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691A -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 Google Patents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691A
KR20180045691A KR1020160140341A KR20160140341A KR20180045691A KR 20180045691 A KR20180045691 A KR 20180045691A KR 1020160140341 A KR1020160140341 A KR 1020160140341A KR 20160140341 A KR20160140341 A KR 20160140341A KR 20180045691 A KR20180045691 A KR 20180045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fish
opening
wa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기
민선영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선영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6014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691A/ko
Publication of KR2018004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난화 현상으로 가뭄으로 흐르는 용수의 량이 줄여듬으로서, 하천에서 형성되는 낙차공에는 어류의 이동이 막히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이는 하천바닥을 터파기와 저수블럭의 되뫼움으로 형성된 저수공간의 제공과 아울러 가뭄으로 하천수 수위가 낮은 상태에서도 어류의 이동 및 하천수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양측으로 제방(16)이 구비되는 소하천(20)과, 상기 소하천(20)에 구비되는 낙차공(19)과, 상기 낙차공(19)으로 인접되는 상,하측 하천(21)(22)로 구분되는 하상에 있어서,
상기 낙차공(19)에 고정으로 돌출되는 보(18)로 형성되는 상,하측하천(21)(22)에 연계되는 저수공간(32)(34)와, 상기 보()의 중상부에서 상측으로 개구된 이송부(37)와, 상기 이송부(37)을 개폐시켜 주도록 힌지(39)로 결합되는 개폐문(41)과, 상기 개폐문(41)의 후면에 구비되는 부력대(44)와, 상기 하측하천(22)에 구비된 저수공간(34)의 깊이형성으로 어류가 이동하기 위한 보조어덕(46)과, 상기 보(18)의 상측단에서 하측하천으로 돌출된 이송판(45)으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양측으로 제방(106)이 구비되는 하천(120)과, 상기 하천(120)에 구비되는 보(108)로 구분되는 상,하측 하천(121)(122)과, 상기 보(108)의 하측을 관통으로 매설되는 보조이동구(135)의 상측에 힌지(163)와 부기대(166)로 개폐시켜 주는 도어부(165)로 설치되는 하상에 있어서,
상기 어류이동구(135)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구비된 완충구간(151)와, 상기 어류이동구(135)의 상,하측 구간에 구비된 입출구간(142) 및 와류구간(140)으로 구성된 어도블럭(150)과, 상기 보(108)의 상측단에서 하측하천(122) 방향으로 돌출된 이송판(146)으로 완충구간(151)에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omitted}
본 발명은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난화 현상으로 가뭄으로 흐르는 용수의 량이 줄여듬으로서, 하천에서 형성되는 낙차공에는 어류의 이동이 막히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뭄 현상이 극심하게 형성이 되면 하천에 형성되는 낙차공에는 하수의 부족으로 어류이동이 어려움으로,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산간이나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구릉지에 내려오는 빗물은 대부분 흘러 내려서 소하천이나 들판 등을 지나서 본류하천으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는데, 지구의 온난화 등으로 기후의 변화 등으로 가뭄이 발생으로 인하여, 물의 부족이 심화되는 현상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또한 4대강 개발지역인 낙동강용 보의 상류지역에 형성된 소호(잠겨있는 저수지형태)지역에서 창궐하는 녹조 등은 어류의 이동이 자연스럽지 않게 차단된 상태로 갖혀 있으므로, 어류의 서식이 차단됨으로서, 프랑크톤과 같은 미새생물에 대한 개체수 조정에 실패로서, 먹이사슬이 끊기면서 과도한 증식으로 발생을 하는 것이다.
또한 용수의 저장은 본인의 선 발명 등록된 10-1204254호에서 제공되었다. 이는 주로 산간지역 등과 같은 상류지역에서 흐르는 지천에다 저수용 시설을 구축함으로서, 하천수의 적정량유지에는 실용성이 높으나, 사용 현장인 지천등에서는 항구적인 기간동안 연속성 발휘로 하천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저수를 위한 보의 상류지역에서, 현실적으로 지천에서 쇄골과 아울러 역행침식으로 하천바닥의 침식으로 낙차공이 형성됨으로서, 효과적인 어류의 이동로에 대한 형성은, 특히 가뭄이 들어서 하천수가 적어지는 현상에서는 어류의 이동이 곤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뭄 등으로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에서도 소하천 바닥의 구간에서 경사도가 어느 정도 경사지는 낙차공에서 하천수가 어류에 대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날씨가 가뭄이 들어서 하수량이 적은 상태에서도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여서,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개체수를 증식함으로서, 녹조, 청조와 같은 미세한 프랑크톤의 과도한 증식을 억제시켜서 먹이사슬에 대한 균형을 유지시켜 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양측으로 제방(16)이 구비되는 소하천(20)과, 상기 소하천(20)에 구비되는 낙차공(19)과, 상기 낙차공(19)으로 인접되는 상,하측 하천(21)(22)로 구분되는 하상에 있어서,
상기 낙차공(19)에 고정으로 돌출되는 보(18)로 형성되는 상,하측하천(21)(22)에 연계되는 저수공간(32)(34)와, 상기 보()의 중상부에서 상측으로 개구된 이송부(37)와, 상기 이송부(37)을 개폐시켜 주도록 힌지(39)로 결합되는 개폐문(41)과, 상기 개폐문(41)의 후면에 구비되는 부력대(44)와, 상기 하측하천(22)에 구비된 저수공간(34)의 깊이형성으로 어류가 이동하기 위한 보조어덕(46)과, 상기 보(18)의 상측단에서 하측하천으로 돌출된 이송판(45)으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양측으로 제방(106)이 구비되는 하천(120)과, 상기 하천(120)에 구비되는 보(108)로 구분되는 상,하측 하천(121)(122)과, 상기 보(108)의 하측을 관통으로 매설되는 보조이동구(135)의 상측에 힌지(163)와 부기대(166)로 개폐시켜 주는 도어부(165)로 설치되는 하상에 있어서,
상기 어류이동구(135)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구비된 완충구간(151)와, 상기 어류이동구(135)의 상,하측 구간에 구비된 입출구간(142) 및 와류구간(140)으로 구성된 어도블럭(150)과, 상기 보(108)의 상측단에서 하측하천(122) 방향으로 돌출된 이송판(146)으로 완충구간(151)에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지천(소하천)의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낙차공구간에서 흘러 내리는 빗물은, 가뭄이나 하천수의 흐름이 적어지는 경향이 형성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가뭄으로 낮아진 소하천에서 하천을 이동하는 어류에 대한 회귀력의 도움으로 효과적으로 친환경적인 하천수의 수질개선에 기여를 하는 발명이다.
또한 저장된 물이 이동하도록 제공하는 이동구간 역할로 제공하면서, 소하천에서의 어류의 이동에 도움을 제공하여 주기 위하는 발명이다.
도1는 종래에 사용되는 소하천의 부분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A-A선 단면도
도4은 도2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5는 도 2에서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6은 도 5에서 B-B선 단면도
도7은 도 2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
본 발명에서는 소하천(지천)의 하상이 경사로 형성된 낙차공지역에다 가뭄으로 하천수위가 낮아지는 경우에서도, 어류의 이동이 가능한 어도블럭을 구축시켜 주는 발명이다.
즉 소하천(20)은 대부분 산골짜기나 들판을 흘러가게 되는데, 대부분 들판에는 양측으로 구축된 제방(16) 사이의 하상 중에서 낮은 지역으로 하천수의 흐름을 유도시켜 주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 대한 현장 적용을 위하여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을 하면, 도1는 종래에 사용되는 소하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4은 도2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5는 도 2에서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6은 도 5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7은 도 2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에서 C-C선 단면도이다.
고로 소하천(20)에서는 기후의 변화로 가뭄현상으로 용수가 부족하게 되면, 이에 따라 어류의 회귀본능에 따른 이동력에 지장이 발생하는 것이며, 이를 해결을 위하여, 하상에서 낮은 구역에 따라 흐르도록 형성되는 낙차공(19) 구간에 어류의 이동을 위하도록 매설된 저수공간과, 상기 저수공간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보(18)와, 상기 보(18)는 상,하측 하천(21)(22)으로 연계되는 저수공간(32)(34)으로 구분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낙차공(19)에 구비된 저수공간(32)(34)에 고정히면서 돌출되는 보(18)로 분리되는 상,하측하천(21)(22)에 됨으로서, 각각의 상,하측하천으로 연계시켜서, 어류의 이동이 자유스럽게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하천(20)에서 가뭄으로 낮아진 하천수위와, 우천이나 장마 등으로 높아진 하천수위에 대한 설명을 각각설명을 하면,
첫째, 상기 소하천(20)에서 가뭄으로 낮아진 하천수위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낙차공(19) 구간에 보(18)을 중심으로 분리되는 저수공간(32)(34)와, 낮아진 수위로서 하천수가 어류와 같이 이동을 위하도록, 상기 보(18)의 중상부에서 상측으로 개구된 이송부(37)와, 상기 이송부(37)을 개폐시켜 주도록 힌지(39)로 결합되는 개폐문(41)과, 상기 개폐문(41)의 후면에 구비되는 부력대(44)의 구비로서, 하천수의 높이가 낮아진 경우, 상기 개구된 이송부(37)로 흐르는 하천수와 같이 어류의 이동이 되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37)를 흘러서 낙차되는 하측하천(22)에 대한 소정의 깊이로 형성시켜 주는 저수공간(34)을 위하여 하측하천(22)의 모서리(어덕)에 돌출되는 보조어덕(46)을 구비시켜 준다.
여기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18)의 하측구간에 도시된 통과구(28)는 하천수위가 낮은 간조한 기후에서도 어류의 이동을 위한 보조용 통과구(28)이며, 여기서 일반적으로 어류는 물위로 소정의 구간(a) 만큼 뛰어오르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보조어덕(46)의 돌출된 높이(a)로 설정시켜줌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둘째, 또한 상기 소하천(20)에서 폭우나 장마로 높아진 하천수위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수된 하천수의 수위가 보(18)을 월경으로 넘쳐흘러주므로, 이때 월경으로 흐르는 하천수에는 필히 토사나 잔석, 부유물과 같이 흘러주게 되어서, 보(18)의 하측구간에 형성된 저수공간(34)으로 낙하되어서 묻히게 됨으로서, 장기적으로 사용에는 하천수에 부유되어서 흐르는 부유물을 하측하천(22)에다 월경시켜 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보(18)의 상측단에서 하측하천으로 돌출된 이송판(45)을 보조어덕(46)을 넘겨주는 정도로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판(45)이 보(18)의 상측단에 조립되는 구성은, 미도시된 힌지와의 결합으로 필요에 따라 보(18)과 이송판(45)과의 조립식으로 제공시켜 주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4 내지 도5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일반적으로 하천에서 용수의 저장이나 유도를 위하여, 경사지는 낙차공(19) 구간에 보(18)을 중심으로 분리되는 저수공간(32)(34)와, 낮아진 수위로서 하천수가 어류와 같이 이동을 위하도록, 상기 보(18)의 중하부에서 관통되는 이동구(42)와, 상기 이동구(42)을 개폐시켜 주도록 힌지(39)로 결합되는 개폐문(41)과, 상기 개폐문(41)의 후면에 구비되는 부력대(44)의 구비로서, 하천수의 높이가 낮아진 경우, 낙차되는 하측하천(22)에 대한 소정의 깊이로 형성시켜 주는 저수공간(34)을 위하여, 하측하천(22)의 모서리(어덕)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보조어덕(46)과, 상기 보조어덕(46)은 어류가 이동하면서 경사지는 구간을 뛰어오르는 구간(a)의 범위 내로 형성시켜 준다.
따라서 개구된 이동구(42)으로 흐르는 하천수의 흐르는 속도는, 구조의 여건상 좁은 공간을 이동하는 동안에는, 수압차이로 흐름의 속도가 빠르므로, 어류의 이동에 대한 저항을 완화시켜 주도록 이동구(42)가 매설된 보(18)의 하측으로 와류구간(49)을 구비로서, 흐르는 하천수를 와류현상을 형성함으로서,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실시예의 1]
본 발명의 요부인 하천의 낙차공용 어도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으로 하천은 하천수의 흐르는 규모에 따라 대형의 하천(이하 하천(120)이라 칭한다)에 대한 구조는, 양측으로 제방(106)이 구비되는 하천(120)과, 상기 하천(120)에 구비되는 보(108)로 구분되는 상,하측 하천(121)(122)으로 구분시켜 주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의 요부인 하천(120)에서 낙차공용 어도에 대한 사용을 위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108)의 하측을 관통으로 매설되면서 상하측 하천으로 양측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보조이동구(135)와, 상기 보조이동구(135)의 상측 단부에 힌지(163)와 부기대(166)로 개폐시켜 주는 도어부(165)로 설치함으로서, 기후변화 등으로 형성되는 하천수의 흐르는 량에 따라 보조이동구(135)를 개폐시켜 준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인 가뭄의 발생으로 하천수위가 낮아지는 경우에 어류의 이동을 위하도록, 상기 어류이동구(135)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구비된 완충구간(151)와, 상기 어류이동구(135)의 상,하측 구간에 구비된 입출구간(142) 및 와류구간(140)으로 구성된 어도블럭(150) 형성으로 제공시켜 준다.
또한 폭우나 장마 등으로 불어나는 하천수에 대한 흐름이 보(108)을 월파로 넘쳐흐르는 경우에는, 상기 보(108)의 상측단에서 하측하천(122) 방향으로 돌출된 이송판(146)으로 완충구간(142)에, 불어난 하천수에 부유되면서 떠내려오는 토사, 잔사, 목재폐기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제공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보조이동구(135)의 상측단부에 힌지(163)와 부기대(166)는 불어나는 하천수로 형성된 부력에 의하여, 보조이동구(135)의 상측단부에 설치된 도어부(165)로 차단시켜 주도록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어류이동구(135)을 관통으로 고정시켜 주는 조립구(129)와 고장핀(128)은 보(108)에 고정을 함으로서 장기적으로 수압현상에 의하여 변형이나 파손죄는 내구성을 보강시켜 준다.
18. 보 19. 낙차공 20. 소하천 21,22. 상,하측하천 25. 하상
32,34. 저수공간 41. 개폐문 42. 이동구 44. 부력대
46. 보조어덕 108. 보 120.하천 142. 입출구간 146. 이송판
150. 어도블럭 165. 도어부

Claims (2)

  1. 양측으로 제방(16)이 구비되는 소하천(20)과, 상기 소하천(20)에 구비되는 낙차공(19)과, 상기 낙차공(19)으로 인접되는 상,하측 하천(21)(22)로 구분되는 하상에 있어서,
    상기 낙차공(19)에 고정으로 돌출되는 보(18)로 형성되는 상,하측하천(21)(22)에 연계되는 저수공간(32)(34)와, 상기 보(18)의 중상부에서 상측으로 개구된 이송부(37)와, 상기 이송부(37)을 개폐시켜 주도록 힌지(39)로 결합되는 개폐문(41)과, 상기 개폐문(41)의 후면에 구비되는 부력대(44)와, 상기 하측하천(22)에 구비된 저수공간(34)의 깊이형성으로 어류가 이동하기 위한 보조어덕(46)과, 상기 보(18)의 상측단에서 하측하천으로 돌출된 이송판(45)으로 제공되는 하천의 낙차공용 어도.
  2. 양측으로 제방(106)이 구비되는 하천(120)과, 상기 하천(120)에 구비되는 보(108)로 구분되는 상,하측 하천(121)(122)과, 상기 보(108)의 하측을 관통으로 매설되는 보조이동구(135)의 상측에 힌지(163)와 부기대(166)로 개폐시켜 주는 도어부(165)로 설치되는 하상에 있어서,
    상기 어류이동구(135)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구비된 완충구간(151)와, 상기 어류이동구(135)의 상,하측 구간에 구비된 입출구간(142) 및 와류구간(140)으로 구성된 어도블럭(150)과, 상기 보(108)의 상측단에서 하측하천(122) 방향으로 돌출된 이송판(146)으로 완충구간(151)에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하천의 낙차공용 어도.
KR1020160140341A 2016-10-25 2016-10-25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KR20180045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41A KR20180045691A (ko) 2016-10-25 2016-10-25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41A KR20180045691A (ko) 2016-10-25 2016-10-25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691A true KR20180045691A (ko) 2018-05-04

Family

ID=6219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41A KR20180045691A (ko) 2016-10-25 2016-10-25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69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853A (ko) * 2003-02-04 2004-08-11 (주)대호엔지니어링 하천용 어도
KR200408866Y1 (ko) * 2005-11-25 2006-02-14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장치
KR200418401Y1 (ko) * 2006-03-14 2006-06-14 송성도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KR20070047933A (ko) * 2005-11-03 2007-05-08 조남열 하천 정화 구조물
KR101204254B1 (ko) * 2009-04-06 2012-11-26 민승기 경사지의 지중에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블럭
KR20160055663A (ko) * 2014-11-10 2016-05-18 민승기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853A (ko) * 2003-02-04 2004-08-11 (주)대호엔지니어링 하천용 어도
KR20070047933A (ko) * 2005-11-03 2007-05-08 조남열 하천 정화 구조물
KR200408866Y1 (ko) * 2005-11-25 2006-02-14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천 수중보의 물고기 이동장치
KR200418401Y1 (ko) * 2006-03-14 2006-06-14 송성도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KR101204254B1 (ko) * 2009-04-06 2012-11-26 민승기 경사지의 지중에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블럭
KR20160055663A (ko) * 2014-11-10 2016-05-18 민승기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8694A (ko) 생태 어도 시설물
KR20140002201A (ko) 잠수식 어도
CN109371932A (zh) 水力竖井式过鱼结构
KR100542739B1 (ko)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100925894B1 (ko) 생태어도 사방댐
Shela Naturalisation of lake malawi levels and shire river flows
KR20180045691A (ko)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Giannico et al. The effects of tide gates on estuarine habitats and migratory fish
KR100638485B1 (ko) 무동력 자동수문을 이용한 어도장치
RU157640U1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горных рек
KR102473651B1 (ko) 하천 보의 유인수로를 갖춘 어도
KR100478245B1 (ko) 수위감지식 자동가변어도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061945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AU2014224135A1 (en) System and method of river control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US3293862A (en) Overflow fishway
CN209429074U (zh) 水力竖井式过鱼结构
JP4097639B2 (ja) 魚道
KR101553332B1 (ko) 자연생태형 어도
KR100713014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KR102606033B1 (ko) 하상 유도형 어도를 갖는 하천보
KR102448989B1 (ko) 하천의 수위에 따른 개별 작동형 어도
Largier et al. Report of Pescadero Lagoon Science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