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828B1 -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828B1
KR102060828B1 KR1020190028261A KR20190028261A KR102060828B1 KR 102060828 B1 KR102060828 B1 KR 102060828B1 KR 1020190028261 A KR1020190028261 A KR 1020190028261A KR 20190028261 A KR20190028261 A KR 20190028261A KR 102060828 B1 KR102060828 B1 KR 10206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water
tank
bottom plat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솔원
Priority to KR102019002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순환부를 통해 수조 내부의 물의 흐름을 형성하며, 여과장치가 구비된 제2순환부를 수조에 연결하고, 제2순환부를 통해 수조 내부의 저질을 역 세척함에 따라 저질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과 수중생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하부에서,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저질판; 상기 제1저질판 상부에서, 상기 제1저질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저질판; 상기 제2저질판 상부에 배치되며, 망 구조로 이루어진 저질망; 상기 저질망 상부에 배치되는 저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Water tank aquafarm system for aquatic creature}
본 발명은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순환부를 통해 수조 내부의 물의 흐름을 형성하며, 여과장치가 구비된 제2순환부를 수조에 연결하고, 제2순환부를 통해 수조 내부의 저질을 역 세척함에 따라 저질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양식기술의 발전으로 양식 대상생물을 바다가 아닌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도심지 등의 통제된 시설 내에서 다양한 종의 생물을 양식하는 개념의 양식방법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농업 분야에서 적용된 스마트팜과 같은 유사하 스마트 양식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래의 식량산업으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향후 이러한 스마트형 수산 양식은 대세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수산 양식 중 갑각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갑각류 중 보리새우(Kuruma Prawn)의 양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보리새우는 우리나라 남해안 및 서해안에서 6월 내지 11월경에 잡히는 어종(갑각류)으로 국내에서는 어획량이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어획량이 감소하는 보리새우를 공급하기 위해 보리새우 양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보리새우는 다른 갑각류와 다른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다른 갑각류와는 다른 양식 방법이 필요하다. 보리새우는 일정 크기가 되면 저질(모래, sand bed)에 잠입하는 특성이 있으며, 주간에는 주로 저질에 잠입해 있다가 야간에 먹이활동을 하는 야행성 생물이다. 보리새우는 조류의 소통이 좋은 모래지대에 서식하는 생물로, 이와 같은 보리새우의 특성상 조류의 소통이 좋은 모래에서 보리새우를 양식해야 한다.
종래에는 모래지대의 노지에서 보리새우 양식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외부 환경적 요인과 바이러스로 인해 집단폐사가 발병함에 따라 보리새우 양식을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와 같은 보리새우의 양식 실패로 인해 현재는 보리새우 양식이 노지, 육상수조에서 모두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육상수조에서 보리새우를 양식하는 방법은 모래가 구비된 육상 수조에서 이루어지는데, 보리새우를 사육하는 동안 보리새우의 배설물이나 사료 잔유물 등이 모래 속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은 모래 속에 쌓여 있는 배설물이나 사료 잔유물 등을 여과시키지 않으면, 모래의 부패가 진행되면서 황화수소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황화수소는 보리새우의 집단폐사를 유발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보리새우 양식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래를 정화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육상수조에서 보리새우를 양식할 때, 보리새우를 다른 수조에 옮겨 놓고, 수조 내부의 물과 모래를 교체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보리새우를 다른 수조에 옮기는 과정에서 보리새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순환부를 통해 수조 내부의 물의 흐름을 형성하며, 여과장치가 구비된 제2순환부를 수조에 연결하고, 제2순환부를 통해 수조 내부의 저질을 역 세척함에 따라 저질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물과 수중생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하부에서,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저질판; 상기 제1저질판 상부에서, 상기 제1저질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저질판; 상기 제2저질판 상부에 배치되며, 망 구조로 이루어진 저질망; 상기 저질망 상부에 배치되는 저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상기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고,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펌프가 구비된 제1순환부; 상기 제1저질판과 상기 수조의 바닥면 사이에서, 상기 제1순환부와 상기 수조를 연통시키는 제1유입관;상기 제1순환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조의 상기 저질 상부에서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1순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상기 제1순환부는 상기 제1순환관을 통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제1유입관을 통해 상기 제1순환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상기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고,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여과장치가 구비된 제2순환부; 상기 제1저질판과 상기 제2저질판 사이에서, 상기 제2순환부와 상기 수조를 연통시키는 제2유입관; 상기 수조의 상기 저질 상부에서, 상기 수조와 상기 제2순환부를 연통시키는 제2순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상기 제2순환부 내부에는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제2순환부는 상기 제2유입관을 통해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제2순환관을 통해 상기 제2순환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순환부는 상기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순환관은 상기 수조의 타측에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2순환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상기 제2저질판에는, 상기 제2저질판 하부에서부터 상기 제1저질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2관통공 둘레의 1/3 내지 1/5 길이로 상기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상기 제1저질판과 상기 수조의 바닥면 사이에는 다공질의 저질 여과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질은 5 % 내지 100%의 산호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상기 제1관통공에는, 상기 제1관통공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순환부를 통해 수조 내부의 물의 흐름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은 여과장치가 구비된 제2순환부를 수조에 연결하고, 제2순환부를 통해 간헐적으로 수조 내부의 저질을 역 세척함에 따라 저질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저질, 저질망, 제2저질판, 제1저질판, 저질 여과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제1저질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제2저질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제1순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제2순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수조와 제1순환부에서의 제1순환과, 수조와 제2순환부에서의 제2순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순환부를 통해 수조 내부의 물의 흐름을 형성하며, 여과장치가 구비된 제2순환부를 수조에 연결하고, 제2순환부를 통해 수조 내부의 저질을 역 세척함에 따라 저질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중생물은 모래에 잠입하는 특성이 있는 보리새우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래를 이용하여 양식할 수 있는 다양한 수중생물 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수조(110), 제1저질판(120), 제2저질판(130), 저질망(140), 저질(150)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110)는 물과 수중생물이 저장될 수 있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의 수조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조(1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물과 수중생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조(110)에 저장되는 물은 해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담수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저질판(120)은 상기 수조(110)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저질판(120)은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111)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저질판(120)은 받침대 등을 통해 지지되면서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111)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저질판(120)이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저질판(120)과 상기 바닥면(111) 사이에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제1순환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저질판(120)에는 상기 제1저질판(120)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121)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저질판(120)을 타공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1관통공(121)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121)은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관통공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관통공(121)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라면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저질판(130)은 상기 제1저질판(120) 상부에서, 상기 제1저질판(12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저질판(130)은 받침대 등을 통해 지지되면서 상기 제1저질판(12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저질판(130)이 상기 제1저질판(120)과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2저질판(130)과 상기 제1저질판(120) 사이에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제2순환공간(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질판(130)에는 상기 제2저질판(130)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131)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저질판(130)을 타공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2관통공(131)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131)은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관통공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관통공(131)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라면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저질판(120)과 상기 제2저질판(130)은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111)에서부터 50mm 내지 200mm 정도 높이에서 상기 제2저질판(130)-상기 제1저질판(120)의 순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저질판(120) 및 상기 제2저질판(130)의 재질은 PP, PE, PC, SU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저질판(120) 및 상기 제2저질판(1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관통공(121) 및 상기 제2관통공(131)은 직경 또는 너비가 1mm 내지 10mm의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관통공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저질판(120) 및 상기 제2저질판(130)의 높이 및 재질과 상기 제1관통공(121) 및 상기 제2관통공(131)의 크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조의 크기와 수조에 저장되는 수중생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저질망(140)은 상기 제2저질판(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저질망(140) 상부에는 저질(sand bed, 모래)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저질(150)이 상기 제1저질판(120) 및 상기 제2저질판(130)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저질망(1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질망(140)은 상기 저질(150)의 입자보다 가는 메쉬 구조로 이루어진 망일 수 있으며, 상기 저질망(140)의 재질은 PP,PE,PES,PC,SUS,AB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저질망(14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저질(150)은 상기 저질망(140)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저질(150)은 모래(sand bed)일 수 있으며, 수중생물에 필요한 다양한 모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질(150)은 수중생물에 적합한 다양한 모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저질(150)은 5 % 내지 100%의 산호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호사는 다공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저질(150)이 산호사를 포함하면, 미생물이나 이물질 등이 산호사에 부착되어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산호사는 칼슘 옥사이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pH 조정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수중생물을 양식하게 되면, 수중생물의 양식 과정에서 물이 산성화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물이 산성화될 경우 수중생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물을 중성화시켜야 한다. 상기 저질(150)이 산호사를 포함하면, 산호사의 칼슘 옥사이드에 의해 알칼리성을 띄게 되고, 이를 통해 산성화된 물을 중성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저질(150)은 5% 이상의 산호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저질(150)은 산호사(100%의 산호사)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조(110) 내부에는 상기 저질(150)-상기 저질망(140)-상기 제2저질판(130)-상기 제1저질판(120)이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상기 제1저질판(120)과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111) 사이의 제1순환공간(122)에서 제1순환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저질판(130)과 상기 제1저질판(120) 사이에서 상기 제1순환과 물의 흐름이 반대인 제2순환을 형성하여 상기 저질(150)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순환과 상기 제2순환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제1순환부(160)와 제2순환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순환부(160)는 상기 수조(110)의 배치되는 것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펌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순환부(160)는 상기 수조(110)의 일측 외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순환부(160)는 제1유입관(161)과 제1순환관(162)을 통해 상기 수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관(161)은 상기 제1저질판(120)과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111) 사이에서 상기 제1순환부(160)와 상기 수조(110)를 연통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유입관(161)은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유입관(161)은 상기 제1저질판(120)과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111) 사이의 상기 수조(110) 벽체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유입관(161)은 상기 제1저질판(120)과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111) 사이의 상기 수조(110) 벽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순환부(160)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유입관(161)을 통해 상기 수조(110)와 상기 제1순환부(160)를 연통되어 물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순환관(162)은 상기 제1순환부(160)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수조(110)의 상기 저질(150) 상부에서 상기 수조(1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순환관(162)은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순환관(162)을 통해 상기 제1순환부(160)의 물을 상기 수조(110)의 상기 저질(150) 상부로 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순환관(162)은 상기 제1순환부(160)와 연통되면서, 상기 수조(110)의 측면을 타공하면서 연장되는 파이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조(110)의 상기 저질(150) 상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순환관(162)은 상기 수조(110)의 측면을 타공하면서 연장되는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조(1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1순환부(160)에는 펌프가 구비될 수 있는데, 펌프가 구비된 상기 제1순환부(160)를 통해 상기 제1순환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순환은 상기 제1순환부(160)-상기 제1순환관(162)-상기 수조(110)의 상기 저질(150) 상부-상기 저질(150)-상기 저질망(140)-상기 제2저질판(130)-상기 제1저질판(120)-상기 제1순환공간(122)-상기 제1유입관(161)-상기 제1순환부(160)의 순서로 형성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순환부(160)는 상기 제1순환관을 통해 상기 수조(110)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수조(11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저질(150)-상기 저질망(140)-상기 제2저질판(130)-상기 제1저질판(120)을 통과하여, 상기 제1유입관(161)을 통해 다시 상기 제1순환부(160)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저질판(130) 및 상기 제1저질판(120)에는 상기 제2관통공(131) 및 상기 제1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물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보리새우와 같이 상기 수조(110)에 저장되는 수중생물은 조류의 소통이 좋은 모래지대에서 서식하는 생물이기 때문에, 보리새우를 양식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조류의 흐름(물의 흐름)을 형성시켜야 한다. 상기 제1순환부(160)는 이를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순환부(160)를 통해 상기 제1순환을 형성시켜, 조류의 흐름(물의 흐름)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순환을 통해 조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나, 일방향으로 흐르는 조류의 흐름을 통해서는 보리새우가 성장하는 동안 보리새우의 배설물이나 사료 잔유물 등이 모래 속에 쌓여 모래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순환부(170)를 통해 상기 제1순환과 다른 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형성되는 제2순환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순환부(170)는 상기 수조(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여과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순환부(170)는 상기 수조(110)의 일측 외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순환부(170)는 제2유입관(171)과 제2순환관(172)을 통해 상기 수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관(171)은 상기 제2저질판(130)과 상기 제1저질판(120) 사이에서 상기 제2순환부(170)와 상기 수조(110)를 연통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유입관(171)은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유입관(171)은 상기 제2저질판(130)과 상기 제1저질판(120) 사이의 상기 수조(110) 벽체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유입관(171)은 상기 제2저질판(130)과 상기 제1저질판(120) 사이의 상기 수조(110) 벽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순환부(170)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2유입관(171)을 통해 상기 수조(110)와 상기 제2순환부(170)는 연통되어 물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순환관(172)은 상기 제2순환부(170)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수조(110)의 상기 저질(150) 상부에서 상기 수조(110)와 상기 제2순환부(170)를 연통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순환관(172)은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순환관(172)은 상기 수조(110)의 벽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순환부(170)까지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순환관(172)은 상기 제2순환부(170) 및 상기 제2유입관(171)이 배치되는 위치와 반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순환부(170)와 상기 제2유입관(171)은 상기 수조(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순환관(172)은 상기 수조(1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2순환부(170)를 통해 상기 제2순환을 형성시켜 상기 저질(150)을 역 세척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저질(150) 속에 있는 유기물, 부유물, 이물질 등이 상기 수조(110) 상부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순환관(172)이 상기 제2순환부(170) 및 상기 제2유입관(171)과 동일하게 상기 수조(110)의 일측에 배치되면, 상기 수조(110)의 타측에서 부상된 상기 저질(150) 속에 있는 유기물, 부유물, 이물질 등이 이동되지 못한 채 갇혀 있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순환관(172)은 상기 제2순환부(170) 및 상기 제2유입관(171)이 배치되는 위치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기 제2순환부(170) 및 상기 제2유입관(171)은 상기 수조(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순환관(172)은 상기 수조(110)의 타측에서 상기 수조(110)의 외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2순환부(17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순환부(170)는 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여과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드럼 스크린, 여과조, 침전조, 미생물조를 포함하는 여과장치를 통해 상기 제2순환부(170)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순환부(170)에는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2순환부(170)로 유입되는 물의 수온을 유지할 수도 있다. (여과장치와 가열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여과장치와 가열장치일 수 있으며,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순환부(170) 내부에는 펌프가 구비될 수 있으며, 펌프가 구비된 상기 제2순환부(170)를 통해 상기 제2순환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순환은 상기 제2순환부(170)-상기 제2유입관(171)-상기 제2순환공간(132)-상기 제2저질판(130)-상기 저질망(140)-상기 저질(150)-상기 수조(110)의 상기 저질(150) 상부-상기 제2순환관(172)-상기 제2순환부(170)의 순서로 형성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순환부(170)는 상기 제2유입관(171)을 통해 상기 수조(110)의 상기 제2순환공간(132)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수조(11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제2저질판(130)-상기 저질망(140)-상기 저질(150)을 통과하여, 상기 제2순환관(172)을 통해 다시 상기 제2순환부(170)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저질판(130)에는 상기 제2관통공(1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물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순환은 상기 제1순환과 반대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순환과 물의 흐름이 반대인 상기 제2순환을 통해 저질(150)을 역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순환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2저질판(130)에는 상기 제2저질판(130) 하부에서부터 상기 제1저질판(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133)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순환은 상기 제2순환부(170)를 통해 상기 제2유입관(171)으로 물을 유입시키며, 상기 제2유입관(171)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2순환공간(132)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순환공간(132)으로 이동된 물이 상기 제2저질판(130)을 통과하여 상기 저질망(140)-상기 저질(150)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순환공간(132)에 물이 고인 채 이동하지 않게 될 위험이 있다. 상기 돌기(133)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순환공간(132)으로 이동된 물은 상기 돌기(133)에 부딪히면서, 상기 돌기(133)를 타고 상기 제2저질판(130)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돌기(133)는 상기 제2관통공(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기(133)는 상기 제2관통공(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2관통공(131) 둘레의 1/3 내지 1/5 길이로 상기 제2관통공(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133)가 상기 제2관통공(131)의 둘레를 전부 감싸면서 연장되면, 상기 제2순환공간(132)에서 상기 제2저질판(130)으로 물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133)는 상기 제2관통공(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되 일부가 열려있어야 하며, 상기 제2관통공(131) 둘레 길이의 1/3 내지 1/5 만큼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제2관통공(131)이 원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돌기(133)의 단면은 1/4 원호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관통공(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기(133)가 상기 제2관통공(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2관통공(131) 둘레 길이의 1/3 내지 1/5 만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133)가 상기 제2관통공(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상기 제2관통공(131) 둘레 길이의 1/3보다 크면, 열려있는 부분이 작아지기 때문에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돌기(133)가 상기 제2관통공(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상기 제2관통공(131) 둘레 길이의 1/5 보다 작으면, 상기 제2유입관(171)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돌기(133)를 부딪히는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2순환공간(132)의 물이 상기 제2저질판(130)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133)가 상기 제2관통공(1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2관통공(131) 둘레 길이의 1/3 내지 1/5 만큼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돌기(133)는 내면이 상기 제2유입관(17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 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돌기(133a)와 내면이 상기 제2유입관(17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제2돌기(133b)를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133)의 내면은 상기 돌기(133)의 면 중에서 상기 제2관통공(131)과 인접하는 면이며, 상기 제1돌기(133a)와 상기 제2돌기(133b)는 서로 내면을 마주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관통공(131)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면서 열을 형성할 수 있는데, 하나의 열에는 상기 제1돌기(133a)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열에는 상기 제2돌기(133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돌기(133a)와 상기 제2돌기(133b)를 배치하면, 상기 제2순환공간(132)에서 상기 제2저질판(130)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관(171)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제1돌기(133a)에 부딪히게 되고, 다시 상기 제1돌기(133a)에 부딪힌 물이 상기 제2돌기(133b)에 부딪히게 되면서, 상기 제2순환공간(132)에서 상기 제2저질판(130)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상기 제1저질판(120)과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111) 사이에 구비되는 다공질의 저질 여과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질 여과재(180)는 다공질의 스펀지, 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저질 여과재(180)는 PES, PP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질 여과재(180)는 상기 제2저질판(130) 및 상기 제1저질판(120)을 통과한 저질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저질 여과재(180)를 통해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에 저질이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1순환부(160)를 통해 제1순환을 형성시켜 조류의 흐름을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순환부(160)의 상기 제1순환관(162)을 통해 상기 수조(110)의 상기 저질(150) 상부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저질(150)의 상부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저질(150)-상기 저질망(140)-상기 제2저질판(130)-상기 제1저질판(120)-상기 제1순환공간(122)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순환공간(122)으로 이동된 물은 상기 제1유입관(161)을 통해 다시 상기 제1순환부(160)로 유입된다.
상기 제1순환부(160)에는 펌프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순환부(160)를 통해 상기 제1순환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조류의 흐름(물의 흐름)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순환부(160)는 펌프 이외에도, 드럼 스크린, 여과조, 침전조, 미생물조를 포함하는 여과장치와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물을 여과하거나 물의 수온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순환부(160)를 통해 상기 제1순환을 형성시키다가 상기 저질(150)을 세척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상기 제1순환부(160)의 작동을 멈추고, 상기 제2순환부(170)를 통해 상기 제2순환을 형성시킨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순환은 상기 제1순환과 물의 흐름이 반대방향인 것으로, 이와 같이 물의 흐름을 역류시킴에 따라 상기 저질(150)을 역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순환부(170)의 상기 제2유입관(171)을 통해 상기 제2순환공간(132)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2순환공간(132)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돌기(133)에 부딪히면서 상기 돌기(133)를 타고 상기 제2저질판(130)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저질망(140)-상기 저질(150)-상기 저질(150)의 상부를 거쳐 상기 제2순환관(172)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순환관(172)으로 이동된 물은 다시 상기 제2순환부(17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순환부(170)를 통해 상기 제1순환과 물의 흐름이 반대 방향인 상기 제2순환을 형성시키면, 상기 저질(150)에 쌓여 있는 유기물, 부유물, 이물질 등이 상기 제2순환으로 인해 상기 저질(150)의 상부로 부상하게 되고, 상기 저질(150)의 상부로 부상된 유기물, 부유물, 이물질 등이 상기 제2순환관(172)을 통해 상기 제2순환부(170)로 유입된다.
상기 제2순환부(170)로 유입된 유기물, 부유물, 이물질 등은 여과장치를 통해 여과되고, 이후 다시 상기 제2유입관(171)을 통해 상기 수조(11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순환부(170)는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2순환부(170)로 상기 수조(110)에 저장된 물의 수온을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순환부(170)를 통해 상기 제2순환을 형성할 때, 상기 제2유입관(171)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1순환공간(122)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1관통공(121)에는 개폐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제1관통공(121)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순환을 진행하는 동안 상기 제1관통공(121)을 통해 물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관통공(121)을 닫을 수 있는 것이다.(이후, 상기 제1순환부(160)를 통해 상기 제1순환을 형성시킬 때,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제1관통공(121)을 다시 열어 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순환은 상기 저질(150)을 역 세척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유입관(171)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제1순환공간(122)으로 유입되면, 상기 저질(150)의 역 세척 효과가 감소할 위험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장치를 통해 상기 제2순환 중에는 상기 제1관통공(121)을 닫아 상기 제1순환공간(122)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제1관통공(121)을 열고 닫기 위한 기계적 장치일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판막일 수도 있다.
다만, 상기 개폐장치는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는 생략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순환 중에 상기 제1순환공간(122)을 세척할 필요가 있다면, 상기 개폐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2순환 중에 상기 제1관통공(121)을 열어 두면, 상기 제1관통공(121)을 통해 상기 제1순환공간(122)으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고, 상기 제1순환공간(122)으로 유입되는 물을 통해 상기 제1순환공간(122)을 세척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제1순환부(160)를 통해 수조(110) 내부의 조류의 흐름(물의 흐름)을 형성시킴에 따라 보리새우와 같이 모래 속에 잠입하여 생활하는 수중생물의 양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보리새우와 같은 수중생물이 성장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설물이나 사료 잔유물 등이 모래 속에 쌓임에 따라 모래가 부패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여과장치가 구비된 제2순환부(170)를 수조(110) 연결하고, 제2순환부(170)를 통해 간헐적으로 수조(110) 내부의 저질(150)을 역 세척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질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제1순환을 통해 조류의 흐름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때 저질이 필터의 역할을 함에 따라 초기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보리새우와 같은 수중생물이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배설물이나 사료 잔유물 등이 늘어남에 따라 제1순환으로 여과력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은 제2순환을 통해 제1순환의 여과력을 보충할 수 있는 것으로, 제2순환을 통해 저질을 역세척함에 따라 모래의 부패를 방지하면서 제1순환의 여과력을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수조 111...바닥면
120...제1저질판 121...제1관통공
122...제1순환공간 130...제2저질판
131...제2관통공 132...제2순환공간
133...돌기 133a...제1돌기
133b...제2돌기 140...저질망
150...저질 160...제1순환부
161...제1유입관 162...제1순환관
170...제2순환부 171...제2유입관
172...제2순환관 180...저질 여과재

Claims (11)

  1. 수중생물을 육상에서 양식하기 위한 수조 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물과 수중생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하부에서,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저질판;
    상기 제1저질판 상부에서, 상기 제1저질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저질판;
    상기 제2저질판 상부에 배치되며, 망 구조로 이루어진 저질망;
    상기 저질망 상부에 배치되는 저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저질판과 상기 수조의 바닥면 사이에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제1순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저질판과 상기 제1저질판 사이에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제2순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고,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펌프가 구비된 제1순환부;
    상기 제1저질판과 상기 수조의 바닥면 사이에서, 상기 제1순환부와 상기 수조를 연통시키는 제1유입관;
    상기 제1순환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조의 상기 저질 상부에서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1순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순환부는 상기 제1순환관을 통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제1유입관을 통해 상기 제1순환부로 유입되며,
    상기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고,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여과장치가 구비된 제2순환부;
    상기 제1저질판과 상기 제2저질판 사이에서, 상기 제2순환부와 상기 수조를 연통시키는 제2유입관;
    상기 수조의 상기 저질 상부에서, 상기 수조와 상기 제2순환부를 연통시키는 제2순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순환부 내부에는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제2순환부는 상기 제2유입관을 통해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제2순환관을 통해 상기 제2순환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순환부는 상기 수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순환관은 상기 수조의 타측에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2순환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질판에는,
    상기 제2저질판 하부에서부터 상기 제1저질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2관통공 둘레의 1/3 내지 1/5 길이로 상기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질판과 상기 수조의 바닥면 사이에는 다공질의 저질 여과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질은 5 % 내지 100%의 산호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에는, 상기 제1관통공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KR1020190028261A 2019-03-12 2019-03-12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KR102060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61A KR102060828B1 (ko) 2019-03-12 2019-03-12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61A KR102060828B1 (ko) 2019-03-12 2019-03-12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828B1 true KR102060828B1 (ko) 2019-12-30

Family

ID=6910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261A KR102060828B1 (ko) 2019-03-12 2019-03-12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6738A (zh) * 2022-05-23 2022-08-30 珠海粤顺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用于花鲈鱼养殖水体过滤循环净化装置
CN117751885A (zh) * 2024-02-02 2024-03-2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日本对虾工厂化养殖沙床流化清洗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135B2 (ja) * 1996-10-21 2001-03-1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雌型端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135B2 (ja) * 1996-10-21 2001-03-1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雌型端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6738A (zh) * 2022-05-23 2022-08-30 珠海粤顺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用于花鲈鱼养殖水体过滤循环净化装置
CN117751885A (zh) * 2024-02-02 2024-03-2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日本对虾工厂化养殖沙床流化清洗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0296B2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JP6433526B2 (ja) 底面排出式リビングボックス用金魚鉢
CN201414345Y (zh) 一种对虾养殖净化系统
AU2017341749B2 (en) Device for confining larvae and/or aquatic organisms, system, method for keeping and cultivating them in aquatic environments
CN107018941B (zh) 一种循环生态养殖系统及浮箱
JP3053793B2 (ja) 甲殻類養殖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60828B1 (ko)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CN101035428A (zh) 饲养水生动物的方法
CN106614172A (zh) 沙栖水中生物养殖装置
CN114680070A (zh) 一种养殖装置、养殖系统及其养殖方法
CN110589981B (zh) 一种用于河道修复净化的组合式立体生态浮床
CN204232104U (zh) 一种精养虾池
KR100918038B1 (ko) 피조개 양식장치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JP6980210B2 (ja) 良質な海洋環境を創出して海洋生態系の持続的保持を可能とする水生生物生産インフラシステム及び水生生物生産方法
KR101281792B1 (ko) 정착성 저서동물의 사육조와 이를 이용한 순환사육장치 및 사육방법
KR101580435B1 (ko) 트랩을 이용한 바이오플락 시스템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어 장치
KR101564807B1 (ko) 양식수조용 사육수 자동배수장치
CN206525369U (zh) 一种水产养殖用水循环处理装置
JP4232151B2 (ja) 飼育水浄化装置、これを用いた飼育水槽及び飼育水の浄化方法
KR200411254Y1 (ko) 갯지렁이 양식장치
CN203040422U (zh) 一种刀鲚苗种池塘培育中敌害防治装置
JPH06327375A (ja) 水産生物の養殖方法及びその装置
JP5913717B1 (ja) 砂地生息水中生物の養殖装置
CN209643596U (zh) 一种用于近海养殖的渔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