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047A - 하천의 정수용 블럭 - Google Patents
하천의 정수용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7047A KR20110057047A KR1020090114257A KR20090114257A KR20110057047A KR 20110057047 A KR20110057047 A KR 20110057047A KR 1020090114257 A KR1020090114257 A KR 1020090114257A KR 20090114257 A KR20090114257 A KR 20090114257A KR 20110057047 A KR20110057047 A KR 201100570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river
- reservoir
- wall
- drainage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등에서 흐르는 물 등을 저장하면서 정수되도록 제공하는 하천의 정수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보 등에서 양측 가장자리로 유도되는 하천물을 효과적으로 저수를 하는 저수조와, 이에 정수되는 정수조에 대한 구조를 제공하여서, 하천 등을 흐르면서 지나가는 물을 효과적으로 저장 및 정수를 하면서 친환경적인 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천의 정수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을 흐르는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지형에 보 등의 물막이 등을 구축하여서 물을 저장으로서 생활용수에 필요한 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하천 부지에 형성으로서 시공이 어려운 면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하천(11)의 가장자리의 기소부(13)에 구축된 제방(12) 사이를 서로 연결로 막아서 구비되는 보(20)로 구성되는 상,하측 하천(111)(112)에 있어서,
상기 보(20)의 양측 가장자리의 제방(12)에서, 하천(11)에 따라 상,하측 하천(111)(112)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저수조(33)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저수조(33)에는 내,외측으로 벽면(38)(40)과 상측면을 형성하여 주되 양측 가장자리에는 차단벽(27)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상측면의 양측 모서리에서 외측둘레로 확장되면서 돌출되는 난간(42)을 형성하여서 도로(41)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내측벽면(38)의 상,하측 하천에는 각각 유입구(43)와 보조배출구(17)을 형성하여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여과대(30)의 상측인 도로(41)에는 청소용 뚜껑(32)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저수조(33)에는 망상의 보조벽체(29)(29')를 형성하여 주되, 상기 보조벽체(29)(29') 사이에는 여과조(30')의 적층으로 여과대(30)를 쌓아주도록 구비함으로서 정수조(20)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저수조(33)의 하측 기소부(13)에 흡입구(22)가 천공된 암거배수관(48)(48')을 매설시켜 제공되는 발명이다.
하천, 저수조, 여과대, 정수조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천 등에서 흐르는 물 등을 저장하면서 정수되도록 제공하는 하천의 정수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보 등에서 양측 가장자리로 유도되는 하천물을 효과적으로 저수를 하는 저수조와, 이에 정수되는 정수조에 대한 구조를 제공하여서, 하천 등을 흐르면서 지나가는 물을 효과적으로 저장 및 정수를 하면서 친환경적인 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천의 정수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을 흐르는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지형에 보 등의 물막이 등을 구축하면서 물을 저장함이며, 또한 상기 저장된 물을 집수함으로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물을 집수하고 있는 것이다.
즉 지형에 따라 형성되는 하천의 보에 대한 친환경적으로 빗물을 저장하여서 장기적으로 생활용수에 대한 장기적인 물을 공급하고, 또한 저수에 필요한 면적을 경제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산간이나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구릉지에 내려오는 빗물은 대부분 흘러 내려서 하천이나 들판 등을 흐르는 강으로 흘러가도록 되어 있는데, 지구의 온난화 등으로 기후의 변화 등으로 가뭄이 발생으로 인하여, 물의 부족이 심화되는 현상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고로 빗물이 내리는 물을 저장하는 시설에 대한 확대가 요구되는 바, 이에 대한 빗물 등을 저장하기 위하여 하천에서 보 또는 저수지 등을 구축하여 주어서 자연적으로 빗물이 흘러서 저장하도록 사용을 하고 있으나, 상기 사용되는 저수지 등으로 필요로 하는 지역은 사용 가능한 토지에 대한 수몰을 가져오므로 이로 인하여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고로 상기 하천을 가로 막아주도록 구축되는 보 등에서는 저장되는 동안에는 집수를 위하는 별도의 집수정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하천수에 대한 정수를 정화장치의 구비 및 정비에 대하여 유지비가 막대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천 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구축되는 보나 댐 등의 양측 가장자리에 물을 용이하게 저장을 위하도록 블록을 돌출로 형성하여 조되,
상기 블록에 정수용 정수대를 형성하여서 오염된 물을 정화하여 주기 위함으로서, 본인의 선 발명 출원된 2009년 34100호에 대한 보강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하천수를 저장하는 구간의 확대와 정수로 사용을 하여 주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저수지에서 집수를 위하는 지역에 대한 효율화 및 하천을 흐르는 물을 저장으로서 가뭄이나 폭우 등에 대비하여 물의 저장이나 저수를 위하는 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하천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축되는 제방이나 보에 대한 주변을 저수구간으로 형성하여서 물에 대한 저장을 보강하여 주면서, 집수된 물의 친환경적인 정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하천(11)의 가장자리에 성토대로 구축된 제방(12) 사이를 서로 연결로 막아서 구비되는 보(20)에 있어서,
상기 보(2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천(11)에 따라 상,하측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저수조(33)가 제방(12)에 형성하여 주고,
상기 저수조(33)에는 내,외측으로 형성되는 벽면(38)(40)과 상측면을 형성하여 주되, 상기 상측면의 양측 모서리에서 양측으로 확장되면서 돌출되는 난간(42)을 형성하여서 도로(41)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내측벽면(38)의 상,하측 하천에는 각각 유입구(43)와 보조배출구(17)을 형성하여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여과대(30)의 상측인 도로(41)에는 청소용 뚜껑(32)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저수조(33)에는 망상의 보조벽체(29)(29')를 형성하여 주되, 상기 보조벽체(29)(29') 사이에는 여과조(30')의 적층으로 여과대(30)를 쌓아주도록 구비함으로서 정수조(20)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저수조(33)의 하측 기소부(13)에 흡입구(22)가 천공된 암거배수관(48)(48') 등을 매설시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암거배수관(48)의 내측면에 상,하측으로 대칭되게 프레임(50)을 설치하여 주되, 상기 상,하측의 프레임(50) 사이를 지지기둥(51)과 보조기둥(51') 사이에 조임부(52)를 나선조립으로 지지시켜서 고정시켜 주고,
상기 지지기둥(51)의 가장자리 부위에 경사 지지대(58)를 상,하측의 프레임(50)과 경사지게 연결로서, 상기 암거배수로관(48)의 연결부(60)의 결속력을 보강시켜 주고, 상기 암거배수관(48)을 구성하는 몸체의 두께를 형성하는 후육의 내,외벽(25)(26) 사이에 보강구(55)(55')를 2∼3층 구조로 형성하여 주되, 상기 보강구(55)(55')사이에는 벽체(56)를 보강대로 연결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흘러내리는 하천 물을 효과적으로 저장을 하면서, 하천 등의 저수용 댐을 대체하는 용량으로 제공하여서, 용수에 필요한 물을 장기적으로 제공함이며, 또한 적층된 블록의 저수조에 대한 용이한 시공을 수행하도록 하천의 하상에 매설로 제공함이며, 하천의 하상에 저수된 물이 하천수의 이동력에 의하여 제방의 기소부를 통과하여서 이동하여 줌으로서, 주위의 농경지나 택지 등에 침수되는 문제를 해결하려 주는 발명이다.
고로 본 발명은 저수공간에 대한 지중 침수량의 확대로 지하수의 효과를 증대 하면서 장기적인 저장력과 정수기능을 보강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친환경적인 장치이다.
상기 설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도1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사시도이며, 도2는 도2a,b는 도1에서 A-A선 단 면도 및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6은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7은 도4에서 C-C선 단면도이다.
즉 하천(11)에서 물이 흐르는 동안에 폭우 또는 홍수 등에 의하여 불어나는 하천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하천의 가장자리에 구축된 제방이나 비탈면(12) 등에 의해서 물이 흐르도록 구성되는 하상에 있어서, 지중 매설시켜서 하천수에 대한 저수공간을 제공하여 주되, 지중 매설에 따른 외토압 보강을 제공하여 주기 위하는 구조로 보강하는 발명으로서, 하천(11)을 형성하는 하상(14)의 양측 가장자리인 기소부(13)에 성토로서 구축되는 제방(15)에서,
상기 보(19)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소정의 깊이와 길이로 구비되도록 저수조(33)를 형성하여 준다.
즉 상기 저수조(33)의 구비는 보(19)를 중심으로 상,하측 하천(111)(112)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시켜 구성시켜 주되, 상기 저수조(33)는 하천(11)을 기준으로 하여서 설명을 하면, 내측벽(38)과 외측벽(40) 사이로 저수구간을 형성하여 주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소정의 깊이와 높이로 형성하여 주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차단벽(27)으로 차단시켜서 저수조(33)가 구축되도록 제공하여 준다.
또한 내측벽(38)과 외측벽(40)의 상측 모서리 사이에는 상측면을 구성시켜 준다. 또한 상기 보(19)의 구조를 만곡으로 곡선의 보(19')로 형성하여 주면, 내수압을 보강시켜 주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상측면의 모서리에서 외측 둘레로 돌출되는 모서리부에서 돌출되는 난간(42)을 형성함으로서, 도로(41)을 구비하여 주어서, 상기 저수조(33)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높이를 높혀주면서 연결되는 제방(15)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도로에 맞추어서 설치함으로서 연결시켜 주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보(19)의 양측으로 구축되는 저수조(33)를 형성하는 내측벽면(38)의 상,하측 하천(111)(112)에는 각각 유입구(43)와 보조배출구(17)을 형성하여서 제공하여서 하천(11)을 흐르는 하천수가 장마 등으로 불어나는 경우, 상기 저수조(33)의 내측구간을 지나면서 흐르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도1 내지 도2)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일측이 비탈면(12)이나 경사지에 인접하는 하천(11)에서는 상기 비탈면에 인접하는 지역에서는 자연 상태의 그대로 적용을 하여 주고, 제방(15)이 구축되는 물막이 지역에서 본 발명의 요부인 블록(10)을 시용하여 주도록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도3)
또한 상기 보(19)의 하측하천(112)인 하측부위로 돌출되는 저수조(33)에서 하천수에 대한 정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대(30)의 상측면인 도로(41)에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 후술되는 여과대(30)를 설치하는 구간에 맞추어서 청소용 뚜껑(32)을 조립으로서 개폐시켜 주도록 형성하여 주고,
상기 저수조(33)에는 상기 청소용 뚜껑(32)에 맞추어서, 망상의 보조벽체(29)(29')를 형성하여 주어서, 하천수가 지나면서 정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기간마다 청소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보조벽체(29)(29') 사이의 구간에는 다수개의 여과대(30)를 적층으로 쌓아주도록 구비함으로서 상기 저수조(33)의 하측부위에 정수조(20)를 형성하여 준다.(도4 내지 도6)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여과대(30)는 소정의 크기로 불럭형으로 구성되는 여과조(30')로 형성하여 주도록 하면서 상기 보조벽체(29)(29') 사이에 서로 적층으로 쌓아서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여과대(30)에 적층으로 담겨지는 여과조(30')에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을 하면, 세모래, 참숯 등과 같은 재료 등을 여과포에 담아준 다음, 이에 맞추어주는 앵글과 같은 프레임 등으로 고정시켜 준다.(도7)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천(11)에 저수용량을 극대화 하여 주도록 상기 보(19)의 높이를 높혀 주면서, 이에 따른 제방(15)의 높이를 맞추어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따라 주위의 농경지나 택지 등에 제방(15)의 기반인 기소부(13)로 침출되는 하천수 또는 지하수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서 지표로 노출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우려가 높은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주위의 농경지 등에 침출되는 지하수 등을 차단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저수통(33)이나 제방(15)의 하측 기소부(13)에 암거배수관(48)을 매설시켜 제공되는 발명이다.
즉 상기 저수조(33)의 외측부위에 따라 침투되는 하천수 등을 상기 암거배수관(48)으로 흡입을 하여 줌으로서, 이를 통과하는 하천수 등을 흡입하여 주도록, 도면에 미도시된 흡입펌프 등에 연결되는 흡입관(16)으로 배출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방(15)이나 저수조(33)용 블록(10)을 구축하는 기소부(13)에다 흡입구(22)가 다수개 천공된 암거배수관(48)을 제방(15)의 길이방향에 따라 매설하여 주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상기 농경지(18) 등에 대한 참수의 위험을 방지하여 주도록 보강을 위하여서는 상기 암거배수관(48)을 다수개의 암거배수관(48)(48')로 더 설치함으로서, 상기 기소부(13)에서 이동하는 하천수 등의 침출을 방지하는 데 더 보강을 하여 주는 발명이다.(도5,도6)
고로 본 발명은 상측하천(111)으로 유입되는 하천수가 보(19)에 의하여 저장이 되면서 내측벽(38)에 구비되는 유입구(43)로 유입이 되면서 저수조(33)로 저장이 되는 구조로서, 이는 상기 보(19)의 양측 가장자리로 통과를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수조(33)에 저장이 되면서 보(19)의 구간을 통과하는 하천수는 하측하천(112) 부위의 저수조(33)에 형성되는, 보조벽체(29)(29') 사이에는 쌓아주는 여과대(30)의 여과조(30')를 통과함으로서 하천수가 정화를 하여 주도록 제공함이며, 이때 정화된 정수 물은 정수조(20)에 저장이 되는 발명이다.(도6)
여기서 상기 정수조(20)에는 도면에 미도시된 급수폄프 등에 연결된 급수관(21)으로 생활용수 및 농,공업용 등으로 급수를 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즉 상기 저수조(33)의 하측 구간인 하측하천(112)부위에 정수조(20)를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저수조(33)의 하측 구간인 하측하천(112)부위에서는 장마 등으로 상기 정수하는 여과대(30)의 용량에 비교하여 과량의 물이 흐르면, 저수조(33)의 내측벽(38)에 형성되는 보조배출구(17)를 통하여서 하측하천(112)으로 배출하여 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33)는 도면 중 미 설명된 펌프 등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천수를 저장함으로서 물을 공급하여 주며, 또한 날씨가 건조하면서 가뭄이 계속되어서 용수 등이 부족하는 경우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하는 물을 저장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실시예1]
하천(11)에다 물의 저장성 및 이동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보(19)의 높이를 높혀주면서, 하천(11)의 하상()을 터 파기로 깊게 형성을 하면서 양측 가장자리에 구축되는 제방(15)의 높이를 높혀주는 형상이 대체적으로 하천(11)의 보(19)에 대한 설치를 하여 주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하천수의 저수 용량 및 저수위치가 더 낮은 바닥으로부터 저수된 물의 높이가 더 높아지는 현상 즉 하천(11) 주위에 형성되는 농경지나 택지 등에 지하수의 용출에 대한 균형의 유지가 무너져서, 장마 또는 폭우 등으로 하천수가 불어나는 경우에는, 하천수의 용출로 침수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우려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적한 바와 같이, 과용량의 하천수에 대한 주위의 농경지에 대한 침출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구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도8은 본 발명의 요부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9는 도8에 서 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며, 도10은 도9에서 D-D선 단면도이며, 도11은 도9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12는 도11에서 E-E선 단면도이며, 도1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하천(11)을 형성하는 하상(14)의 양측 가장자리를 기소부(13)로 다짐작업을 하여서 기소부(13)로 보강시켜 준 다음 구축되는 제방(15)에 있어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하상(14)을 터 파기하여서 더 깊게하고, 또한 보(19)의 높이를 더 높혀주면서, 이에 따른 제방(15)의 높이를 더 높게 맞추어 주도록 하여서, 가능한 많은 량의 물을 저장을 하도록 제공되는 하천(11)에 있어서는, 특히 하천(11)의 주위에 형성되는 택지 또는 농경지(18) 등에는 지하수 및 하천수에 대한 수위에 대한 균형이 무너지면서 폭우가 쏟아지는 장마 등에서는 침출수의 범람에 대한 우려가 발생을 하는 것이다.
이는 하천(11)에 저장된 하천수의 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무게의 상승으로 인하여, 제방(15)을 구축하여 주는 기소부(13)에 대한 하천수의 침출하여는 구조에 대하여 차단을 시켜주는 보강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소부(13)에 하천(11)의 길이방향에 따라 다수개의 유입구(46)가 연속 반복적으로 천공이 되는 암거배수관(48)을 매설시켜서, 상기 기소부(13)로 침투되는 하천수 등을 흡입으로 재거하여 주도록 제공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암거배수관(48)은 소정의 길이와 배출하는 물의 용량에 맞추어 주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이 됨으로서, 서로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을 시켜서 매설하 려는 길이로 연결시켜서 사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고로 상기 하천수의 저장된 물의 증가에 의한 수압에 의하여 기소부(13)에 침수가 되면, 다져진 기소부(13)의 토사가 연약지반으로 형성이 됨으로서, 상기 기소부(13)에 서로 연결로서 매설된 암거배수관(48)의 연결부(60)에서 서로 비틀러지는 현상의 발생 뿐 만 아니라, 지반의 약화로 인하여 외토압의 증가로 인하여 상기 암거배수관(48)의 단면이 찌그려져서,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 소기의 목적을 제공함에는 문제가 발생하는 여지가 많은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재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연속적으로 매설되는 암거배수관(48)의 길이방향에 따라 서로 연결되는 내측면에 따라 상,하측으로 대칭되게 프레임(50)이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하여 주되, 상기 대칭적인 상,하측의 프레임(50)의 연속되는 길이방향의 사이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주면서 지지하여 주도록 순차적으로 각각의 지지기둥(51)과 보조기둥(51')을 설치하여 주되, 상기 지지기둥(51)과 보조기둥(51') 사이에 걸이(49)를 조임부(52)로 나선조립으로 지지시켜 주도록 고정시켜 줌으로서, 상기 암거배수관(48)에 가해지는 외토압에 대한 지지력 및 연결부위에 대한 결속력을 보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측 프레임(50)과 지지기둥(51) 사이에 서로 수직상태의 지지기둥(51)이 유지하여 주면서, 이에 따라 암거배수관(48)을 연결하는 연결부(60)가 비틀림 등으로 연결상태가 풀어지는 문제에 대한 보강을 위하여,
상기 지지기둥(51)의 가장자리 부위에 경사 지지대(58)를 상,하측의 프레임(50)과 경사지게 연결로서, 상기 암거배수로관(48)의 연결부(60)의 결속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도10)
여기서 상기 지지기둥(51)과 경사지지대(58) 사이의 조립은 통상적으로 볼트와 너트 등으로 조립하여 주어도 무방하다 할 것입니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51)과 프레임(50) 사이의 조립부는 상기 지지기둥(51)의 단부에 프렌지 등으로 서로 접합면을 증가시켜 주도록 하며,
또한 상기 지지기둥(51) 등은 수중에서 사용을 하여 주도록 내구성이 양호한 스텐재질이면서 보조기둥(51')과 조립으로 높이에 대한 길이를 조절하면서 조립되는 나사부와 너트 등으로 구비하여 준다.
또한 지지기둥(51)과 보조기둥(51')의 사이에 대한 조립구조의 설명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을 하면, 나선결합 및 걸이(49)로 높이가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구조는, 건축업계 등에서 거푸집공사 도중에 널리 사용되는 구조를 인용 사용하여 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 상태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50)과 지지기둥(51)사이의 조립 장치는 상기 암거배수관(48)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주도록 하여서, 단면이 서로 교차 상태로의 지지구조가 형성되도록 제공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교차상태의 지지기둥(51)은 서로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소정의 간격의 사이인 여유 공간에 설치하여 준다. (도8 내지 도12)
또한 상기 기소부(13)에 매설되는 암거배수관(48)(48')은, 상기 하천수가 기소부(13)에 침수되는 물의 양은 많은 량의 구조로 사료 되는 바, 이의 배출에 대한 적절한 용량인 중,대규격인 크기이면서 단면이 4각형 또는 원주형의 암거배수관(48)으로 매설하여 주어야 하는 것이다.
고로 이는 중,대규격인 크기의 암거배수관(48)은 자체중량이 무거우므로, 이로 인하여 상기 하천수가 침출로 연약해진 토사에 대한 매설은 특히 연결부위의 풀림으로 인하는 침하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고로 상기 암거배수관(48)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중량이 가벼우면서 내충격성과 경량성 및 내구성 등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제로 제조되는 암거배수관(48)을 제공하는 바, 이를 구성하는 몸체의 두께를 구비하는 후육의 내,외벽(25)(26) 사이에 보강구(55)(55')를 2∼3층 구조로 형성하여 주되, 상기 보강구(55)(55')사이에는 벽체(56)를 보강대로 연결시켜서, 보강 중공구로 형성하는 경량의 암거배수관을 제공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도13)
도1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사시도
도2a,b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 및 실시예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5는 도4에서 B-B선 단면도
도6은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7은 도4에서 C-C선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요부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9는 도8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단면도
도10은 도9에서 D-D선 단면도
도11은 도9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12는 도11에서 E-E선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명칭*
10. 블록 11. 하천 12. 비탈면 13. 기소부 14. 하상
15. 제방 16. 흡입관 17. 보조배출구 18. 농경지
19. 보 20. 정수조 22. 흡입구 21. 급수관 25. 내벽 26. 외벽
29,29'. 보조벽체 30. 여과대 31. 통과구 32. 뚜껑
33. 저수조 40. 내측벽 41. 도로 42. 난간
43. 유입구 48,48'. 암거배수관 50. 프레임 51. 지지기둥
52. 조임부 54. 경사프레임 55. 보강구 56. 벽체
58 경사지지대 60. 연결부
Claims (3)
- 하천(11)의 가장자리의 기소부(13)에 구축된 제방(12) 사이를 서로 연결로 막아서 구비되는 보(20)로 구성되는 상,하측 하천(111)(112)에 있어서,상기 보(20)의 양측 가장자리의 제방(12)에서, 하천(11)에 따라 상,하측 하천(111)(112)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저수통(33)을 형성하여 주고,상기 저수조(33)에는 내,외측으로 벽면(38)(40)과 상측면을 형성하여 주되 양측 가장자리에는 차단벽(27)을 형성하여 주고,상기 상측면의 양측 모서리에서 외측둘레로 확장되면서 돌출되는 난간(42)을 형성하여서 도로(41)를 구비하여 주고,상기 내측벽면(38)의 상,하측 하천에는 각각 유입구(43)와 보조배출구(17)을 형성하여서 제공되는 하천의 정수용 블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19)를 만곡형의 보(19')로 형성하여 주고,상기 여과대(30)의 상측인 도로(41)에는 청소용 뚜껑(32)을 형성시켜 주고,상기 저수조(33)에는 망상의 보조벽체(29)(29')를 형성하여 주되, 상기 보조벽체(29)(29') 사이에는 여과조(30')의 적층으로 여과대(30)를 쌓아주도록 구비함으로서 정수조(20)를 형성하여 주고,상기 저수조(33)용 블록(10) 및 제방(15)의 하측 기소부(13)에 흡입구(22)가 천공된 암거배수관(48)(48')을 매설시켜 제공되는 하천의 정수용 블록.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암거배수관(48)의 내측면에 상,하측으로 대칭되게 프레임(50)을 설치하여 주되, 상기 상,하측의 프레임(50) 사이를 지지기둥(51)과 보조기둥(51') 사이에 조임부(52)를 나선조립으로 지지시켜서 고정시켜 주고,상기 지지기둥(51)의 가장자리 부위에 경사 지지대(58)를 상,하측의 프레임(50)과 경사지게 연결로서, 상기 암거배수로관(48)의 연결부(60)의 결속력을 보강시켜 주고,상기 암거배수관(48)을 구성하는 몸체의 두께를 형성하는 후육의 내,외벽(25)(26) 사이에 보강구(55)(55')를 2∼3층 구조로 형성하여 주되, 상기 보강구(55)(55')사이에는 벽체(56)를 보강대로 연결시켜서 제공되는 하천의 정수용 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4257A KR101625216B1 (ko) | 2009-11-23 | 2009-11-23 | 하천의 정수용 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4257A KR101625216B1 (ko) | 2009-11-23 | 2009-11-23 | 하천의 정수용 블럭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7047A true KR20110057047A (ko) | 2011-05-31 |
KR101625216B1 KR101625216B1 (ko) | 2016-06-01 |
Family
ID=4436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4257A KR101625216B1 (ko) | 2009-11-23 | 2009-11-23 | 하천의 정수용 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521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13597A (ja) * | 1989-09-27 | 1991-05-14 | Omron Corp | 検出装置および検出システム |
KR20000012145A (ko) * | 1999-09-11 | 2000-02-25 | 박정서 | 집 배수관 |
KR20060011906A (ko) * | 2006-01-17 | 2006-02-03 | 이헌구 | 제방 보호용 수중보 시공방법 |
KR20090090252A (ko) * | 2008-09-30 | 2009-08-25 | 민승기 |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69204A (en) * | 1995-12-21 | 1998-06-23 | Sandvik Sorting Systems, Inc. | Singulator conveyor system having package-return conveyors |
-
2009
- 2009-11-23 KR KR1020090114257A patent/KR1016252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13597A (ja) * | 1989-09-27 | 1991-05-14 | Omron Corp | 検出装置および検出システム |
KR20000012145A (ko) * | 1999-09-11 | 2000-02-25 | 박정서 | 집 배수관 |
KR20060011906A (ko) * | 2006-01-17 | 2006-02-03 | 이헌구 | 제방 보호용 수중보 시공방법 |
KR20090090252A (ko) * | 2008-09-30 | 2009-08-25 | 민승기 |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5216B1 (ko) | 2016-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72754B2 (ja) | 耐震貯水堤防とその設置工法 | |
KR101518865B1 (ko) | 옹벽용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 |
KR20100110994A (ko) | 경사지의 지중에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블럭 | |
JP5726507B2 (ja) | 筒状濾過槽及び雨水処理装置 | |
CN207749602U (zh) | 用于建筑小区内绿地和人行道的雨水渗井 | |
JP2004019122A (ja) |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 |
KR100736157B1 (ko) |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KR20100079623A (ko) | 배수용 주름유공관 | |
KR20140122781A (ko) |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 |
KR100629152B1 (ko) |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 |
KR20110057047A (ko) | 하천의 정수용 블럭 | |
CN210507515U (zh) | 一种绿化型重力式挡土墙 | |
CN211256846U (zh) | 一种可疏通排水的水利工程用挡土墙 | |
CN209958480U (zh) | 一种景区绿化蓄水池结构 | |
JP3477001B2 (ja) | 地下貯水槽 | |
JP3556784B2 (ja) | 地下貯水槽等に用いる積上げ部材 | |
CN112609731A (zh) | 一种柔性透水路堑挡墙及施工方法 | |
JP3311741B1 (ja) | 管体集成構造体 | |
CN206360052U (zh) | 一种海绵式雨水渗透收排系统 | |
CN206581383U (zh) | 一种渗透式雨水调蓄池 | |
CN205329835U (zh) | 一种兀形预制混凝土构件渗透滞留池 | |
JP2005179919A (ja) | 雨水等の貯留浸透施設 | |
JP4056522B2 (ja) | 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 |
CN218813472U (zh) | 一种水库清淤系统 | |
CN218933167U (zh) | 一种盐渍土地区路基边坡防护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