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529Y1 - 사각 틀 환경 블럭 - Google Patents
사각 틀 환경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4529Y1 KR200324529Y1 KR20-2003-0012720U KR20030012720U KR200324529Y1 KR 200324529 Y1 KR200324529 Y1 KR 200324529Y1 KR 20030012720 U KR20030012720 U KR 20030012720U KR 200324529 Y1 KR200324529 Y1 KR 2003245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block
- space
- concrete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벽이 수직벽으로 구성되고 내벽은 경사진 사각 외곽 틀과 외곽 틀 내부의 공간부를 4등분하는 절두 원추형 단면의 칸막이 틀로 구성되고 내부 칸막이 틀은 외곽 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었으며, 외곽 틀의 모서리 부분에 절각부가 형성되어 절각부에 작업용 고리가 부착되고 저면에는 공간부를 덮는 부직포가 부착된 사각 틀 환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사각 틀 환경 블럭은 하천의 제방이나 유수지, 해안 등의 경사면 보호에 사용되며 사면침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각틀 공간부에 토사채움과 식재시 식생녹화호안, 석재채움시 친환경 등의 여러가지 호안형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공간부의 넓이, 깊이를 크게 하는 다공간 사각형틀 형상으로써 블록 바닥면에 내식, 내구성 부직포를 일체화시켜 구조적 안정은 물론 제작과 시공이 수월하고, 공간부에 다양한 채움재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형태의 친경관 및 식생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하천의 제방이나 유수지, 해안, 도로경사면 등에 설치되는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호안 블럭은 사각 콘크리트 틀로 구성되며 상/하가 개방되게 통공시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를 칸막이 틀로 4등분하며 그 저면에 내식, 내구성 부직포를 일체로 부착시키고, 상기 공간부에 각종 채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호안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사면 보호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호안블럭은 주로 밀폐형으로 이는 식생활착 곤란과 콘크리트 질감에 따른 경관불량 등의 문제점을 가져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 친환경 관련 블록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공간부가 작아 식생활착 곤란, 유수와 접할시 토사유출, 콘트리트 온도상승 영향, 수납부 채움시 인력작업 등으로 생태적, 경관적 효과가 적고 고가이며, 공사 기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블록 저면의 토사유출 방지를 위한 부직포(필터매트) 설치가 대부분 병행되어 식생활착이 어렵고 시공도 불편하였다.
실용신안등록 제211037호는 여러 개의 블록을 결합하여 1개의 공간부를 만드는 블록이 공개되었으나 이러한 형태의 블록은 블록간의 결속이 파괴되기 쉽고 공간부의 깊이가 얕아 토사유출 방지용 부직포(필터매트) 설치 시 식생이 곤란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284981호의 블록은 공간부의 면적 및 체적이 작아 콘크리트 온도상승 영향과 본체 저면부의 앙카망체층이 유수와 접촉할 때 토사가 유출되므로 구조적으로 불안하다. 또한 블록 1개당 면적 및 체적이 소형으로서 기계시공이 곤란하고, 호안 간 결속부가 복잡하여 정밀시공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등록실용신안 20-0307894호의 블록은 공간부가 소형이므로 식재면적이 작고 저면부의 부직포가 부식성 코코아 잎의 천연재를 사용하고 있어서 식물활착에는 효과적이나 토사유출방지에는 미흡하다. 전술한 블럭은 식생전용 블록으로써 제작 장에서 식생을 위한 공간부의 채움을 일체화하여 출하하도록 되어 있어서 고가이고, 블록이 소형으로 되어 있어서 기계시공이 곤란하고 호안 간 결속장치가 없어 구조적으로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블록을 대형으로 제작하되 사각 외곽 틀 내부의 공간부를 칸막이 틀을 사용하여 4등분하고 사각틀 형상의 공간부에 표출하고자 하는 계획에 따라 채움재를 현장에서 투입하고, 블록제작시 내식, 내구성 부직포 설치하여 호안 붕괴의 주원인인 배면토사 유출을 방할 수 있도록 하고 블록의 다양성과, 시공성, 경제성, 안정성, 환경성 등에서 우수한 사각 틀 환경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친환경 블럭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블록을 상하로 관통되는 대형의 콘크리트 사각형 외곽 틀로 형성하고 외곽 틀 내부에 외곽 틀 보다 높이가 낮은 칸막이틀을 일체로 형성하여 외곽 틀 내부의 공간부를 4등분하여 네 개의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고 저면에는 화학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부착하며 외곽 틀의 모서리 부분에 절각부를 형성하여 절각부에 연결용 고리를 부착하여서된 본 고안의 사각 틀 환경 블록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은 제작 장에서의 블록 제작과 현장에서 시공이 수월하도록 하기 위하여 곡면을 배제하였고, 사각형틀의 상면폭이 하면폭 보다 작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채움재의 침하와 다짐을 고려하여 외곽 사각형 틀 보다 내부의 칸막이 틀의 높이를 낮게 하였다. 또한 블록제작시 부직포(필터매트)를 부착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설치시의 문제점인 파손, 이음부 이탈, 블록설치시의 불편함 등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채움재가 유실 및 파손되어도 콘크리트 틀과 부직포는 존치되기 때문에 복구가 수월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블록은 좌우변의 길이가 500-1500mm이고 높이는 150-300mm의 대형으로 제작되며 블록 체적에 비하여 콘크리트 틀이 차지하는 비율은 55% 이하로 최소화하고, 공간부의 체적 비율은 40% 이상으로 되게 하여 이 공간부에 채움재 및 시공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의 채움재를 채워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최대한으로 넓혔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사각 틀 환경 블럭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이 설치된 평면도 및 전개도
도5은 본 고안의 채움재 재료별 시공예시도
도6 및 도7은 본 고안이 세굴방지용으로 설치된 예시도
도8은 본 고안이 석축 및 옹벽 대용으로 설치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외각 사각틀 2...내부칸막이틀 3...부직포 4...고리 5...철선 6...채움재의 잡석부설 7...채움재의 돌쌓기(찰쌓기)부위
8...채움재의 돌채움(메쌓기)부위 9...채움재의 토사채움과 식생부위
10...채움재의 토사채움+잡석채움+식생부위 11...채움재의 돌채움+토사채 움+식생부위 12...기초콘크리트층 13...잡석부설층
14...천단콘크리트층 15...앵카
본 고안의 사각 틀 환경 블록은 철근 보강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상하가 관통되도록 구성된 사각형 외곽 틀과 외곽 틀 내부의 공간부를 4등분하는 칸막이 틀을 포함하고 외곽 틀의 외벽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벽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면의 넓이가 저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었으며, 저면에는 화학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가 부착되고, 외곽 틀의 모서리 부분에는 절삭부가 형성되어 이 절삭부에 고리가 부착된 사각 틀 환경 블록으로 구성되었다. 전술한 외곽 틀과 칸막이 틀은 몸체부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블록은 사각형 틀의 저면이 대상지면의 넓은 면적을 덮어주게 되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몸체부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외곽 틀과 칸막이 틀은 제품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콘크리트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부에 보강용 철근을 매설한다. 이 보강용 철근은 콘크리트 타설시에 삽입한다.
몸체부는 블록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시공할 때 내부의 공간부에 채움재가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곽 틀과 칸막이 틀의 상면은 작고 저면은 넓게 형성하였다. 그러나 시공할 때 인접 블록과 밀착되어 토사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외곽 틀의 외벽은 수직으로 되게 형성하고 내벽은 경사지게 형성하였다.
본 고안의 블록은 몸체부의 외벽 모서리 부분에 절삭부가 형성되고 이 절삭부에 고리가 부착되었다. 모서리 부분에 절삭부를 형성하여 고리를 부착한 것은 측벽에 고리를 돌출되게 형성하는 경우 시공할 때 인접 블록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측벽에 홈을 형성하여 고리를 부착하는 경우 외곽 틀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고리는 본 고안의 블록이 대형으로 형성되어 중량이 무거우므로 시공할 때 운반이 어려움으로 중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작업용 고리로 이용하는데 이용된다. 이 고리는 필요에 따라서 인접 블록과의 연결에 이용된다. 몸체부의 저면에는 몸체부 내부의 공간부를 덮는 화학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가 부착되었다. 이 부직포는 몸체부 저면 넓이보다 크게 형성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공간부 채움재를 장기간 유지하고 토사 유출에 의한 호안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기간 부식되지 않고 유지되는 강인한 재질의 폴리에스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화학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콘크리트 타설 시에 외곽 틀에 삽입된 철사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콘크리트 양생 후에 외곽틀의 외벽에 못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킬 수도 있다. 시공할 때 몸체부의 공간부 내부에는 채움재를 삽입하는바, 채움재는 사용환경에 따라 토사, 잡석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땅속에 묻히는 부분에는 잡석을 사용하며, 수류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는 경관을 고려하여 파쇠한 자갈이나 호박석을 사용한다. 식물을 식재할 위치에는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흙으로 채운다. 일반적으로 공간부는 보통 유수의 영향과 식물식생의 범위와 종류, 경관 등을 고려하여 토사채움, 돌채움, 돌과 토사의 혼용채움 등을 이용하여 토사나 돌 또는 흙을 선택하여 채운다.
본 고안의 환경 블록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몸체부, 고리, 부직포, 철선 등의 규격 및 강도는 제작 및 현장조건에 따라 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 블록은 좌우변 폭 500-1500mm, 두께 150-300mm, 블록 중량 50kg 이상, 블록체적 대비 콘크리트 체적은 55% 이내, 공간부 체적은 40% 이상의 대형으로 형성한다.
본 고안에 의한 블록 사양의 한 예를 표 1에 기재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블록은 대형으로서 전술한 사양 범위 내에서 제작조건 및 현장여건에 따라 규격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었다.
도1 및 2에 따르면, 본 고안의 사각 틀 환경 블록은 사각 외곽 틀(1)과 블록 내부의 공간부를 4등분하는 칸막이 틀(2)을 포함한다. 외곽 틀(1)의 모서리 상단에는 절삭부(11)가 형성되었으며, 이 절삭부에는 연결용 고리(4)가 부착되었으며, 몸체부의 저면에는 몸체부 내부의 공간부를 덮는 부직포가 부착되었다.
본 고안에 의한 환경 블록은 도5에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평형 시공하는 방법과 교행으로 시공하는 2가지 방법이 있으며 평행시공 방법에서는 고리(4)를 이용하여 인접 블럭과 연결할 수 있다.
도6의 경사면 보호공(호안공)을 시공할 때 몸체 내부의 공간부를 여러 가지 형태의 채움재로 채워 넣은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채움재를 채우는 방법은 채움재 물성과 시공 공법에 따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도면 부호 6은 잡석부설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자재비가 적게드는 반면에 외관이 좋지 않게 되므로 땅속에 묻히는 부분에 시공하는데 이용된다. 도면 부호 7은 돌채움(찰쌓기)을 보여 주는 것으로서 수류가 직접 부딪히는 수충 부분에 경관을 고려시 적용하고, 도면 부호 8의 돌채움은 깬돌 또는 자연석 호박돌을 사용하여 시공하며 시공후에도 사각틀 및 배면의 부직포에 의하여 채움후에도 돌이 이탈되지 않고 경관이 수려하며 돌 사이에 공극이 많아 식, 생물 등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도면 부호 9, 10, 11은 식물의 생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잡석+토사, 큰돌+토사 채움을 예시 한 것이다.
도6과 도7은 세굴방지 또는 구조물 보호용 예시도 이고, 도8은 기존의 석축(찰쌓기 또는 매쌓기)및 여러 옹벽공법과 비슷한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8의 부호 6, 7은 도6에서와 같은 돌쌓기 부위와 돌채움 부위를 보여주는 것이고, 부호 12, 13은 각각 콘크리트층과 잡석부설층이며 부호 14는 천단콘크리트층, 부호 15는 앵카를 보여준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위 블록이 대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1개의 블록의 내부 공간부가 칸막이 틀에 의하여 4개의 공간부로 분할되므로 공간부가 넓어 접지력과 토사 변위에 따른 대응력(굴요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틀의 상면이 하면보다 작아서 제작과 시공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감과 미관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식생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타설량이 적어 자재비가 저렴하며, 상/하, 좌/우로 연속하여 기계장비로 시공하므로서 시공단가와 공기를 절감시키는 효과 외에 공간부 채움재의 다양한 선택으로 식생용, 경관용, 세굴방지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블록 저면에 부착된 부직포는 블록제작 시에 부착함으로써 시공편리와 구조적 안정성은 물론 채움재 유실시 콘크리트 틀과 부직포가 그대로 존치되기 때문에 복구가 수월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제작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공기가 단축되고, 식물활착이 우수하며, 여러 가지 경관을 창출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며,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공사비가 저렴하며, 유지관리가 편리한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 콘크리트 재질의 사각형 틀을 연결하여 대상지면에 덮어주는 호안 블럭에 있어서, 사각형 외곽 틀(1)의 내부 공간부가 외곽 틀보다 높이가 낮은 내부 칸막이 틀(2)에 의하여 4개의 공간부로 나누어지고, 외곽 틀(1)의 외주면은 수직 벽으로 형성되고 내벽은 경사지게 형성되었으며, 칸막이 틀(2)은 상면의 폭이 저면의 폭 보다 작은 절두 원추형 단면으로 형성되었으며, 외곽 틀의 모서리 상단부에 절삭 부가 형성되어 이 절삭부에 연결용 고리(4)가 부착되고 저면에는 내부의 공간부를 덮는 부직포(3)가 부착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틀 환경 블럭.
- 제1항에서, 부직포(3)가 화학 섬유로 구성되었고, 외곽 틀(1)과 칸막이 틀(2)이 내부에 철사(5)가 매설된 콘크리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블럭.
- 제1항에서, 이 블록이 좌우 폭 500-1500mm, 두께 150-300mm, 중량 50kg 이상의 대형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체적이 전체의 55% 이내이고, 공간부 체적이 전체의 4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2720U KR200324529Y1 (ko) | 2003-04-24 | 2003-04-24 | 사각 틀 환경 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2720U KR200324529Y1 (ko) | 2003-04-24 | 2003-04-24 | 사각 틀 환경 블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4529Y1 true KR200324529Y1 (ko) | 2003-08-25 |
Family
ID=4941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2720U KR200324529Y1 (ko) | 2003-04-24 | 2003-04-24 | 사각 틀 환경 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4529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7790B1 (ko) * | 2009-03-09 | 2009-09-21 | 주식회사동인건설 |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
KR100945472B1 (ko) | 2009-02-20 | 2010-03-05 | (주)이지탑 | 식생블록 |
KR100981434B1 (ko) | 2010-04-16 | 2010-09-10 | 주식회사 신도이엔아이 | 친환경 사면 녹화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 공법 |
-
2003
- 2003-04-24 KR KR20-2003-0012720U patent/KR2003245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5472B1 (ko) | 2009-02-20 | 2010-03-05 | (주)이지탑 | 식생블록 |
KR100917790B1 (ko) * | 2009-03-09 | 2009-09-21 | 주식회사동인건설 |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
KR100981434B1 (ko) | 2010-04-16 | 2010-09-10 | 주식회사 신도이엔아이 | 친환경 사면 녹화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 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25641B1 (ko) |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 |
KR100917790B1 (ko) |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 |
KR100737768B1 (ko) | 식생게비온판넬 | |
KR101025260B1 (ko) |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 |
JP3416097B2 (ja) | 生態安定化ブロック | |
KR101678127B1 (ko) | 토목용 블록 | |
KR20090019591A (ko) |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324529Y1 (ko) | 사각 틀 환경 블럭 | |
KR100350423B1 (ko) | 식생 흙벽돌 및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공법 | |
CN110117966B (zh) | 土工袋堆叠固定的挡土墙结构 | |
KR100886746B1 (ko) |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 | |
KR100874956B1 (ko) | 호안용 돌망태 | |
KR20040092523A (ko) | 사각 틀 환경 블럭 | |
CN213571767U (zh) | 一种河道护岸生态加固结构 | |
KR200376256Y1 (ko) |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 |
KR100737331B1 (ko) |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 |
KR20050019569A (ko) | 돌망태 옹벽을 이용한 생태하천의 인공어초 구조물 | |
JP3118346U (ja) | 護岸ブロック | |
JP2000204507A (ja) | 盤 体 | |
KR100449585B1 (ko) |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 |
KR100689662B1 (ko) |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 |
KR200390373Y1 (ko) | 친환경 블록 | |
JP2000054344A (ja) | 法面及び護岸擁壁用構造物及びその施工法 | |
CN214219539U (zh) | 一种原生态河堤挡土墙的结构 | |
CN219011099U (zh) | 一种组合式生态鱼巢砖挡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