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211B1 -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Google Patents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4211B1 KR101264211B1 KR1020100046885A KR20100046885A KR101264211B1 KR 101264211 B1 KR101264211 B1 KR 101264211B1 KR 1020100046885 A KR1020100046885 A KR 1020100046885A KR 20100046885 A KR20100046885 A KR 20100046885A KR 101264211 B1 KR101264211 B1 KR 101264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 wall
- sediment
- prevention function
- facil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도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홍수 때 나무가지, 자갈 및 토사가 급격하게 유입되더라도 어도에 퇴적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갈수위에도 회귀성 물고기들이 자유롭게 소상 및 강하할 수 있는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은 하천을 가로막은 보에 회귀성 어류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어도시설물에 있어서, 보의 하류측에 하천수 배출을 위해 설치된 경사수로와; 상기 보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이고 진수위 위치 또는 그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내부어도와; 상기 보의 상류측에 보와 평행방향으로 설치된 소정 개수의 차단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은 하천을 가로막은 보에 회귀성 어류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어도시설물에 있어서, 보의 하류측에 하천수 배출을 위해 설치된 경사수로와; 상기 보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이고 진수위 위치 또는 그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내부어도와; 상기 보의 상류측에 보와 평행방향으로 설치된 소정 개수의 차단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도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홍수 때 나무가지, 자갈 및 토사가 급격하게 유입되더라도 어도입구에 퇴적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갈수위에도 회귀성 어류가 자유롭게 소상 및 강하할 수 있는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농업용수나 식수 등을 확보하기 위해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콘크리트 보는 식수 등의 수자원을 확보하는 순기능을 발휘하기도 하지만, 하천을 따라 회귀성 어류가 소상 및 강하하는 것을 제한하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는 역기능적인 단점도 동시에 갖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보에는 하천을 따라 회귀성 어류가 상,하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회귀성 어류의 이동통로 즉, 어도를 만들어 회귀성 어류의 자유로운 이동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의 단순 계단식 어도들은 잦은 기상이변에 따른 게릴라성 집중호후 및 홍수가 발생하면 하천의 유량과 유속이 증가하면서 나무가지, 자갈 및 토사 등이 보로 유입되면서 보의 상류에 퇴적되고, 상기 퇴적물에 의해 상류의 어도입구가 퇴적물에 의해 봉쇄되어 어도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때문에 어도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리인이 수시로 퇴적물을 청소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그로 인한 비용낭비, 작업 진행 중의 어도차단 및 수질오염등으로 인한 단기적 생태계 불안정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어도는 주로 계단식 구조가 채용되어 왔는데, 이는 갈수기 때 보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량이 부족함에 따라 어도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풍수시에는 어도의 유속이 너무 빨라서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는 상류로 소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홍수때 유입되는 나무가지, 자갈 및 토사 등이 상류 어도의 입구에 퇴적되어 어도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퇴적된 퇴적물을 하천 하류로 자동 방출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키며 갈수위에도 회귀성 어류들이 상류나 하류로 이동의 문제가 없도록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갈수위에도 회귀성 및 회유성 어류가 자유롭게 소상 및 강하할 수 있도록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을 가로막은 보에 회귀성 어류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어도시설물에 있어서, 보의 하류측에 하천수 배출을 위해 설치된 경사수로와; 상기 보와 경사수로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이고 진수위 위치 또는 그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내부어도와; 상기 보의 상류측에 보와 평행방향으로 설치된 소정 개수의 차단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단벽과 보의 사이에 설치되되, 보의 유입구 양측으로 보와 수직방향으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어도보호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어도보호벽 외측으로 설치되되, 어도보호벽 및 보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안내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벽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전두차단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벽의 상류측 하천바닥에 형성된 맨홀과 보의 하류측 하천 바닥에 형성된 맨홀을 연결하는 기저수로인 소정 개수의 가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도보호벽 사이에는 가통과 연결 설치된 맨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벽은 100~120°각도로 연속적으로 꺽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도보호벽에는 홀이 천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도보호벽의 상류측 단부는 내측으로 꺽인 굴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어도보호벽 상류측 단부에는 어도보호벽을 연결하는 네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수로의 양측 측벽에는 소정 간격으로 교호(交互)되도록 연속 설치된 경사진 빗살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수로의 저면에는 홈 형태 로 이동홈이 형성되고, 이동홈에는 인공수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어도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통을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 또는 전두차단벽의 기초에는 전단키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홍수때 유입되는 나무가지, 자갈 및 토사 등이 상류의 어도 입구에 퇴적되어 어도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퇴적된 퇴적물을 하천 하류로 자동 방출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갈수위에도 회귀성 물고기들이 하천을 따라 자유롭게 소상 및 강하할 수 있기 때문에 하천 생태계를 자연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도시설물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어도시설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어도시설물의 하천수 유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퇴적물이 가통을 통해 보 하류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내부어도 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내부어도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내부어도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어도시설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어도시설물의 하천수 유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퇴적물이 가통을 통해 보 하류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내부어도 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내부어도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내부어도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도시설물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어도시설물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어도시설물의 하천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퇴적물이 가통을 통해 보 하류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내부어도 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내부어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내부어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은 가장 기본적으로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보(100)와, 보(100)의 상류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차단벽(110)으로 구성된다.
잦은 기상이변에 따른 게릴라성 집중호후 및 홍수가 발생하면 하천의 유량과 유속이 증가하면서 상류로부터 나무가지, 자갈 및 토사 등이 보(100)로 유입 퇴적되어 보(100)에 설치된 상류의 어도입구가 퇴적물에 의해 봉쇄되어 어도가 차단되기 때문에 어도의 기능이 상실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단벽(110)이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나무가지, 자갈 및 토사를 차단하여 보(100)의 어도에 퇴적물이 퇴적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로부터 하천수와 함께 퇴적물이 흘러 내려오다가 퇴적물이 상기 차단벽(110)과 충돌하여 우회유동으로 인해 유속이 급격히 저하되며 퇴적물이 차단벽(110) 전방에 퇴적되고, 하천수만 보(100)의 어도로 흐르게 됨으로써 퇴적물이 유입되어 어도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차단벽(110)은 크게 한 개로 구성하는 것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크기로 여러 개 겹겹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천수의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홍수때 유입되는 여러 입자들이 1차로 차단벽에 부딪혀 퇴적된 후, 입자의 일부는 여러 개가 겹겹으로 설치된 차단벽 사이가 수로 형태가 되어 입자의 일부가 보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분산된다.
또한, 상기 차단벽(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벽 형태보다는 연속으로 지그재그 굴곡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속을 굴곡지게 차단벽(110)을 성형함으로써 차단벽(110)에 작용하는 하천수의 유압이 감소되어 유압에 의한 차단벽(1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퇴적물 일부는 차단벽(110)에 충돌하여 퇴적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굴곡진 차단벽(110)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일부 퇴적물은 보의 좌,우측으로 신속하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인 하천수의 유량과 유속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차단벽(110)의 굴곡 각도는 약 100~120°가 바람직하다.
또한, 하천의 기저(바닥)에는 보(100)를 가로질러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의 가통(102)을 설치하되, 상기 가통(102)의 상류측 유입구인 맨홀(103)을 차단벽(110)의 상류측에 설치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천수와 함께 유입되다가 차단벽(110)에 부딪혀 차단벽(110)전방에 퇴적되는 퇴적물이 맨홀(103)을 통해 보(100)를 가로질러 하류의 맨홀(103)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차단벽(110) 전방에 연속으로 퇴적되는 퇴적물이 가통(102)을 통해 하류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정 주기마다 퇴적물을 걷어낼 필요가 없어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해진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가통(102)을 개폐하는 개폐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상시와 홍수일 때에는 가통(102)을 상시 개방하여 퇴적물을 하천의 하류로 배출하도록 하고, 갈수기때에는 상기 가통(102)을 닫아 하천의 수량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벽(110)과 보(100)의 사이에는 한 쌍의 어도보호벽(120)을 설치한다. 상기 어도보호벽(120)은 경사수로(150)가 설치된 지점의 보(100) 양측에 보(100)와 수직되도록 설치하되 어도보호벽(120)의 단부가 보(100)와 접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어도보호벽(120)은 차단벽(110)을 우회한 나무가지,자갈 및 토사 등의 퇴적물이 하천 양측으로부터 어도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하천수가 어도로 유입되기 전에 어도보호벽(120)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저하되도록 하여 하천수에 포함된 나머지 퇴적물이 바닥으로 퇴적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보(100)와 접하는 어도보호벽(120)의 반대측 단부는 내측으로 소정 각도 꺽인 굴절부(121)를 형성함으로써, 하천수가 어도보호벽(120)의 내부를 유동할 때 하천수의 유속을 감소시켜서 퇴적물이 바닥에 퇴적되도록 한다. 즉, 굴절부(121)로 인해 좁은 입구를 통과한 하천수가 넓은 폭의 어도보호벽(120) 사이를 통과하며 유속이 감소되어 퇴적물이 바닥으로 침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어도보호벽(120) 사이에는 가통(102)과 연통되는 맨홀(103)을 설치함으로써 어도보호벽(120) 사이에 퇴적되는 퇴적물이 어도보호벽(120) 사이의 맨홀(103)과 가통(102)을 통해 하류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어도보호벽(120) 사이에 설치된 맨홀(103)은 두 개 이상의 가통(102)과 연통되도록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어도보호벽(120) 사이의 맨홀(103)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어도보호벽(120) 사이를 유동하는 하천수의 유속을 크게 감속시킴으로써 퇴적물이 더욱 잘 퇴적되도록 하고, 퇴적물을 빠르게 하류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도보호벽(120)에는 천공된 홀(122)이 형성됨으로써 홍수나 집중 호우 때 하천수량이 증가하여 유속이 빨라질 때 어도보호벽(120) 내부를 유동하는 하천수가 상기 홀(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유속이 감소되어 퇴적물이 효과적으로 퇴적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홀(122)은 급격한 하천수 증가로 인해 어도보호벽(120)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한 쌍 어도보호벽(120)의 굴절부(121)(하천수가 유입되는 부분)에는 굴절부(121)를 연결하는 그물망 형태이고 금속 재질인 네트(104)를 설치함으로써 나뭇가지, 자갈 등으로 인해 어도보호벽(120)에 가해지는 큰 충격을 분산시켜 어도보호벽(12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어도보호벽(120)의 양측에는 안내벽(13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벽(130)은 어도보호벽(12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되, 어도보호벽(120)과는 다르게 보(100)와 접하지 않고 ,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어도보호벽(120)과 안내벽(130) 사이로 유입된 하천수는 하천의 양측으로 방향전환되어 배출되고, 양측으로 배출되는 하천수에 의해 보(100)의 양측에 퇴적된 퇴적물을 하천의 가장자리로 신속하게 밀어냄과 동시에, 퇴적된 퇴적물을 부유하여 순환시키면서 맨홀(103)과 가통(102)을 통해 하류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어도보호벽(120)과 안내벽(130) 사이가 좁아지는 수로의 기능을 갖게 되어 유입되는 하천수는 유속이 빨라져서 보의 좌,우측으로 퇴적물을 신속하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부가되는 기능은 보(1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퇴적물이 연속하여 퇴적되는데, 상기 안내벽(130)에 의해 생성된 하천수의 유동에 의해 퇴적물이 부유하여 순환하면서 퇴적물이 차단벽(110) 또는 어도보호벽(120) 내부의 맨홀(103)을 통해 하류로 지속 배출되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벽(110)의 상류측에는 전두차단벽(140)을 구성하여 홍수 때 하천 바닥을 따라 유입되는 바위 및 나무가지 등과 같이 큰 퇴적물이 어도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최초로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전두차단벽(140)은 하천의 평수위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함으로써 회귀성 물고기 들의 소상 및 강하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전두차단벽(140)의 상단에 노치(141)를 구성함으로써 전두차단벽(140)의 상류측에 퇴적된 퇴적물이 계속 퇴적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노치(141)에는 격벽(142)을 삽입할 수 있도록 노치(141) 양측에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두차단벽(140)의 노치(141)의 수는 하천의 폭과 전두차단벽의 폭에 따라 변동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100)와 전두차단벽(140)의 기초에는 전단키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과 같이 보의 양측에 노치(10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의 하류측에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유입구(101)와 접하도록 경사수로(15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경사수로(150)와, 경사수로(150) 내부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내부어도(154)를 통해 회귀성 어류가 소상 및 강하하도록 어도가 형성된다.
경사수로(150)의 상면에는 보(100) 상류측 물이 유입구(101)를 통해 하류로 자연방류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경사수로(150)의 양측 측벽(151)에는 빗살벽(152)이 경사수로(15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측벽(15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빗살벽(152)이 서로 교호(交互)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빗살벽(152)은 직선형태가 될 수도 있지만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 및 "" 형태로 굴곡지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류측 물이 경사수로(150)를 통해 하류로 흐를 때 하천수가 상기 빗살벽(152)에 충돌하며 수압과 유속이 줄어들면서 회귀성 어류가 상류로 쉽게 소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경사수로(150)를 흐르는 물이 상기 빗살벽(152)에 부딪혀 굴곡지며 흐르기 때문에 회귀성 어류가 경사수로(150)를 흐르는 물을 거슬러 상류로 올라갈 때 상기 빗살벽(152) 뒤편에서 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수로(150)의 바닥에는 빗살벽(152)을 피해가는 경로로 이동홈(153)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홈(153)의 바닥에는 인공수초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홈(153)은 길이 4~8㎝, 둘레 0.2~0.4㎝ 정도인 실뱀장어 치어가 성어가 되기 위하여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 때 이용되는 것인데, 치어인 실뱀장어는 그 습성상 수초에 몸을 의지한 채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경사수로(150)에 인공수초를 구비한 이동홈(153)을 형성함으로써 실뱀장어 등의 치어가 인공수초에 의지하며 쉽게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수로(150)의 내측에 파이프 형태로 매설되는 내부어도(154)는 갈수위에도 회귀성 어류가 상기 내부어도(154)를 통해 소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6과 같이 내부어도입구(155)와 내부어도출구(156)는 갈수위보다 낮게 설치되기 때문에 갈수위 때 회귀성 물고기들이 하류측 내부어도입구(155)를 통해 거슬러 올라 상류측 내부어도출구(156)로 나와 소상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부어도(15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내부어도(154)를 통해 하류로 유동하는 하천수의 수압과 유속을 최대한 낮추어 회귀성 어류가 내부어도(154)를 통해 상류로 쉽게 소상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천의 어도시설물로 유입되는 나무가지, 자갈 및 토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어도시설물이 퇴적물로 인해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퇴적물을 매설된 가통을 통해 하류로 연속 배출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갈수위에도 어도의 기능을 유지함으로써 하천 생태계를 보호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보
101 : 유입구
102 : 가통
103 : 맨홀
104 : 네트
105 : 노치
110 : 차단벽
120 : 어도보호벽
121 : 굴절부
122,132 : 홀
130 : 안내벽
140 : 전두차단벽
141 : 노치
142 : 격벽
150 : 경사수로
151 : 측벽
152 : 빗살벽
153 : 이동홈
154 : 내부어도
155 : 내부어도입구
156 : 내부어도출구
101 : 유입구
102 : 가통
103 : 맨홀
104 : 네트
105 : 노치
110 : 차단벽
120 : 어도보호벽
121 : 굴절부
122,132 : 홀
130 : 안내벽
140 : 전두차단벽
141 : 노치
142 : 격벽
150 : 경사수로
151 : 측벽
152 : 빗살벽
153 : 이동홈
154 : 내부어도
155 : 내부어도입구
156 : 내부어도출구
Claims (15)
- 하천을 가로막은 보(100)에 회귀성 어류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어도시설물에 있어서,
보(100)의 하류측에 하천수 배출을 위해 설치된 경사수로(150)와;
상기 보(100)와 경사수로(15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이고 진수위 위치 또는 그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내부어도(154)와;
상기 보(100)의 상류측에 보와 평행방향으로 설치된 소정 개수의 차단벽(110)과;
상기 차단벽(110)과 보(100)의 사이에 설치되되, 보(100)의 유입구(101) 양측으로 보(100)와 수직방향으로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류측 단부는 내측으로 꺽인 굴절부(121)가 형성된 한 쌍의 어도보호벽(120);
상기 어도보호벽(120) 및 보(100)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어도보호벽(1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안내벽(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11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전두차단벽(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110)의 상류측 하천바닥에 형성된 맨홀(103)과 보의 하류측 하천 바닥에 형성된 맨홀(103)을 연결하는 기저수로인 소정 개수의 가통(10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보호벽(120) 사이에는 가통(102)과 연결 설치된 맨홀(10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110)은 100~120°각도로 연속적으로 꺽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보호벽(120)에는 홀(122)이 천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도보호벽(120) 상류측 단부에는 어도보호벽(120)을 연결하는 네트(10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수로(150)의 양측 측벽(151)에는 소정 간격으로 교호(交互)되도록 연속 설치된 경사진 빗살벽(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수로(150)의 저면에는 홈 형태로 이동홈(153)이 형성되고, 이동홈(153)에는 인공수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어도(154)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통(102)을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100) 또는 전두차단벽(140)의 기초에는 전단키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6885A KR101264211B1 (ko) | 2010-05-19 | 2010-05-19 |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6885A KR101264211B1 (ko) | 2010-05-19 | 2010-05-19 |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7420A KR20110127420A (ko) | 2011-11-25 |
KR101264211B1 true KR101264211B1 (ko) | 2013-05-14 |
Family
ID=4539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6885A KR101264211B1 (ko) | 2010-05-19 | 2010-05-19 |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421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2774B1 (ko) * | 2014-09-12 | 2016-05-24 | 황지원 | 실뱀장어와 참게 소상용 생태어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1063B1 (ko) * | 2020-07-20 | 2021-09-10 | 김인성 | 하천 보의 유인수로를 갖춘 어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0994Y1 (ko) * | 2007-05-09 | 2008-07-17 | 산림조합중앙회 | 비탈식 물받이 사방댐 |
KR100918452B1 (ko) * | 2008-12-26 | 2009-09-24 | 보은군 | 유속 저감수 살수기능을 갖는 수문 일체형 어도 |
KR100954218B1 (ko) * | 2009-07-22 | 2010-04-21 | 장순단 | 갈수위에도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시설물 |
-
2010
- 2010-05-19 KR KR1020100046885A patent/KR1012642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0994Y1 (ko) * | 2007-05-09 | 2008-07-17 | 산림조합중앙회 | 비탈식 물받이 사방댐 |
KR100918452B1 (ko) * | 2008-12-26 | 2009-09-24 | 보은군 | 유속 저감수 살수기능을 갖는 수문 일체형 어도 |
KR100954218B1 (ko) * | 2009-07-22 | 2010-04-21 | 장순단 | 갈수위에도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시설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2774B1 (ko) * | 2014-09-12 | 2016-05-24 | 황지원 | 실뱀장어와 참게 소상용 생태어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7420A (ko) | 2011-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arinier et al. | Downstream migration: problems and facilities | |
KR100966723B1 (ko) |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 |
KR200440994Y1 (ko) | 비탈식 물받이 사방댐 | |
Calles et al. | A historical perspective on downstream passage at hydroelectric plants in Swedish rivers | |
US20100290842A1 (en) |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 |
JP5586112B2 (ja) | 自然適応型河川湖沼設置取水設備 | |
KR101250185B1 (ko) | 자체 토사 조절기능을 갖는 사방댐 | |
KR101119972B1 (ko) | 친환경 어도구조물 | |
KR100925894B1 (ko) | 생태어도 사방댐 | |
KR101264211B1 (ko) |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
Parkhurst et al. | Survey of the Columbia River and its tributaries | |
US20170138008A1 (en) | Fish ladder facility | |
CN109338987A (zh) | 内河生态整治丁坝群 | |
KR100783823B1 (ko) |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 |
KR100762355B1 (ko) |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 |
JP3483847B2 (ja) | 床止め工に傾斜取水スクリーンを設置した河川表流水の取水構造 | |
KR101943861B1 (ko) | 후방형 어도를 갖는 사방댐 | |
KR20000007004A (ko) | 중소하천의 어족(魚族)보호와 양서류(兩棲類)의이동통로를 가진 낙차공과 호안의 시공방법. | |
JP5726475B2 (ja) | 垂直魚道ブロック | |
KR100954218B1 (ko) | 갈수위에도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시설물 | |
CN212533967U (zh) | 堰坝组合结构 | |
KR102139517B1 (ko) | 퇴적물의 통과 수로로 겸용되는 어도를 가춘 낙차공 | |
KR20050042091A (ko) |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 |
CN209798707U (zh) | 一种引水式电站溢流坝段生态改造结构 | |
KR20090076290A (ko) | 홍수의 유속 방향을 변환하는 하천 만곡부의 급류를유도하기 위한 제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