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164B1 -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 Google Patents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164B1
KR100676164B1 KR1020050098439A KR20050098439A KR100676164B1 KR 100676164 B1 KR100676164 B1 KR 100676164B1 KR 1020050098439 A KR1020050098439 A KR 1020050098439A KR 20050098439 A KR20050098439 A KR 20050098439A KR 100676164 B1 KR100676164 B1 KR 10067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ng
collecting
holes
ri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9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하천제방의 배수시설이 제공된다. 제공된 배수시설은 고수부지와 옹벽이 시공된 하안의 사이에 저수로법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수부지와 둑마루의 사이에는 고수로법면이 마련된 하천제방에 있어서, 상기 고수부지의 소정부에 상기 하안과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 설치공간부와, 상기 설치공간부에 매설되며 그 일측벽에는 상기 옹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이 연결되고 그 타측벽에는 우수홀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며 그 상부에는 집수개방부가 마련된 다수의 제 1 집수박스와, 상기 제 1 집수박스들의 집수개방부에 얹혀지도록 그 하부면에 고정돌기가 마련되며 그 중앙에는 수직관통홀이 천공되고 상기 수직관통홀에는 거름망체가 설치된 다수의 제 2 집수박스와, 상기 제 2 집수박스들의 수직관통홀에 얹혀지도록 그 하부면에 설치돌기가 돌출되며 그 상부면에는 다수의 집수홀이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천공되고 상기 집수홀의 양 측에는 집수날개가 곡선형태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제 3 집수박스와, 상기 제 3 집수박스들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집수날개와 대응하는 곡선부가 그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집수부재와, 상기 고수부지의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집수부재들의 상부에 설치되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홀이 수직천공된 다수의 집수블럭과, 상기 제 1 집수박스들의 우수홀에 그 일단이 고정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고수로법면의 지중까지 연장매설된 다수의 필름막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천제방의 배수시설{DRAIN BOX OF EMBANKMENT FOR RIVER}
도 1은 기존 하천제방의 대표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제방의 배수시설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제방의 배수시설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제방 배수시설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제방 배수시설의 단면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수시설 2 : 설치공간부
3 : 제 1 집수박스 4 : 제 2 집수박스
5 : 제 3 집수박스 6 : 집수부재
7 : 집수블럭 8 : 필름막
10 : 하천제방 10a : 고수부지
10b : 고수로법면 20 : 하도
30 : 하안 30a : 옹벽
31 : 배수관 32 : 우수홀
33 : 집수개방부 41 : 고정돌기
42 : 수직관통홀 51 : 설치돌기
52 : 집수홀 53 : 집수날개
61 : 곡선부 71 : 유입홀
81 : 토사유입방지막 421 : 거름망체
본 발명은 하천제방의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제방은 홍수를 막기 위해 하천의 가장자리에 흙으로 쌓아 올린 둑을 말한다. 이와 같은 하천제방은 넓고 편평한 범람원을 통해 굽이쳐 흐르는 강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데, 보통 수위가 높은 상태에서 흐르는 강물이 스며들어 무너지거나 또는 침식당하지 않도록 충분히 넓게 쌓아올린다. 아울러, 제방의 둔덕 상부에는 홍수에 의한 침식을 최소화하기 위해 잔디나 그 밖의 매트 모양의 식물을 심고 있다.
도 1은 기존 하천제방의 대표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천(100)은 하천수가 흐르는 하도(130), 이 하도(130)와 잇닿은 하안(120) 및 하천제방(11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하천제방(110)은 홍수 시에 물에 잠기는 부지인 고수부지(110a)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고수부지(110a) 와 하안(120)의 사이에는 저수로법면(110b)이 마련되고, 고수부지(110a)와 둑마루(110d)의 사이에는 고수로법면(110c)이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저수로법면(110b)에는 비탈덮기구조의 호안시설이 시공되고, 하안(120)에는 토사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옹벽(120a)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하천(100)은 하안(120) 및 고수부지(110a)를 포함한 하천제방(110)을 통해 우수가 흐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홍수 시 하천(100)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하천제방(110)은 고수부지(110a) 및 고수로법면(110c)에 내린 우수가 하도(130)로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고수부지(110a)는 편편하게 성토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배수시설을 갖추지 않는 한 고수부지(110a) 및 고수로법면(110c)에 내린 우수를 하도(130)로 배수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하천제방(100), 즉 고수부지(100a) 및 고수로법면(100c)에 내린 우수가 지반으로 스며들어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볼 때 하천제방(100)의 지반을 약화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하천제방이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수부지 및 고수로법면에 내린 우수가 하도로 배수되게 함으로써 제방지반이 약화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제방의 배수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고수부지와 옹벽이 시공된 하안의 사이에 저수로법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수부지와 둑마루의 사이에는 고수로법면이 마련된 하천제방에 있어서,
상기 고수부지의 소정부에 상기 하안과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 설치공간부;
상기 설치공간부에 매설되며, 그 일측벽에는 상기 옹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이 연결되고, 그 타측벽에는 우수홀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며, 그 상부에는 집수개방부가 마련된 다수의 제 1 집수박스;
상기 제 1 집수박스들의 집수개방부에 얹혀지도록 그 하부면에 고정돌기가 마련되며, 그 중앙에는 수직관통홀이 천공되고, 상기 수직관통홀에는 거름망체가 설치된 다수의 제 2 집수박스;
상기 제 2 집수박스들의 수직관통홀에 얹혀지도록 그 하부면에 설치돌기가 돌출되며, 그 상부면에는 다수의 집수홀이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천공되고, 상기 집수홀의 양 측에는 집수날개가 곡선형태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제 3 집수박스;
상기 제 3 집수박스들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집수날개와 대응하는 곡선부가 그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집수부재;
상기 고수부지의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집수부재들의 상부에 설치되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홀이 수직천공된 다수의 집수블럭; 및
상기 제 1 집수박스들의 우수홀에 그 일단이 고정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고수로법면의 지중까지 연장매설된 다수의 필름막; 을 포함하는 하천제방의 배수시설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필름막은 그 구성재질로써 합성수지재를 적용하고, 상기 고수로법면과 대응하도록 경사진형태로 매설하며, 상기 우수홀에 고정설치되는 그 일단에는 토사가 상기 우수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유입방지막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시설은 여러 가지 형태의 하천제방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고수부지와 옹벽이 시공된 하안의 사이에 저수로법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수부지와 둑마루의 사이에는 고수로법면이 마련된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상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제방의 배수시설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제방의 배수시설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수시설(1)은 고수부지(10a)에 마련된 설치공간부(2)에 제 1, 제 2, 제 3 집수박스(3,4,5)가 매설되고, 상기 제 3 집수박스(5)의 상부에는 집수부재(6)와 집수블럭(7)이 순차적으로 적층설치되며, 상기 제 1 집수박스(3)에는 필름막(8)을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설치공간부(2)는 고수부지(10a)에 있어, 저수로법면(10c)과 근접한 부위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설치공간부(2)는 고수부지(10a)의 지면을 직사각홈 형태로 굴착하여 구성되는데, 이때의 굴착깊이는 상기한 각 구성요소들의 높이를 고려하여 굴착깊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집수박스(3)는 상기 설치공간부(2)에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매설된다. 이와 같은 제 1 집수박스(3)는 직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는데, 하안에 시공된 옹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31)이 그 일측벽에 관연결되고, 그 타측벽에는 우수홀(32)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집수박스(3)의 상부는 개방되게 구성되는데, 이러한 상부에는 집수개방부(33)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집수박스(4)는 상기 제 1 집수박스(3)와 대응하는 직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 2 집수박스(4)는 상기 제 1 집수박스(3)들에 각각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개로써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집수박스(4)를 상기 제 1 집수박스(3)에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 2 집수박스(4)의 하부면은 단턱지게 구성되도록 고정돌기(4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 2 집수박스(4)는 그 하부면에 돌출된 고정돌기(41)가 상기 제 1 집수박스(3)의 집수개방부(33)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 2 집수박스(4)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집수박스(3)의 집수개방부(33)와 연통하도록 수직관통홀(42)이 천공되는데, 이러한 수직관통홀(42)에는 거름망체(421), 즉 우수와 함께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거름망체(421)가 설치된다.
상기 제 3 집수박스(5)는 직사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집수박스(4)의 수직관통홀(42)에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도록 다수개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3 집수박스(5)를 상기 제 2 집수박스(4)에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 3 집수박스(5)의 하부면은 단턱지게 구성되도록 설치돌기(51)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 3 집수박스(5)는 그 하부면에 돌출된 설치돌기(51)가 상기 제 2 집수박스(4)의 수직관통홀(42)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 3 집수박스(5)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집수홀(52), 즉 상기 수직관통홀(42)과 연통하는 다수의 집수 홀(52)이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천공되는데, 이러한 집수홀(52)들의 양 측에는 집수날개(53)가 곡선형태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집수박스(3,4,5)들은 그 구성재질로써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각 집수박스(3,4,5)에 마련되는 구성요소들은 그 양생과정 또는 그 성형과정에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재(6)는 상기 제 3 집수박스들(5)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집수부재(6)는 그 구성재질로써 흡수력이 우수한 스펀지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집수부재(6)의 형태는 상기 제 3 집수박스(5)의 상부형태, 즉 집수날개(53)가 마련된 제 3 집수박스(5)의 상부형태와 대응하도록 그 하부면에 곡선부(61)가 형성된다.
상기 집수블럭(7)은 상기 집수부재(6)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직사각판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집수블럭(7)에는 고수부지(10a) 또는 고수로법면(10b)에 내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홀(71)이 수직천공된다. 이때, 상기 집수블럭(7)은 그 구성재질로써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필름막(8)은 그 구성재질로써 합성수지재가 적용된다. 이와 같은 필름막(8)은 그 일단이 상기 제 1 집수박스(3)의 우수홀(32)에 고정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고수로법면(10b)의 지중까지 연장되도록 매설된다. 이때, 상기 필름막(8)에 있어, 상기 고수로법면(10b)에 매설되는 필름막(8)은 상기 고수로법면(10b)과 대응하도록 경사진형태로 매설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우수홀(32)에 고정설치되는 상기 필름막(8)의 일단에는 토사가 상기 우수홀(3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유입방지막(81)을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토사유입막(81)은 토목섬유, 예컨대 빗물 등의 배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섬유 마대나 펠트(felt)형 부직포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우수홀(32)에 고정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제방 배수시설의 설치상태 및 이에 따른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제방 배수시설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제방 배수시설의 단면 상세도이다.
도 4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수시설(1)은 고수부지(10a)에 설치공간부(2)를 굴착하되, 이 설치공간부(2)는 하안(30)과 나란한 형태로 굴착한다. 이후, 설치공간부(2)에 제 1, 제 2, 제 3 집수박스(3,4,5)들을 적층 설치하되, 이때 제 1 집수박스(3)들의 일측에는 배수관(31)을 관연결함과 아울러 이러한 제 1 집수박스(3)들의 타측에 천공된 우수홀(32)에는 고수부지(10a) 및 고수로법면(10b)에 매설한 필름막(8) 및 토사유입방지막(81)을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제 3 집수박스(5)들의 상부에 집수부재(6)를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이러한 집수부재(6)의 상부에 집수블럭(7)을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완성된다. 이때에는 집수블럭(7)이 상기 고수부지(10a)의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우천시 하천제방(10)에 내린 우수, 즉 고수부지(10a)에 내린 우수 또는 고수로법면(10b)에 내려서 고수부지(10a)로 흘러온 우수는 집수블럭(7)의 유입홀(71)을 통해 유입되는데, 이때에는 유입된 우수가 제 3 집수박스(5)의 집수날개(53)에 안내되어 집수부재(6)에 흡수된다. 이렇게 집수부재(6)에 흡수된 우수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데, 낙하하는 우수는 제 3 집수박스(5)의 집수홀(52)과 제 2 집수박스(4)의 수직관통홀(42)을 경유하여 제 1 집수박스(3)의 집수개방부(33)에 집수된다. 이후, 집수개방부(33)에 집수된 우수는 제 1 집수박스(3)의 일측에 관연결된 배수관(31)을 통해 옹벽(30a)을 거쳐 하도(20)로 배수된다.
또한, 고수부지(10a) 및 고수로법면(10b)의 지반에 스며들어온 우수는 필름막(8)에 의해 차단됨과 아울러 이러한 필름막(8)에 가이드되어 제 1 집수박스(3)의 우수홀(32)에 유입되고, 이렇게 제 1 집수박스(3)의 집수개방부(33)에 집수된 우수는 상기와 같이 배수관(31)을 통해 배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제방의 배수시설은 하천제방, 즉 고수부지 및 고수로법면을 포함하는 하천제방에 내린 우수를 집수블럭의 유입홀 및 우수홀을 통해 집수하여 하도로 배수함으로써 제방지반이 약화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고수부지와 옹벽이 시공된 하안의 사이에 저수로법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수부지와 둑마루의 사이에는 고수로법면이 마련된 하천제방에 있어서,
    상기 고수부지의 소정부에 상기 하안과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 설치공간부;
    상기 설치공간부에 매설되며, 그 일측벽에는 상기 옹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이 연결되고, 그 타측벽에는 우수홀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며, 그 상부에는 집수개방부가 마련된 다수의 제 1 집수박스;
    상기 제 1 집수박스들의 집수개방부에 얹혀지도록 그 하부면에 고정돌기가 마련되며, 그 중앙에는 수직관통홀이 천공되고, 상기 수직관통홀에는 거름망체가 설치된 다수의 제 2 집수박스;
    상기 제 2 집수박스들의 수직관통홀에 얹혀지도록 그 하부면에 설치돌기가 돌출되며, 그 상부면에는 다수의 집수홀이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천공되고, 상기 집수홀의 양 측에는 집수날개가 곡선형태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제 3 집수박스;
    상기 제 3 집수박스들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집수날개와 대응하는 곡선부가 그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집수부재;
    상기 고수부지의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집수부재들의 상부에 설치되며,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홀이 수직천공된 다수의 집수블럭; 및
    상기 제 1집수박스들의 우수홀에 그 일단이 고정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고수로법면의 지중까지 연장매설된 다수의 필름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막은 그 구성재질로써 합성수지재가 적용되며, 상기 고수로법면과 대응하도록 경사진형태로 매설되고, 상기 우수홀에 고정설치되는 그 일단에는 토사가 상기 우수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유입방지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KR1020050098439A 2005-10-19 2005-10-19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KR10067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39A KR100676164B1 (ko) 2005-10-19 2005-10-19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39A KR100676164B1 (ko) 2005-10-19 2005-10-19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076U Division KR200407934Y1 (ko) 2005-11-02 2005-11-02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164B1 true KR100676164B1 (ko) 2007-02-01

Family

ID=3810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439A KR100676164B1 (ko) 2005-10-19 2005-10-19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16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3060A (zh) * 2014-12-31 2015-04-29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 兼顾截流、调蓄、排涝功能的堤岸及改善水环境的方法
CN105089139A (zh) * 2015-09-09 2015-11-25 苏州宏盛园林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防止水土流失的绿化带
RU2615467C1 (ru) * 2015-11-24 2017-04-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мелиорации" Фильтрующее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на горных и предгорных участках рек
CN106677124A (zh) * 2016-11-30 2017-05-1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装配式栖息地型生态堤岸系统及其使用方法
CN106677125A (zh) * 2016-11-30 2017-05-1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栖息地型生态组件及其使用方法
CN110818095A (zh) * 2019-11-20 2020-02-21 中铁第五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原位处理河道黑臭水体的方法
KR102301063B1 (ko) * 2020-07-20 2021-09-10 김인성 하천 보의 유인수로를 갖춘 어도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3060A (zh) * 2014-12-31 2015-04-29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 兼顾截流、调蓄、排涝功能的堤岸及改善水环境的方法
CN104563060B (zh) * 2014-12-31 2016-09-14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兼顾截流、调蓄、排涝功能的堤岸及改善水环境的方法
CN105089139A (zh) * 2015-09-09 2015-11-25 苏州宏盛园林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防止水土流失的绿化带
RU2615467C1 (ru) * 2015-11-24 2017-04-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мелиорации" Фильтрующее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на горных и предгорных участках рек
CN106677124A (zh) * 2016-11-30 2017-05-1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装配式栖息地型生态堤岸系统及其使用方法
CN106677125A (zh) * 2016-11-30 2017-05-1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栖息地型生态组件及其使用方法
CN106677125B (zh) * 2016-11-30 2019-04-26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栖息地型生态组件及其使用方法
CN110818095A (zh) * 2019-11-20 2020-02-21 中铁第五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原位处理河道黑臭水体的方法
KR102301063B1 (ko) * 2020-07-20 2021-09-10 김인성 하천 보의 유인수로를 갖춘 어도
KR20220011070A (ko) * 2020-07-20 2022-01-27 김인성 하천 보의 유인수로를 갖춘 어도
KR102473651B1 (ko) * 2020-07-20 2022-12-01 김인성 하천 보의 유인수로를 갖춘 어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164B1 (ko)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WO2021125170A1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KR101003720B1 (ko) 환경친화형 산마루 측구
KR102055349B1 (ko)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PL242650B1 (pl) Układ do zatrzymywania odpływu wód deszczowych, rewitalizacji obszarów drenażu i przywracania bioróżnorodności
KR100657182B1 (ko) 소하천 계곡 토사유실 방지시설
KR100756294B1 (ko) 빗물 재활용 우수 집수시설물
KR200407934Y1 (ko)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100629152B1 (ko)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KR100379624B1 (ko) 부력방지와 안정적 담수위를 유지하는 수자원 지하비축시설의 시공방법
KR100776621B1 (ko) 토석류에 의한 재해방지용 말뚝 구조물
KR102702685B1 (ko) 그라우팅을 이용한 도로경사면의 배수로 구조
KR20090044391A (ko)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593186B1 (ko) 친환경적 옹벽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CN213508294U (zh) 园林景观水渠水质保护用护坡结构
CN215165261U (zh) 一种水利工程用边坡防护结构
KR100722156B1 (ko) 하천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블록
KR101064916B1 (ko) 우수 범람 방지 및 지하수 고갈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102295428B1 (ko) 산사태 방지 수로관
JP7116506B1 (ja) 取水口構造物および取水口設備
JPH10168985A (ja) 地表水の浸透を促進させるため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