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391A -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391A
KR20090044391A KR1020070110477A KR20070110477A KR20090044391A KR 20090044391 A KR20090044391 A KR 20090044391A KR 1020070110477 A KR1020070110477 A KR 1020070110477A KR 20070110477 A KR20070110477 A KR 20070110477A KR 20090044391 A KR20090044391 A KR 20090044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pipe
pipe
drainag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일한
Original Assignee
주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한 filed Critical 주일한
Priority to KR102007011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391A/ko
Publication of KR2009004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6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corrosion by soil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량의 물을 제외한 나머지 지하수만을 지표면으로 배수시키도록 한쪽 또는 양쪽면 모두에 동일한 모양으로 연속 반복되는 드레인보드를 토양에 시공한 후 토압에도 원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배수성능이 크게 향상되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파이프로 형성되는 배수관과, 내측에 다수의 배수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드레인보드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의 한쪽 또는 양쪽측면으로 최소한 2%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드레인보드가 일정 간격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배수관에도 드레인보드와 동일한 다수의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과 배수관이 연결소켓으로 조립되는 조립부가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모양으로 절취되는 커팅부를 형성하여 배수공으로 포집되는 지하수는 상기 커팅부을 통해 배수관의 내측으로 배수시키는 특징으로 함.
드레인보드, 지하수, 배수관, 미세토양, 배수시스템

Description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drainbord}
본 발명은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량의 물을 제외한 나머지 지하수만을 지표면으로 배수시키도록 한쪽 또는 양쪽면 모두에 동일한 모양으로 연속 반복되는 드레인보드를 토양에 시공하더라도 원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배수성능이 영구히 지속될 수 있도록 개선된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땅밑에서 파이프나 필터와 같은 인공장치가 없어도 수억 년 동안 움직여 오고 있다. 지하수의 주공급원은 빗물이다. 땅에 내린 빗물은 흙과 바위틈을 따라 땅밑으로 스며들어 상호간의 공급 및 수요기능이 완벽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
최근 건설, 벌목 및 광산개발 및 골프장 건설 등 인공적 행위로 인한 자연 훼손은 자연스런 물의 순환을 방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파이프는 물이나 다른 액체를 수송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경사기울기만 적당하면 이 파이프는 정해진 장소로 물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물을 운반하는 시스템은 다른 입자에 의해 막힘이 없도록 닫힌 시스템으로 설계한 것이 일반적이다.
일 예로 골프장 부지의 경우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량을 제외한 나머지 지하수를 지표면으로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배수시설은 파이프 형태의 배수관 외주면에 소정의 크기로 되는 크고 작은 구멍이나 슬롯형태의 홈을 다수 천공하여 토양으로 스며드는 지표수를 상기 홈을 통해 배수관 내측으로 유입 배수시키도록 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배수관의 외주면에 홈을 설치하게 되는 경우 토양입자(흙)들이 물과 함께 파이프내로 침투하게 되었다. 하지만 약간의 토양입자는 물과 함게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지만 배수관 파이프의 기울기가 완만하여 물의 흐름이 약하면 바닥에 가라앉아 결국에는 배수관 전체를 막게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배수관에 작은 구멍을 천공하는 경우 배수관으로 토양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지만 구멍이 쉽게 막혀 배수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배수관내, 외측으로 토양입자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 즉, 토양입자를 필터링 하기 위해 배수잡석, 모래, 부직포 등이 이용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잡석은 미세입자들이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기전에 가라앉히는 역활만 수행하므로 이들 침전량은 입자크기, 배수량 및 공간면적에 차이가 있을 뿐 결국에는 토양입자에 둘려 쌓여버리게 되어 더 이상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고, 모래 역시 잡석과 비슷한 역활을 하게되지만 문제는 작은 토양입자와 섞여 오히려 그 자체가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부직포를 배수관 외주면을 감사는 방식 역시 작은 입자들에 의해 오히려 막힘 현상을 부추기게 되어 시공작업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배수성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충분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재시공을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물과 입자가 같은 방향으로 흐를 때, 물은 미세입자를 포함하고 흐르기 때문에 이들 입자들이 침전되어 필터를 막게되는 경우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주요인이 되었다.
자연적 물의 흐름은 지표면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토양 사이를 흐름에 따라 입자를 동반하지 않고 깨끗한 물을 흐르게 하며, 이 같은 현상은 중력과 모세관 현상에 의한 자연조건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물의 막힘을 막기 위한 최상의 방법은 외부필터를 쓰지 않고 자체 내에서 물과 토양입자를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한쪽면 또는 양쪽면이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다수의 홈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드레인보드의 양측면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드레인보드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이 함몰되지 않고 최대한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시공작업 후 시간경과에 따른 드레인보드의 배수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레인보드와 배수관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드레인보드를 이용하여 토양입자와 물을 분리한 상태로 지하수만을 배수관으로 유입시켜 지표면으로 신속하게 배수시킴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와 배수관의 효율적인 시공방법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물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 수단은 중공파이프로 형성되는 배수관과, 내측에 다수의 배수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드레인보드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의 한쪽 또는 양쪽측면으로 최소한 2%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드레인보드가 일정 간격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관의 외주면에도 드레인보드와 동일한 다수의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관과 배수관이 연결소켓으로 조립되는 조립부가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모양으로 절취되는 커팅부를 형성하여 배수공으로 포집되는 지하수는 상기 커팅부을 통해 배수관의 내측으로 배수시키는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표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길이방향으로 길게 중앙매립홀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중앙매립홀의 양쪽에 서로 직교되는 다수의 가지홀을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하는 단계, 상기 중앙매립홀에 최소한 2~5%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배수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하는 단계, 중앙매립홀의 양쪽으로 형성되는 가지홀에 최소한 2%의 경사도를 이루도록 드레인보드를 배치하는 단계, 서로 마주하는 양쪽 드레인보드의 선단부를 배수관의 측면홀에 끼워지도록 차례로 조립하는 단계, 상기 배수관과 드레인보드가 조립되는 조립부의 상면을 보호테이프로 고정하는 단계, 보호테이핑이 완료된 드레인보드와 배수관 위로 흙으로 매립하여 평탄면을 조정하는 마무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은 내부에 다수의 격벽과 평탄지지부에 의해 보호되는 배수공을 형성하는 동시에 양측면에 배수공과 연통되는 다수의 슬릿홈이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드레인보드의 양측면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드레인보드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이 함몰되지 않고 최대한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시공작업 후 배수관의 막힘 현상없이 배수효능이 영구히 지속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이 시공된 부위를 중장비가 지나가더라도 별다른 보강작업을 요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모세관 현상, 표면장력, 사이펀 현상이 조화를 이루어 최대의 배수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반경 1M 주위의 물도 흡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적과 전체길이의 20%이상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모집면적이 크고, 얇고 유연한 드레인보드는 지표의 요철을 따라 쉽게 적용하기 때문에 어떠한 배수지도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드레인보드는 두루말이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작업시 필요한 단위 길이 단위만큼씩 절단하여 사용되는 것이므로 100M 길이도 한사람이 운반이 가능하며, 시공시 특별한 장비도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굴착비가 적게 들고, 자갈, 모래, 부직포가 필요 없으며, 유지비가 들 지않고,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보드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양속에 매립되는 드레인보드(10)는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12)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2)은 드레인보드(10)의 한쪽면 또는 양쪽면 모두에 서로 연통되는 슬릿홈(13)(13a 또는 13a,13b)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지하수가 상기 슬릿홈(13)을 통해 배수공으로 배수시키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배수공(12)의 단면 형상을 진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배수면적을 최대한 넓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레인보드(10)의 강성 및 내구성을 유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보드에 대한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보드(1)를 토양 내부에 연직 또는 최소한 2%이상의 경사기울기를 이루도록 설치하게 되면, 토양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간극수가 드레인보드(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슬릿홈(13)을 통해서 배수공(12)으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배수공(12)에 저장된 간극 수량이 많아짐에 따라 모세관현상에 의해 지표면으로 상승하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드레인보드(10)에 연결되는 또 다른 배수관(20)을 통해 배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반 내부에 설치된 드레인보드(10)는 토양내에 함유된 간극수를 지반 외부로 배출시 드레인보드(1)의 양측면에 강한 토압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강한 토압이 드레인보드(1)의 양측면에 가해지더라도 내부 배수공(12)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보드(10)의 내부에 일체로 배수공(12)을 형성하여 간극수를 배출하게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배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드레인보드(10)는 두루말이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작업시 필요한 단위 길이 단위만큼씩 절단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100M 길이도 한사람이 손쉽게 운반이 가능하며, 시공시 특별한 장비가 필요없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드레인보드(10)가 중공파이프로 형성되는 배수관(20)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최소한 2%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드레인보드가 일정 간격으로 조립되도록 시공하여 보다 신속한 배수효과를 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중공파이프로 형성되는 배수관(20)과, 내측에 다수의 배수공(1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2)과 연통되는 슬릿홈(13)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드레인보드(10)가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수관(20)의 한쪽 또는 양쪽측면으로 최소한 2%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드레인보드(10)가 일정 간격으로 조립한다.
상기 배수관(20)과 배수관(20')이 연결소켓(30)을 매개로 길이가 길게 연결되는 조립부는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모양으로 절취되는 커팅부(25)를 형성하여 배 수공(22)으로 포집되는 지하수는 상기 커팅부(25)을 통해 배수관(20)의 내측으로 배수시키도록 한다.
상기 배수관(20)은 일반 중공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지만 외주면에 드레인보드(10)와 동일하게 다수의 배수공(22)과 상기 배수공(22)과 연통되는 슬릿홈(23)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상기 배수관(20) 주위의 지하수도 함께 배수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20)에는 드레인보드(10)의 조립을 위해 드레인보드(10)의 폭과 동일 또는 그 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측면홀(27)을 가공하여 상기 측면홀(27)을 통해 드레인보드(10)와 배수관(20)의 조립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공방법은 먼저, 시공하고자 하는 지표면을 소정의 깊이만큼 길이방향으로 길게 중앙매립홀(40)을 굴착하는 단계(S1), 상기 중앙매립홀(40)의 양쪽에 서로 직교되는 다수의 가지홀(50)을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하는 단계(S2), 상기 중앙매립홀에 최소한 2~5%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배수관(20)(20')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되게 배치하는 단계(S3), 중앙매립홀(40)의 양쪽으로 형성되는 가지홀(50)에 최소한 2%의 경사도를 이루도록 드레인보드(10)(10')를 배치하는 단계(S4), 서로 마주하는 양쪽 드레인보드(10)(10')의 양쪽 선단부를 배수관(20)의 측면홀(27)에 끼워지도록 차례로 조립하는 단계(S5), 상기 배수관(20)과 드레인보드(10)가 연결되는 조립부 상면을 보호테이프(60)로 고정하는 단계(S6), 보호테이핑이 완료된 드레인보드(10)와 배수관(20) 위로 흙(100)으로 매립하여 평탄면을 조정하는 마무리단계(S7)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굴착비가 적게 들고, 자갈, 모래, 부직포가 필요 없으며, 유지비가 들지않고,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드레인보드의 내부의 배수공과 연통되는 다수의 슬릿홈이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배수공이 쉽게 함몰되지 않고 최대한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시공작업 후 배수관의 막힘없어 배수효능이 영구히 지속될 수 있는 것이며, 단위 표면적과 전체길이의 20%이상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모집면적이 크고, 얇고 유연한 드레인보드는 지표의 요철을 따라 쉽게 적용하기 때문에 어떠한 배수지도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이 시공된 부위를 중장비가 지나가더라도 별다른 보강작업을 요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모세관 현상, 표면장력, 사이펀 현상이 조화를 이루어 최대의 배수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반경 1M 주위의 물도 흡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드레인보드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드레인보드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배수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드레인보드 12,22: 배수공
13,13a,13b,23: 슬릿홈 20,20': 배수관
25: 커팅부 30: 연결소켓
40: 중앙매립홀 50: 가지홀
60: 보호테이프 100: 흙
W: 지하수

Claims (4)

  1. 중공파이프로 형성되는 배수관(20)과, 내측에 다수의 배수공(1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2)과 연통되는 슬릿홈(13)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드레인보드(10)로 구성되어 상기 배수관(20)의 한쪽 또는 양쪽측면으로 최소한 2%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드레인보드(10)가 일정 간격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0)의 외주면에 드레인보드(10)와 동일하게 다수의 배수공(22)과 상기 배수공(22)과 연통되는 슬릿홈(23)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0)과 배수관(20')이 연결소켓(30)을 매개로 조립되는 조립부는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모양으로 절취되는 커팅부(25)를 형성하여 배수공(22)으로 포집되는 지하수는 상기 커팅부(25)을 통해 배수관(20)의 내측으로 배수시키는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4. 시공하고자 하는 지표면을 소정의 깊이만큼 길이방향으로 길게 중앙매립홀(40)을 굴착하는 단계(S1),
    상기 중앙매립홀(40)의 양쪽에 서로 직교되는 다수의 가지홀(50)을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하는 단계(S2),
    상기 중앙매립홀에 최소한 2~5%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배수관(20)(20')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되게 배치하는 단계(S3),
    중앙매립홀(40)의 양쪽으로 형성되는 가지홀(50)에 최소한 2%의 경사도를 이루도록 드레인보드(10)(10')를 배치하는 단계(S4),
    서로 마주하는 양쪽 드레인보드(10)(10')의 양쪽 선단부를 배수관(20)의 측면홀(27)에 끼워지도록 차례로 조립하는 단계(S5),
    상기 배수관(20)과 드레인보드(10)가 연결되는 조립부 상면을 보호테이프(60)로 고정하는 단계(S6),
    보호테이핑이 완료된 드레인보드(10)와 배수관(20) 위로 흙으로 매립하여 평탄면을 조정하는 마무리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시공방법.
KR1020070110477A 2007-10-31 2007-10-31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44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77A KR20090044391A (ko) 2007-10-31 2007-10-31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77A KR20090044391A (ko) 2007-10-31 2007-10-31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391A true KR20090044391A (ko) 2009-05-07

Family

ID=4085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477A KR20090044391A (ko) 2007-10-31 2007-10-31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3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54B1 (ko) * 2010-01-29 2011-03-23 안덕노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배수장치
KR101646575B1 (ko) * 2015-08-31 2016-08-08 삼부토건주식회사 급배수형 워터 벨트를 이용한 지중 급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공법
CN110093938A (zh) * 2019-04-29 2019-08-06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基于竖向排水通道的生态混凝土护坡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54B1 (ko) * 2010-01-29 2011-03-23 안덕노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배수장치
KR101646575B1 (ko) * 2015-08-31 2016-08-08 삼부토건주식회사 급배수형 워터 벨트를 이용한 지중 급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공법
CN110093938A (zh) * 2019-04-29 2019-08-06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基于竖向排水通道的生态混凝土护坡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331B1 (ko) 유공관을 이용한 구조물 지하배수공법
KR100593786B1 (ko) 터널 배수구조
RU206713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сачивания загрязненной воды из хранилища отходов и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просочившейся воды из хранилища отходов
KR100618407B1 (ko) 도로 경사면용 배수로장치
KR100961174B1 (ko) 드레인 벨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배수장치
KR100676164B1 (ko)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KR20090044391A (ko)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15151731A (ja) 基礎保水透水構造及びその蓄水システム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100973089B1 (ko) 드레인 벨트를 이용한 지하수 배수장치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055349B1 (ko)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KR20080099937A (ko) 계단식 화단 옹벽용 배수구조 및 계단식 화단 옹벽시공방법
JP2006002529A (ja) 液状化防止構造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JP6037770B2 (ja) 排水システムおよび排水方法
CN102134845A (zh) 排水带和使用该排水带引导地下水的装置
JPH11100870A (ja) 取水トンネル及びセグメント
KR20120139874A (ko) 통수 개수로와 투수성 배수재를 이용한 연약지반 집배수 시스템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KR100583558B1 (ko) 건축단지의 조립식 옹벽 구조물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KR20030047137A (ko)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KR20060063827A (ko) 조립식 배수 관과 이를 이용한 속성 배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