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252A -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 Google Patents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252A
KR20090090252A KR1020080096865A KR20080096865A KR20090090252A KR 20090090252 A KR20090090252 A KR 20090090252A KR 1020080096865 A KR1020080096865 A KR 1020080096865A KR 20080096865 A KR20080096865 A KR 20080096865A KR 20090090252 A KR20090090252 A KR 20090090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ssembly
river
fixing ro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08009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0252A/ko
Publication of KR2009009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가장자리에서 구축되는 제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방에서 구축되는 위치에서 과잉 배수량에 의하는 제방의 경사진 비탈면에 구성되는 블록을 고정시켜서 안전지역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제방은 하천의 가장자리에서 구축하기 위하여 토사 등으로 성토하여 주면서, 이의 표면에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블록을 서로 연속적으로 접하면서 조립으로 상기 성토된 토사를 덮어서 보강하여 주도록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홍수 등으로 물어 불어나면 상기 블록을 지탱하고 있는 토사에 물이 침투하여 주므로, 이로 인하여 토사의 침하로 인한 블럭의 붕괴로 이어지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립되는 블록에 대한 경고성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내측공간(36)이 형성되면서 내측벽면(24)의 상측으로 유입구(57)가 형성된 배수블록(55)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57)의 상,하측부에서 각각 돌출되는 모서리부(47')을 형성하여서, 상기 유입구(57)의 유입구간을 모서리부(47')에 까지 연장하는 가장자리에 부유물(80)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는 철망(82)을 고정으로 조립하여 주며, 상기 상측면(49)에서 확대부(58)로 확대된 모서리부(47)와 하측에 매설된 기소부(75) 사이를 서로 연결로 고정하는 고정봉(70)을 제방(20)의 길이방향에 따라 조립하려는 블록(40')의 폭에 맞추어서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주면 서, 상기 배수블럭(55)의 하측 가장자리에 매설되는 기소부(75)에다 고정하여 준다.
또한 상기 고정봉(70)에 조립되도록 블록(40')의 배면에서 돌출되면서 조립요홈(52')이 형성되는 조립리브(78)를 형성하여주면서, 상기 조립요홈(52')에 고정봉(70)을 삽설로 조립시켜 주는 블록(40')을 서로 연속적으로 적층시켜 주면서 고정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며, 또한 상기 고정봉(70)을 양측으로 조립리브(77)가 돌출되면서 조립요홈(79)이 형성하여 주는 고정봉(70')으로 형성시켜 제공하여서 홍수로 인한 급류에서도 견고히 조립된 상태로 유지하여서 제방(20)에 대한 보강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블록(40')의 양측가장자리에 조립용 턱(86)(86')을 형성하여 도록 구성하여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하천, 블록, 조립구, 고정봉

Description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omitted}
본 발명은 하천의 가장자리에서 구축되는 제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방에서 구축되는 위치에서 과잉 배수량에 의하는 제방의 경사진 비탈면에 구성되는 블록을 고정시켜서 안전지역으로 형성하기 위하는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하천이나 강 등에서 일측에 구성된 제방에서 폭우 등으로 범람방지용으로 구축하는 바, 이는 각각의 블록을 연속 반복적으로 조립으로 고장하는 바, 특히 만곡으로 경사지는 하천의 제방에서 흐르는 급류에 의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구축되어서 하천의 흐르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방에 있어서, 폭우 등으로 물이 불어나서 홍수 등으로 흐르는 경우, 안정적으로 주위의 농경지 또는 도로, 주거지 등의 안전을 제공하게 되는데, 본인의 선 발명 출원인 하천의 방향으로 경사진 벽면의 일측으로 조립되는 소정의 크기인 블록으로 제방의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이는 홍수 등으로 불어나는 급류에 의하여 상기 조립된 블록이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붕괴 등으로 파손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대부분 상측으로 이동로와 같은 도로가 형성되는 제방에서, 상측면으로 도로의 폭을 확대하기 위하여 확대부가 형성되는 상기 블록의 벽면에는 수직형으로 형성되므로, 야생동물의 이동 불가로 인한 생태계의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상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방에 있어서 상측면에 대한 통행로의 보강을 위하여 양측 방향으로 콘크리트 타성과 같이 확대로 고정되는 가장자리에서부터 하측의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에 대한 보강을 위하여 일정 크기의 블럭을 서로 연결하면서 조립으로 제공하여 주어서, 제방에 대한 경사면의 보강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는 홍수 등으로 물이 불어나면, 상기 블록 사이로 물이 스며들어서 성토된 토사의 침하로 인하여 표면에 조립된 블록이 더불어 침하로 인한 붕괴로 파송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조립된 블록을 서로 조립에 대한 결속력의 보강으로 홍수 등에 의한 불어난 물의 급류에서도 안정적으로 결속력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블록을 조립에 대한 시공공정에서 가능한 간단한 구조로 서로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공하여서, 시공에 대한 경제성 및 작업성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측면(49)에서 확대부(58)로 확대된 모서리부(47)와 하측에 매설된 기 소부(75) 사이를 서로 연결로 고정하는 고정봉(70)을 제방(20)의 길이방향에 따라 조립하려는 블록(40')의 폭에 맞추어서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고정봉(70)에 조립되도록 블록(40')의 배면에서 돌출되면서 조립요홈(52')이 형성되는 조립리브(78)를 형성하여주면서, 상기 조립요홈(52')에 고정봉(70)을 삽설로 조립시켜 주는 블록(40')을 서로 연속적으로 적층시켜 주면서 고정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며, 또한 상기 고정봉(70)을 양측으로 조립리브(77)가 돌출되면서 조립요홈(79)이 형성하여 주는 고정봉(70')으로 형성시켜 제공하여서 홍수로 인한 급류에서도 견고히 조립된 상태로 유지하여서 제방(20)에 대한 보강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블록(40')의 양측가장자리에 조립용 턱(86)(86')을 형성하여 도록 구성하여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이나 저수지용 제방의 비탈면에서 조립으로 고정되는 블록이 서로 연결로 고정되는 구조로 인하여, 홍수 등으로 불어나는 유수에 의하여 내구성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하천에서 만곡된 부위의 외측방향에 구축되는 경사면에 조립되는 블록은 불어난 홍수의 급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블록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결속력이 보강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하천(32)의 가장자리에서 구축되면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주는 제방(20)에 사용되는 블록(40')은 대부분 서로 접하여서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쌓아서 제공하도 있으나, 이는 다져진 토사에 의하여 조성되는 제방(46)용 경사면(46)에서 받쳐주는 토사의 힘에 의하여 블록(40')이 지탱하여 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내측공간(36)이 형성되는 배수용 블록에서의 경사면(46)에 대한 블록(40')의 조립에 대한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되는 내측공간(36)이 형성되면서 내측벽면(24)의 상측으로 유입구(57)가 형성된 배수블록(55)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57)의 상,하측부에서 각각 돌출되는 모서리부(47')을 형성하여서, 상기 유입구(57)의 유입구간을 모서리부(47')에 까지 연장하는 가장자리에 부유물(80)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는 철망(82)을 고정으로 조립하여 주며, 또한 모서리부(47')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조립구(68)에 고정봉(70)을 고정하면서, 상기 배수블럭(55)의 하측 가장자리에 매설되는 기소부(75)에다 고정하여 주되, 상기 고정봉(70)을 소정의 간격인 블록(4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조립리브(78)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립요홈(52')의 간격에 맞추어서 하측의 바닥부(49)까지 상기 블록(40')을 다충구조로 서로 접하여 주면서 연결하여 고정하여 주되, 상기 블록(40')의 조립요홈(52')에 고정봉(70)을 삽입하여서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주는 발명으로서, 이는 홍수 등으로 불어나는 급류에 의하여, 상기 고정되는 블록(40')에 물이 잠기면서 스며드는 성토된 토사에 대한 침수로 인하여 침하 또는 붕괴되는 토사에 대한 블록(40')의 지지력을 유지하여 주기 위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블록(40')간 서로 조립으로 인한 보강성을 제공하기 위하는 실시예로서, 상기 단면이 원주형의 고정봉(70)을 양측으로 조립리브(77)가 돌출되면서 조립요홈(79)이 형성되는 고정봉(70')을 구성하여 주면서, 블록(40')의 조립리브(78)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립요홈(52')에 맞추어서 상기 조립요홈(79)에 서로 교호상 구조로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제공하면, 폭우 등으로 성토되는 제방(20)의 토사에 스며들어서 붕괴가 되더라도, 첨부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봉(70')의 지지력에 의하여 블록(40')은 무너져 내리지 않으므로, 폭우의 휩쓸림을 방지하여 주는 유용한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블록(40')의 양측 가장자리에다 두께 차이로 이루어지는 조립용 턱(86)(86')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 주면, 시공 현장에서 제방(20)의 구축공사의 조립에 용이하도록 제공하면서 제방을 성토하면서 블록을 지지하여 주는 토사에 대한 하천수의 침투를 방지하여 준다.
도1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
도3는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4은 도 2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5는 도 4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상태도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제방 24. 내측벽면 25. 외측벽면 32. 하천
31. 바닥면 35. 요홈부 38. 조립구 40'. 블럭
44, 난간 46. 경사면 47. 모서리부 49. 바닥부
50.조립턱 51.식생구 52. 조립구 55. 배수블럭
57. 유입부 58.확대부 59. 유입구 60. 도로
67. 고정관 68. 고정구 70. 고정봉
75. 기소부 76. 고정대 78. 조립리브

Claims (2)

  1. 내측공간(36)이 형성되면서 내측벽면(24)의 상측으로 유입구(57)가 형성된 배수용 블록(55)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57)의 상,하측부에서 각각 돌출로 형성되는 모서리부(47')에 철망(82)을 고정으로 조립하여 주며,
    상기 모서리부(47')에 조립구(52)를 형성하여 주되, 기소부(75)에 맞추어서, 고정봉(70)을 조립으로 고정하여 주되,
    또한, 상기 식생용 블록(40')의 조립구(52)에 고정봉(70)을 삽입으로 조립하여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 배수되는 제방용 보호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70)을 양측으로 조립리브(77)가 돌출되면서 조립요홈(79)이 형성하여 주는 고정봉(70')으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블록(40')의 양측가장자리에 조립용 턱(86)(86')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에서 배수되는 제방용 보호 블록.
KR1020080096865A 2008-09-30 2008-09-30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KR20090090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865A KR20090090252A (ko) 2008-09-30 2008-09-30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865A KR20090090252A (ko) 2008-09-30 2008-09-30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031A Division KR100992377B1 (ko) 2007-07-10 2007-07-10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252A true KR20090090252A (ko) 2009-08-25

Family

ID=4120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865A KR20090090252A (ko) 2008-09-30 2008-09-30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025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204B1 (ko) * 2007-06-18 2011-01-21 민승기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KR20110057047A (ko) * 2009-11-23 2011-05-31 민승기 하천의 정수용 블럭
KR101345988B1 (ko) * 2009-04-06 2014-01-07 민승기 하천의 저수조용 블럭
CN111996991A (zh) * 2020-09-14 2020-11-27 深圳市升源园林生态有限公司 一种节水生态型护坡结构及其节水方法
CN114837130A (zh) * 2022-05-26 2022-08-02 阜阳市颍泉水利建筑有限公司 一种河道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204B1 (ko) * 2007-06-18 2011-01-21 민승기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KR101345988B1 (ko) * 2009-04-06 2014-01-07 민승기 하천의 저수조용 블럭
KR20110057047A (ko) * 2009-11-23 2011-05-31 민승기 하천의 정수용 블럭
CN111996991A (zh) * 2020-09-14 2020-11-27 深圳市升源园林生态有限公司 一种节水生态型护坡结构及其节水方法
CN111996991B (zh) * 2020-09-14 2021-06-25 深圳市升源园林生态有限公司 一种节水生态型护坡结构及其节水方法
CN114837130A (zh) * 2022-05-26 2022-08-02 阜阳市颍泉水利建筑有限公司 一种河道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865B1 (ko) 옹벽용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20090090252A (ko)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JP5407995B2 (ja) 盛土の補強構造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1510612B1 (ko) 법면 보강용 블럭의 고정구
KR100737331B1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KR100645322B1 (ko) 하천 호안 생태보호 시설물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100607554B1 (ko) 하천의 보강용 제방
KR20090005745A (ko)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
KR101297151B1 (ko) 결속대가 형성된 옹벽용 블럭
KR100686642B1 (ko) 상수원지 제방 보호 구조물
KR101550457B1 (ko) 비탈면의 붕괴 방지용 블럭
KR10101020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KR20090014932A (ko) 배수관용 배수 유도장치
KR10112494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KR100639934B1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KR101050233B1 (ko) 하천의 제방에서 부유물 걸름장치
KR102244753B1 (ko) 친환경 목재 옹벽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KR102231712B1 (ko) 목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2295428B1 (ko) 산사태 방지 수로관
KR20170075497A (ko) 비탈어깨식 사방댐 시공방법
KR101306254B1 (ko) 프리캐스트 복합 구조물
KR101186361B1 (ko) 하천에서 배수되는 제방용 조립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17

Effective date: 2011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