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642B1 - 어류포획기 - Google Patents

어류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642B1
KR100375642B1 KR10-2000-0072010A KR20000072010A KR100375642B1 KR 100375642 B1 KR100375642 B1 KR 100375642B1 KR 20000072010 A KR20000072010 A KR 20000072010A KR 100375642 B1 KR100375642 B1 KR 10037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guide
reflector
trap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213A (ko
Inventor
전순호
Original Assignee
전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호 filed Critical 전순호
Priority to KR10-2000-007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6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포획체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고기를 유인안내하는 유인안내구를 갖는 어류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포획체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의 소정영역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를 선택적으로 코팅한다.
따라서, 상기 포획체의 외부에서 유영중이던 물고기들이 포획체에 코팅된 반사체에 비추어진 자신들의 허상을 보고 또 다른 물고기들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무리를 이루기 위하여 포획체에 더욱 근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많은 양의 물고기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포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류포획기{TOOL FOR FISHING}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포획체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고기를 유인안내하는 유인안내구를 갖는 어류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포획체의 외부에서 유영중이던 물고기들이 포획체에 코팅된 반사체에 비추어진 자신들의 허상을 보고 또 다른 물고기들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무리를 이루기 위하여 포획체에 더욱 근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많은 양의 물고기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포획기는 물고기를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포획기내부로 유인안내하여 포획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을 도1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 내부에 깔대기 형의 유인안내구(11)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개구부(12)가 마련되어 한 쌍의 포획체(10a)(10b)가 각각의 개구부(12)에 형성된 암,수체결부(5)(6)를 통하여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포획체(10a)(10b)가 결합된 개구부(12)에는 연결끈(4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클립(30)이 결속 될 수 있는 결속공(50)이 돌출형성되어 연결클립(30)이 결속공(50)에 결속됨으로써, 포획체(10a)(10b)를 원거리로 투척한 후에도 회수 시 원거리에 침수된 포획체(10a)(10b)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어류포획기의 사용상태를 도1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포획체(10a)(10b)에 형성된 유인안내구(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사면(20)에는 물고기가 좋아하는 미끼(떡밥 등)를 부착하고 포획체(10a)(10b)내에도 소정량 미끼를 배치시키는 바, 물속에서도 흩어지지 않도록 물에 반죽을 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어류포획기를 흐르는 물이나 고여있는 물에 투척한다.
이때, 상기 어류포획기는 결속공(50)에 연결클립(30)과 결속끈(40)이 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류포획기가 물에 투척되면 어류포획기의 통수공(7)과 유인안내구(11)로 물이 유입되어 어류포획기가 침수되며, 소정 시간이 경과 한 후 물결이 어류포획기를 투척할 때보다 진정되어 평소와 같은 흐름이 유지되면 물고기들이 미끼의 냄새를 맡고 유인안내구(11)측으로 유인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미끼의 냄새를 맡고 유인되는 물고기들은 미끼의 냄새를 맡고서도 쉽게 미끼가 있는 유인안내구(11)측으로 접근하지 못하는 바, 낮선곳에 위험이 있을 지도 모른다는 의심에 기인하여 소정시간이 경과 된 후, 아무이상이 없다고 생각되면 유인안내구(11)측으로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어류포획기를 투척한 후에도 한 동안 시간이 경과되어야만 물고기들이 미끼주변에서 유영하며 미끼를 먹게 되므로, 최초의 물고기를 포획하는 데 시간이 너무 지체되어 짧은 시간에 다량의 물고기를 유인하여 포획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인안내구(11)측으로 유인되어 미끼를 먹던 물고기들은 포획체(10a)(10b)내에 배치된 미끼를 먹기 위하여 수용공간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공간내의 미끼에 유인되어 수용공간내로 진입하게 된 물고기중 포획체(10a)(10b)밖으로 빠져나가려 하는 물고기는 깔대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인안내구(11)의 개구부가 매우 좁기 때문에 한 번에 외부로 빠져나가기 매우힘들게 되어 빠져 나가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즉, 수용공간 내측으로 들어 올때는 점점 축경되는 경사면(20)에 의해 쉽게 들어올 수 있었지만 나갈 때에는 물의 흐름이 다수개의 통수공(7)과 개구부을 통하여 함께 느껴지기 때문에 방향감감이 둔해지고 개구부가 매우 좁기 때문에 한번에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포획체(10a)(10b)의 수용공간에 머물게 된 물고기는 어류포획기에 의해 포획되어 질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어류포획기에 물고기를 다량으로 포획하기 위해서는 최초에 포획되는 물고기가 얼마만큼 빨리 포획되는냐와 얼마만큼의 물고기가 수용공간내에 머물고 있느냐에 따라 다량의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느냐가 결정되는 바, 최초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물고기들이 미끼와 어류포획기에 대하여 의심을 하여 포획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물고기들은 무리를 지어 유영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물고기가 없는 곳으로는 잘 이동하려 하지 않는다.
즉, 상기 유인안내구(11)측으로 소정 수의 물고기를 얼마만큼 빨리 유인하느냐가 얼마만큼 빨리 포획체(10a)(10b)내로 물고기가 진입하느냐의 관건이 달려있다,
따라서, 소정 시간동안 유인안내구(11)측으로 물고기가 접근하지 못한다는 문제는 결국, 소정 시간 동안 물고기를 포획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낳게 된다.
아울러, 상기 어류포획기에 포획된 물고기들은 한 곳에 오랫동안 머물어 있지 않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다른 곳으로 이동하려 하기 때문에 이때에는 어류포획기를 회수하여야 하는 바, 물고기들이 어류포획기에 포획된 시간이 각각다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물고기가 어류포획기에서 빠져나가게 되면 다량의 물고기들이 쉽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소정 수 이상의 물고기가 포획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최초 물고기가 어류포획기에 포획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고 포획된 물고기의 숫자가 증가된 것처럼 물고기들을 오인시킴으로써, 물고기들이 무리지어 유영하고자 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다량의 물고기들을 빠른시간내에 포획하도록 하고, 포획된 물고기들이 자신들에게 비추어진 모습에 의해 방향감각을 둔화될 수 있도록 하여 포획된 물고기가 어류포획기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빠른 시간내에 다량의 물고기를 포획하여 확보하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 형상의 포획체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고기를 유인안내하는 유인안내구를 갖는 어류포획기에 있어서, 상기 포획체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의 소정영역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가 선택적으로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인안내구 경사면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의 소정영역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를 선택적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인안내구의 내측 개구부 선단에 형성된 평활면의 소정영역에 반사체를 선택적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인안내구로부터 시야가 확보되는 포획체의 내측 소정영역에반사체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종래 어류포획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포획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포획기의 사용상태 및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및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어류포획기에 본 발명을 적용시킨 도면.
도6은 어류포획기에 본 발명을 적용시킨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01-어류포획기 102-유인안내구 103-포획체
106-반사체 114-경사면 115-평활면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 도2내지 도6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 형상의 포획체(103)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고기를 유인안내하는 유인안내구(102)를 갖는 어류포획기(101)에 있어서, 상기 포획체(103)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의 소정영역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106)가 선택적으로 코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상기 유인안내구(102) 경사면(114)의 내외측면(114a)(114b)중 적어도 어느 한면의 소정영역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106)를 선택적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유인안내구(102)의 내측 개구부 선단에 형성된 평활면(115)의 소정영역에 반사체(106)를 선택적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유인안내구(102)를 통하여 포획체(103)내측으로 시야가 확보되는 포획체(103)의 내측 소정영역에 도4과 같이 반사체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기술을 도2내지 도6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어류포획기의 포획체(103) 소정영역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106)를 코팅하는 바, 포획체(103)의 전면(全面)에반사체(106)을 코팅하는 것 보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유인안내구(102)의 경사면(114) 내외측면 중 어느 한 면에 반사체(106)을 코팅하는 바, 반사체(106)이 외측을 향할 수 있도록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포획체(103)내부로 물고기가 진입하는 곳인 유인안내구(102)에 반사체를 코팅함으로써, 포획체(103)주위에 유영중이던 물고기들이 유인안내구(102)측에 집중적으로 모이도록 하여 물고기들이 유인안내구(102)의 경사면(114)에 코팅된 반사체(106)에 비추어진 자신들의 허상을 보고 무리를 이루기 위하여 유인안내구(102)의 경사면(114)으로 더욱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114)의 반사체(106)에 비추어진 허상을 보고 무리를 이루기 위하여 모여드는 물고기들은 포획체(103)내로 진입하게 되며, 상기한 유인안내구(102)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기 때문에 진입하는 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한번 진입한 물고기들은 유인안내구(102)보다 넓은 수용공간에서 좁은 개구부로 빠져나오기란 매우 어려우므로 결국, 포획체(103)내로 진입한 물고기는 포획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인안내구(102)에는 미끼를 소정량 부착하여 물고기들을 미끼로 유인하면 그 효과가 배가되며, 상기 포획체(103)내에도 소정량의 미끼를 투여하여 유인안내구(102)측에 유영중이던 물고기들을 포획체(103)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어류포획기(101)의 유인안내구(102) 경사면(114)에는 반사체(106)를 도3과 같이 코팅하고,아울러, 경사면(114)의 소정위치에 미끼를 부착하고 포획체(103)내부에도 소정량 미끼를 투여한다.
그리고, 상기 포획체(103)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공(120)에 결속클립(121)을 결속한 후 수심이 깊은 곳에는 물에 투척할 수 있으며, 수심이 얕은 곳에는 사용자가 직접 배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물의 흐름이 투척전과 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주위에 유영중이던 물고기들이 미끼의 냄새를 맡고 유인안내구(102)주면으로 유인되는 바, 유인된 물고기들은 경사면(114)에 비추어진 자신들의 허상을 보고 유인안내구(102)의 미끼에 대한 의심을 해제한 후 미끼를 먹기 위해 유인안내구(102)측으로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아무런 의심없이 미끼를 먹던 물고기들은 포획체(103)내부에서 발생하는 미끼의 냄새에 의해 포획체(103)내부로 아무런 의심없이 진입하여 미끼를 먹게 됨으로써, 물고기를 손쉽게 포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최초의 물고기가 유인안내구(102)의 미끼를 먹게 되면, 유인안내구(102)주변에 있던 또 다른 물고기는 유인안내구(102)에 접근한 물고기와 경사면(114)에 비추어진 상기 물고기의 허상과 주변에 유영중이던 또 다른 물고기의 허상을 보게 되며, 이에 따라 물고기들은 유인안내구(102)측에 자신들의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고 아무런 의심없이 유인안내구(102)측의 미끼를 먹기 위하여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인안내구(102)의 반사체(106)에는 자신의 모습과 또다른 물고기의 실체와 비추어진 허상과 유인안내구(102)주변에 유영중이던 다른 물고기의 무리가 합쳐진 모습이 보여지게 됨으로써, 물고기들은 아무런 의심없이 무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또는 경사면(114)의 미끼를 먹기 위하여 유인안내구(102)측으로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인안내구(102)로는 주변에서 유영하던 물고기를 더욱 빠른 시간내에 아무런 의심없이 유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인안내구(102) 내측 선단부에는 소정폭의 평활면(115)을 도?과 같이 형성하고, 상기 평활면(115)에도 반사체를 소정영역에 걸쳐 코팅함으로써, 유인안내구(102)측으로 접근하는 물고기들을 유인안내구(102)의 깊숙한 부분까지 손쉽게 유인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인안내구(102)로부터 소정 거리에 유영중이던 물고기들이 확실하게 자신의 허상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많은 물고기들을 유인안내구(102)측으로 유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안내구의 개구부를 통하여 시야가 확보되는 포획체(103)내측의 맞은편 소정영역에도 반사체(106)를 코팅하도록 함으로써, 유인안내구(102)에 접근한 물고기들이 맞은편의 반사체(106)에 비추어지는 허상을 보고 포획체(103)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은 또 다른 어류포획기에 본 발명을 적용시킨 도면으로서, 포획체의 둘레에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경사면, 또는 경사면의 인접영역에 반사체를 코팅하는 것도 포함한다.
한편, 물고기들이 현재 유영중이던 위치를 이동하려 하고 여러번의 시도에 의해 포획체(103)를 빠져나가는 시간은 대략 1시간에서 1시간 30분정도가 경과되나,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반사체(106)에 의해서는 다량의 물고기들이 종래에 포획되던 시간보다 더욱 짧은 시간에 포획됨으로써, 이들 포획된 물고기들이 포획체(103)에서 빠져나가려 하기 전에 사용자가 어류포획기(101)를 회수하면 짧은 시간에 다량의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획체의 소정영역에 반사체를 형성하는바, 특히, 유인안내구측에 반사체를 형성하여 포획체주변에서 유영중이던 물고기를 더욱 빨리 유인안내구측으로는 유인함으로써, 유인안내구측으로 유인된 물고기들이 포획체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확률을 증대시켜, 물고기들의 포획시간을 더욱 짧게 단축하고 다량의 물고기를 포획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매우 훌륭한 발명이다.

Claims (4)

  1. 소정 형상의 포획체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고기를 유인안내하는 유인안내구를 갖는 어류포획기에 있어서,
    상기 포획체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의 소정영역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가 선택적으로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안내구 경사면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의 소정영역에 사물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가 선택적으로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안내구의 내측 개구부 선단에 형성된 평활면의 소정영역에 반사체를 선택적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안내구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시야가 확보되는 포획체 내측 소정영역에 반사체가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포획기.
KR10-2000-0072010A 2000-11-30 2000-11-30 어류포획기 KR100375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010A KR100375642B1 (ko) 2000-11-30 2000-11-30 어류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010A KR100375642B1 (ko) 2000-11-30 2000-11-30 어류포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213A KR20020042213A (ko) 2002-06-05
KR100375642B1 true KR100375642B1 (ko) 2003-03-15

Family

ID=2767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010A KR100375642B1 (ko) 2000-11-30 2000-11-30 어류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32B1 (ko) * 2009-03-12 2011-06-30 이현우 음식물 구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54U (ko) * 1998-09-23 1998-12-05 안홍진 어류 포획망틀
KR200252320Y1 (ko) * 2001-07-23 2001-11-17 오호환 부력식 어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54U (ko) * 1998-09-23 1998-12-05 안홍진 어류 포획망틀
KR200252320Y1 (ko) * 2001-07-23 2001-11-17 오호환 부력식 어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213A (ko) 200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2818B1 (en) Soft bait fish lure
US86894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edless fish lure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US8938907B2 (en) Anti-snag fishing device
KR100972782B1 (ko) 어로용 통발의 유인구
KR100375642B1 (ko) 어류포획기
KR100516233B1 (ko) 어류포획기
KR101561298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KR20070009931A (ko) 밑 걸림 방지 루어
KR20210013872A (ko) 루어낚시용 베이트
KR101471875B1 (ko) 유해동물 포획장치
KR102419914B1 (ko) 어로용 통발
KR102312757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말벌 포획 장치
US20180055024A1 (en) Buzz Bait
KR20130002381A (ko) 어로용 통발
KR102317753B1 (ko) 장어통발
JP2567193Y2 (ja) 魚類捕獲装置
KR102230146B1 (ko)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US4959922A (en) Aquatic trap funnel
KR20240001692A (ko) 혼획 방지구조를 갖는 미국가재 포획장치
KR102513825B1 (ko) 벌통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해충 포획 장치
JPH036209Y2 (ko)
KR100943275B1 (ko) 루어낚시용 찌
KR200226104Y1 (ko) 유해 곤충 포획기
Yao et al. Gears, artisanal fishing techniques of fish and their pressure on the ichthyological stand of the lower basin of the Comoé river (Côte d’ivo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