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823B1 -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 Google Patents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823B1
KR100783823B1 KR1020070011903A KR20070011903A KR100783823B1 KR 100783823 B1 KR100783823 B1 KR 100783823B1 KR 1020070011903 A KR1020070011903 A KR 1020070011903A KR 20070011903 A KR20070011903 A KR 20070011903A KR 100783823 B1 KR100783823 B1 KR 10078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t
dam
upstream
waterway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01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또는 계곡의 양측 제방(100)(100') 사이를 잇는 사방댐(D)에 있어서, 상기 사방댐(D)은 길이 방향의 내부로 경사지게 내장어도(10)가 형성되고, 상기 사방댐(D)의 상류면(2)에서 하류면(3)으로 관통되어지되 상기 내장어도(10)와 교차되는 다수의 수로공(20)이 다단의 경사지는 배열로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수로공(20)을 통하여 상류(4)에서 하류(5)로 흐르는 물의 일부가 상기 내장어도(10)로 유입되어 경사진 상기 내장어도(10)의 하측방향으로 흐르도록 구비됨으로써 사방댐(D)의 상류면(2)에 토석 등의 이물질이 일부 또는 전부 쌓이더라도 내장어도(10)로 항상 물이 흐르도록 하여 물고기들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사방댐과 별도로 어도를 형성하지 않고 사방댐 내부에 어도를 구비하기 때문에 많은 공사비가 투입되지 않으므로 시공비가 절약되고 시공효율이 향상되는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에 관한 것이다.
사방댐, 어도, 수로, 하천

Description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EROSION CONTROL DAM WITH INTERNAL FISHWA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어도가 형성된 댐에 대한 시설도.
도 2는 본 발명 사방댐이 시설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3b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사방댐의 내장어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일부절결 사시도.
도 6a 및 도 6d는 본 발명 사방댐의 내장어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일부절결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사방댐에 대한 다른 실시에 대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사방댐
10 : 내장어도 20 : 수로공
21 : 상류수로공 22 : 하류수로공
111 : 평저면 112 : 경사면
222 : 물막이돌기
본 발명은 사방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또는 계곡에 시설되는 사방댐의 내부에 경사지게 내장어도가 구비되어 사방댐의 상류측 면에 토석 등의 이물질이 일부 또는 전부 쌓이더라도 내장어도로 항상 물이 흐르도록 하여 물고기들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사방댐과 별도로 어도를 형성하지 않고 사방댐 내부에 어도를 구비하기 때문에 많은 공사비가 투입되지 않으므로 시공비가 절약되고 시공효율이 향상되는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방댐은 하천 또는 계곡에 시설되어 상류로부터 흐르는 물과 함께 모래, 흙, 자갈 및 나뭇가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하류로 유출되지 않고 사방댐의 상류측 면에 쌓이도록 하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종래의 사방댐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106445호(어도형 수문)를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하천의 양측 제방(500)을 가로지르며 이어지는 댐(510)을 구비하되, 일측에는 수문(512)를 구비하여 물이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도록 하였다. 이에 댐(510)의 일측에는 일정 정도의 경사를 이루며 댐(510)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흐르도록 하는 어도(520)를 시설한 것이다. 이러한 어도(520) 을 통하여 하류의 물고기들이 상류로 물을 거스르며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방댐의 경우에는, 어도가 댐과 별도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재료비 등 별도의 시설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된다. 또한 댐과 별도로 시설되기 때문에 별도 공사를 진행해야 하는 등 댐 시설 공사에 대한 문제가 있다.
또한 댐 상류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사방댐의 중간에 설치되도록 어도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토석 등 이물질이 유입구의 높이보다 높게 쌓여 유입구가 막히므로 어도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물 유입구가 사방댐의 꼭대기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어도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 설치비용이 과도하고, 갈수기에는 어도로 물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물고기들이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어도의 상부가 개방되어 노출되는 반면, 어도를 따라 이동하는 물고기들을 외부에서 볼 수 있어서, 맹금류 또는 사람들에 의해 포획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래, 자갈, 흙, 나뭇가지 등 이물질의 흐름을 막는 사방댐 내부에 어도를 내장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사방댐의 상류측 면에 이물질이 일부 또는 전부 쌓이더라도 어도로 항상 물이 흐르도록 하여 물고기들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을 보호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내장어도로 흐르는 물이 갈수기뿐만 아니라 홍수, 장마와 같이 흐르는 물이 많아도 항상 일정 양의 물이 어도 내에 흐르도록 하고, 사방댐과 별도로 어도를 형성하지 않고 사방댐 내부에 어도를 구비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사기간이 소요되지 않고, 별도의 공사비가 투입되지 않아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시공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나아가 노천으로 어도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어도를 따라 이동하는 물고기들이 맹금류 또는 사람들에 의해 잡히지 않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은 하천 또는 계곡의 양측 제방(100)(100') 사이를 잇는 사방댐(D)을 구비하되, 상기 사방댐(D)은 내부에 다단계로 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장어도(10)가 구비되고, 상류의 물이 상기 내장어도(10)로 공급되도록 상류면(2)과 관통되는 수로공(20)이 형성되며, 상기 내장어도(10)의 최하부에는 상기 내장어도(10)로 흐르는 물이 하류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하부통공(116)이 형성되는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내장어도(10)는 평저면(111)과 경사면(112)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은 상기 수로공(20)과의 교차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12)은 상기 평저면(111)과 평저면(111')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내장어도(10)는 상기 사방댐(D)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20)은 상기 사방댐(D)의 상류면(2)에서 하류면(3)으로 관통되며, 상기 수로공(20)은 상기 내장어도(10)를 중심으로 하여 상류면(2) 측의 상류수로공(21)의 넓이보다 상기 하류면(3) 측의 하류수로공(22)의 넓이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20)은 상기 내장어도(10)와 서로 교차되도록 다단계의 경사지는 배열로 다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수로공(20)의 상류수로공(21) 및 하류수로공(22)을 통하여 상류(4)의 물이 하류(5)로 흐르면서 일부 물이 상기 내장어도(10)의 하측방향으로 흐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내장어도(10)의 상기 경사면(112)에는 유영블럭(113)이 지그재그로 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 하측과 하류수로공(22) 사이에 물막이돌기(22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 상측과 상류수로공(21) 사이에 물튀김돌기(2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류수로공(22)은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 측에 대해 상향 단턱인 물막이턱(223)이 형성되고, 상기 내장어도(10)의 최상부에는 상기 사방댐(D)의 상면으로 개방되어 사방댐(D)을 넘어 흐르는 물이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상부통공(115)이 형성되고, 상기 내장어도(10)의 최하부에는 상기 내장어도(10)를 흐르던 물이 하류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하부통공(116)이 형성되며, 상기 상류수로공(21)는 상기 사방댐(D)의 상류면에 스크린(212)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방댐(D) 내부에 형성된 상기 내장어도(10)가 "<" 형태의 전환어도(13)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사방댐이 시설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류의 물이 하류로 흐름에 양측 제방 사이에 시설된 사방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로, 도 3a는 절단면에서 상류측을 보인 것으로 상류수로공(21)이 도시되고, 도 3b는 절단면에서 하류측을 보인것으로 하류수로공(22)이 도시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b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사방댐의 내장어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일부절결 사시도로, 상류수로공(21)과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의 저면이 나란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5b는 도 4의 E부분에 대한 절개되어 확대된 부분을 블럭 형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 6a 및 도 6d는 본 발명 사방댐의 내장어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일부절결 사시도로, 상류수로공(21)과 하류수로공(22)이 단차를 두어 실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특히 도 6d는 도 4의 E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를 예시한 것으로, 확대된 부분을 블럭 형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 사방댐에 대한 다른 실시에 대한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D)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양측 제방(100)(100') 사이를 잇는 사방댐(D)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사방댐(D)은 길이 방향의 내부로 경사지게 내장어도(10)가 형성되고, 상기 사방댐(D)의 상류면(2)에서 하류면(3)으로 관통되어지되 상기 내장어도(10)와 교차되는 다수의 수로공(20)이 다단의 경사지는 배열로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수로공(20)을 통하여 상류(4)의 물이 하류(5)로 흐르면서 일부 물이 상기 내장어도(10)로 유입되어 경사진 상기 내장어도(10)의 하측방향으로 흐르도록 구비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사방댐은 하천 또는 계곡에 시설되는 것으로, 상류에서 흐르는 물과 함께 흐르는 모래, 흙 및 나무와 같은 찌꺼기를 차단하여, 하류의 농지 또는 주민거주지 부근의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 하류에 모래, 흙 등이 흘러가 퇴 적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사방댐은 주로 상류에 시설되어 모래, 흙 등의 사방댐 상부에 퇴적되더라도 상류 또는 하류의 물고기들이 하류 또는 상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시설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내장어도(10)가 다수의 상기 수로공(20)과의 교차부분의 저면이 평평한 다수의 평저면(111)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평저면(111)과 평저면(111') 사이는 경사면(112)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장어도(10)가 전체적으로 다단계의 경사지는 배열로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수로공(20)을 통하여 유입된 일부 물이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으로 유입되어 경사면(112)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흐르도록 구비되어지되, 도 5a 및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다수의 수로공(20)은 상류면(2) 측의 상류수로공(21)의 넓이보다 상기 하류면(3) 측의 하류수로공(22)의 넓이가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사방댐(D)의 상류면(2) 측의 저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모래, 흙 등이 퇴적됨에 하측의 수로공(20)이 막히더라도 상측의 다단배열의 다른 수로공(20)을 통하여 사방댐(D) 내부의 내장어도(10)로 물이 흐르도록 하여, 물이 항시 흐르는 내장어도(10)를 따라 물고기들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이처럼 수로공(20)의 상류수로공(21)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에 이르면 일부는 경사면(112)으로 흐르고 나머지 대부분은 진행하던 방향인 하류수로공(22)으로 흐르게 된다.
특히 사방댐(D)의 특성상 평상시에는 물의 흐름이 적으며 홍수나 장마철에는 일시에 많은 물이 흐르기 때문에, 평상시 물의 흐름이 적은 때에도 내장어도(10)로 물이 흘러야 함과 함께 물 흐름양이 많은 때에도 너무 많은 물이 내장어도(10)로 흐르지 않도록 해야 물고기들이 내장어도(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도 5b, 6a 및 6b에서와 같이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 하측과 하류수로공(22) 사이에는 상류수로공(21)에서 유입된 물의 일부가 상기 내장어도(10)로 흐르도록 하는 물막이돌기(222)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거나, 물막이턱(223)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물막이돌기(222)와 물막이턱(223)에 의하여 적은 물이 수로공(20)으로 흐르더라도 물막이돌기(222) 또는 물막이턱(223)에 의해 하류수로공(22)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경사면(112)을 타고 내장어도(10)로 흐르게 된다.
이에 반해 도 6d에서와 같이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 상측과 상류수로공(21) 사이에는 상류수로공(21)에서 유입된 물이 튀겨지도록 유연하게 돌출된 물튀김돌기(211)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물튀김돌기(211)는 많은 양의 물이 수로공(20)을 통해 흐를 경우 물튀김돌기(211)에 의해 막혀 흐르는 양이 적어지거나 또는 내장어도(10)의 확대된 공간에서 상향으로 튀어올라 대부분이 하류수로공(22)으로 흐르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일부의 물만 평저면(111) 및 경사면(112)을 통해 흘러 물고기들이 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5b 및 도 6d에서와 같이, 상기 내장어도(10)의 상기 경사면(112)에 유영블럭(113)이 지그재그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유영블럭(113)에 의해 물고기들이 잠시 쉴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러한 유영블럭(113)은 상부가 둥근 곡면으로 형성하여, 상부 또는 하부의 수로공(20) 또는 내장어도(10)를 통해 철사, 금속막대 또는 청소용구 등을 이용하여 청소하더라도 걸리지 않고 쉽게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나아가 예시의 도면에서는 수평의 막대형상으로 형성함을 보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물고기가 유영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면 무관하다. 즉 원형, 반달모양, U자형상, V자 형상 또는 둥근 자갈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어도내장형 사방댐(D)의 내장어도(10) 및 수로공(20)의 형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우선 수로공(20)과 교차되는 내장어도(10)가 사방댐(D)의 길이방향, 즉 수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사방댐(D)의 내부에 경사지게 통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수로공(20)과 교차되는 부분은 평평한 평저면(111)을 형성하고 각각의 평저면(111)(111') 사이는 경사면(112)으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로공(20)의 경우에도 상류수로공(21) 보다 하류수로공(22)이 넓게 형성하여, 상류수로공(21)을 통해 흘러들어온(도 5b 및 도 6d의 "b") 물이 하류수로공(22)으로 용이하게 흐르도록 하였다(도 5b 및 도 6d의 "b'"). 이에 상류수로공(21)의 물은 하류수로공(22)과 내장어도(10)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도 5b 및 도 6d의 "c"). 이를 위해 상류수로공(21)의 저면, 평저면(111)의 저면 및 하류수로공(22)의 저면이 모두 평평한 형태(도 5a 및 도 5b에 도시됨)로 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류수로공(21)의 저면과 평저면(111)의 저면은 평평하게 형성하나, 평저면(111)의 저면에 대해 하류수로공(22)의 저면이 하측으로 단차를 두어 형성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도 6a에 도시됨).
또한 상류수로공(21)의 저면에 대해 평저면(111)의 저면이 하측으로 단차(도 6c의 "a")를 두어 형성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도 6c에 도시됨).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사방댐(D)의 상면부근인 상기 내장어도(10)의 최상부에는 상기 사방댐(D)의 상면으로 개방되어 사방댐(D)을 넘어 흐르는 물이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상부통공(115)이 형성되고, 상기 내장어도(10)의 최하부에는 상기 내장어도(10)를 흐르던 물이 하류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하부통공(116)이 형성되며,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상류수로공(21)은 상기 사방댐(D)의 상류면에 거름용 스크린(2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통공(115)은 사방댐(D)의 상류면(2)이 모래 또는 흙 등으로 막혔을 경우, 사방댐(D)의 상면을 타고 하류로 넘어 흐르는 물이 상부통공(115)을 통하여 내장어도(10)로 흐르도록 구비한 것이다. 또한 내장어도(10)의 최하측에는 하류측으로 개방된 하부통공(116)이 형성되도록 하되, 내장어도(10)의 상측으로부터 흐르는 많은 물이 원활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다른 하류수로공(22) 보다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류수로공(21)의 입구에는 거름용 스크린(212)를 구비하여, 이물질, 돌, 나뭇가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비한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수로공(20) 및 내장어도(10)의 구성은, 특히 하류수로공(22)의 크기를 상류수로공(21) 보다 크게 형성함과 함께, 내장어도(10)가 크기가 넓고 큰 하류수로공(22) 측으로 가까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장어도(10)가 사방 댐(D)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너무 어두워 물고기들이 이동하지 않음을 예방하기 위하여, 비교적 크기가 큰 하류수로공(22)으로 유입된 빛에 의하여 내장어도(10)가 어둡지 않도록 구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사방댐(D)이 시설되는 수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사방댐(D)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어도(10)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내장어도(10)가 상기 사방댐(D)의 길이가 짧은 경우, 상기와 같이 단일의 내장어도(10)로 구비되면 너무 급경사의 내장어도가 형성될 수 있어 물고기가 유영하기 곤란할 수 있다.
이에 본발명에서의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 7에서와 같이 다수의 단으로 되는 내장어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그 일 실시예를 보인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사방댐(D)의 내부를 "<" 형태의 내장어도로 형성하여, 내장어도 전체의 경사가 완만한 경사로 되도록 하여 물고기들이 유영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장어도의 일 실시예인 다단 내장어도의 경우, 수로공(20)과 사방댐(D) 내부에서 교차하는 내장어도(10)가 사방댐(D)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다단의 경사지는 배열로 형성되어지되, 사방댐(D)의 상부 측의 제1어도(10')와 사방댐(D)의 하부 측의 제2어도(10'')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 "<" 형태의 전환어도(13)가 제1어도(10')와 제2어도(10'')를 이어주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의 예시도에서는 2단으로 꺾어지는 내장어도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단의 지그재그 형태로 내장어도(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모래, 자갈, 흙, 나뭇가지 등 이물질의 흐름을 막도록 설치되는 사방댐에 어도를 형성한 것으로, 이물질이 사방댐 상류측 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쌓이더라도 어도로 항상 물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물고기들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장어도로 흐르는 물이 갈수기뿐만 아니라 홍수, 장마와 같이 흐르는 물이 많은 계절에도 항상 일정 양의 물이 어도 내에 흐르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사방댐과 별도로 어도를 형성하지 않고 사방댐 내부에 어도를 구비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사기간이 소요되지 않고, 별도의 공사비가 투입되지 않아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시공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천으로 어도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어도를 따라 이동하는 물고기들이 맹금류 또는 사람들에 의해 잡히지 않아 자연을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하천 또는 계곡의 양측 제방(100)(100') 사이를 잇는 사방댐(D)을 구비하되, 상기 사방댐(D)은 내부에 다단계로 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장어도(10)가 구비되고, 상류의 물이 상기 내장어도(10)로 공급되도록 상류면(2)과 관통되는 수로공(20)이 형성되며,
    상기 내장어도(10)의 최하부에는 상기 내장어도(10)로 흐르는 물이 하류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하부통공(116)이 형성되는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내장어도(10)는 평저면(111)과 경사면(112)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은 상기 수로공(20)과의 교차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12)은 상기 평저면(111)과 평저면(111')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내장어도(10)는 상기 사방댐(D)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20)은 상기 사방댐(D)의 상류면(2)에서 하류면(3)으로 관통되며, 상기 수로공(20)은 상기 내장어도(10)를 중심으로 하여 상류면(2) 측의 상류수로공(21)의 넓이보다 상기 하류면(3) 측의 하류수로공(22)의 넓이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20)은 상기 내장어도(10)와 서로 교차되도록 다단계의 경사지는 배열로 다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수로공(20)의 상류수로공(21) 및 하류수로공(22)을 통하여 상류(4)의 물이 하류(5)로 흐르면서 일부 물이 상기 내장어도(10)의 하측방향으로 흐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 하측과 하류수로공(22) 사이에 물막이돌기(22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 상측과 상류수로공(21) 사이에 물튀김돌기(21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어도(20)의 경사면(112)에는 유영블럭(113)이 지그재그로 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류수로공(22)은 상기 내장어도(10)의 평저면(111) 측에 대해 상향 단턱인 물막이턱(2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어도(10)의 최상부에는 상기 사방댐(D)의 상면으로 개방되어 사방댐(D)을 넘어 흐르는 물이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상부통공(115)이 형성되고,
    상기 상류수로공(21)에는 상기 사방댐(D)의 상류면에 스크린(21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댐(D) 내부에 형성된 상기 내장어도(10)가 "<" 형태의 전환어도(1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KR1020070011903A 2007-02-06 2007-02-06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KR10078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903A KR100783823B1 (ko) 2007-02-06 2007-02-06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903A KR100783823B1 (ko) 2007-02-06 2007-02-06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823B1 true KR100783823B1 (ko) 2007-12-11

Family

ID=3914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903A KR100783823B1 (ko) 2007-02-06 2007-02-06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8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69B1 (ko) * 2008-04-22 2010-12-30 변찬우 어도를 갖는 수질정화시스템
KR101131814B1 (ko) * 2011-08-23 2012-03-30 정문순 유수 흐름이 원활한 경량철골과 사석을 이용한 사방댐
KR20150031002A (ko) * 2013-09-13 2015-03-23 이문기 어류 서식처가 구비된 사방댐
KR101506848B1 (ko) * 2014-12-24 2015-03-27 천창우 어도가 형성된 수문
KR102448989B1 (ko) 2022-05-16 2022-09-29 주식회사 프리피쉬 하천의 수위에 따른 개별 작동형 어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764Y1 (ko) 2003-02-04 2003-05-16 윤일권 피트식(pit) 나선형 어도(漁道)
KR20050049343A (ko) * 2003-11-21 2005-05-25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764Y1 (ko) 2003-02-04 2003-05-16 윤일권 피트식(pit) 나선형 어도(漁道)
KR20050049343A (ko) * 2003-11-21 2005-05-25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어도형성용 월류형 격벽블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69B1 (ko) * 2008-04-22 2010-12-30 변찬우 어도를 갖는 수질정화시스템
KR101131814B1 (ko) * 2011-08-23 2012-03-30 정문순 유수 흐름이 원활한 경량철골과 사석을 이용한 사방댐
KR20150031002A (ko) * 2013-09-13 2015-03-23 이문기 어류 서식처가 구비된 사방댐
KR101586247B1 (ko) * 2013-09-13 2016-01-18 이문기 어류 서식처가 구비된 사방댐
KR101506848B1 (ko) * 2014-12-24 2015-03-27 천창우 어도가 형성된 수문
KR102448989B1 (ko) 2022-05-16 2022-09-29 주식회사 프리피쉬 하천의 수위에 따른 개별 작동형 어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dell et al. What we know about large trees that fall into streams and rivers
KR100783823B1 (ko)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JP5737675B2 (ja) 砂防堰
KR100541631B1 (ko) 유속 안내판과 어도 덮게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의 구성방법
DE102008012718A1 (de) Vorrichtung für den Abstieg von Aalen an Wasserbauwerken
KR101555831B1 (ko) 유속저감 기능을 갖는 자연형 어도
KR101119972B1 (ko) 친환경 어도구조물
KR100925894B1 (ko) 생태어도 사방댐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JP2002173957A (ja) 床止め工に傾斜取水スクリーンを設置した河川表流水の取水構造
JP5726475B2 (ja) 垂直魚道ブロック
KR10068889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101282777B1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KR200413723Y1 (ko) 어도 구조물
KR102259684B1 (ko)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KR101264211B1 (ko)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KR100895289B1 (ko) 화단형 어소블록
JP2005220610A (ja) 連流型スリット砂防ダム
KR102139517B1 (ko) 퇴적물의 통과 수로로 겸용되는 어도를 가춘 낙차공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JPH0978559A (ja) 起伏堰
KR100743547B1 (ko) 하천의 생태계 보존을 위한 피난 산란처를 제공하는어소블록
KR200312612Y1 (ko) 어초블록
KR101387168B1 (ko) 하상용 세굴방지블록
JP2005210905A (ja) 淡水魚用の魚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