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256Y1 -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 Google Patents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256Y1
KR200376256Y1 KR20-2004-0034349U KR20040034349U KR200376256Y1 KR 200376256 Y1 KR200376256 Y1 KR 200376256Y1 KR 20040034349 U KR20040034349 U KR 20040034349U KR 200376256 Y1 KR200376256 Y1 KR 200376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groove
fitting
block
slop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Priority to KR20-2004-0034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안, 해안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둑 또는 제방의 토사가 지반 침하나 홍수로 인한 수압 및 유수에 의한 세굴로 인해 붕괴 또는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시공되는 제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하천, 호수 등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이 소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벽을 이루고, 평면에는 제1끼움돌기(제1끼움홈)가 형성되며, 중공은 개구된 정면을 통해 개방되 침수되면서 상기 비탈면 저부의 기초공 상에 조적되는 어소블록; 상기 어소블록의 평면을 덮되 상기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은 상기 경사벽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상기 경사벽과 연면되도록 조적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제1끼움홈)와 맞물리는 제2끼움홈(제2끼움돌기)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끼움돌기(제2끼움홈)가 형성되는 어소블록덮개; 상기 어소블록덮개의 평면을 덮되 상기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은 상기 경사면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벽으로 되어 상기 경사면과 연면되도록 조적되고, 중공은 평면개구되고 저면에는 관통된 배수구가 구비된 식재공간을 이루며, 저면에는 상기 제2끼움돌기(제2끼움홈)와 맞물리는 제3끼움홈(제3끼움돌기)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3끼움돌기(제3끼움홈)가 형성된 식생블록; 및, 상기 식생블록의 평면을 덮어 상기 식재공간을 폐구하되, 저면에는 상기 제3끼움돌기(제3끼움홈)와 맞물리는 제4끼움홈(제4끼움돌기)이 형성된 식생블록덮개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 제방구조물{Terraced dike consist in fishing place blocks and planting blocks}
본 고안은 하안, 해안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둑 또는 제방의 토사가 지반 침하나 홍수로 인한 수압 및 유수에 의한 세굴로 인해 붕괴 또는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시공되는 제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유수 또는 지반의 침하로 둑 또는 제방의 토사가 유실 및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방의 비탈면에 블록ㆍ돌망태ㆍ깬잡석 쌓기ㆍ 사석쌓기, 석축쌓기 등의 제방구조물이 유수의 속도와 지반의 강도 및 비탈면이 위치한 지역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방식과 부재로서 시공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방구조물은 우선 기초다짐공ㆍ밑보호공ㆍ비탈덮기공 등을 통해 비탈면을 고르고, 그 위에 블록이나 돌망태ㆍ사석 등을 씌어 마감한 것으로서, 상기 비탈면 상에 조적되는 상기 블록ㆍ돌망태ㆍ사석(이하 블록)은 그 고정이 블록의 자체 하중에 전적으로 의지되었다. 따라서, 하중이 큰 상기 블록은 비탈면을 이루는 토사의 상면에 단순히 조적되기만 하므로, 비탈면과 블록 간의 결착이 단순하여 제방의 붕괴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이 되었다.
이후, 상술된 종래 제방구조물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상기 블록과 비탈면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앵커와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을 더 포함시켰다. 하지만, 상기 앵커가 포함된 제방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앵커 체결작업의 추가는 작업내용을 번거롭게하고 작업시간을 연장시키게 되므로, 제방구조물 시공에 있어 널리 활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비탈면 상에 조적되는 상기 블록의 경우, 평판형상의 블록과 입체형상의 블록이 있다. 상기 평판형상 블록의 경우에는 단순히 다면체 형상으로 되어서 제방의 비탈면 상에 그대로 조적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한 반면, 비탈면을 이루는 토사와의 결속이 미약하여 견고한 제방구조물을 이루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상기 입체형상 블록의 경우에는 입체형상의 블록 내측에 토사가 충진될 수 있는 중공을 구비하여 비탈면과의 결속이 증대되므로 견고한 제방구조물을 이룰 수 있는 반면, 시공작업의 경우에는 비탈면 상에 상기 입체형상 블록의 안착지점을 고른 후 상기 블록을 조적시키기 위한 성형작업을 진행해야하므로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상기 입체형상의 블록이 계단식으로 조적되는 경우에는 비탈면 또한 계단식으로 성형하여 입체형상의 블록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야 했으므로, 제방구조물의 시공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탈면 상에 계단식으로 적층되는 블록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그 시공작업은 평판형상의 블록을 조적하는 것과 같이 용이하고, 블록간의 결속은 물론 블록과 비탈면을 이루는 토사와의 결속도 증가시켜 보다 견고하고 튼튼하도록 된 제방구조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천, 호수 등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이 소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벽을 이루고, 평면에는 제1끼움돌기(제1끼움홈)가 형성되며, 중공은 개구된 정면을 통해 개방되 침수되면서 상기 비탈면 저부의 기초공 상에 조적되는 어소블록;
상기 어소블록의 평면을 덮되 상기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은 상기 경사벽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상기 경사벽과 연면되도록 조적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제1끼움홈)와 맞물리는 제2끼움홈(제2끼움돌기)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끼움돌기(제2끼움홈)가 형성되는 어소블록덮개;
상기 어소블록덮개의 평면을 덮되 상기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은 상기 경사면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벽으로 되어 상기 경사면과 연면되도록 조적되고, 중공은 평면개구되고 저면에는 관통된 배수구가 구비된 식재공간을 이루며, 저면에는 상기 제2끼움돌기(제2끼움홈)와 맞물리는 제3끼움홈(제3끼움돌기)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3끼움돌기(제3끼움홈)가 형성된 식생블록; 및,
상기 식생블록의 평면을 덮어 상기 식재공간을 폐구하되, 저면에는 상기 제3끼움돌기(제3끼움홈)와 맞물리는 제4끼움홈(제4끼움돌기)이 형성된 식생블록덮개;
로 이루어진 제방구조물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제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어소공간은 통로가 형성된 격벽에 의해 2 이상의 공간으로 연통가능하게 구획되고, 정면에는 돌출된 감속돌부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제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간이 확장되도록 상기 식생블록의 정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제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의 양측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배면직벽과 정면직벽으로 둘러싸인 환기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배면직벽에는 절개된 통공이 구비되고;
동층에 일렬로 연결된 식생블록들과 상층 및 하층에 일렬로 연결된 식생블록들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되, 상기 식재공간과 상기 환기공간이 상하 교대로 배치되도록 조적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소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어소블록이 조적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방구조물의 일부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방구조물은 제방(B)의 비탈면에 한층 이상의 어소블록(100)과 한층 이상의 식생블록(200)이 복층의 층상구조를 이루면서 조적된 것이다. 이를위해 상기 비탈면 저부에는 상기 블록(100, 200)들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제방의 붕괴를 막는 기초공(400)이 형성되고, 제방을 이루는 토사에는 침식 및 붕괴에 대한 저항력을 갖도록 공극을 줄이는 다짐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다짐작업이 완료된 비탈면 상에 뒷채움잡석(500)을 깔아 본 고안에 따른 제방구조물의 지지력을 보강한다.
한편, 뒤채움잡석(500)의 이탈을 방지하고 비탈면을 가능한한 평평하게 유지시키는 부직포(300)가 상기 뒤채움잡석(500) 상에 도포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토사의 입자자체는 고체이지만 강철과 같은 결정체와는 달리 토사들간의 결속력이 떨어진다. 즉, 토사입자는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외력을 받았을 때에는 입자 상호간에 쉽게 변위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보강토공법을 적용하여 극복한다.
상기 보강토공법은 지오그리드나 지오텍스타일 및 띠형 또는 망으로 된 보강재(600)를 토사에 수평하게 깔아 구조체 배면의 토압을 지탱시키도록 된 방법이다.
즉, 토사를 일정높이만큼 쌓아 다진 후 그 상면에 상기 보강재(600)를 깐 후 그 상면에 다시 토사를 쌓아 다지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서 제방을 지지하는 토사들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이로인한 붕괴의 발생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 상술된 기초공사가 완료된 후 본 고안에 따른 어소블록(100)이 조적된다. 상기 어소블록(100)은 상기 기초공(400) 상에 안착되며, 그 배면은 상기 비탈면의 경사도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져서 비탈면 상에 상기 어소블록(100)은 물론 식생블록(200)의 조적을 위해 별도의 성형작업을 하지 않아도 비탈면이 형성된 제방을 쌓아올린 후 상술된 기초공사 후 곧바로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어소블록(100)은, 하천ㆍ호수 등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이 소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벽(130)을 이루고, 평면에는 제1끼움돌기(101)가 형성되며, 중공은 개구된 정면을 통해 개방되 침수되면서 상기 비탈면 저부의 기초공(400) 상에 조적된다.
상기 어소블록덮개(120)는, 상기 어소블록(100)의 평면을 덮되 상기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은 상기 경사벽(130)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123)으로 되어 상기 경사벽(130)과 연면되도록 조적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01)와 맞물리는 제2끼움홈(122)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끼움돌기(121)가 형성된다.
상기 어소블록(100)은 수중에 서식하는 수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 유수에 대한 유력을 받지 않으므로 수중에 안정된 지역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어소블록(100)은 수심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어소블록(100)이 복층구조를 이루고, 각 층의 어소블록(100) 상에는 어소블록덮개(120)가 조적되어 상기 어소공간(140)의 형성으로 인해 약화된 지지력을 보강한다. 상기 어소공간(140)은 어소블록(100)의 제작상 편의를 위해 그 평면이 개구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어소블록(100)의 평면에는 다른 어소블록 또는 상기 식생블록(200)이 조적되므로, 상기 어소공간(140)으로 인해 소멸된 지지기반을 상기 어소블록덮개(120)로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어소블록(100)의 상면에는 제1끼움돌기(101)가, 그 저면에는 제1끼움홈(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끼움돌기(101)는 상기 어소블록덮개(120)의 저면에 형성된 제2끼움홈(122)과 맞물리므로, 상기 어소블록덮개(120)는 수평방향에 대한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끼움홈(102, 102")의 경우에는 하층에 있는 다른 어소블록(100, 100') 또는 어소블록덮개(120)의 상면에 형성된 제1끼움돌기(122) 또는 제2끼움돌기(121)와 맞물리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소블록(100) 및 어소블록덮개(120)의 각 평면에는 돌기가, 그 저면에는 홈이 형성되도록 되었지만, 이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일 뿐이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어소공간(140)은 통로(151)가 형성된 격벽(150)에 의해 2 이상의 공간으로 연통가능하게 구획되고, 정면에는 돌출된 감속돌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어소블록(100) 내에 다수의 어소공간(140)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어소공간(140)의 수를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가능한한 다양한 어종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격벽(150) 내에 구획된 어소공간(140)을 연통시키는 통로(151)가 형성됨으로서 어소공간(140)에 대한 활용도를 가능한한 높였다.
또한, 상기 어소공간(140) 정면에는 돌출된 감속돌부(1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수중에 위치하는 상기 어소공간(140)의 입구에는 하천수의 강한 흐름이 발생하여 어류들이 상기 어소공간(140)으로 출입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어소공간(140)의 입구에서 일어나는 하천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이를 감속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감속돌부(160)는 하천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함으로서 그 유속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식생블록이 조적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생블록(200)은, 상기 어소블록덮개(120)의 평면을 덮되 상기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은 상기 경사면(123)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벽(250)으로 되어 상기 경사면(123)과 연면되도록 조적되고, 중공은 평면개구되고 저면에는 관통된 배수구(230)가 구비된 식재공간(220)을 이루며, 저면에는 상기 제2끼움돌기(121)와 맞물리는 제3끼움홈(20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3끼움돌기(201)가 형성된다.
상기 식생블록덮개(210)는, 상기 식생블록(200)의 평면을 덮어 상기 식재공간(220)을 폐구하되, 저면에는 상기 제3끼움돌기(201)와 맞물리는 제4끼움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식생블록(200)은 상기 어소블록(100)과는 달리 하천(L)에 침수되지 않는 위치에 조적되며 중공에는 식수(P)가 식재될 수 있는 식재공간(220)이 있다. 따라서, 식재공간(220)에는 토사가 충진되며 우수 또는 하천(L)의 범람으로 상기 식재공간(220)이 침수될 경우, 과하게 공급된 수분을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구(230)가 상기 식재공간(220) 바닥에 형성된다.
상기 식생블록(200)은 제방(B)의 높이에 따라 복층구조를 이루게 되며, 따라서 식생블록(200', 200") 평면에 다른 식생블록(200)이 조적된다. 그런데, 상기 식재공간(220)으로는 상방으로 생장하는 식수(P)가 식재되므로, 상기 식생공간(220)은 상기 식수(P)의 생장에 간섭을 주지 않을만큼 상방으로 충분히 개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식재공간(220)이 확장되도록 상기 식생블록(200)의 정면이 전방으로 돌출된다. 전방으로 돌출된 정면은 확장벽(221, 221')으로 격벽되어서 식재공간(220)에 충진된 토사를 담아둘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으로 조적된 식재블록(200) 내에 식수(P)를 식재하고, 이들이 별다른 간섭없이 상방으로 생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게 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제방구조물은 자연친화적인 모습을 보이게 된다.
한편, 상기 제3끼움돌기(201)와 제3끼움홈(202)은 각각 식재블록(200)의 평면 및 저면에 형성되어 다층으로 조적되는 식재블록(200, 200', 200")들 간의 견고한 상호 결속을 도모한다. 물론, 돌기와 홈의 위치는 평면과 저면에서 뒤바뀔 수 있으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제방구조물은 제방(B)의 비탈면에 별다른 성형없이 비탈면 상에 본 고안에 따른 블록(100, 200)들을 복층으로 조적할 수 있다는 것으로, 상기 비탈면과 직접 맞대어지는 블록(100, 200)의 배면은 모두가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기(101, 121, 201)들과 상기 홈(102, 122, 202)들은 이들과 각각 맞물리게 될 홈(102, 122, 202)들 및 돌기(101, 121, 201)들과 더불어 상기 배면들이 연면되도록 유도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돌기(101, 121, 202)들 및 홈(102, 122, 202)들을 맞춰가면서 본 고안에 따른 어소블록(100) 및 식생블록(200)을 조적하면, 경사벽(130, 250)과 경사면(123)은 연면으로 되어 상기 비탈면에 상응하는 경사부를 이루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식생블록(200)의 양측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배면직벽(204)과 정면직벽(203)으로 둘러싸인 환기공간(240)이 형성되되, 상기 배면직벽(204)에는 절개된 통공(241)이 구비되고, 동층에 일렬로 연결된 식생블록(200', 200")들과 상층 및 하층에 일렬로 연결된 식생블록(200)들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되, 상기 식재공간(220)과 상기 환기공간(240)이 상하 교대로 배치되도록 조적된다. 이때, 상기 정면직벽(203)을 배면직벽(204)보다 길게하여 제방의 커브부분에서 식생블록들 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면직벽(203)의 단부(203a)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되어서 상기 식생블록(200)의 연결 시 상호 간의 빈틈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본 고안에 따른 어소블록 및 식생블록이 조적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공간(220)이 위치하는 하방 또는 상방에는 하층 또는 상층에 위치한 식생블록(200)의 환기공간(240)과 연통되면서 식재된 식수(P)로의 통풍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한편, 상기 환기공간(240) 내에 토사를 충진할 경우에는 식생블록(200)과 비탈면과의 결착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블록(200)은 상층과 하층간의 조적이 계단식으로 되어서 상기 환기공간(240)의 개구된 상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재공간(220)과 더불어 상기 환기공간(240)의 노출된 부분에 식수(P)를 식재함으로서, 상기 식수(P)의 뿌리와 식재를 위한 토사의 충진으로 비탈면에 조적된 식생블록(200)의 결착을 그 하중에만 의존하지 않고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통공(241)은 상기 환기공간(240)의 개방비율을 높임으로서, 상술된 환기공간(240)의 형성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의 배면이 비탈면의 경사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지면서 상기 블록들의 조적을 위해 상기 비탈면에 대한 별도의 성형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식생블록에 구비된 식재공간과 확장공간을 통해 식수 및 토사의 충진에 의한 블록과 비탈면 간의 결착을 증대시켜 제방구조물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소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어소블록이 조적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식생블록이 조적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어소블록 및 식생블록이 조적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방구조물의 일부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어소블록 101 ; 제1끼움돌기
102 ; 제1끼움홈 120 ; 어소블록덮개
121 ; 제2끼움돌기 122 ; 제2끼움홈
123 ; 경사면 130 ; 경사벽
140 ; 어소공간 150 ; 격벽
160 ; 감속돌부 200 ; 식생블록
201 ; 제3끼움돌기 202 ; 제3끼움홈
203 ; 정면직벽 204 ; 배면직벽
210 ; 식생블록덮개 211 ; 제4끼움홈
220 ; 식재공간 230 ; 배수구
240 ; 환기공간 250 ; 경사벽
300 ; 부직포 400 ; 기초공
500 ; 뒷채움잡석

Claims (4)

  1. 하천, 호수 등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이 소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벽을 이루고, 평면에는 제1끼움돌기(제1끼움홈)가 형성되며, 중공은 개구된 정면을 통해 개방되 침수되면서 상기 비탈면 저부의 기초공 상에 조적되는 어소블록;
    상기 어소블록의 평면을 덮되 상기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은 상기 경사벽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상기 경사벽과 연면되도록 조적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제1끼움홈)와 맞물리는 제2끼움홈(제2끼움돌기)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끼움돌기(제2끼움홈)가 형성되는 어소블록덮개;
    상기 어소블록덮개의 평면을 덮되 상기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은 상기 경사면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벽으로 되어 상기 경사면과 연면되도록 조적되고, 중공은 평면개구되고 저면에는 관통된 배수구가 구비된 식재공간을 이루며, 저면에는 상기 제2끼움돌기(제2끼움홈)와 맞물리는 제3끼움홈(제3끼움돌기)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3끼움돌기(제3끼움홈)가 형성된 식생블록; 및,
    상기 식생블록의 평면을 덮어 상기 식재공간을 폐구하되, 저면에는 상기 제3끼움돌기(제3끼움홈)와 맞물리는 제4끼움홈(제4끼움돌기)이 형성된 식생블록덮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소공간은 통로가 형성된 격벽에 의해 2 이상의 공간으로 연통가능하게 구획되고, 정면에는 돌출된 감속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식재공간은 용량이 확장되도록 상기 식생블록의 정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구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의 양측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배면직벽과 정면직벽으로 둘러싸인 환기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배면직벽에는 절개된 통공이 구비되고;
    동층에 일렬로 연결된 식생블록들과 상층 및 하층에 일렬로 연결된 식생블록들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되, 상기 식재공간과 상기 환기공간이 상하 교대로 배치되도록 조적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직벽은 배면직벽보다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단부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구조물.
KR20-2004-0034349U 2004-12-03 2004-12-03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KR200376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349U KR200376256Y1 (ko) 2004-12-03 2004-12-03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349U KR200376256Y1 (ko) 2004-12-03 2004-12-03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256Y1 true KR200376256Y1 (ko) 2005-03-11

Family

ID=4367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349U KR200376256Y1 (ko) 2004-12-03 2004-12-03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25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668B1 (ko) * 2005-10-15 2006-08-01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KR100722156B1 (ko) 2007-03-06 2007-05-28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하천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블록
KR100886746B1 (ko) * 2008-05-21 2009-03-04 태흥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
KR100992377B1 (ko) 2007-07-10 2010-11-10 민승기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
KR20190030530A (ko) * 2017-09-14 2019-03-22 산 조경 주식회사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
KR20220048174A (ko) 2020-10-12 2022-04-19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668B1 (ko) * 2005-10-15 2006-08-01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KR100722156B1 (ko) 2007-03-06 2007-05-28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하천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블록
KR100992377B1 (ko) 2007-07-10 2010-11-10 민승기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
KR100886746B1 (ko) * 2008-05-21 2009-03-04 태흥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
KR20190030530A (ko) * 2017-09-14 2019-03-22 산 조경 주식회사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
KR102069672B1 (ko) * 2017-09-14 2020-01-23 주식회사 해성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
KR20220048174A (ko) 2020-10-12 2022-04-19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07185A (ko) 2020-10-12 2023-07-14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641B1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101301915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US20050100418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KR101221944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
JP3416097B2 (ja) 生態安定化ブロック
KR200376256Y1 (ko)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JP4835940B2 (ja) 堤脚保護擁壁およびその構築工法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WO2011152495A1 (ja) 擁壁構造及び植栽可能な擁壁構築法
JP2002121720A (ja) 堤防のドレーン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JP4629559B2 (ja) ドレーン構造およびドレーン構造の施工方法
KR20050019569A (ko)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KR200300440Y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KR100719520B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KR10064128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KR101385025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JP3462474B2 (ja) 生態系に配慮した護岸構造及び生態系護岸用ブロック
KR100514086B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
KR100689662B1 (ko)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KR100676375B1 (ko) 자연친화형 축조불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217378975U (zh) 一种临海软弱基础挡潮闸复合型基础结构
CN219992335U (zh) 一种防洪堤
KR200324529Y1 (ko) 사각 틀 환경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