혹되어 루어를 물면 소프트플라스틱(soft plastic)소 재의 웜이 변형하고 바늘 몸통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바늘이 웜으로부터 이탈되어 덜렁거린 상태에서 자체 훅킹이 되거나 바늘이 웜으로부터 돌출되어 돌출부에 의해 훅킹이 이루어져 종래 바늘 몸통에 웜을 꿴 구조의 루어에 비해 확실한 훅킹이 이루어지며, 유동구조로 결합한 바늘은 대상어가 격렬하게 저항할수록 더 깊게 박혀 줄을 감아 들일 때(retrieve) 또는 끌어올릴 때(landing) 바늘 털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통을 웜에 깊게 삽입한 경우에는 무게 추 작용을 하는 몸통이 웜 내부에 위치하여 움직임이 자연스럽고, 무게추로 인한 밑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대상어의 순간적인 힘에 대하여 낚싯대나 원줄의 탄력이 적용하기 전까지 충격을 흡수 부담하여 원 줄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통 전체를 탄력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캐스팅과 다양한 수심층 공략을 위한 무게를 얻기 위하여 몸통 외 표면 또는 몸통의 선단부를 길게 연장하여 그 외부에 황동이나 세라믹 또는 납과 같은 고 비중 무게추를 결합하는 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삽입홈(21)에 삽입고정되고 바늘배출홈(22)을 통하여 돌출되며, 단부에 바늘결합구가 형성된 구조의 탄성밴드(46)를 결합한 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대상어의 강력한 초반 저항에 대하여 탄성밴드가 늘어나 낚싯대나 원줄의 탄력이 적용하기 전까지 충격을 흡수 부담함으로써 원줄이 터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4는 충격 흡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바늘귀에 스프 링(45)를 끼운 후 이를 바늘삽입홈에 끼워 결합하는 구조이며, 대상어의 강력한 초반 저항에 대하여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낚싯대나 원줄의 탄력이 적용하기 전까지 충격을 흡수 부담함으로써 원 줄이 터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상기한 바늘탈부착구(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10) 후미에 바늘귀를 끼워 고정하는 클립구조(23)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클립의 입에 바늘귀를 대고 약간의 힘을 가함으로써 바늘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분리시에서 역으로 바늘귀에 힘을 주어 빼냄으로써 용이하게 분리된다. 또한, 바늘은 몸통에 대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하고 요동하여 웜이 결합된 상태에서 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연출하여 대상어를 유혹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상기한 몸통을 도레구조(40)로 구성하여 회전성을 향상하고, 회전 요소로 탄성줄을 사용하여 대물의 순간적인 돌진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도레구조(40)는 몸통(10)을 바늘이 부착되는 후반부(11)와 줄(300)이 결합되는 전반부(12)로 분리 구성하고, 후반부(11)의 바늘삽입홈(21)의 중심부에서 전방으로 관통되는 관통홈(41)을 형성하고, 전반부에도 양측으로 관통되는 측구(42)와 그 중심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관통홈(43)을 형성하고, 상기한 각 관통홈(41)(43)에는 탄성줄(44)를 삽입하여 그 양단이 바늘삽입홈(21) 및 측구(42)에 걸리도록 결합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해 평상시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줄의 탄력에 의해 몸통의 전 후반부가 서로 붙어 있고, 전 후반부가 상호 회전할 수 있 는 상태를 보이며, 대상어가 바늘에 걸려 순간적으로 차고 나갈 때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줄이 늘어나 줄이나 낚시대의 탄성이 작용하기 전단계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줄 등의 연결부위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줄묶음구(30)는 몸톰 전방에 형성되어 낚시줄(300)을 묶기 위한 요소이며, 몸통전방에 단순한 구멍(31)을 형성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구멍에 고리(32)를 형성한 구조로 실시하거나 도레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줄묶음구(30)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에 형성한 측구(41)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관통홈(33)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홈에 일단에 헤드(34a)가 형성되고 타 단에 줄묶음고리(34b)가 형성되는 축(34)을 몸통에 대하여 회전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몸통은 줄(300)에 묶인 상태에서 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어 별도의 도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줄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중층 이하의 깊은 수심 층 공략시 줄꼬 임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줄묶음구(30)를 몸통에 대하여 회전구조로 결합한 경우에 몸통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결합된 상기 축(34)을 축을 장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축 상에 유동 구조로 유동헤드(50)를 결합한다. 상기 유동헤드는 내부에 전 후단을 관통 연결하여 축이 삽입되는 관통홈(51)이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 상기 축의 줄묶음고리(34b)를 수용하는 홈(5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8은 상기한 몸통(10)을 바늘이 부착되는 후반부(11)과 줄(300)이 결합되는 전반부(12)로 분리 구성하고, 후반부(11)의 바늘삽입홈(21)의 중심부에서 전방으로 관통되는 관통홈(41)을 형성하고, 전반부에도 양측으로 관통되는 측구(42)와 그 중심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관통홈(43)을 형성하고, 상기한 각 관통홈(41)(43)에는 탄성줄(44)를 삽입하여 그 양단이 바늘삽입홈(21) 및 측구(42)에 걸리도록 결합한 도레구조(40)로 몸통을 구성하고, 상기 몸통에 결합되는 줄묶음구(30)를 몸통에 형성한 측구(41)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관통홈(33)을 형성하여 여기에 축(34)을 회전구조로 결합하며, 상기 축(34)을 축을 장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축 상에 유동 구조로 유동헤드(50)를 결합하고, 상기 유동헤드는 내부에 전 후단을 관통 연결하여 축이 삽입되는 관통홈(51)이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 상기 축의 줄묶음고리(34b)를 수용하는 홈(52)을 형성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축(34) 상에서 유동하는 유동헤드의 유동거리는 대략 줄묶음고리가 유동헤드 선단으로부터 돌출하거나 숨을 수 있는 거리가 바람직하다.
유동헤드는 전체 무게를 증가시켜 캐스팅 거리를 향상하거나 깊은 수심층 공량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몸통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축이 결합하고, 상기 축의 선단에 형성한 줄묶음고리가 유동헤드의 홈으로부터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한 구조는 웜을 몸통에 끼워 유동헤드 후단에 밀착하는 형태로 웜을 결합한 경우에 줄묶음 고리가유동헤드로부터 숨겨진 상태로 캐스팅의 이루어지고, 액션이 가해짐으로 종래 지그 헤드에서 문제점이 되었던 돌출 고리에 의한 밑 걸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밑 걸림이 발생한 경우에도 줄을 어느 정도 잡아당기면 축의 줄 묶음 고리가 튀어나와 유동헤드를 잡아당기는 방향을 달리할 수 있어 밑 걸림으로부터 쉽게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몸통에 결합한 원 및 바늘이 함께 움직일 수 있어 보다 생동감 있는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고, 대상어의 입질 시 바늘 및 웜이 각기 따로 움직임으로써 웜과 바늘의 분리가 보다 쉽게 이루어져 자유롭게 움직이는 바늘은 더욱 넓은 범위에서 대상어의 입 내부에 박힐 가능성이 커지고 깊이 박혀 초기 히트뿐만 아니라 최종 랜당 과정에서 바늘털이 당할 우려가 감소된다.
또한, 사용되는 웜의 형태 및 대상어의 종류나 활성도에 따라 헤드와 바늘을 조합하여 지그헤드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결합한 바늘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하여 훅킹 범위와 깊이를 확대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헤드와 바늘이 유동구조로 이루어짐으로 웜의 몸통부가 바늘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웜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고, 대상어가 웜을 물때 순간적으로 바늘이 웜으로부터 이탈되어 넓은 범위에서 바늘 걸림이 이루어지고, 바늘이 깊이 박혀 바늘 털이와 랜딩 과정에서 바늘 벗겨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바늘코가 웜에 묻힌 상태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밑 걸림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그 헤드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환경에도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며, 고기가 바늘에 걸린 상태에서는 웜이 바늘로부터 분리되어 고기의 저항에 의한 웜의 훼손이 최소화됨으로써 웜의 수명이 보다 연장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유동헤드를 사용함으로써 깊은 수심층 공략이 가능하고, 원거리 캐스 팅이 가능하며, 줄묶음구가 비 노출구조로 사용됨으로써 헤드에 의한 밑 걸림이 방지되고 밑 걸림 시에도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몸통은 전 후반부로 분리되어 탄성줄에 의해 연결된 도레구조로서 웜의 움직임이 더욱 자연스러워지고, 대상어의 초반저항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원줄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무게추 작용을 하는 몸통(10)과,
    상기 몸통의 후방에 바늘을 끼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개방구조로 형성되되 바늘을 끼웠을 때 바늘귀가 회전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갖도록 몸통의 후방 내에 형성되는 바늘삽입홈(21)과, 상기 바늘삽입홈으로부터 몸통 후방의 외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바늘은 통과되나 바늘귀가 걸리도록 구성한 바늘배출홈(2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몸통의 후방에 바늘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바늘 탈부착구(20)와,
    상기 몸통의 전방에 줄을 묶어 고정하기 위한 줄묶음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용 다기는 싱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탄성고무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외측으로 고 비중 소재의 무게추를 일체로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용 다기는 싱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탈부착구의 바늘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바늘배출홈을 통하여 몸통의 후방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바늘을 결합합할 수 있는 바늘결합구가 형성된 탄성밴드(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용 다기는 싱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 스프링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바늘을 바늘탈부착구의 바늘삽입홈에 삽입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용 다기는 싱커.
  6. 삭제
  7.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전반부와 후반부로 분리 구성하되 몸통의 전반부에도 양측으로 관통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측구를 형성하고 상기 바늘삽입홈의 전방과 측구의 후방에 바늘삽입홈과 측구를 관통하도록 관통홈을 형성하며, 상기 각 관통홈에 삽입하되 그 양단이 바늘삽입홈과 측구의 관통홈에 걸리도록 한 탄성줄로 연결한 도레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용 다기능싱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줄묶음구는 몸통 전반부에 형성한 측구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형성한 관통홈과, 그 일단에는 측구 내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홈에 걸리도록 형성된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줄묶음고리가 형성되어 몸통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용 다기능 싱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을 장축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축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전후단을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유동헤드를 결합하되, 상기 유동헤드의 선단부에는 상기 장축 선단에 형성한 줄묶음고리를 수용할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용 다기능싱커.
KR1020050077980A 2005-08-24 2005-08-24 루어용 다기능 싱커 KR100720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980A KR100720169B1 (ko) 2005-08-24 2005-08-24 루어용 다기능 싱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980A KR100720169B1 (ko) 2005-08-24 2005-08-24 루어용 다기능 싱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421A KR20070023421A (ko) 2007-02-28
KR100720169B1 true KR100720169B1 (ko) 2007-05-18

Family

ID=4163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980A KR100720169B1 (ko) 2005-08-24 2005-08-24 루어용 다기능 싱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7444A1 (en) * 2012-03-21 2013-09-26 John Young Collared Fishing Lure with Pivotable Hoo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133U (ko) * 1998-07-16 2000-02-15 김삼랑 낚시용 봉돌
KR200318062Y1 (ko) 1998-03-09 2003-09-19 권대희 낚시용봉돌
KR200344524Y1 (ko) 2003-11-14 2004-03-11 김태형 낚시바늘 착탈클립
KR20040083143A (ko) * 2003-03-21 2004-10-01 신승태 낚시바늘의 교환이 용이한 봉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062Y1 (ko) 1998-03-09 2003-09-19 권대희 낚시용봉돌
KR20000003133U (ko) * 1998-07-16 2000-02-15 김삼랑 낚시용 봉돌
KR20040083143A (ko) * 2003-03-21 2004-10-01 신승태 낚시바늘의 교환이 용이한 봉돌
KR200344524Y1 (ko) 2003-11-14 2004-03-11 김태형 낚시바늘 착탈클립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2000000313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7444A1 (en) * 2012-03-21 2013-09-26 John Young Collared Fishing Lure with Pivotable Hoo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421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338B2 (en) Spitting weedless surface fishing lure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US9253966B2 (en) Fishing lure
US7263798B2 (en) Removable head for a fishing lure
US2820314A (en) Fishing lure construction
US10104877B2 (en) Expanding or contracting fishing lure
CA2198942C (en) Natural bait holding fishing lure
KR200440293Y1 (ko) 낚시용 채비
US7971387B2 (en) Support device for a fishing lure or bait
US20060191187A1 (en) Weighted shank fish hooks
US8938907B2 (en) Anti-snag fishing device
US20100229454A1 (en) Rattling weight for fishing baits
US20160330946A1 (en) Crawfish lure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US6557293B2 (en) Fish lure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20100229453A1 (en) Jig head with a rattle
CA2390333A1 (en) Plastic worm shroud
US4314420A (en) Fishing device
US5127183A (en) Fishing fly
KR100760356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KR100720169B1 (ko) 루어용 다기능 싱커
JP2010022298A (ja) ルアー
US6739085B1 (en) Fish hook
KR101353056B1 (ko) 프리지그 타입 루어 낚싯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