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428B1 - 산사태 방지 수로관 - Google Patents

산사태 방지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428B1
KR102295428B1 KR1020190063769A KR20190063769A KR102295428B1 KR 102295428 B1 KR102295428 B1 KR 102295428B1 KR 1020190063769 A KR1020190063769 A KR 1020190063769A KR 20190063769 A KR20190063769 A KR 20190063769A KR 102295428 B1 KR102295428 B1 KR 102295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landslide
accommodating
recei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420A (ko
Inventor
송기동
Original Assignee
송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동 filed Critical 송기동
Priority to KR1020190063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4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사태 방지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산사태 위험 지점에 미리 설치하여 자연배수로 인한 토사층으로 스며드는 과도한 지표수의 흡수를 제한함과 더불어 우기에 물길이 나지 않도록 지표수를 분산시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흙막이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재활용 합성수지 등의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원가절감은 물론 친환경적인 제품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사태 방지 수로관{Landslide prevention waterway}
본 발명은 산사태 위험 지점에 미리 설치하여 자연배수로 인한 토사층으로 스며드는 과도한 지표수의 흡수를 제한함과 더불어 우기에 물길이 나지 않도록 지표수를 분산시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흙막이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재활용 합성수지 등의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원가절감은 물론 친환경적인 제품의 제조가 가능한 산사태 방지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의 단면은 맨아래 암석층이 있고, 상기 암석층의 상부에 풍암층과 토사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우기나 장마철이 되면 비가 상기 토사층으로 흡수되어 들어가지만 암반층에는 물이 들어갈수가 없어서 토사와 암반 즉, 풍화암층 경계면에 이르면 역으로 부력이 발생하여 흙이 지내력을 잃고 지반이 약해져 쏟아져 내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산사태라고 하며, 비록 처음에는 비가 와도 나무나 숲이 수분을 흡수하여 지내력을 유지하는데 조금은 도움이 되나 비가 계속 많이 왔을 때는 상황이 변하게 된다.
또한, 산의 경사도가 25°~ 30°이상이되고, 퇴적층으로 이루어진 곳은 더욱 위험지역으로 보아야 한다.
현재 산림 산사태 방지 방법은 소규모 콘크리트 저수댐을 만들어 물을 가두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고, 그 아래로 수로관을 설치하여 배수처리하고 있다.
산사태 방지를 위한 저수댐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풍수기때에는 물론 급작스러운 홍수 발생시에도 저사 및 저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갈수기 때에는 상류 및 하류를 연통시켜 상하류 간 어류의 소통이 자유로우며, 급작스러운 홍수 시에 쌓인 토사를 물이 빠지면서 함께 하류 쪽으로 흘러가도록 하여 별도의 토사 제거작업이 필요없는 회전개폐형 저수사방댐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510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5102호로 제안된 저수댐은 생태계에 변화를 주어 친환경적이지 못하면서 시공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510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산사태 위험 지점에 미리 설치하여 자연배수로 인한 토사층으로 스며드는 과도한 지표수의 흡수를 제한함과 더불어 우기에 물길이 나지 않도록 지표수를 분산시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흙막이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재활용 합성수지 등의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원가절감은 물론 친환경적인 제품의 제조가 가능한 산사태 방지 수로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사태 위험 지점에 고정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빗물을 제외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불순물유입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방지 수로관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가 수용되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는 상기 수용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는 자갈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부와 상기 수용프레임에 빗물이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수용프레임은 재활용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용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수용프레임의 상부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고정되는 보강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전측 하부에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산사태 위험 지점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측에 상기 본체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산사태 위험 지점에 안착고정되는 돌출판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판을 산사태 위험 지점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배수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배수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의 일측배수관이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의 타측배수관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복수개의 상기 본체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전측슬리브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후측슬리브관이 형성되며, 상기 전측슬리브관과 연통되도록 어느 하나의 본체의 전측슬리브관에 전측이 연결되고, 상기 후측슬리브관과 연통되도록 다른 하나의 본체의 후측슬리브관에 후측이 연결되는 연결배수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본체를 산사태 위험 지점에 미리 설치하여 자연배수로 인한 토사층으로 스며드는 과도한 지표수의 흡수를 제한함과 더불어 우기에 물길이 나지 않도록 지표수를 분산시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흙막이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본체를 재활용 합성수지 등의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원가절감은 물론 친환경적인 제품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산사태 방지 수로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일예의 보강프레임이 수용프레임의 상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다른예의 보강프레임이 수용프레임의 상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4는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면에 본체가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복수의 본체가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분리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일부절개결합정면도이고,
도 17은 어느 하나의 본체의 전측슬리브관과 다른 하나의 본체의 후측슬리브관 사이에 보조배수관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산사태 방지 수로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산사태 방지 수로관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불순물유입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산사태 위험 지점에 매설된 상태로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산사태 위험 지점에 매설된 상기 본체(10)의 상부는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빗물을 제외한 잡풀 또는 쓰레기 등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수용프레임(11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110)은 상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상기 수용프레임(110)은 크게, 일측수용판(111), 타측수용판(112), 전측수용판(113) 및 후측수용판(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용판(111)과 상기 타측수용판(112)은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수용판(113)과 상기 후측수용판(114)은 상기 본체(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내측에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와 상기 수용프레임(110)에는 빗물이 통과하는 관통구(120)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일측수용판(111), 타측수용판(112), 전측수용판(113) 및 후측수용판(114) 모두에 복수의 상기 관통구(120)가 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후측수용판(114)의 관통구(120)를 통과한 빗물이 상기 본체(10)의 관통구(12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후측수용판(114)에만 상기 관통구(12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와 상기 수용프레임(11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상기 본체(10)와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원가를 절감하여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본체(10)와 상기 수용프레임(110)은 플라스틱 등의 재활용 합성수지 등의 재활용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일예의 보강프레임이 수용프레임의 상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를 산사태 위험 지점에 매설된 상태로 고정설치하는 과정 중 또는 설치완료 후에 상기 수용프레임(110)이 외력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상부에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프레임(30)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보강프레임(30)은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수용프레임(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프레임(30)의 전측 내부, 후측 내부, 일측 내부 및 타측 내부에는 상기 보강프레임(3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수용홈(301)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상부는 상기 보강프레임(30)의 수용홈(301)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관통구(120)는 상기 보강프레임(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예의 보강프레임이 수용프레임의 상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보강프레임(30)은 적어도 전측보강프레임(310)과 후측보강프레임(320)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전측보강프레임(310), 상기 후측보강프레임(320), 일측보강프레임(330) 및 타측보강프레임(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보강프레임(310)의 내부, 상기 후측보강프레임(320)의 내부, 상기 일측보강프레임(330)의 내부 및 상기 타측보강프레임(340)의 내부에 각각 상기 수용홈(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보강프레임(310)의 수용홈(301)내에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전측수용판(113)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후측보강프레임(320)의 수용홈(301)내에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후측수용판(114)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강프레임(330)의 수용홈(301)내에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일측수용판(111)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강프레임(330)의 수용홈(301)내에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타측수용판(112)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면에 본체가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2)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2a)의 바닥면에 상기 본체(10)를 안착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에는 도 1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고정부(130)와 돌출판(14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부(130)는 상기 본체(10)의 전측 하부에서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부(130)는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2)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2a)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부(13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물길이 생기면서 세굴되는 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본체(10)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의 고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판(140)은 도 1,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고정부(1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측에서 상기 본체(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으로 돌출형성되어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2)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2a)의 바닥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판(140)의 중간부에 고정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판(140)을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2)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2a)의 바닥면에 안착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돌출판(140)의 고정공(141)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2)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2a)의 바닥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된 상태로 상기 돌출판(140)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핀 또는 철제말뚝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판(140)과 상기 고정부(4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고정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내측에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2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20)는 자갈층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20)를 이룰 수 있는 자갈층 등은 태양빛을 차단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이끼 등의 이물질이 끼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자갈층 등을 통해 상기 빗물이 정화된 상태로 집수되어 재활용될 수 있게 된다.
자갈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프레임(110)의 내측 상부에는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메쉬망(50)이 분리가능하게 수평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50)을 통해 자갈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20)가 흐트러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잡풀 또는 쓰레기 등의 각종 이물질이 상기 본체의(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2)을 터파기하여 상기 터(2a)의 주변에 쌓인 토사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주변의 터(2a)내로 되메움처리될 수 있다.
도 15는 복수의 본체가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분리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일부절개결합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측배수관(150)과 타측배수관(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배수관(15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인입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배수관(1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일측배수관(150)이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타측배수관(16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복수개의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배수관(150)과 상기 타측배수관(16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원활히 흐르면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7은 어느 하나의 본체의 전측슬리브관과 다른 하나의 본체의 후측슬리브관 사이에 보조배수관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전측슬리브관(170) 및 후측슬리브관(18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슬리브관(17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돌출판(140)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전측에서 상기 본체(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슬리브관(180)은 상기 전측슬리브관(170)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의 후측에서 상기 본체(1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측슬리브관(170) 및 상기 후측슬리브관(180)과 연결되는 연결배수관(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수관(60)이 상기 전측슬리브관(170)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배수관(60)의 전측은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전측슬리브관(170)의 내측에 수밀하게 삽입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수관(60)이 상기 후측슬리브관(180)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배수관(60)의 후측은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후측슬리브관(180)의 내측에 수밀하게 삽입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연결배수관(60)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함께 매설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수관(60)을 통해 어느 하나의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일부가 어느 하나의 본체(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흐르면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상기 본체(10)를 산사태 위험 지점에 미리 설치하여 자연배수로 인한 토사층으로 스며드는 과도한 지표수의 흡수를 제한함과 더불어 우기에 물길이 나지 않도록 지표수를 분산시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흙막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본체, 20; 불순물유입방지부.

Claims (9)

  1.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의 바닥면에 안착고정설치된 상태로 매설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수용판 및 타측수용판과, 상기 본체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전측수용판 및 후측수용판으로 구성되는 수용프레임과;
    상기 수용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는 자갈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내부로 빗물을 제외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불순물유입방지부와;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수평으로 안착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망과;
    상기 수용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측 내부, 후측 내부, 일측 내부 및 타측 내부에 상기 수용프레임의 상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수용홈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전측 하부에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의 바닥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와;
    상기 본체의 전측에 상기 본체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의 바닥면에 안착고정되고, 중간부에 고정공이 형성되는 돌출판과;
    상기 돌출판의 고정공을 수직관통하여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의 바닥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어 상기 돌출판을 산사태 위험 지점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핀 또는 철제말뚝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방지 수로관.
  2.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의 바닥면에 안착고정설치된 상태로 매설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수용판 및 타측수용판과, 상기 본체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전측수용판 및 후측수용판으로 구성되는 수용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용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는 자갈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내부로 빗물을 제외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불순물유입방지부와;
    상기 불순물유입방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수평으로 안착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망과;
    상기 수용프레임의 전측수용판과 후측수용판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전측보강프레임 및 후측보강프레임과, 상기 수용프레임의 일측수용판과 타측수용판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보강프레임 및 타측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전측 하부에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의 바닥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와;
    상기 본체의 전측에 상기 본체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의 바닥면에 안착고정되고, 중간부에 고정공이 형성되는 돌출판과;
    상기 돌출판의 고정공을 수직관통하여 산사태 위험 지점의 지반을 터파기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된 터의 바닥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어 상기 돌출판을 산사태 위험 지점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핀 또는 철제말뚝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방지 수로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와 상기 수용프레임에 빗물이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방지 수로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수용프레임은 재활용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방지 수로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배수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배수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방지 수로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의 일측배수관이 다른 하나의 상기 본체의 타측배수관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복수개의 상기 본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방지 수로관.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전측슬리브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측에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후측슬리브관이 형성되며,
    상기 전측슬리브관과 연통되도록 어느 하나의 본체의 전측슬리브관에 전측이 연결되고, 상기 후측슬리브관과 연통되도록 다른 하나의 본체의 후측슬리브관에 후측이 연결되는 연결배수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사태 방지 수로관.
  8. 삭제
  9. 삭제
KR1020190063769A 2019-05-30 2019-05-30 산사태 방지 수로관 KR102295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69A KR102295428B1 (ko) 2019-05-30 2019-05-30 산사태 방지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69A KR102295428B1 (ko) 2019-05-30 2019-05-30 산사태 방지 수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20A KR20200137420A (ko) 2020-12-09
KR102295428B1 true KR102295428B1 (ko) 2021-08-30

Family

ID=7378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69A KR102295428B1 (ko) 2019-05-30 2019-05-30 산사태 방지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4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122Y1 (ko) * 2006-02-28 2006-05-11 (주) 경화엔지니어링 도로용 배수구 구조
KR101738905B1 (ko) * 2016-08-29 2017-05-23 (주)마이즈텍 집수 경계 블록
KR101969827B1 (ko) * 2018-09-21 2019-04-17 지산투수개발(주) 조경용 트렌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9080U (ko) * 1986-04-11 1987-10-27
KR101205102B1 (ko) 2012-06-11 2012-11-26 경상남도 회전개폐형 저수사방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122Y1 (ko) * 2006-02-28 2006-05-11 (주) 경화엔지니어링 도로용 배수구 구조
KR101738905B1 (ko) * 2016-08-29 2017-05-23 (주)마이즈텍 집수 경계 블록
KR101969827B1 (ko) * 2018-09-21 2019-04-17 지산투수개발(주) 조경용 트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20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20050012882A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CN210177294U (zh) 一种山区公路路基
CN102031768B (zh) 一种新型农田涝渍防治装置及其应用技术
KR100676164B1 (ko)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KR102327776B1 (ko) 배수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KR100707718B1 (ko)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KR101201544B1 (ko) 지중침투형 측구 조립체
KR102295428B1 (ko) 산사태 방지 수로관
KR20080099937A (ko) 계단식 화단 옹벽용 배수구조 및 계단식 화단 옹벽시공방법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0629152B1 (ko)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JP3927222B2 (ja) 堤脚水路構築物を構成する排水溝ブロック、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KR100963882B1 (ko) 배면 배수로가 형성된 측구 및 그 시공방법
KR100686292B1 (ko) 토양 내 빗물 저류 침투 시설
KR100590411B1 (ko) 건축 단지내에서의 친환경적인 옹벽 구조물
KR101294664B1 (ko) 투수성 호안블록
KR100719520B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KR20060095089A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CN220746773U (zh) 航道护岸结构
CN214143521U (zh) 景观滨水步道系统
CN220326397U (zh) 一种下沉式绿化带结构
JP4126008B2 (ja) 堤脚水路構築物、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JP2019132095A (ja) 箱型擁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