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663A -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 Google Patents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663A
KR20160055663A KR1020140171840A KR20140171840A KR20160055663A KR 20160055663 A KR20160055663 A KR 20160055663A KR 1020140171840 A KR1020140171840 A KR 1020140171840A KR 20140171840 A KR20140171840 A KR 20140171840A KR 20160055663 A KR20160055663 A KR 20160055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iver
water
water storage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440B1 (ko
Inventor
민승기
민선영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선영 filed Critical 민승기
Publication of KR2016005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 등으로 하천에서 흘러가는 폭우에 의하여 하천이 침식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면서, 하천수를 저장이 가능한 보와 아울러 어류의 이동이 용이한 어도가 구비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하천의 정비를 위하여 과도하게 하천바닥을 굴착으로 지천에서 형성된 과도한 경사의 형성으로 유속의 증가로 불러오는 과다한 침식을 방지하여 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경사면(11) 등에서 본류하천에 연결되는 소하천(20)의 양측으로 구축되는 제방(16)과, 상기 제방(16) 사이를 연결로 하천수를 저수시켜 주는 보(18)이 이접되는 상,하측 하천(21)(22)로 구분되는 하상(25)에 있어서,
상기 저수블럭(10)을 다수개의 서로 연결로 고정시켜 주는 블록대(11)와,
상기 블록대(11)을 상측하천(21)에 매설하여 주도록,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주고,
상기 저수블럭(10)에는 저수공간(14)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관통되는 관통구(13)와, 상기 몸체(12)의 상측에 구비되는 이송구(16)와, 상기 몸체(12)의 좌우측면에 이송구(19)을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시켜 주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하측하천(22)에서 보(18)의 하측면에서 높이구간에 인접되도록 구비되는 어도용 관성블럭(30)과, 상기 관성블럭(30)에는 보(18)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1분리벽체(32)로 형성된 제1가속구간(a)과, 상기 제1분리벽체(32)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2분리벽체(34)로 형성된 제2가속구간(b)과, 상기 제2분리벽체(34)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3분리벽체(35)로 형성된 제3가속구간(c)과, 상기 제1,3분리벽체(32)(35)를 상,하측하천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d)와,
상기 제1,2,3분리벽체(32)(34)(35)의 양측 단부를 조립시켜 주도록 각각의 조립구(42)(45)(46)가 구비된 외벽체(53)에 조립으로 각각의 제1,2,3가속구간(a),(c)으로 형성시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상측하천(21)에서 제1어도구(28)가 보(18)를 관통으로 하천수가 연결되는 제1가속구간(a)과, 상기 제1어도구(28)를 개폐토록 힌지(51)에 결합되면서 고정봉(42)과 부기(46)로 연결되는 캡(38)과, 상기 제1가속구간(a)에서 하천수가 순차적으로제1,2,3분리벽체(32)(34)(35)의 상측으로 넘겨서 흐르도록 구성하여 주되, 상기 제1가속구간(a)의 하측으로 유속조절구(3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상측하천(21)에서 제2어도구(33)가 보(18)를 관통으로 하천수가 연결되는 제3가속구간(c)과, 상기 제2어도구(33)를 개폐토록 개폐문(31)으로 결합으로 연결되는 연결기어(35)와 핸들(37)과, 상기 제1가속구간(a)에서 하천수가 순차적으로제3분리벽체(35)의 상측으로 넘겨서 흐르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보(18)와 인접하는 상측하천(21)의 하상(25)에 매설되는 저수블럭(10)과, 상기 보(18)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어도용 관성블럭(30)과, 상기 저수블럭(10)에서 어도용 관성블럭(30) 구간을 보(18)를 관통으로 연결된 제1,2어도구(28)(33)와, 상기 제1,2어도구(28)(33)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개폐문(31)과,
상기 저수블럭(10)에는 서로 연결로 고정시켜 주는 다수개의 블록대(11)와,
상기 블록대(11)에는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주고,
상기 블록대(11)에는 저수공간(14)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관통되는 관통구(13)와, 상기 몸체(12)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제1이송구(16)와, 상기 몸체(12)의 좌우측면에 구비되는 제2이송구(19)가 서로 연결되는 저수블럭(10)과, 상기 블록대(11)에는 상측하천(21)에 매설하여 주도록,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주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저수블럭(10)을 저수공간(64)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의 저수블럭(40)과,
상기 원통형의 저수블럭(40)의 원주형의 몸체(62)에 관통시켜 주는 관통구(63)과, 상기 몸체(62)를 서로 대응으로 관통시켜 주는 이송구(66)와, 상기 저수블럭(40)용 몸체(62)의 상,하측구간을 지지시켜 주는 지지빔(64)과, 상기 지지빔(64)을 연결로 조립시켜 주는 지지로드(68)과, 상기 지지로드(68) 사이를 고정시켜 주는 조립대(6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Omitted}
본 발명은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펀 등으로 하천에서 흘러가는 폭우에 의하여 하천이 침식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면서, 하천수를 저장이 가능한 보와 아울러 어류의 이동이 용이한 어도가 구비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정비를 위하여 과도하게 하천바닥을 굴착으로 지천에서 형성된 과도한 경사의 형성으로 유속의 증가로 불러오는 과다한 침식을 방지하여 주는 것이다.
또한 본 하천수의 흐르는 량이 가뭄 등으로 하천수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기존의 어도는 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산간이나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구릉지에 내려오는 빗물은 대부분 흘러 내려서 소하천이나 들판 등을 흘러서 본 하천으로 흘러가도록 되어 있는데, 지구의 온난화 등으로 기후의 변화 등으로 가뭄이 발생으로 인하여, 물의 부족이 심화되는 현상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또한 늘어나는 가뭄으로 부족하는 용수를 자장하기위하여 본류하천을 과도하게 굴착을 함으로서 발생되는 지천하천과의 경사도가 심화됨이며, 이는 급격하게 경사지면서 쇄골되는 하천에서는 어류의 이동이 더 어려워지는 환경이 되는 것이다. 특히 홍수가 발생을 하는 경우 빗물의 흐름을 폭우로 변화함으로서, 이에 따라 지천에서의 쇄굴과 같은 역행침식이 발생을 하는 것이다.
또한 용수의 저장은 본인의 선 발명 등록된 10-1204254호에서 제공되었다. 이는 주로 산간지역 등과 같은 상류지역에서 흐르는 지천에다 저수용 시설을 구축함이 실용성이 높으나, 이에 따른 사용 현장에서의 실용성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저수를 위한 보로 구축되는 상측하천에서, 현실적으로 지천에서 쇄굴과 아울러 역행침식을 방지하여 주면서 효과적인 어류의 이동로를 구비하여 주도록 제공을 위하는 구조가 요구되는 것이다.
고로 빗물이 내리는 물을 저장하는 시설에 대한 확대가 요구되는 바, 이에 대한 빗물 등을 저장하기 위하여 지중에 저수조 또는 탱크 등을 매설하여 주어서 자연적으로 빗물이 흘러서 저장하도록 사용을 하고 있으나, 이는 특히 어류의 이동을 방해함으로서 친환경적으로 매우 불리한 하천수의 흐름이 되는 현실이 되는 것이다.
또한 가뭄이나 갈수기 등으로 흐르는 하천수의 깊이가 낮은 경우, 기존 보 등으로 막혀진 하천의 구간에서는 어도의 이동이 거의 불가능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중에 배설되면서 다층구조로 적층된 저수조에 대한 하천수의 이동 공간은 어류의 이동공간과 아울러 특히 가뭄으로 하천수가 거의 낮은 높이로 흐르는 경우 어류의 서식의 공간이 매우 부족한 수중공간으로 되는 것이다.
또한 지표면을 흐르는 지표수는 지역에 따라 오염된 물이 형성되어서 흘러주게 되는 바, 이에 대하여 자연적인 정화를 보강하여 주는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에 대한 용량을 확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저수조를 서로 접합으로 고정시켜서 보강된 구조를 제공하면서, 용이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함이며, 또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하는 대용량의 저수조는 대부분의 경사지는 지중을 굴착시켜서 안치 한 다음, 되 매움으로 매설시켜서 사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저수조에 대한 고정성 및 지반의 되 매움을 위한 성토 등으로 연약한 지반의 침하 등으로 지중 매설된 저수조의 파손 등을 방지하여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서로 연결되면서 매설되는 저수조를 조립으로 고정을 하면서 매설된 단지에 저장을 하되 장기간 필요에 따라 사용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천의 경사진 지역에 형성된 보에 대하여 어류의 이동이 용이한 어도 블럭을 제공시켜 주기 위함이다.
즉 가뭄으로 하천수의 감소로 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면서 서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저수조는 대부분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재로 제조되어서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대용량의 용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크기인 합성수지제 원통형 저수조를 서로 묶어서 대용량의 저수를 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특히 내수압 보강과 아울러 성토된 토사에서 빗물의 침수로 침하되는 토사에 대한 견고성을 보강하여 주가 위하는 발명이다.
경사면(11) 등에서 본류하천에 연결되는 소하천(20)의 양측으로 구축되는 제방(16)과, 상기 제방(16) 사이를 연결로 하천수를 저수시켜 주는 보(18)이 이접되는 상,하측 하천(21)(22)로 구분되는 하상(25)에 있어서, 상기 저수블럭(10)을 다수개의 서로 연결로 고정시켜 주는 블록대(11)와, 상기 블록대(11)을 상측하천(21)에 매설하여 주도록,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주고, 상기 저수블럭(10)에는 저수공간(14)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관통되는 관통구(13)와, 상기 몸체(12)의 상측에 구비되는 이송구(16)와, 상기 몸체(12)의 좌우측면에 이송구(19)을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시켜 주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하측하천(22)에서 보(18)의 하측면에서 높이구간에 인접되도록 구비되는 어도용 관성블럭(30)과, 상기 관성블럭(30)에는 보(18)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1분리벽체(32)로 형성된 제1가속구간(a)과, 상기 제1분리벽체(32)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2분리벽체(34)로 형성된 제2가속구간(b)과, 상기 제2분리벽체(34)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3분리벽체(35)로 형성된 제3가속구간(c)과, 상기 제1,3분리벽체(32)(35)를 상,하측하천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d)와, 상기 제1,2,3분리벽체(32)(34)(35)의 양측 단부를 조립시켜 주도록 각각의 조립구(42)(45)(46)가 구비된 외벽체(53)에 조립으로 각각의 제1,2,3가속구간(a),(c)으로 형성시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상측하천(21)에서 제1어도구(28)가 보(18)를 관통으로 하천수가 연결되는 제1가속구간(a)과, 상기 제1어도구(28)를 개폐토록 힌지(51)에 결합되면서 고정봉(42)과 부기(46)로 연결되는 캡(38)과, 상기 제1가속구간(a)에서 하천수가 순차적으로제1,2,3분리벽체(32)(34)(35)의 상측으로 넘겨서 흐르도록 구성하여 주되, 상기 제1가속구간(a)의 하측으로 유속조절구(3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상측하천(21)에서 제2어도구(33)가 보(18)를 관통으로 하천수가 연결되는 제3가속구간(c)과, 상기 제2어도구(33)를 개폐토록 개폐문(31)으로 결합으로 연결되는 연결기어(35)와 핸들(37)과, 상기 제1가속구간(a)에서 하천수가 순차적으로 제3분리벽체(35)의 상측으로 넘겨서 흐르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보(18)와 인접하는 상측하천(21)의 하상(25)에 매설되는 저수블럭(10)과, 상기 보(18)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어도용 관성블럭(30)과, 상기 저수블럭(10)에서 어도용 관성블럭(30) 구간을 보(18)를 관통으로 연결된 제1,2어도구(28)(33)와, 상기 제1,2어도구(28)(33)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개폐문(31)과,
상기 저수블럭(10)에는 서로 연결로 고정시켜 주는 다수개의 블록대(11)와,
상기 블록대(11)에는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주고, 상기 블록대(11)에는 저수공간(14)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관통되는 관통구(13)와, 상기 몸체(12)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제1이송구(16)와, 상기 몸체(12)의 좌우측면에 구비되는 제2이송구(19)가 서로 연결되는 저수블럭(10)과, 상기 블록대(11)에는 상측하천(21)에 매설하여 주도록,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주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저수블럭(10)을 저수공간(64)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의 저수블럭(40)과,
상기 원통형의 저수블럭(40)의 원주형의 몸체(62)에 관통시켜 주는 관통구(63)과, 상기 몸체(62)를 서로 대응으로 관통시켜 주는 이송구(66)와, 상기 저수블럭(40)용 몸체(62)의 상,하측구간을 지지시켜 주는 지지빔(64)과, 상기 지지빔(64)을 연결로 조립시켜 주는 지지로드(68)과, 상기 지지로드(68) 사이를 고정시켜 주는 조립대(6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경사면 등에서 폭우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저장을 하면서, 하천 등의 저수용 댐을 대체하는 용량으로 제공하여서, 용수에 필요한 물을 장기적으로 제공함이며, 또한 적층된 블록으로 갈수기나 가뭄기에 감소하는 하천수에서 보의 하측 구간으로 형성된 어도로 어류가 이동을 하도록 제공함이며, 또한 저장된 물의 저수공간이 어류의 서식공간과 이동공간으로 제공하는 역할과 아울러 하천 또는 경사지에서의 역행침식방지와 저수용 블럭으로 제공하는 발명이다.
고로 본 발명은 지천용 보에서 갈수기에 하천수의 감소에서도 우용하게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공하는 친환경적인 발명이다.
도 1는 종래에 구비되는 하천에서 보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부분 사시도
도 3는 도 2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절개된 사시도
도 4은 도 3에서 요부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에서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C-C선 단면도 및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일실시예의 요부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2에서 요부에 대한 분리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D-D선 단면도
도 12는 도 8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단면도
도 13는 도 12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작동상태 단면도
도 15는 도 10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서요부의 분리된 부분 사시도
도 17은 도 15에서 E-E선 단면도
빗물은 대부분 지상에서 낮은 구간으로 흘러가면서 본류하천으로 흘러가는 과정에서 소하천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기후의 변화 등으로 발생하는 건조지역에서 생활용수의 확보를 위하여 본류하천을 과도한 굴착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하상의 심화된 경사도는, 폭우나 장마가 발생을 하면 불어나는 폭우 등으로 역행침식이 발생을 하며, 또한 상기 역행침식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하상의 붕괴로 어류의 이동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소하천에다 저수공간을 매설시켜 주면서 역행침식의 방지와 아울러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류를 구축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이다.
즉 소하천(20)은 대부분 산골짜기나 들판을 흘러가게 되는데, 대부분 들판에서는 양측으로 구축된 제방(26)으로 하천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주는 것이다.
고로 소하천(20)에서는 기후의 변화로 농업용수의 부족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는 용수의 해결을 위하여, 저수를 위한 보(18)를 설치를 하게 되는데, 상기 설치된 보(18)로 상,하측 하천(21)(22)으로 구분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하천(22)에 수축된 보(18)의 상측하천(21)에다 저수를 위한 저수용 블럭대(11)와, 소하천에 구축된 보(18)에서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도록 어도를 구비시켜 주는 발명이다.
고로 본 발명의 요부를 시공 현장에서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첨부된 도1 내지 도9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대부분 규모가 큰 본류하천으로 유입되는 빗물(하천수)은 소하천(지천)으로 흘러주면서 유입되는 것이다.
즉 들판 지역에서 흐르는 하천수를 안정적으로 흐르도록 소하천(20)의 양측으로 구축되는 제방(16)과, 상기 제방(16) 사이를 연결로 하천수를 가뭄이나 저수량이 낮은 기간에도 안정적으로 하천수의 용도인 생활용수의 공급을 위한 용수를 저수시켜 주는 보(18)과 상기 보(18)에 인접되는 상,하측 하천(21)(22)로 구분되는 하상(25)이 제공되는 것이다.
즉 하천에서 상류로 이동하는 어류가 수중보 또는 보(18)로 막혀주는 하측하천(22)에서 보(18)를 월경으로 이동을 하는데, 이의 과정에서 보(18)의 펴면을 월경으로 흐르는 하천수를 거슬러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보(18)는 소정의 높이로 구축을 함으로서, 보(18)의 상측하천(21)에 저수가 되도록 형성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류는 상기 보(18)의 높이를 넘어주도록 소정의 구간에서 관성을 준비하여 주기 위한 가속격이 필요하게 되는데, 대부분 가속력하여 주는 순간에 하천수에서 추발로 월경하는 준비구간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어류는 보(18)의 높이(h)로 거슬러 올라가는 추발력이 미달하여서 많은 어류가 보(18)를 뛰어넘는 관성이 부족하게 되므로, 상측하천(21)으로 이동이 실패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보(18)의 높이(h)를 3등분으로 분리로 세분화하여서 순차적으로 추발력을 발생시켜 주도록 제공을 하여 주는 어도용 관성블럭(30)(이하;관성불럭(30)이라 칭한다)을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상기 하측하천(22)에서 보(18)의 하측면에서 높이구간에 인접되도록 구비되는 어도용 관성블럭(30)을 형성시켜 주는 발명이다.
즉 상기 어도용 관성블럭(30)에 대한 상세히 설명을 하여 주면,
상측하천(21)에서 보(18)를 넘쳐주는 하천수가 1차로 흘러서 유입됨으로서, 어도의 추발력 형성과 아울러 보(18)를 뛰어넘는 관성력 구비를 위하도록, 상기 보(18)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1분리벽체(32)로 형성도록 소정의 깊이로 구비된 제1가속구간(a)과, 상기 제1분리벽체(32)로 유입된 하천수가 흘러서 유입됨으로서, 어도의 추발력 형성과 아울러 제1분리벽체(32)를 뛰어넘는 관성력 구비를 위하도록, 상기 제1분리벽체(32)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2분리벽체(34)로 형성도록 소정의 깊이로 구비된 제2가속구간(b)과, 상기 제2분리벽체(34)로 유입된 하천수가 흘러서 유입됨으로서, 어도의 추발력 형성과 아울러 제3분리벽체(36)를 뛰어넘는 관성력 구비를 위하도록, 상기 제2분리벽체(34)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3분리벽체(35)로 형성도록 소정의 깊이로 구비된 제3가속구간(c)으로 형성됨으로서, 어류가 보(18)의 높이(h) 구간을 순차적으로 관성력의 구비로 보(18)을 월경으로 상측하천(21)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1,2,3분리벽체(32)(34)(35)의 양측 단부를 조립시켜 주도록 상기 분리벽체의 폭에 맞추어 설치되도록 각각의 조립구(42)(45)(46)가 구비된 외벽체(53)에 조립으로 각각의 제1,2,3가속구간(a),(b),(c)으로 형성되는, 즉 순차적인 높이(h1)(h2)(h3)로 형성된 제1,2,3분리벽체(32)(34)(35)가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블록대(11)에 저장된 하천수를 제1분리벽체(32)로 형성된 제1가속구간(a)에 공급을 하여줌으로서, 가뭄이 들어서 하천수의 감소로 보(18)의 높이로 월경을 못하고 바닥면인 하상(25)을 흐르는 정도로 적은 하천수가 흐르는 경우에서도 상기 어도용 관성블럭(30)에서 어류의 이동이 되도록 제공하여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며 주면. 상기 상측하천(21)의 하상(25), 또는 상측하천(21)의 하상(25)에 매설된 블록대(11)에서 서로 엮어서 매설된 블록(10)에서 보(18)를 관통으로 설치된 배수관(28)과 상기 배수관(28)에 연결되는 제1가속구간(a)에 하천수를 공급을 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공급된 하천수가 제1가속구간(a)을 형성시켜 주는 제1분리벽체(32)을 넘겨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l분리벽체(32)을 넘겨주는 하천수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2가속구간(b)으로 유입으로서 채워지면, 제2가속구간(b)을 형성시켜 주는 제2분리벽체(34)를 넘겨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분리벽체(34)를 넘겨주는 하천수가 제3기속구간(c)으로 유입된 하천수가 제3가속구간(c)을 형성하는 제3분리벽체(36)을 넘어서 하측하천(22)으로 흘러주도록 구비되는 발명으로서, 하측하천(22)의 어류가 상측하천(21)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저수블럭(10)에서 돌출로 보(18)를 관통된 배수관(28)이 제1가속구간(a)으로 연결함으로서, 순차적인 높이(h1)(h2)(h3)로 구분되도록 형성된 제1,2,3분리벽체(32)(34)(35)와, 상기 제1,3분리벽체(32)(35)를 상,하측하천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d)의 형성으로서, 상하측으로 어류가 용이하게월경시켜서 하천수가 흐르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상측하천(21)에서 흐르는 하천수가 가뭄이나 갈수기 등으로 흐르는 수위(P1)가 보(18)의 높이보다 낮아지는 경우, 보(18)의 중간 높이에 관통되는 제1어도구(28)와, 상기 제1어도구(28)로 흐르는 하천수가 제1가속구간(a)으로 배출되는 하천수가 수량이나 지형에 따른 수압의 초과로 제1가속구간(a)를 형성하는 제1분리벽체(32)의 상측을 넘쳐서 흐르는 하천수가 순차적으로 제2,3가속구간(b)(c) 구간을 채워 주면서 하측하천(22)으로 흘러주기 되는 구조로서, 이는 하천(20)에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을 보장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폭우 등으로 발생하는 불어나는 하천수의 과다로 제1분리벽체(32)의 상측에 구비된 돌출부(d)로 월경되는 과도한 하천수로 인하여 어류의 이동이 어려운 경우, 어류의 이동을 위한 하천수의 흐름(유속)을 조절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제1가속구간(a)의 하측에 유속조절구(39)을 구비함으로서, 보(18)을 넘쳐흐르는 하천수의 흐르는 량을 조절시켜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이는 상기 제1가속구간(a)의 상측의 돌출부(d)로 흐르는 수량을 조절시켜 줌으로서,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여 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18)를 관통으로 하천수를 제1가속구간(a)으로 공급하는 제1어도구(28)의 크기(직경)은, 설치하려는 보(18)와 하천(20)의 흐르는 지형이나 수량에 따라 어류의 이동효율에 작합한 적절한 크기로 선택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상측하천(21)에서 하천수의 수위가 갈수기 등으로 낮아지는 경우, 기 설치된 보(18)의 높이 보다 낮은 수위를 유지함으로서, 보(18)을 월경으로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이 불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도12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18)에서 절적한 높이로 관통되는 제1어도구(28)와, 상기 제1어도구(28)가 보(18)를 관통으로 하천수가 연결되는 제1가속구간(a)과, 상기 제1어도구(28)를 개폐토록 힌지(51)에 결합되면서 고정봉(42)과 부기(46)로 연결되는 캡(38)으로 제공되는 제1,2어도구(28)(33)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구조이며, 여기서 보(18)에서 돌출되는 지지대(52)와 보호망체(56)의 구비는 캡(38)의 보호용 지지대로서, 하천수가 풍랑으로 요동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지하여 주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고로 상기 제1가속구간(a)에서 하천수가 순차적으로제1,2,3분리벽체(32)(34)(35)의 상측으로 넘겨서 흐르도록 구성하여 주되, 상기 제1가속구간(a)의 하측으로 유속조절구(3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제1어도구(28)에 대한 효과적인 하천수의 흐름을 조절시켜 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로 설명되는 가뭄시 발생하는 하천수의 고갈 수준으로 하천수의 높이(P2)가 낮은 현상의 발생을 위하여 구비하여 주는 즉, 후술로 설명되는 제2어도구(33)에 대한 차단장치의 설명으로서, 낮은 상태의 하천수의 높이(P2)에 맞추어서 어류의 이동을 위하여 연결되도록, 상기 상측하천(21)에서 제2어도구(33)가 보(18)를 관통으로 하천수가 연결되는 제3가속구간(c)과, 상기 제2어도구(33)를 하천수의 수위에 따라서 개폐하여 주도록 제2어도구(33)의 하천수가 유입되는 단부에 조립되도록, 개폐문(31)으로 결합으로 연결되는 연결기어(35)와 핸들(37)과, 상기 제1가속구간(a)에서 하천수가 순차적으로 제3분리벽체(35)의 상측으로 넘겨서 흐르도록 구비시켜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기어(35)와 핸들(37)은 보(18)에 설치함이며, 이의 구동은 미도시된 제어장치의 구비 또는 관리자가 수위를 육안으로 판단으로 핸들을 조작으로 간단히 가동시켜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부인 저수블럭(10)과 어류의 이동시설인 관성블럭(30)을 보(18)을 중심으로 상,하측에 각각 설치로 본 발명의 목적인 소하?의 역행침식 방지와 아울러 저수시설의 확보 및 소하천(20)을 이동하는 어류용 어도를 제공시켜 주기 위하는 구조를 설명을 첨부된 도11 내지 도12에 의거 상세히 살명을 하면, 상기 보(18)의 상측의 하상(25)에 매설되는 저수블럭(10)과, 상기 보(18)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어도용 관성블럭(30)과, 상기 저수블럭(10)에서 어도용 관성블럭(30) 구간을 보(18)를 관통으로 연결된 제1,2어도구(28)(33)와, 상기 제1,2어도구(28)(33)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개폐문(31)과,
상기 저수블럭(10)에는 서로 연결로 고정시켜 주는 다수개의 블록대(11)와, 상기 블록대(11)에는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줌으로서, 하천수가 가뭄이나 갈수기에 낮아진 하천수의 흐르는 량에 관계없이 유용하게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또한 상류하천(21)의 하상(25)에 매설되는 저수블럭(10)에 대한 구조의 설명은 블록대(11)에 저수공간(14)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관통되는 관통구(13)와, 상기 몸체(12)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제1이송구(16)와, 상기 몸체(12)의 좌우측면에 구비되는 제2이송구(19)가 서로 연결되는 저수블럭(10)과, 상기 블록대(11)에는 상측하천(21)에 매설하여 주도록,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주도록 구비는 발명으로서, 하천수의 흐르는 량에 관계없이 어류의 이동과 아울러 저수량의 확보와 역행침식이 방지되는 발명이다.
상기 저수블럭(10)의 구조는 하상(25)에 매설이 용이하면서 서로 저수블럭(10)의 몸체(12)에 대한 조립력이 양호하도록 단면이 직사각형인 저수공간(14)을 구비시켜주는 저수블럭(10)을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각형으로 형성되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저수블럭(10)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단면이 사각형의 저수공간(14)이 형성된 저수블럭(10)을 단면이 원통형의 저수공간(64)가 구비되는 저수블럭(40)으로 형성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시공현장인 하상(25)에서는, 상기 하상(25)에 맞추어 원통형의 저수블럭(40)의 상측면이 일치하도록 매설시켜 주되, 상기 원통형의 저수블럭(40)의 상측면에 깔아주는 바닥골재(69)로 구비함으로서, 단면이 원통형으로 구비함으로서 볼록형으로 굴곡지는 저수블럭(40)에 대한 내구성을 보강시켜 준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저수블럭(40)은 원주형의 몸체(62)와, 상기 몸체(62)를 관통시켜 주는 관통구(63)과, 상기 몸체(62)를 서로 대응으로 관통시켜 주는 제1,2이송구(66)(69)가 구성시켜 줌으로서, 하천수에 대한 저수공간에 대한 저수력의 보강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으로 저수공간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이동환경의 보강을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저수블럭(40)의 몸체(62)는 대부분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바, 상기 합성수지재의 재질은 경질성이라도 굽힘력이 형성되므로, 상기와 같이 소하천(20)의 상측하천(21)의 하상에 매설을 하는 경우, 외토압 강도에 의하여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시 설명된 바와같이 합성수지재 몸체(62)에 대하여 외압강도를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저수블럭(40)의 내측공간(62)을 상,하측으로 지지시켜 주도록 상,하측으로 지지빔(64)을 설치하여 주되, 상기 상,하측의 지지빔(64) 사이를 서로 지지시켜 주도록 지지로드(68)와, 상기 지지로드(68) 사이에는 조립대(66)로 조여서, 내측공간(62)을 형성시켜 주는 몸체(62)를 고정시켜 주도록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하상(25)에 맞추어 원통형의 저수블럭(40)의 상측면이 일치하도록 매설시켜 주되, 상기 저수블럭(40)의 상측면에 깔아주는 바닥골재(69)로 하천수에 서식을 하는 어류에 대한 서식환경과 바닥모래 등의 형성을 보강시켜 주도록 한다.
10. 저수블럭 12. 몸체 13. 관통구 14. 저수공간 16. 청소구
18. 보 20. 하천 21,22. 상,하측하천 23. 덮개
25. 하상 26. 제방 28. 제1어도구 33. 제2어도구
29. 밸브 30. 관성블럭 31. 개폐문 32,34,36. 분리벽체
37. 핸들 38. 차단판 42. 고정봉 46. 부기
51. 힌지 53. 외벽체 62. 원주형 몸체
63. 제2어도구 64. 지지빔 65. 저수공간 68. 지지로드

Claims (6)

  1. 경사면(11) 등에서 본류하천에 연결되는 소하천(20)의 양측으로 구축되는 제방(16)과, 상기 제방(16) 사이를 연결로 하천수를 저수시켜 주는 보(18)이 이접되는 상,하측 하천(21)(22)로 구분되는 하상(25)에 있어서,
    상기 저수블럭(10)을 다수개의 서로 연결로 고정시켜 주는 블록대(11)와,
    상기 블록대(11)을 상측하천(21)에 매설하여 주도록,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주고,
    상기 저수블럭(10)에는 저수공간(14)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관통되는 관통구(13)와, 상기 몸체(12)의 상측에 구비되는 이송구(16)와, 상기 몸체(12)의 좌우측면에 이송구(19)을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시켜 주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하천(22)에서 보(18)의 하측면에서 높이구간에 인접되도록 구비되는 어도용 관성블럭(30)과, 상기 관성블럭(30)에는 보(18)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1분리벽체(32)로 형성된 제1가속구간(a)과, 상기 제1분리벽체(32)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2분리벽체(34)로 형성된 제2가속구간(b)과, 상기 제2분리벽체(34)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제3분리벽체(35)로 형성된 제3가속구간(c)과, 상기 제1,3분리벽체(32)(35)를 상,하측하천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d)와,
    상기 제1,2,3분리벽체(32)(34)(35)의 양측 단부를 조립시켜 주도록 각각의 조립구(42)(45)(46)가 구비된 외벽체(53)에 조립으로 각각의 제1,2,3가속구간(a),(c)으로 형성시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하천(21)에서 제1어도구(28)가 보(18)를 관통으로 하천수가 연결되는 제1가속구간(a)과, 상기 제1어도구(28)를 개폐토록 힌지(51)에 결합되면서 고정봉(42)과 부기(46)로 연결되는 캡(38)과, 상기 제1가속구간(a)에서 하천수가 순차적으로제1,2,3분리벽체(32)(34)(35)의 상측으로 넘겨서 흐르도록 구성하여 주되, 상기 제1가속구간(a)의 하측으로 유속조절구(3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하천(21)에서 제2어도구(33)가 보(18)를 관통으로 하천수가 연결되는 제3가속구간(c)과, 상기 제2어도구(33)를 개폐토록 개폐문(31)으로 결합으로 연결되는 연결기어(35)와 핸들(37)과, 상기 제1가속구간(a)에서 하천수가 순차적으로제3분리벽체(35)의 상측으로 넘겨서 흐르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18)와 인접하는 상측하천(21)의 하상(25)에 매설되는 저수블럭(10)과,
    상기 보(18)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어도용 관성블럭(30)과, 상기 저수블럭(10)에서 어도용 관성블럭(30) 구간을 보(18)를 관통으로 연결된 제1,2어도구(28)(33)와, 상기 제1,2어도구(28)(33)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개폐문(31)과,
    상기 저수블럭(10)에는 서로 연결로 고정시켜 주는 다수개의 블록대(11)와,
    상기 블록대(11)에는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주고,
    상기 블록대(11)에는 저수공간(14)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관통되는 관통구(13)와, 상기 몸체(12)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제1이송구(16)와, 상기 몸체(12)의 좌우측면에 구비되는 제2이송구(19)가 서로 연결되는 저수블럭(10)과, 상기 블록대(11)에는 상측하천(21)에 매설하여 주도록, 보(18)의 상측면에 인접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벽(27)과, 블록대(11)의 상측면의 몸체(12)가 하상(25)에 맞추도록 매설시켜 주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블럭(10)을 저수공간(64)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원통형의 저수블럭(40)과,
    상기 원통형의 저수블럭(40)의 원주형의 몸체(62)에 관통시켜 주는 관통구(63)과, 상기 몸체(62)를 서로 대응으로 관통시켜 주는 이송구(66)와, 상기 저수블럭(40)용 몸체(62)의 상,하측구간을 지지시켜 주는 지지빔(64)과, 상기 지지빔(64)을 연결로 조립시켜 주는 지지로드(68)과, 상기 지지로드(68) 사이를 고정시켜 주는 조립대(6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KR1020140171840A 2014-11-10 2014-12-01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KR101969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218 2014-11-10
KR20140155218 2014-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63A true KR20160055663A (ko) 2016-05-18
KR101969440B1 KR101969440B1 (ko) 2019-04-17

Family

ID=5611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840A KR101969440B1 (ko) 2014-11-10 2014-12-01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691A (ko) * 2016-10-25 2018-05-04 민승기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37B1 (ko) * 2003-01-02 2005-03-10 (주)대호엔지니어링 저수지의 보 및 제방용 방류관
KR200433633Y1 (ko) * 2006-09-28 2006-12-12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사빈해안 보전 겸 양빈시설용 투수성 구조체
KR20100009192A (ko) * 2008-07-18 2010-01-27 우민호 수중보
KR20110113540A (ko) * 2010-04-09 2011-10-17 민승기 하천에서 계단식 어도 블럭 구조
KR101345988B1 (ko) * 2009-04-06 2014-01-07 민승기 하천의 저수조용 블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37B1 (ko) * 2003-01-02 2005-03-10 (주)대호엔지니어링 저수지의 보 및 제방용 방류관
KR200433633Y1 (ko) * 2006-09-28 2006-12-12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사빈해안 보전 겸 양빈시설용 투수성 구조체
KR20100009192A (ko) * 2008-07-18 2010-01-27 우민호 수중보
KR101345988B1 (ko) * 2009-04-06 2014-01-07 민승기 하천의 저수조용 블럭
KR20110113540A (ko) * 2010-04-09 2011-10-17 민승기 하천에서 계단식 어도 블럭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691A (ko) * 2016-10-25 2018-05-04 민승기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440B1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0994A (ko) 경사지의 지중에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블럭
KR101969440B1 (ko) 하천에서 어도가 구비되면서 역행침식 방지되는 저수용 보
KR20090090252A (ko)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TW201311971A (zh) 地層構造維護與地下水補注儲存裝置
KR101219658B1 (ko) 웅덩이형 수제의 시공 방법
KR20090085317A (ko) 식생블록 및 그 식생블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KR20120017958A (ko) 법면 보강용 블록의 고정구
KR101170789B1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20050019569A (ko)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KR200376256Y1 (ko)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US20210246621A1 (en) Rods and assemblies of rods for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water
KR101297151B1 (ko) 결속대가 형성된 옹벽용 블럭
ES2593849B1 (es) Sistema de protección en obras de las arenas transportadas por el viento y procedimiento de instalación
JP4097222B2 (ja) 河川・砂防構造物および河川・砂防構造物構築用ブロック材
KR101790939B1 (ko) 저수공간이 형성된 옹벽용 블럭
KR20130037135A (ko) 하천의 저수조용 블럭
CN208917854U (zh) 一种可调节式挡水围堰
KR100992377B1 (ko)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
KR101375232B1 (ko) 하천제방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구조
KR20140140911A (ko)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7399533U (zh) 一种河道垂向浆砌石生态挡墙
KR102120879B1 (ko)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KR20100019299A (ko) 담수능력이 있는 적층식 제방블록
KR20160145927A (ko) 지천용 저수탱크에 연계되는 청소가능형 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